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824B1 -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824B1
KR101785824B1 KR1020160012941A KR20160012941A KR101785824B1 KR 101785824 B1 KR101785824 B1 KR 101785824B1 KR 1020160012941 A KR1020160012941 A KR 1020160012941A KR 20160012941 A KR20160012941 A KR 20160012941A KR 101785824 B1 KR101785824 B1 KR 10178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extension
smartphone
case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175A (ko
Inventor
이상순
Original Assignee
이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순 filed Critical 이상순
Priority to KR102016001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8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발명의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10); 일측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상기 케이스본체(10)로부터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20); 앙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20)가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로드(20)의 타측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로드(31)와, 상기 힌지결합로드(31)의 양단부로부터 직각되게 각각 연장되는 제 1 연장로드(32)가 일체로 형성되어, "ㄷ"자형상으로 된 제 2 로드(30); 일측단부가 상기 제 2 로드(30)의 제 1 연장로드(32)의 단부와 각각 결합되며 신축이 가능한 제 1 신축봉(40); 상부에는 상기 제 2 로드(30)의 제 1 연장로드(32)의 연장선상으로 동일하게 각각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제 1 신축봉(40)의 타측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 2 연장로드(51)와, 하부에는 상기 제 2 연장로드(51)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로드(30)의 힌지결합로드(3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연장로드(3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제 3 연장로드(52)가 일체로 형성된 제 3 로드(50); 일측단부가 상기 제 3 로드(50)의 상기 제 3 연장로드(52)의 상단과 각각 결합되며 신축가능한 제 2 신축봉(60); 하단이 상기 제 2 신축봉(60)의 타측단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2 연장로드(51)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제 4 로드(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Smart Phone Case for Self Camera}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변형에 의해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혼자서 멀리 이격시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카봉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타인의 도움없이 자신의 모습과 배경을 적합하게 촬영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고안된 장치이다.
셀카봉의 일반적인 구성은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거치대와, 거치대 하단에 연결되고 휴대시에는 길이를 짧게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길이를 길게 연장시켜 사용하는 연장대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대는 신축이 가능한 봉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셀카봉은 스마트폰과 별개로 구비되는 부가장치이고 연장대가 신축가능한 봉형태로 되어 있어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스마트폰의 손상방지를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과 거의 동등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게 통상적이므로 스마트폰 휴대시 스마트폰 케이스에 스마트폰이 수용된 상태로 휴대하게 된다.
하지만, 셀카봉은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셀카봉을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셀카봉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케이스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변형에 의해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혼자서 멀리 이격시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 케이스에 셀카봉이 구비되도록 하여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10); 일측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뉘어진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20); 중앙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세워진 상태가 되기 위해 상기 제 1 로드(20)에 결합된 상기 케이스본체(10)가 상기 제 1 로드(20)의 타측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로드(31)와, 상기 힌지결합로드(31)의 양단부로부터 직각되게 각각 연장되는 제 1 연장로드(32)가 일체로 형성되어, "ㄷ"자형상으로 된 제 2 로드(30); 일측단부가 상기 제 2 로드(30)의 제 1 연장로드(32)의 단부와 각각 결합되며 신축이 가능한 제 1 신축봉(40); 상부에는 상기 제 2 로드(30)의 제 1 연장로드(32)의 연장선상으로 동일하게 각각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제 1 신축봉(40)의 타측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 2 연장로드(51)와, 하부에는 상기 제 2 연장로드(51)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로드(30)의 힌지결합로드(3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연장로드(3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제 3 연장로드(52)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신축봉(40)을 신축시키는 제 3 로드(50); 일측단부가 상기 제 3 로드(50)의 상기 제 3 연장로드(52)의 상단과 각각 결합되며 신축가능한 제 2 신축봉(60); 하단이 상기 제 2 신축봉(60)의 타측단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2 연장로드(51)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 신축봉(60)을 신축시키는 제 4 로드(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로드(20), 상기 제 2 로드(30),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의 두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신축봉(40)의 축소시 상기 제 1 신축봉(40)은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2 연장로드(51)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제 2 신축봉(60)의 축소시 상기 제 2 신축봉(60)은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3 연장로드(52) 내측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3 연장로드(52) 사이에는 상기 제 1 로드(20)가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드(20)가 수용되기 위한 제 1 로드수용부(5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로드(20)는 스마트폰의 전방카메라 또는 후방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로드(20)에 결합된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뒤집어지기 위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중간부위에 축결합부(23)가 구비되어 일측이 타측으로부터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로드(20)의 배면 중앙부위에는 걸림홈(2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로드수용부(53)에는 상기 걸림홈(21)에 걸려 상기 제 1 신축봉(40)이 신장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걸림부(5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일측면이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부착되며 부착부(11)와, 상기 부착부(11)의 타측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20)의 일측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결합부(12)로 이루어지는 제 1 로드결합부(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로드(20) 타측단부 부위 또는 중앙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와 근접하는 면에는 제 1 자석(22)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결합부(15)의 부착부(11) 타측면 외곽에는 등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로드(20)에 구비된 상기 제 1 자석(22)에 부착되는 제 1 자성체(13)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2 로드(30)의 힌지결합로드(31)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로드(50)의 상기 제 3 연장로드(52)와 근접한 면에는 제 2 자석(33)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 3 로드(50)의 상기 제 3 연장로드(52)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2 자석(33)과 부착되는 제 2 자성체(55)가 구비되어 상기 제 3 로드(50)가 상기 제 2 로드(3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3 연장로드(52)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 3 로드(50)의 상단 중앙에는 제 3 자석(56)이 구비되고, 상기 제 4 로드(70)의 하단에는 상기 제 3 자석(56)에 부착되는 제 3 자성체(71)가 구비되어 상기 제 4 로드(70)가 상기 제 3 로드(5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신축봉(40)과 상기 제 2 신축봉(60)이 축소되고, 상기 제 1 로드(20)가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가 서로 접한 상태가 되고 일체로 된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에 의해 이루는 플레이트의 면적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면적과 동등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는 셀카봉을 스마트폰과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접어진 상태에서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게 되므로 언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접어진 상태에서는 일체로 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되고, 케이스의 크기와 동등한 면적을 가지는 정도로 소형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신축봉이 양쪽에 구비되게 되므로 스마트폰의 무게에 의한 셀카봉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회전되지 않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셀카봉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가볍고 강성이 크고 스마트폰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케이스본체(10); 제 1 로드(20); 제 2 로드(30); 제 1 신축봉(40); 제 3 로드(50); 제 2 신축봉(60); 제 4 로드(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스마트폰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전면으로 스마트폰을 삽입하여 테두리를 고정하며 스마트폰의 배면을 커버하는 일반적인 케이스이다.
상기 제 1 로드(rod)(20)는 일측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뉘어진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되면 이와 연계된 제 2 로드(30), 제 3 로드(50) 및 제 4 로드(70)가 함께 회전되게 되며 스마트폰(1)과 일정각도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옆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본체(10) 또는 제 2 로드(30), 제 3 로드(50) 및 제 4 로드(70)가 함께 회전되게 되며 일정각도 통상 90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 2 로드(30)는 힌지결합로드(31)와, 제 1 연장로드(32)가 일체로 형성되어, "ㄷ"자형상으로 된다.
상기 힌지결합로드(31)는 중앙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세워진 상태가 되기 위해 상기 제 1 로드(20)에 결합된 상기 케이스본체(10)가 상기 제 1 로드(20)의 타측단부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 1 연장로드(32)는 상기 힌지결합로드(31)의 양단부로부터 직각되게 각각 연장된다.
상기 힌지결합로드(31)는 상기 제 1 로드(20)의 타측단부가 접철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므로, 스마트폰이 수용된 상기 케이스본체(10)를 펼치게 되면 상기 힌지결합로드(31)에 힌지결합된 상기 제 1 로드(20)가 회동되어 제 2 로드(30), 제 3 로드(50) 및 제 4 로드(70)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 1 로드(20)가 제 2 로드(30), 제 3 로드(50) 및 제 4 로드(70)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되면, 스마트폰이 수용된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제 1 로드(20)가 결합되게 되므로 상기 케이스본체(10)가 상기 제 2 로드(30), 제 3 로드(50) 및 제 4 로드(70)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되며, 이 각도는 케이스본체(10)가 상기 제 2 로드(30), 제 3 로드(50) 및 제 4 로드(70)로부터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한다. 이 각도는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로 할 수 있으나 직각인 상태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후방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로드(20)는 스마트폰의 전방카메라 또는 후방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로드(20)에 결합된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뒤집어지기 위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중간부위에 축결합부(23)가 구비되어 일측이 타측으로부터 회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로드(20)의 중간부위에 축결합부(23)가 구비되게 되면, 스마트폰(1)이 세워진 상태가 된 상기 케이스본체(10)를 180도 회전되도록 하여 스마트폰(1)을 뒤집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전방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게 되며 스마트폰으로 촬영영상을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축봉(40)은 일측단부가 상기 제 2 로드(30)의 제 1 연장로드(32)의 단부와 각각 결합되며 신축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신축봉(40)은 직경이 점진적으로 크거나 작아지는 다수개의 봉을 연결하여 삽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신축되는 공지된 구조로 된다.
상기 제 3 로드(50)는 제 2 연장로드(51)와 제 3 연장로드(5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장로드(51)는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로드(30)의 제 1 연장로드(32)의 연장선상으로 동일하게 각각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제 1 신축봉(40)의 타측단부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 3 연장로드(52)는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연장로드(51)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로드(30)의 힌지결합로드(3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연장로드(3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제 3 로드(50)는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신축봉(40)을 신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신축봉(60)은 일측단부가 상기 제 3 로드(50)의 상기 제 3 연장로드(52)의 상단과 각각 결합되며 신축가능하다. 상기 제 2 신축봉(60)은 상기 제 1 신축봉(40)과 마찬가지로 신축가능한 공지된 구조로 된다.
상기 제 4 로드(70)는 하단이 상기 제 2 신축봉(60)의 타측단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2 연장로드(51)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제 4 로드(70)는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 신축봉(60)을 신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로드(20), 상기 제 2 로드(30),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의 두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로드(20), 상기 제 2 로드(30),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의 두께는 동일하게 되면 접어졌을 때 상기 제 1 로드(20), 상기 제 2 로드(30),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가 평평한 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신축봉(40)의 축소시 상기 제 1 신축봉(40)은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2 연장로드(51)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제 2 신축봉(60)의 축소시 상기 제 2 신축봉(60)은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3 연장로드(52) 내측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신축봉들이 연장로드의 내측에 수용되게 되면 접어졌을 때 신축봉이 보이지 않게 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고 접어졌을 때 상기 제 2 로드(30),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하여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3 연장로드(52) 사이에는 상기 제 1 로드(20)가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드(20)가 수용되기 위한 제 1 로드수용부(53)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 1 로드(20)가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본체(10)가 상기 제 2 로드(30),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와 접한 상태로 평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로드(20)의 배면 중앙부위에는 걸림홈(2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로드수용부(53)에는 상기 걸림홈(21)에 걸려 상기 제 1 신축봉(40)이 신장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걸림부(54)가 구비된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걸림홈(21)과 걸림부(54)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 제 1 로드(20)가 펼쳐진 상태가 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신축봉이 신장되지 않게 되고, 펼쳐진 상태가 되면 상기 제 1 신축봉(40)의 신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상기 제 1 로드(20)를 힌지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로드결합부(15)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로드결합부(15)는 부착부(11)와, 회전결합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부(11)는 일측면이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부착된다.
상기 회전결합부(12)는 상기 부착부(11)의 타측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20)의 일측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옆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본체(10)를 일정각도 회전시켜 도 3b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게 되는데, 상기 케이스본체(10)를 일정각도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자석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로드(20) 타측단부 부위 또는 중앙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와 근접하는 면에는 제 1 자석(22)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결합부(15)의 부착부(11) 타측면 외곽에는 등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로드(20)에 구비된 상기 제 1 자석(22)에 부착되는 제 1 자성체(13)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제 1 자성체(13)이 등각도로 설치되는 각도는 통상 90도 각도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신축봉(40)과 제 2 신축봉(60)은 잦은 사용에 따라 헐겁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신축봉(40)과 제 2 신축봉(60)이 신장이 쉽게 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접어졌을 때 신축봉이 보이게 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고, 접어졌을 때 상기 제 2 로드(30),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접하지 않게 되어 최소길이를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 2 로드(30)와 제 3 로드(50)를 자석으로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 3 로드(50)가 상기 제 2 로드(3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 로드(30)의 힌지결합로드(31)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로드(50)의 상기 제 3 연장로드(52)와 근접한 면에는 제 2 자석(33)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 3 로드(50)의 상기 제 3 연장로드(52)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2 자석(33)과 부착되는 제 2 자성체(55)가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제 3 로드(50)와 제 4 로드(70)를 자석으로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 4 로드(70)가 상기 제 3 로드(5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3 연장로드(52)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 3 로드(50)의 상단 중앙에는 제 3 자석(56)이 구비되고, 상기 제 4 로드(70)의 하단에는 상기 제 3 자석(56)에 부착되는 제 3 자성체(71)가 구비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 1 신축봉(40)과 상기 제 2 신축봉(60)이 축소되고, 상기 제 1 로드(20)가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가 서로 접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로 이루어지는 형상이 하나의 플레이트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가 서로 접한 상태가 되고 일체로 된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게 되면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고 접혀졌을 때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에 의해 이루는 플레이트의 면적은 셀카촬영의 최대거리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에 의해 이루는 플레이트의 면적이 상기 플레이트의 면적이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면적과 동등한 크기를 갖게 되면 휴대성을 높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손상으로부터의 보호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신축봉(40)과 상기 제 2 신축봉(60)이 축소되고, 상기 제 1 로드(20)가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가 서로 접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로 이루어지는 형상이 동물의 모양, 사물의 모양, 캐릭터 모양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가 서로 접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로 이루어지는 형상이 동물의 모양, 사물의 모양, 캐릭터 모양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되게 되면, 미관이 화려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셀카봉 자체가 악세서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4 로드(70)에는 제 1 신축봉(40) 및 제 2 신축봉(60)의 신장을 위한 상기 제 4 로드(70)의 이동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표시부(72)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의 작동상태를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접어진 상태에서는 도 3a에서와 같이 일체로 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드(rod)(20)는 일측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상기 케이스본체(10)로부터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므로, 상기 케이스본체(10)를 90도 회전시키면 도 3b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10)를 회동시켜 상기 제 1 로드(20)를 펼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 1 로드(20)가 상기 제 2 로드(30), 제 3 로드(50) 및 제 4 로드(70)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되고, 결국 케이스본체(10)가 상기 제 2 로드(30), 제 3 로드(50) 및 제 4 로드(70)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되며 도 3c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4 로드(70)를 잡아당기게 되면 먼저 제 2 신축봉(60)이 신장되게 되며, 도 3d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4 로드(70)를 사용자가 잡고 셀프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비교적 거리의 촬영을 수행한다.
도 3d의 상태에서 더 먼 거리의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 4 로드(70)를 사용자가 더 잡아 당기게 되면 제 1 신축봉(40)이 신장하게 되며, 도 3e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3d에서 보다 더 먼 거리의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스마트폰 10: 케이스본체 11: 부착부
12: 회전결합부 13: 제 1 자성체 15: 제 1 로드결합부
20: 제 1 로드 21: 걸림홈 22: 제 1 자석
23: 축결합부 30: 제 2 로드 31: 힌지결합로드
32: 제 1 연장로드 33: 제 2 자석 40: 제 1 신축봉
50: 제 3 로드 51: 제 2 연장로드 52: 제 3 연장로드
53: 제 1 로드수용부 54: 걸림부 55: 제 2 자성체
56: 제 3 자석 60: 제 2 신축봉 70: 제 4 로드
71: 제 3 자성체

Claims (13)

  1.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10);
    일측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뉘어진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20);
    중앙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세워진 상태가 되기 위해 상기 제 1 로드(20)에 결합된 상기 케이스본체(10)가 상기 제 1 로드(20)의 타측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로드(31)와, 상기 힌지결합로드(31)의 양단부로부터 직각되게 각각 연장되는 제 1 연장로드(32)가 일체로 형성되어, "ㄷ"자형상으로 된 제 2 로드(30);
    일측단부가 상기 제 2 로드(30)의 제 1 연장로드(32)의 단부와 각각 결합되며 신축이 가능한 제 1 신축봉(40);
    상부에는 상기 제 2 로드(30)의 제 1 연장로드(32)의 연장선상으로 동일하게 각각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제 1 신축봉(40)의 타측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 2 연장로드(51)와, 하부에는 상기 제 2 연장로드(51)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로드(30)의 힌지결합로드(3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연장로드(3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제 3 연장로드(52)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신축봉(40)을 신축시키는 제 3 로드(50);
    일측단부가 상기 제 3 로드(50)의 상기 제 3 연장로드(52)의 상단과 각각 결합되며 신축가능한 제 2 신축봉(60);
    하단이 상기 제 2 신축봉(60)의 타측단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2 연장로드(51)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 신축봉(60)을 신축시키는 제 4 로드(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20), 상기 제 2 로드(30),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의 두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축봉(40)의 축소시 상기 제 1 신축봉(40)은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2 연장로드(51)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제 2 신축봉(60)의 축소시 상기 제 2 신축봉(60)은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3 연장로드(52) 내측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로드(50)의 제 3 연장로드(52) 사이에는 상기 제 1 로드(20)가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드(20)가 수용되기 위한 제 1 로드수용부(5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20)는 스마트폰의 전방카메라 또는 후방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로드(20)에 결합된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뒤집어지기 위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중간부위에 축결합부(23)가 구비되어 일측이 타측으로부터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20)의 배면 중앙부위에는 걸림홈(2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로드수용부(53)에는 상기 걸림홈(21)에 걸려 상기 제 1 신축봉(40)이 신장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걸림부(5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면이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부착되며 부착부(11)와,
    상기 부착부(11)의 타측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20)의 일측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결합부(12)로 이루어지는 제 1 로드결합부(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20) 타측단부 부위 또는 중앙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와 근접하는 면에는 제 1 자석(22)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결합부(15)의 부착부(11) 타측면 외곽에는 등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로드(20)에 구비된 상기 제 1 자석(22)에 부착되는 제 1 자성체(13)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드(30)의 힌지결합로드(31)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로드(50)의 상기 제 3 연장로드(52)와 근접한 면에는 제 2 자석(33)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 3 로드(50)의 상기 제 3 연장로드(52)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2 자석(33)과 부착되는 제 2 자성체(55)가 구비되어 상기 제 3 로드(50)가 상기 제 2 로드(3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장로드(52)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 3 로드(50)의 상단 중앙에는 제 3 자석(56)이 구비되고,
    상기 제 4 로드(70)의 하단에는 상기 제 3 자석(56)에 부착되는 제 3 자성체(71)가 구비되어 상기 제 4 로드(70)가 상기 제 3 로드(5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축봉(40)과 상기 제 2 신축봉(60)이 축소되고, 상기 제 1 로드(20)가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가 서로 접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로 이루어지는 형상이 하나의 플레이트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에 의해 이루는 플레이트의 면적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면적과 동등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축봉(40)과 상기 제 2 신축봉(60)이 축소되고, 상기 제 1 로드(20)가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가 서로 접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와 상기 제 3 로드(50) 및 상기 제 4 로드(70)로 이루어지는 형상이 동물의 모양, 사물의 모양, 캐릭터 모양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160012941A 2016-02-02 2016-02-02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8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941A KR101785824B1 (ko) 2016-02-02 2016-02-02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941A KR101785824B1 (ko) 2016-02-02 2016-02-02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175A KR20170092175A (ko) 2017-08-11
KR101785824B1 true KR101785824B1 (ko) 2017-10-17

Family

ID=5965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941A KR101785824B1 (ko) 2016-02-02 2016-02-02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79Y1 (ko) * 2018-01-05 2019-07-05 안무길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분리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88B1 (ko) 2013-05-23 2014-09-23 이미화 셀프 카메라 촬영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구조체
KR101523613B1 (ko) 2014-12-08 2015-05-29 박승현 셀프 카메라 촬영용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8259Y1 (ko) 2014-11-05 2015-09-10 강태경 셀카봉이 형성된 핸드폰 케이스
KR200479601Y1 (ko) 2015-11-09 2016-02-23 정주호 다용도 휴대폰 케이스
KR101605098B1 (ko) 2015-05-08 2016-04-01 최창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88B1 (ko) 2013-05-23 2014-09-23 이미화 셀프 카메라 촬영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구조체
KR200478259Y1 (ko) 2014-11-05 2015-09-10 강태경 셀카봉이 형성된 핸드폰 케이스
KR101523613B1 (ko) 2014-12-08 2015-05-29 박승현 셀프 카메라 촬영용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605098B1 (ko) 2015-05-08 2016-04-01 최창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KR200479601Y1 (ko) 2015-11-09 2016-02-23 정주호 다용도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175A (ko)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1467B1 (en) Support and selfie stick with support
US9995993B2 (en) Selfie device
US8893737B2 (en) Tent skeleton and tent
US20160070156A1 (en) Collapsible Extension Along With Image Capture Device And Case Incorporating The Same
US9298066B1 (en) Multi-functional support assembly
US8465100B2 (en) Portable footrest
US20170085284A1 (en) Mobile phone case with selfie-stick
WO2015192207A1 (en) Telescoping extension
US20150115123A1 (en) Foldable and portable music stand
KR101909340B1 (ko)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US10012007B2 (en) Tent frame and tent with slidably coupled top poles
KR20170110253A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KR20160000408U (ko)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US20130026309A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device in a viewable location
US9055794B1 (en) Umbrella case and method of connecting umbrella to a handle
KR101792412B1 (ko)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85824B1 (ko)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CN105407192A (zh) 一种手机壳
CN207403774U (zh) 一种多功能乌龟车
KR101148150B1 (ko)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US9651196B1 (en) Multi-functional self-timer lever
US10465838B2 (en) Tripod with connecting components
CN104728573A (zh) 多功能摄影架
CN211901023U (zh) 可充电式风扇装置
CN217815989U (zh) 带有伸缩杆的八爪鱼三脚架及应用其的自拍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