KR101885820B1 - 휴대기기용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820B1
KR101885820B1 KR1020180028490A KR20180028490A KR101885820B1 KR 101885820 B1 KR101885820 B1 KR 101885820B1 KR 1020180028490 A KR1020180028490 A KR 1020180028490A KR 20180028490 A KR20180028490 A KR 20180028490A KR 101885820 B1 KR101885820 B1 KR 101885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portable device
folded portions
protruding
od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820B1/ko
Priority to US16/766,95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037127A1/en
Priority to PCT/KR2018/012978 priority patent/WO2019103338A1/ko
Priority to EP18881924.7A priority patent/EP3716590A4/en
Priority to CN201880087628.6A priority patent/CN111670570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4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means of coilable or bendable legs or spiral shaped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기기의 일면에 설치되어 휴대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바닥 등에 휴대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휴대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용 홀더는 고정부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지지부는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접힘부는 적어도 3개의 끼인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3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홀더{HOLDER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의 일면에 설치되는 휴대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부에 신축 가능한 부위를 형성하여 휴대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바닥 등에 휴대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산업 및 관련 기기 분야의 급진적인 발전에 발맞추어 전자제품 등이 소형화되어 개인이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기기가 기하급수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기기를 들고 다닐 경우에는 분실의 우려가 있고, 휴대기기를 주머니나 가방 등에 넣고 다닐 경우에는 휴대의 불편함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고가의 스마트 폰이 출시되면서 스마트 폰을 휴대할 경우나 사용시 발생되는 외관의 스크래치 또는 손상으로 인하여 경제적인 부담 등 사용 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휴대기기를 편리하게 들고 다니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용 홀더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기기용 홀더의 경우에는 크기가 커 휴대가 불편하고, 파지용으로만 사용되어 효율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휴대기기의 일면에 연결된 지지부가 접힘부를 통해 신축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휴대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바닥 에 거치시킬 수 있으며, 접힘부의 외주면을 육각 형태로 형성하여 휴대기기의 거치시 휴대기기의 무게에 의해 거치각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기기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는 고정부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지지부는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접힘부는 적어도 3개의 끼인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3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힘부는 외주면이 육각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는 짝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수 번째 접힘부 및 짝수 번째 접힘부는 고정부로부터 지지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는 휴대기기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 면과, 지지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면을 구비한 판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는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접힘부가 형성된 절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에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에는 연결 면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돌출부재는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재 및 개구부는 접힘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재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연결부재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접힘부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안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부재는 내부에 지지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는 고정부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지지부는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접힘부는 접힘부는 외주면이 육각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6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는 짝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수 번째 접힘부 및 짝수 번째 접힘부는 고정부로부터 지지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는 휴대기기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 면과, 지지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면을 구비한 판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는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접힘부가 형성된 절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에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에는 연결 면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돌출부재는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접힘부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안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부재는 내부에 지지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기기용 홀더는 휴대기기의 일면에 연결된 지지부가 접힘부를 통해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고정부가 휴대기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를 신장시킨 후 지지부를 파지하면 휴대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들고 다닐 수 있어 휴대기기에 대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손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아 휴대기기가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가 휴대기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를 신장시킨 후 바닥에 안착시키면, 휴대기기용 홀더를 파지하기 위한 용도뿐 아니라 바닥에 거치하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기기를 바닥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동영상이나 뉴스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접힘부 및 안착부재의 외주면을 육각형과 등과 같이 다각형으로 형성하므로, 원형의 접힘부 및 안착부재에 비하여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휴대기기용 홀더가 휴대기기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힘부 및 안착부재의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적어도 3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함에 따라, 휴대기기를 바닥에 거치시켰을 때 압축된 부분이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일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휴대기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일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용 홀더(100)는 고정부(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기기(1)를 스마트 폰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스마트 폰 이외에 각종 모바일 기기일 수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110)는 휴대기기(1)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10)는 휴대기기(1)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 면(111)과, 후술되는 지지부(12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면(112)을 구비한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 면(111)을 통해 고정부(110)를 휴대기기(1)의 일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부착 면(111)은 흡착방식이나 접착방식으로 휴대기기(1)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부(110)의 일면에 설치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121a, 121b)가 형성되어 있어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20)의 둘레에 형성된 각각의 접힘부(121a, 121b)는 적어도 3개의 끼인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3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접힘부(121a, 121b)는 외주면이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주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접힘부(121a, 121b)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외주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된 육각 기둥 형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120)는 회동이 용이하도록 수지와 같이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120)가 중공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에 육각 형태의 접힘부(121a, 121b)가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120)는 6방향으로 휘어지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접힘부(121a, 121b)는 지지부(120)의 회동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20)는 연결부재(122)와, 절첩부재(121)를 포함한다.
연결부재(122)는 고정부(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개구부(122a)가 형성된 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22)와 고정부(110)의 결합을 위하여 고정부(110)의 연결 면(112)에는 연결 면(112)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재(113)가 개구부(122a)에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고정부(110)와 지지부(120)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부(110)와 지지부(120)는 돌출부재(113)와 연결부재(122)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돌출부재(113)와 연결부재(122)는 접착제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돌출부재(113)는 접힘부(121a, 121b)와 마찬가지로 외주면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힘부(121a, 121b)가 육각형으로 형성되면 돌출부재(113) 또한 육각형의 외주면을 갖는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구부(122a)에는 돌출부재(113)가 삽입되므로, 개구부(122a)는 돌출부재(113)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첩부재(121)는 연결부재(122)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접힘부(121a, 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절첩부재(121)는 접힘부(121a, 121b)를 통해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접힘부(121a, 121b) 중 홀수 번째 접힘부(121a)의 크기는 짝수 번째 접힘부(121b)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홀수 번째 접힘부(121a) 및 짝수 번째 접힘부(121b)는 고정부(110)로부터 지지부(120)가 배치된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지지부(120)는 압축되었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 번째 접힘부(121a)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짝수 번째 접힘부(121b)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절첩부재(121)가 신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접힘부(121a, 121b) 중 홀수 번째 접힘부(121a)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121b)의 모서리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홀수 번째 접힘부(121a)가 육각형으로 형성된 경우, 홀수 번째 접힘부(121a)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121b)의 선분 중앙은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수 번째 접힘부(121a)와 짝수 번째 접힘부(121b)는 삼각 형태의 이음부재(123)를 통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절첩부재(121)는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접힘부(121a, 121b)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각 기둥 형태의 안착부재(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착부재(124)는 최하부에 위치한 접힘부(121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재(124)는 휴대기기(1)를 바닥에 거치시킬 때 휴대기기(1)가 움직이지 않도록 일면이 바닥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기둥 형태의 안착부재와 비교하여 바닥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고, 좌우로 흔들리지 않아 휴대기기(1)를 안정적으로 바닥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100)가 휴대기기(1)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휴대기기용 홀더(100)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휴대기기(1)의 일면에 고정부(110)의 부착 면(111)을 부착시킨다. 이때, 부착 면(111)에는 재사용 가능한 겔 패드(Gel Pad) 또는 흡착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휴대기기(1)의 부착 위치를 잘못 설정하더라도 고정부(110)를 탈착한 후 다시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겔 패트 또는 흡착부재의 형상 및 소재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 상태에서, 안착부재(124)를 파지하여 당기면 절첩부재(121)의 접힘부(121a, 121b)가 펴지게 되어 지지부(120)는 신장된다. 이렇게 지지부(120)가 신장되면, 사용자는 신장된 지지부(120)를 파지하여 휴대기기(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절첩부재(121)의 둘레에는 육각 형태의 접힘부(121a, 121b) 모서리가 상호 교차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수 번째 접힘부(121a) 사이마다 배치된 짝수 번째 접힘부(121b)의 크기는 홀수 번째 접힘부(121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짝수 번째 접힘부(121b)는 지지부(120)의 외주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태가 되므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 파지하면 미끄러지지 않아 파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휴대기기용 홀더(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를 수축시키면 되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줄어들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한편, 휴대기기용 홀더(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를 바닥에 거치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휴대기기(1)의 상부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면 절첩부재(121)의 상부는 수축하고 하부는 더 신장됨으로써 휴대기기(1)가 휴대기기용 홀더(100)에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된다. 이때, 접힘부(121a, 121b) 및 안착부재(124)의 둘레는 육각 형태로 형성되므로, 원형의 접힘부 및 안착부재에 비하여 바닥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휴대기기용 홀더(100)가 휴대기기(1)의 무게에 의해 옆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휴대기기(1)가 휴대기기용 홀더(100)에 의해 바닥에 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기기(1)를 파지하지 않고도 동영상이나 뉴스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용 홀더(200)에는 돌출부재(113)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결합돌기(110a) 및 결합 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재(11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10a)가 형성되고, 연결부재(122)에는 결합돌기(110a)가 삽입되는 결합 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110a)를 결합 홈(120a)에 삽입시킨 후 접착제를 통해 돌출부재(113)와 연결부재(122)를 부착시키면, 돌출부재(113)와 연결부재(122)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120)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접힘부(121a, 121b)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안착부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재(124)의 내부에는 지지부(120)의 중공과 연통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20)가 신장된 상태에서 안착부재(124)를 파지하여 가압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의 절첩부재(121)는 압축되며 안착부재(124)의 안착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첩부재(121)의 압축시 절첩부재(1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향상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고정부
110a.. 결합돌기
111.. 부착 면
112.. 연결 면
120.. 지지부
120a.. 결합 홈
121.. 절첩부재
121a, 121b.. 접힘부

Claims (21)

  1.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중공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접힘부는 적어도 3개의 끼인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3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는 짝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홀수 번째 접힘부 및 짝수 번째 접힘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지지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홀수 번째 접힘부 및 짝수 번째 접힘부를 연결하는 다각형의 이음부재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외주면이 육각 형태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휴대기기용 홀더.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 면과,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면을 구비한 판 형태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접힘부가 형성된 절첩부재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연결 면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휴대기기용 홀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 및 개구부는 상기 접힘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홈이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접힘부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안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홀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내부에 상기 지지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4.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중공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접힘부는 외주면이 육각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6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는 짝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홀수 번째 접힘부 및 짝수 번째 접힘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지지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휴대기기용 홀더.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 면과,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면을 구비한 판 형태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접힘부가 형성된 절첩부재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홀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연결 면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휴대기기용 홀더.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접힘부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안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홀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내부에 상기 지지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KR1020180028490A 2017-11-24 2018-03-12 휴대기기용 홀더 KR101885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66,950 US20210037127A1 (en) 2017-11-24 2018-10-30 Portable device holder
PCT/KR2018/012978 WO2019103338A1 (ko) 2017-11-24 2018-10-30 휴대기기용 홀더
EP18881924.7A EP3716590A4 (en) 2017-11-24 2018-10-30 HOLDER FOR PORTABLE DEVICE
CN201880087628.6A CN111670570B (zh) 2017-11-24 2018-10-30 便携设备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8777 2017-11-24
KR1020170158777 2017-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820B1 true KR101885820B1 (ko) 2018-08-06

Family

ID=6325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490A KR101885820B1 (ko) 2017-11-24 2018-03-12 휴대기기용 홀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037127A1 (ko)
EP (1) EP3716590A4 (ko)
KR (1) KR101885820B1 (ko)
CN (1) CN111670570B (ko)
WO (1) WO20191033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651A (ko) * 2019-07-02 2021-01-12 권용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831087U (zh) * 2019-08-14 2020-06-23 贺佳佳 用于移动终端的支撑装置
USD1001793S1 (en) * 2020-10-02 2023-10-17 Fourstar Group Inc. Phone grip
USD1012077S1 (en) * 2020-11-03 2024-01-23 Fourstar Group Inc. Phone grip
US20220191314A1 (en) * 2020-12-11 2022-06-16 Beren McKay Implement Holder
CN113050126A (zh) * 2021-03-04 2021-06-29 重庆城市管理职业学院 一种地理位置定位装置
KR102512762B1 (ko) * 2022-11-10 2023-03-23 이종수 휴대 단말용 액세서리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749A (ko) * 2005-06-23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130035510A (ko) * 2011-09-30 2013-04-09 (주)트레이드월드 벨로우즈형 거치대 장착 케이스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16061U1 (de) * 2003-10-20 2003-12-18 Yeh, Ta-Kuang Flexibler Halter
KR100687199B1 (ko) * 2005-08-09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9307817B1 (en) * 2010-05-17 2016-04-12 Jeffrey Joesph Kaiser Conformable computer holder
US20120267402A1 (en) * 2011-04-25 2012-10-25 Steve Beatty Grip and hands-free support for multimedia devices
CN204273518U (zh) * 2014-07-15 2015-04-22 郑良红 具有折叠和扩音功能的数码产品护套
KR101721751B1 (ko) * 2015-04-15 2017-04-10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JP2017017403A (ja) * 2015-06-29 2017-01-19 有限会社エイペックス スマートフォン用ホルダー
DE102015110989A1 (de) 2015-07-07 2017-01-12 Gerhard Bartscher Vorrichtungen zur Vertreibung oder Vernichtung von Schädling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749A (ko) * 2005-06-23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130035510A (ko) * 2011-09-30 2013-04-09 (주)트레이드월드 벨로우즈형 거치대 장착 케이스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651A (ko) * 2019-07-02 2021-01-12 권용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102465925B1 (ko) 2019-07-02 2022-11-11 권용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338A1 (ko) 2019-05-31
US20210037127A1 (en) 2021-02-04
EP3716590A1 (en) 2020-09-30
EP3716590A4 (en) 2021-12-01
CN111670570A (zh) 2020-09-15
CN111670570B (zh)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820B1 (ko) 휴대기기용 홀더
US8622359B2 (en) Mounting for a portable device
US9010529B2 (en) Foldable cover
US10895345B2 (en) Mobile device accessory
EP2829151B1 (en) Adjustable mounting clip and system using same
ES2642882T5 (es) Casquillo extensible para reproductor multimedia portátil
US7780126B2 (en) Modified tripod and “multi-pod” for cameras and other equipment
US10201221B1 (en) Hand strap
KR102349489B1 (ko) 셀프 촬영 장치
WO2012121503A2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KR200483261Y1 (ko) 보호백
CN103727363A (zh) 便携式移动终端夹持装置
KR20048643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KR101148150B1 (ko)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US9232671B2 (en) Stand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tand
KR20160000276U (ko)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0461379Y1 (ko) 태블릿 컴퓨터 케이스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CN205039982U (zh) 一种带吸盘的耳塞及耳机
CN208901011U (zh) 一种全收纳三脚架自拍杆
EP3306171B1 (en) Hands-free dual clamp device
US8382049B2 (en) Support device
KR101785824B1 (ko)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261334B1 (ko) 쿠션에 감아서 사용할 수 있는 영상기기 거치대
KR20130001879U (ko)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