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199B1 -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199B1
KR100687199B1 KR1020050072551A KR20050072551A KR100687199B1 KR 100687199 B1 KR100687199 B1 KR 100687199B1 KR 1020050072551 A KR1020050072551 A KR 1020050072551A KR 20050072551 A KR20050072551 A KR 20050072551A KR 100687199 B1 KR100687199 B1 KR 100687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bile communication
fixing
communication termin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161A (ko
Inventor
김동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199B1/ko
Priority to CN2006101034918A priority patent/CN1913540B/zh
Publication of KR2007001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4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with resilient means to eliminate extraneous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촬영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 및 통화부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지지대 삽입홈 각각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시 상기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 고정되는 지지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로 구성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고정지지부, 카메라폰, 삼발이, 타이머, 리모콘

Description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reminal having supporting parts}
도 1은 종래기술에서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삼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고정지지부(A)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정지지부(A)의 확대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제 1 지지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제 3 지지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제 3 지지대가 제 3 지지대 삽입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통화부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제 1 내지 제 3 지지대가 펼쳐진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수화부 20 : 통화부
30 : 제 1 지지부
31 : 제 1 지지대 32 : 고정홈
33 : 축공 34 : 원통면
35 : 축 36 : 고정돌기
40 : 제 2 지지부
41 : 제 2 지지대 49 : 제 2 지지대 삽입홈
50 : 제 3 지지부
51 : 제 3 지지대 52 : 고정요홈
53 : 래크부 54 : 돌출턱
55 : 경사부 56 : 손잡이부
57 : 절곡부 58 : 판스프링
59 : 제 3 지지대 삽입홈
60 : 볼트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촬영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그 성능면에서 일반 디지털 카메라와 거의 동등한 성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 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으로 고정하여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하여 촬영할 수 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손의 떨림 등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흔들림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원하는 화질의 사진을 얻을 수 없었으며, 또한, 자신이 직접 자신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전신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타이머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서 카메라의 기능을 100%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피사체의 촬영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의 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삼발이의 구조가 제시되었으며, 도 1은 종래기술에서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삼발이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삼발이(1)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해당하는 클립(2)과, 지면으로부터 클립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수직 조절수단에 해당하는 자바라(4)와, 지면에 위치하여 수직 높이를 연장 가능하게 조절하는 고정지지 연장수단에 해당하는 다리(6)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삼발이(1)는 클립 (2)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한다. 클립(2)의 하단은 자바라(4)의 상단(41)과 결합되며, 자바라(4)는 지면으로부터 클립(2)의 수직높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자바라(4)는 상하좌우 사용자의 변형에 따라 자유로이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바라의 상단에 구비된 클립(21)을 이용해 촬영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7)을 삼발이의 상단부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삼발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여야만 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고자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별도로 삼발이(1)를 휴대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는 번거로운 짐을 가지게 되어 휴대성에서 현저한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삼발이(1)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분리 구성된 것에 의해 분실의 위험성을 항상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돌출되어 고정되는 지지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체로 형성하여 카메라에 의한 촬영시 등의 경우에 필요에 따라 카메라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 및 통화부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지지대 삽입홈 각각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시 상기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 고정되는 지지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로 구성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지지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의 정면 또는 통화부의 배면의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형성된 제 1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1 삽입홈에서 펼쳐지는 제 1 지지대를 구비한 제 1 지지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부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2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되는 제 2 지지대를 구비한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 대향되는 상기 통화부 저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3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3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되는 제 3 지지대를 구비한 제 3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이 형성된 상기 제 1 지지대의 양 측부면에서 상기 축공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지지대 삽입홈은,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상기 축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축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홈이 이루는 원의 대응되는 상기 제 1 지지대 삽입홈의 양측벽의 일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3 지지대 각각은, 일측면의 하단부 영역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요홈을 가지는 래크부와; 상기 래크부의 하부 영역에는 래크부의 평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지지대 삽입홈 및 상기 제 3 지지대 삽입홈은, 상기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3 지지부의 래크부 각각과 면하는 내측벽에 각각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체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구를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판스프링 또는 상기 래크부와 면하는 내측벽에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서 상기 고정요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핀을 구비한 탄성고정핀 등으로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핀을 이루는 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래크부와 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측벽에 부착되고, 상기 탄성고정핀을 이루는 고정핀은 원통형으로 상기 고정요홈에 삽입되도록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절곡부와 고정핀은 고정수단의 고정구에 대응되며, 판스프링 또는 스프링은 고정수단의 탄성지지체에 대응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원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지지대가 펼쳐진 후 고정홈에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 2 지지대 및 제 3 지지대가 돌출된 후 고정수단의 절곡부가 고정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 유지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정지지부(A)의 확대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10)의 정면 하부에는 제 1 지지부(30)가 형성되고, 통화부(20)의 저면 양측에는 각각 제 2 지지부(40)와 제 3 지지부(50)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지지부(30)는 수화부(10)에서 요입형성되는 제 1 지지대 삽입홈(31)과 제 1 지지대 삽입홈(31)에서 회전되도록 일단부가 축결합되는 제 1 지지대(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제 2 지지부(40)와 제 3 지지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부(20)의 저면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지지부(40)는 통화부(20)의 좌측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요입형성되는 제 2 지지대 삽입홈(49)과 제 2 지지대 삽입홈(49)에서 삽입 또는 돌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대(41)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3 지지부(50)는 통화부의 우측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요입형성디는 제 3 지지대 삽입홈(59)과 제 3 지지대 삽입홈(50)에서 삽입 돌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지지대(51)로 구성된다.
도 4는 상기 제 1 지지부(3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의 a는 제 1 지지대(31)의 상세 구성을 나태는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제 1 지지부삽입홈(37)의 상세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수화부(10)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대(31)는 바형상을 가지며, 하부에는 좌우측면을 좌우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축공(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공(33)이 형성된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 양 측부면에는 상기 축공(33)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홈(32)이 원을 이루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지지대(31)의 하부단부는 제 1 지지대(3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원통면(34)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지지대 삽입홈(37)은 상기 제 1 지지대(3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10)의 하부 정면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지지대 삽입홈(37)의 하부에는 제 1 지지대(31)의 축공(33)에 축 결합되는 축(35)이 가로 방향으로 축설된다. 또한, 제 1 지지대 삽입홈(37)의 양측벽에서 상기 축(35)에 축 결합되는 제 1 지지대의 고정홈(32)이 이루는 원에 대응되는 일 위치에는 각각 고정홈(32)에 삽입되어서 제 1 지지대(31)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돌기(3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6)는 제 1 지지대의 고정홈(32)에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어 제 1 지지대(31)의 회전시 제 1 지지대(31)의 측면에 의해 눌려지고 고정홈(32)의 위치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고정홈(32)에 끼워지게 되어 제 1 지지대(31)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구성에서 제 1 지지대(31)는 제 1 지지대 삽입홈(37)에 삽입된 후, 수화부(10)의 내측에서 축(35)을 제 1 지지대(31)의 축공(33)에 삽입되도록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제 1 지지대 삽입홈(37)에서 축(3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 합된다.
상기 제 2 지지부(40)와 제 3 지지부(50)는 서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새로 방향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선대칭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 제 3 지지부(50)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 2 지지부(40)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제 3 지지대(51)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3 지지대(51)가 제 3 지지대 삽입홈(59)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통화부(20) 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지지대(51)는 일측면의 하부 영역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요입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요홈(52)이 형성되는 래크부(53)가 형성된다. 그리고, 래크부(53)의 하부에는 래크부(53)의 평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턱(54)이 형성된다. 돌출턱(54)은 제 3 지지대(51)가 제 3 지지대 삽입홈(59)의 내측으로 더 이상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돌출턱(54)을 시작점으로 하여 제 3 지지대(51)의 하단부는 통화부(20) 의 외주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하는 경사부(55)가 형성되어 통화부(20) 의 외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돌출턱(54)과 경사부(55)를 이루는 부위가 제 3 지지대의 손잡이부(56)가 되며, 손잡이부(56)는 통화부(20) 의 저면에서 돌출턱(54)에 의하여 일정 높이를 가지고 돌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제 1 지지대(51)를 파지하여 제 1 지지대 삽입홈(59)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6은 도 5의 제 3 지지대(51)가 통화부(20) 의 제 3 지지대 삽입홈(59)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통화부(20) 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지지대 삽입홈(59)은 제 3 지지대(51)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제 3 지지대 삽입홈(59)과 닮은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지지대 삽입홈(59)의 내측벽에서 상기 래크부(5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3 지지대(51)의 고정요홈(52)에 삽입되어 제 3 지지대(51)를 고정시키는 절곡부(57)를 가지는 판스프링(58)이 볼트(60)에 의해 고정된다.
상술한 절곡부(57)를 가지는 판스프링(58)은 도면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고정구와 탄성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수단으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3 지지대(51)의 래크부(53)와 면하는 내측벽에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서 상기 고정요홈(52)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핀을 구비한 탄성고정핀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고정핀을 이루는 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래크부(53)와 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측벽에 부착되고, 상기 탄성고정핀을 이루는 고정핀은 원통형으로 상기 고정요홈(52)에 삽입되도록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58) 및 고정핀은 고정수단의 고정구에 대응되며, 판스프링 및 스프링은 고정수단의 탄성지지체에 대응된다.
상술한 도 5 및 도 6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지지대(51)는 제 1 지지대 삽입홈(59)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 때 제 1 지지대 삽입홈(59)의 내측벽에 부착된 판스프링(58)의 절곡부(57)가 제 1 지지대(51)의 고정요홈(52)에 삽입되고, 판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 1 지지대(51)에 탄성력을 가함으로서 제 1 지지대(51)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도 2 내지 도 7의 설명에서 상기 제 1 지지부(30)와 상기 제 2 지지부(40) 및 상기 제 3 지지부(50)가 본원 발명의 고정지지부가 된다. 제 2 지지부 (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지지부(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의 구조를 갖는다.
다음으로 상술한 고정지지부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지지부(A)에 의하여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대(31)를 축(3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하방향으로 펼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대 삽입홈(37)의 내측벽에 형성된 고정돌기(36)가 제 1 지지대(31)의 양측면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32) 중 마주하는 고정홈(32)에 삽입됨으로써 제 1 지지대(31)가 자유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 2 지지대(41) 및 제 3 지지대(51)의 취출과정을 제 3 지지부(50)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제 1 지지대(31)가 펼쳐져 고정된 후에 사용자는 손잡이부(56)를 파지하여 제 3 지지대(51)를 제 3 지지대 삽입홈(59)으로부터 취출한다. 이 때, 제 3 지지대(51)의 래크부(51)에 형성된 고정요홈(52)에 판스프링(58)의 절곡부(57)가 삽입됨으로써 제 3 지지대(51)에 마찰력과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제 3 지지대(51)는 제 3 지지대 삽입홈(59)으로부터 취출된 후에는 판스프링(58)의 절곡부(57)가 고정요홈(5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제 2 지지대 또한 상술한 제 3 지지대와 동일한 동작과정에 의해 제 2 지지대 삽입홈으로부터 취출되어 고정된다.
도 7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제 1 지지대(31)가 펼쳐져 고정되 고, 제 2 지지대(41) 및 제 3 지지대(51)가 취출되어 고정된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제 1 지지부(30)의 제 1 지지대(31), 제 2 지지부(40)의 제 2 지지대(41) 및 제 3 지지부(50)의 제 3 지지대(51)에 의하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2 내지 도 7의 설명에서 고정지지부를 제 1 내지 제 3 지지부를 가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고정지지부의 지지부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원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위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촬영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향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개선된 품질의 영상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또한, 타이머, 리모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타이머 또는 리모콘에 의한 피사체의 촬영 기능을 100%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 및 통화부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지지대 삽입홈 각각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시 상기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 고정되는 지지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로 구성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화부의 정면 또는 통화부의 배면의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형성된 제 1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1 삽입홈에서 펼쳐지는 제 1 지지대를 구비한 제 1 지지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부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2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되는 제 2 지지대를 구비한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에 대향되는 상기 통화부 저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3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3 지지대 삽입홈에서 돌출되는 제 3 지지대를 구비한 제 3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이 형성된 상기 제 1 지지대의 양 측부면에서 상기 축공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 상기 제 1 지지대 삽입홈은,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상기 축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축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홈이 이루는 원의 대응되는 상기 제 1 지지대 삽입홈의 양측벽의 일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3 지지대 각각은,
    상기 상기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3 지지대 각각의 일측면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요홈으로 이루어지는 래크부와;
    상기 래크부의 하부 영역에서 돌출되는 돌출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 삽입홈과 상기 제 3 지지대 삽입홈은,
    상기 제 2 지지대 및 상기 제 3 지지대의 래크부에 고정요홈에 삽입되어 고 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요홈에 삽입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절곡되는 절곡부가 고정구로 되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래크부와 면하는 내측벽에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서 상기 고정요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핀을 구비한 탄성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72551A 2005-08-09 2005-08-09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7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51A KR100687199B1 (ko) 2005-08-09 2005-08-09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2006101034918A CN1913540B (zh) 2005-08-09 2006-07-25 设置有固定支撑部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51A KR100687199B1 (ko) 2005-08-09 2005-08-09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161A KR20070018161A (ko) 2007-02-14
KR100687199B1 true KR100687199B1 (ko) 2007-02-26

Family

ID=3772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551A KR100687199B1 (ko) 2005-08-09 2005-08-09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7199B1 (ko)
CN (1) CN19135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6751B (zh) * 2008-05-23 2012-05-16 德信无线通讯科技(北京)有限公司 手机支架
KR101885820B1 (ko) * 2017-11-24 2018-08-06 주식회사 마이팝 휴대기기용 홀더
KR102106860B1 (ko) * 2018-02-26 2020-05-06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결속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용도 저장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953A (ko)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삼각대를 구비한 휴대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95466Y (zh) * 1999-10-28 2000-09-06 海尔集团公司 带有支架的手机
CN2490622Y (zh) * 2001-05-31 2002-05-08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兼具数字相机功能的个人数字助理机的托架
KR20050056717A (ko)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953A (ko)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삼각대를 구비한 휴대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3095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13540A (zh) 2007-02-14
CN1913540B (zh) 2012-01-04
KR20070018161A (ko)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297B2 (en) Imaging device having stand connection
CN111503479B (zh) 云台拍摄器
CN110908223B (zh) 云台拍摄器
KR101024928B1 (ko)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KR101840741B1 (ko)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KR100687199B1 (ko)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81747Y1 (ko) 셀카봉용 삼각대
CN108474514B (zh) 云台拍摄器
KR20190065975A (ko) 촬영 보조장치
US20060275031A1 (en) Revolving lens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200479601Y1 (ko) 다용도 휴대폰 케이스
CN106764350B (zh) 一种可组合式稳定云台
KR20180039789A (ko)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WO2009056974A2 (en) Stand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CN210372717U (zh) 一种直播摄影支架
CN217559527U (zh) 一种手柄及手持云台
KR200484029Y1 (ko)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KR20110028798A (ko) 카메라 삼각대용 우산거치대
KR100468368B1 (ko) 2축 힌지장치
CN218378390U (zh) 辅助拍摄的承载装置、辅助拍摄设备及拍摄系统
CN210839695U (zh) 一种带三脚支撑功能的自拍杆
CN220506329U (zh) 一种可旋转支撑臂及防抖自拍杆
KR102660785B1 (ko) 회전 촬영용 툴
JP2018025815A (ja) 支持装置
CN210674203U (zh) 一种支杆连接结构及游戏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