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789A -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789A
KR20180039789A KR1020160130606A KR20160130606A KR20180039789A KR 20180039789 A KR20180039789 A KR 20180039789A KR 1020160130606 A KR1020160130606 A KR 1020160130606A KR 20160130606 A KR20160130606 A KR 20160130606A KR 20180039789 A KR20180039789 A KR 20180039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martphone
support portion
case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340B1 (ko
Inventor
이상순
Original Assignee
이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순 filed Critical 이상순
Priority to KR1020160130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3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이 수용되는 케이스본체; 일측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에 상기 케이스본체에 수용된 스마트폰 뉘어진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 케이스본체를 뒤집기 위한 상기 제 1 로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로드의 타측단부에 축결합되는 제 2 로드;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방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로드에 힌지결합된 상기 케이스본체가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로드에 축결합된 상기 제 1 로드가 상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2 로드의 타측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가 일측단부부위에 구비된 제 1 지지부;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의 타측단부와 접하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후방 타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지지부와 함께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2 지지부;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수용되어 상기 제 1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제 2 지지부의 일측 단부 양쪽에 각각 결합되며, 신장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 2 지지부를 이격시켜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와 함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신축봉 및 제 2 신축봉; 상기 제 2 지지부에 구비되며 스마트폰의 촬영을 원격조정하기 위한 리모트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본 발명은 변형에 의해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혼자서 멀리 이격시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셀카봉의 역할 수행 및 원거리 촬영 또는 영화감상 등을 위해 스마트폰을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카봉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타인의 도움없이 자신의 모습과 배경을 적합하게 촬영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고안된 장치이다.
셀카봉의 일반적인 구성은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거치부와, 거치부 하단에 연결되고 휴대시에는 길이를 짧게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길이를 길게 연장시켜 사용하는 연장대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대는 신축이 가능한 봉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셀카봉은 스마트폰과 별개로 구비되는 부가장치이고 연장대가 신축가능한 봉형태로 되어 있어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스마트폰의 손상방지를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과 거의 동등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게 통상적이므로 스마트폰 휴대시 스마트폰 케이스에 스마트폰이 수용된 상태로 휴대하게 된다.
하지만, 셀카봉은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셀카봉을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셀카봉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거치되도록 하여 스마트폰을 손으로 들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스마트폰 거치대는 셀카봉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과 별개로 구비되는 부가장치이고, 대부분은 고정식으로 되어 있어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도 있지만, 스마트폰의 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에 그치고 있다. 스마트폰의 거치높이 조절하는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휴대성이 떨어져 사용자가 휴대하기를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구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케이스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변형에 의해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혼자서 멀리 이격시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거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 케이스에 셀카봉 및 거치대가 구비되도록 하여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10); 일측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뉘어진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20); 스마트폰(1)의 전방카메라 또는 후방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게 케이스본체(10)를 뒤집기 위한 상기 제 1 로드(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로드(20)의 타측단부에 축결합되는 제 2 로드(30); 판상으로 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로드(20)에 힌지결합된 상기 케이스본체(10)가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로드(30)에 축결합된 상기 제 1 로드(20)가 상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2 로드(30)의 타측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41)가 일측단부부위에 구비된 제 1 지지부(40); 판상으로 되고,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40)의 타측단부와 접하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 타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지지부(40)와 함께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2 지지부(50);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40)의 타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수용되어 상기 제 1 지지부(40)에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제 2 지지부(50)의 일측 단부 양쪽에 각각 결합되며, 신장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부(40)로부터 상기 제 2 지지부(50)를 이격시켜 상기 제 1 지지부(40) 및 상기 제 2 지지부(50)와 함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신축봉(60a) 및 제 2 신축봉(60b); 상기 제 2 지지부(50)에 구비되며 스마트폰의 촬영을 원격조정하기 위한 리모트컨트롤러(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지지부(40)에는 상기 제 2 로드(30)가 상기 제 1 지지부(40)로부터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로드(20) 및 상기 제 2 로드(30)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 수용홈(4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는, 두께가 서로 동일하며, 동일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70)는 상기 제 2 지지부(50)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70)에는 USB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면이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부착되며 부착부(11)와, 상기 부착부(11)의 타측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20)의 일측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12)로 이루어지는 제 1 로드결합부(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로드(20)의 상부 중앙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와 근접하는 면에는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결합부(15)의 부착부(11) 타측면 외곽에는 등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로드(20)에 구비된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자성체(13)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는 이들이 함께 도형 모양, 동물의 모양, 사물의 모양, 캐릭터 모양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는 셀카봉과 거치대를 스마트폰과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접어진 상태에서 셀카봉이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게 되므로 언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셀카봉의 역할과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셀카봉의 구성이 거치대의 구성으로 이용되게 되어 거치대를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다.
아울러, 신축봉이 양쪽에 구비되게 되므로 스마트폰의 무게에 의한 셀카봉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회전되지 않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셀카봉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를 합성수지를 이용한 판상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가볍고 강성이 크고 스마트폰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거치된 스마트폰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의 전환이 용이하고 스마트폰의 세움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거치된 상태에서의 원격촬영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의 셀카용으로 사용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의 거치대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의 셀카용으로 사용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의 거치대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는, 케이스본체(10); 제 1 로드(20); 제 2 로드(30); 제 1 지지부(40); 제 2 지지부(50); 제 1 신축봉(60a) 및 제 2 신축봉(60b); 리모트컨트롤러(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전면으로 스마트폰(1)을 삽입하여 스마트폰의 테두리를 고정하며 스마트폰(1)의 배면을 커버하는 일반적인 케이스이다.
상기 제 1 로드(rod)(20)는 일측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뉘어진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되면 이와 연계된 상기 제 2 로드(30), 제 1 지지부(40); 제 2 지지부(50)가 함께 회전되게 되며 스마트폰(1)과 일정각도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을 옆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로드(20)를 회전시키면(상기 케이스본체(10)를 회전시켜도 마찬가지임) 이와 연계된 상기 제 2 로드(30), 제 1 지지부(40); 제 2 지지부(50)가 함께 회전되게 되며 일정각도(통상 90도)로 회전시키게 된다(도 2b 참조).
상기 제 1 로드(20)는, 스마트폰(1)이 뉘어진 상태로 90도 회전된 상태(도 2b 참조)에서, 도 2c 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을 옆으로 세워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본체(10)를 세워지도록 회전시키면 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0)를 세워지도록 회전시킨 상태는 상기 제 2 로드(30)가 제 1 지지부(40)로부터 회전된 상태이다(도 2c 참조).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 2 로드(30)의 타측단부는 상기 제 1 지지부(40)의 힌지결합부(41)에 힌지결합되므로, 상기 케이스본체(10)를 세워지도록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 2 로드(30)가 제 1 지지부(40)로부터 회전되게 된다.
도 2c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본체(10)를 세워지도록 회전시킨 상태, 즉, 상기 제 2 로드(30)가 제 1 지지부(40)로부터 회전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의 전방카메라 또는 후방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게 케이스본체(10)를 뒤집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로드(20)를 상기 제 2 로드(30)로부터 회전시킨다.
상기 제 2 로드(30)는 스마트폰(1)의 전방카메라 또는 후방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게 케이스본체(10)를 뒤집기 위한 상기 제 1 로드(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로드(20)의 타측단부에 축결합된다. 여기서 축결합은 상기 제 1 로드(20)를 상기 제 2 로드(30)로부터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결합을 말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로드(30)의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로드(20)의 타측단부에 축결합되면 상기 제 2 로드(30)로부터 케이스본체(10)를 뒤집기 위한 상기 제 1 로드(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로드(20)의 타측단부에는 축결합부(21)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로드(30)의 일측단부에는 원형 볼트머리 형태의 결합축(31)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2 로드(30)는 서로 축결합된다.
상기 제 1 지지부(40)는, 판상으로 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40)는, 상기 제 1 로드(20)에 힌지결합된 상기 케이스본체(10)가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로드(30)에 축결합된 상기 제 1 로드(20)가 상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 2 로드(30)의 타측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41)가 일측단부부위에 구비된다.
상기 제 2 로드(30)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제 2 로드(30)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결합축(31)과 수직되게 설치되는 힌지축(32)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로드(30)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결합축(31)과 수직되게 설치되는 힌지축(32)이 구비되므로, 상기 제 2 로드(30)는 상기 제 1 로드(20)의 회전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제 2 로드(30)는 상기 제 1 로드(20)의 회전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은 전술한 상기 케이스본체(10)를 세워지도록 하는 상기 제 2 로드(30)의 회전을 말한다.
상기 제 2 로드(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로드(20)는 상기 제 2 로드(30)와 축결합되므로 제 1 로드(20)가 함께 회전되게 되고, 상기 제 1 로드(20)가 제 2 로드(30)와 함께 회전되게 되면 제 1 로드(20)에 결합된 케이스본체(10)가 함께 회전되게 되어 상기 케이스본체(10)가 도 2c와 같이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스마트폰(1)의 전방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드(20)를 상기 제 2 로드(30)로부터 케이스본체(10)를 뒤집기 위한 상기 제 1 로드(20)의 회전시키면 도 2d와 같은 상태가 되어, 스마트폰(1)의 후방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상태가 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2 로드(30)는 상기 힌지축(32)과 연결되는 부위가 상기 제 2 로드(30)의 폭보다 좁은 연결부(33)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33)의 상면과 하면은 두께가 줄어드는 테이퍼면(33a)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3)가 상기 제 2 로드(30)의 폭보다 좁은 이유는 스마트폰(1)을 세워지도록 하는 상기 제 2 로드(30)의 회전시에 힌지축(32)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지지부(40)의 힌지결합부(41) 부위에는 상기 연결부(33)의 테이퍼면(33a)과 접하여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로드(30)가 이루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하기 위한 경사진 경사턱(44)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로드(30)가 이루는 회전각도가 약 120도 전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지지부(50)는, 판상으로 되고,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40)의 타측단부와 접하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 타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50)는 상기 제 1 지지부(40)와 함께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가 함께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 1 신축봉(60a) 및 제 2 신축봉(60b)은,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40)의 타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수용되어 상기 제 1 지지부(40)에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제 2 지지부(50)의 일측 단부 양쪽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신축봉(60a) 및 제 2 신축봉(60b)은 신장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부(40)로부터 상기 제 2 지지부(50)를 이격시켜 상기 제 1 지지부(40) 및 상기 제 2 지지부(50)와 함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신축봉(60a) 및 제 2 신축봉(60b)이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40)의 타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수용되어 상기 제 1 지지부(40)에 결합되게 되면, 상기 제 1 신축봉(60a) 및 제 2 신축봉(60b)이 축소된 상태에서 신축봉이 보이지 않게 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고 축소되었을 때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가 서로 접하도록 하여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가 접한 상태로 스마트폰을 지지함으로써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신축봉(60a) 및 제 2 신축봉(60b)은 직경이 점진적으로 크거나 작아지는 다수개의 봉을 연결하여 삽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신축되는 공지된 구조로 된다.
도 2c 또는 도 2d의 상태에서 셀카봉으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지지부(50)를 상기 제 1 지지부(40)로부터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제 1 신축봉(60a) 및 제 2 신축봉(60b)은 신장되게 되어 셀카봉으로 사용되는 상태가 되게 된다.
도 2e는 도 2d의 상태에서 상기 제 2 지지부(50)를 상기 제 1 지지부(40)로부터 잡아 당겨 상기 제 1 신축봉(60a) 및 제 2 신축봉(60b)을 신장시켜 셀카봉으로 사용되는 상태가 되게 된다.
상기 리모트컨트롤러(70)는 상기 제 2 지지부(50)에 구비되며 스마트폰의 촬영을 원격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리모트컨트롤러(7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지지부(50)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70)에는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외장메모리의 역할을 하는 공지된 USB(71)가 탑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지지부(5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USB(71)가 삽입되어 상기 리모트컨트롤러(70)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USB 삽입홈(51)이 구비되며, 상기 USB 삽입홈(51)에는 상기 USB(71)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지지부(40)에는 상기 제 2 로드(30)가 상기 제 1 지지부(40)로부터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로드(20) 및 상기 제 2 로드(30)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 수용홈(4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지지부(40)에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 수용홈(42)이 구비되게 되면, 상기 제 2 로드(30)가 상기 제 1 지지부(40)로부터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지지부(40)에 상기 제 1 로드(20) 및 상기 제 2 로드(30)가 수용되게 되며, 상기 제 1 지지부(40)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는, 두께가 서로 동일하며, 동일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접할 수 있게 된다(도 2a 참조).
또한,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가 두께가 서로 동일하며, 동일평면 상에 위치되게 되면, 바닥면에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가 함께 지지되어, 스마트폰 케이스가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케이스 본체(10)의 후방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일측면이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부착되며 부착부(11)와, 상기 부착부(11)의 타측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20)의 일측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12)로 이루어지는 제 1 로드결합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상기 제 1 로드(20)를 힌지결합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로드결합부(15)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로드결합부(15)는 부착부(11)와, 회전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부(11)는 일측면이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부착된다.
상기 회전부(12)는 상기 부착부(11)의 타측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20)의 일측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부(12)는 상기 제 1 로드(20)의 회전결합부(23)에 결합되게 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옆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본체(10)가 눕힌 상태에서 일정각도(통상 90도) 회전시켜 도 2b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게 되는데, 상기 케이스본체(10)를 일정각도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자석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로드(20) 타측단부 부위 또는 중앙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와 근접하는 면에는 자석(22)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결합부(15)의 부착부(11) 타측면 외곽에는 등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로드(20)에 구비된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자성체(13)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자성체(13)가 등각도로 설치되는 각도는 통상 90도 각도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로드(20)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접하는 상태 상기 제 2 로드(30)가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부착부(11)가 수용되도록 하여 케이스본체(10)가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1 지지부(40) 및 제 2 지지부(50)에 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부착부(11)가 삽입되도록 하는 부착부 수용홈(8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부 수용홈(80)은 상기 제 3 로드(40), 상기 제 1 로드(20)와 상기 제 1 지지부(40) 및 제 2 지지부(50)를 걸쳐 원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는 이들이 함께 도형 모양, 동물의 모양, 사물의 모양, 캐릭터 모양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는 이들이 함께 도형 모양, 동물의 모양, 사물의 모양, 캐릭터 모양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되게 되면, 미관이 화려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제작할 수 있게 되고, 그 자체가 악세서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스마트폰 거치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b의 상태에서, 케이스본체(10)가 세워지도록 상기 제 2 로드(30)를 회전시킬 때 케이스본체(10)와 제 1 지지부(40)가 이루는 각도를 예각으로 회전시킨 후에,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를 바닥면에 접하도록 하면, 상기 케이스본체(10)가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가 함께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하부를 지지하게 되는 도 3a와 같은 상태가 되어, 스마트폰 거치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b의 상태에서, 케이스본체(10)가 세워지도록 상기 제 2 로드(30)를 회전시킬 때 케이스본체(10)와 제 1 지지부(40)가 이루는 각도를 직각으로 회전시킨 후에, 케이스본체(10)의 하부와 상기 제 2 지지부(50)의 타측단부 하부를 바닥면에 접하도록 하면, 상기 케이스본체(10)가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가 함께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하부를 지지하게 되는 도 3b와 같은 상태가 되어 스마트폰 거치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23은 상기 제 1 로드(20)의 두께의 절반으로 된 플레이트이며, 결합축(31)을 상기 제 1 로드(2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설명부호 43은 상기 제 2 로드(30)에 구비된 상기 힌지축(32)을 상기 제 1 지지부(40)에 결합시키기 위한 플레이트이며, 힌지축(32)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33)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스마트폰 10 : 케이스본체
11 : 부착부 12 : 회전부
13 : 자성체 15 : 제 1 로드결합부
20 : 제 1 로드 21 : 축결합부
22 : 자석 23 : 회전결합부
30 : 제 2 로드 31 : 결합축
32 : 힌지축 33 : 연결부
40 : 제 1 지지부 41 : 힌지결합부
42 :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 수용홈
50 : 제 2 지지부 51 : USB 삽입홈
60a: 제 1 신축봉 60b: 제 2 신축봉
70 : 리모트컨트롤러 71 : USB
80 : 부착부 수용홈

Claims (8)

  1.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10);
    일측단부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용된 스마트폰(1)이 뉘어진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20);
    스마트폰(1)의 전방카메라 또는 후방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게 케이스본체(10)를 뒤집기 위한 상기 제 1 로드(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로드(20)의 타측단부에 축결합되는 제 2 로드(30);
    판상으로 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로드(20)에 힌지결합된 상기 케이스본체(10)가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로드(30)에 축결합된 상기 제 1 로드(20)가 상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2 로드(30)의 타측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41)가 일측단부부위에 구비된 제 1 지지부(40);
    판상으로 되고,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40)의 타측단부와 접하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 타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지지부(40)와 함께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2 지지부(50);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40)의 타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수용되어 상기 제 1 지지부(40)에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제 2 지지부(50)의 일측 단부 양쪽에 각각 결합되며, 신장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부(40)로부터 상기 제 2 지지부(50)를 이격시켜 상기 제 1 지지부(40) 및 상기 제 2 지지부(50)와 함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신축봉(60a) 및 제 2 신축봉(60b);
    상기 제 2 지지부(50)에 구비되며 스마트폰의 촬영을 원격조정하기 위한 리모트컨트롤러(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40)에는 상기 제 2 로드(30)가 상기 제 1 지지부(40)로부터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로드(20) 및 상기 제 2 로드(30)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 수용홈(4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는,
    두께가 서로 동일하며, 동일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70)는 상기 제 2 지지부(50)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70)에는 USB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면이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배면에 부착되며 부착부(11)와,
    상기 부착부(11)의 타측면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20)의 일측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12)로 이루어지는 제 1 로드결합부(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20)의 상부 중앙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와 근접하는 면에는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결합부(15)의 부착부(11) 타측면 외곽에는 등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로드(20)에 구비된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자성체(13)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로드(2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40)와 상기 제 2 지지부(50)는 이들이 함께 도형 모양, 동물의 모양, 사물의 모양, 캐릭터 모양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160130606A 2016-10-10 2016-10-10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909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06A KR101909340B1 (ko) 2016-10-10 2016-10-10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06A KR101909340B1 (ko) 2016-10-10 2016-10-10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789A true KR20180039789A (ko) 2018-04-19
KR101909340B1 KR101909340B1 (ko) 2018-10-18

Family

ID=6208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606A KR101909340B1 (ko) 2016-10-10 2016-10-10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3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717U (ko) * 2018-04-20 2019-10-30 (주)유윈씨앤티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KR102082169B1 (ko) * 2018-11-30 2020-02-27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KR20200066267A (ko) * 2020-02-05 2020-06-09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KR200493555Y1 (ko) * 2020-09-10 2021-04-21 장현준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098B1 (ko) * 2015-05-08 2016-04-01 최창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KR101656988B1 (ko) * 2015-02-26 2016-09-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셀카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988B1 (ko) * 2015-02-26 2016-09-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셀카 케이스
KR101605098B1 (ko) * 2015-05-08 2016-04-01 최창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717U (ko) * 2018-04-20 2019-10-30 (주)유윈씨앤티 장식물 결합체를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수단
KR102082169B1 (ko) * 2018-11-30 2020-02-27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WO2020111406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US11099462B1 (en) 2018-11-30 2021-08-24 Imagine Sea Combination of holder and selfie stick
KR20200066267A (ko) * 2020-02-05 2020-06-09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KR200493555Y1 (ko) * 2020-09-10 2021-04-21 장현준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WO2022055135A1 (ko) * 2020-09-10 2022-03-17 장현준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340B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2170B1 (en) Telescoping extension
KR101909340B1 (ko)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2294151B1 (ko) 셀프 촬영 장치
EP3591467A1 (en) Support and selfie stick with support
CN106534701B (zh) 手持云台
KR101638167B1 (ko) 플랙시블한 디스플레이패널이 구비된 단말기
US20150029352A1 (en) Collapsible cell phone boom arm
US9323134B2 (en) Portable document camera and assembly for enabling same
US20160252799A1 (en) An Integrated Selfie Device
CN108513603B (zh) 云台拍摄器
CN108513606B (zh) 云台拍摄器
KR200454217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US20170366215A1 (en) I-Scope Cell Phone Smart Case Providing Camera Functonality
KR20160000408U (ko)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CN108474514B (zh) 云台拍摄器
KR102089862B1 (ko) 수평조절기능을 갖는 조명일체형 카메라 지지대
WO2020118511A1 (zh) 云台手柄和手持云台
KR101792412B1 (ko)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20170110253A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WO2017014227A1 (ja) 携帯通信端末用ケース
CN106764350B (zh) 一种可组合式稳定云台
CN111237599A (zh) 一种电子设备支架
KR20160116091A (ko) 전자기기 거치대
JP2020027137A (ja) 撮影補助具
KR101785824B1 (ko)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