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091A - 전자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091A
KR20160116091A KR1020150041522A KR20150041522A KR20160116091A KR 20160116091 A KR20160116091 A KR 20160116091A KR 1020150041522 A KR1020150041522 A KR 1020150041522A KR 20150041522 A KR20150041522 A KR 20150041522A KR 20160116091 A KR20160116091 A KR 2016011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electronic device
camera
switch
stationar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724B1 (ko
Inventor
홍민선
김범석
최상은
최은혜
배민아
김옥길
정동균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1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7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봉 형상의 폴대; 상기 폴대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거치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을 조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촬영자의 조작에 따라 거치부재가 180ㅀ회전 가능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전방 및 후방카메라를 손쉽게 번갈아가며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거치대{Holder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자가 셀프카메라를 촬영하는 동안, 촬영수단이 되는 전자기기를 지지 및 조작하는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하는 행위를 이르는, 일명 '셀프카메라'가 널리 유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셀프카메라의 유행은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통하여 자기 자신의 일상을 촬영하는 일이 일상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고화질의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어, 더욱 손쉽고 질 높은 셀프카메라 촬영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셀프카메라는 촬영자가 전자기기의 렌즈를 자신을 향하도록 든 채 팔을 앞으로 뻗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으로, 촬영자의 머리 혹은 상반신만 크게 나오고 뒤의 배경은 거의 나오지 않을 수 있으며 여러 명이 함께 '셀프카메라'를 찍는 경우, 최대한 서로 붙어 촬영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셀프카메라'촬영 시 촬영자와 상기 전자기기의 렌즈 사이의 간격을 떨어트려, 그 화각을 넓힘으로써 촬영자 개인뿐만 아니라, 함께 나오는 사람까지 촬영할 수 있는 셀프카메라 보조기구들이 제안되고 있다.
위와 같은 '셀프카메라'의 보조기구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75741 호(2014.12.22)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장되어 신축가능한 폴대부재와, 상기 폴대부재에 연결되고 촬영수단이 거치되는 거치부재로 구성된 셀카스틱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셀카스틱은, 전자기기의 후방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화면이 사용자의 반대편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촬영자가 본인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촬영하는 것이 불가하다. 이 때문에, 상기 셀카스틱은 스마트폰의 전방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도록 권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방카메라는 후방카메라에 비하여 화질이 현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고화질의 사진촬영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마트폰의 후방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는 셀프카메라 보조기구들이 제안되었으며, 이에 관하여 제안된 기술로서, 미국등록특허 제07706673호(2010.04.27)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길이 신장되는 막대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연결되어 카메라가 거치되는 핸들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카메라 촬영과 연동하는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되고, 상기 핸들어셈블리의 일측에는 절첩식의 거울이 부착되는 휴대 원격 카메라 제어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 원격 카메라 제어장치는 스마트폰의 전방 및 후방카메라를 번갈아가며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카메라를 전환할 때마다 상기 스마트폰을 핸들어셈블리로부터 분리해 낸 뒤 재배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욱이, 위와 같은 점은 상기 본체가 보편적으로 복수의 로드가 인출입 되도록 연결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스마트폰을 핸들 어셈블리(Handle assembly)로부터 분리해내기 위하여 상기 본체를 접고 펴야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촬영자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스스로의 모습을 촬영하는 동안, 촬영자가 상기 전자기기의 배치 및 촬영모드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전자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봉 형상의 폴대; 상기 폴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거치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을 조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이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폴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타단에 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거치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랙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랙기어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거치부재를 회동시키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대는, 빼거나 포개어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 복수의 폴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샤프트는 빼거나 포개어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 복수의 샤프트들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폴대와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대는 내측면에 복수의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샤프트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삽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재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울부재는 복수의 거울들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 거치대는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되고, 촬영버튼 및 카메라전환버튼이 마련된 블루투스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촬영자의 조작에 따라 거치부재가 180ㅀ회전 가능하여, 전자기기를 상기 거치부재로부터 분리하여 재배치할 필요 없이 상기 전자기기의 전방 및 후방카메라를 손쉽게 번갈아가며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셀프카메라 촬영 중 촬영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촬영영상화면을 거울부재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후방카메라를 이용하여 셀프카메라를 촬영하는 중에도 본인의 촬영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전자기기의 후방카메라는 전방카메라에 비해 고화소의 렌즈를 채택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전자기기 거치대는 고품질의 셀프카메라 촬영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전자기기 거치대의 폴대를 인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폴대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폴대와 구동샤프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전자기기 거치대의 폴대를 인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폴대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폴대와 구동샤프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이하, "거치대"라 함.)는 촬영자가 전자기기(M)를 이용하여 셀프카메라를 촬영하는 동안, 상기 전자기기(M)를 지지 및 조작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대는 폴대(100), 거치부재(200), 회전수단(300) 및 스위치(4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폴대(100)는 봉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폴대(100)는 빼거나 포개어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 복수의 폴(121)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대(10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력을 가하는 손잡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10)는 내부와 관통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後術)할 스위치(400)는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대(1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면에 복수의 가이드홀들(121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홀(121h)은 후술(後術)할 구동샤프트(3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0b)와 결합하여, 상기 폴대(100)와 구동샤프트(31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121h)은 상기 가이드돌기(310b)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재(200)는, 도 1과 같이, 상기 전자기기(M)가 거치되며 상기 폴대(100)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부재(200)는 고정프레임(210)과 회전축(2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상기 전자기기(M)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가로 및 세로로 신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가로 및 세로길이가 신축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전자기기(M)에 탄성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고정프레임(2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폴대(100)에 내삽되며, 상기 폴대(100)와 고정프레임(210)을 회전 연결한다.
상기 회전수단(300)은 상기 거치부재(200)와 결합하여 상기 거치부재(2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300)은 구동샤프트(310) 및 피니언기어(32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구동샤프트(310)는 상기 폴대(10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후술(後術)할 스위치(400)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400)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샤프트(310)는 일단에 랙기어(3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샤프트(310)는 빼거나 포개어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 복수의 샤프트(312)가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샤프트(310)는 측면에 상기 가이드홀들(121h)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3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121h)에 상기 가이드돌기(310b)가 내삽되어 상호 연결됨에 따라, 상기 폴(121) 및 샤프트(312)가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폴(121)을 인출 또는 인입시킴에 따라, 상기 폴대(100)에 내장된 상기 샤프트(312)들의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폴(121)이 상호 인출 및 인입함에 따라, 상기 구동샤프트(310)가 연동하는 과정을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같은 상태의 상기 거치대는 사용자 상기 스위치(400)의 움직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폴대(100)의 가장 전방에 위치한 폴(121)을 전방으로 잡아끌음으로써, 도 3과 같이 상기 폴(121) 및 샤프트(312)가 연달아 신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샤프트(310)는 일단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00)를 고정하는 힘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단이 사용자가 상기 폴(121)의 전방으로 잡아끄는 힘에 의하여 신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폴대(100)의 일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5에서 도시한 상기 폴대(100)의 h'지점이 상기 구동샤프트(310)의 b'지점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샤프트(312)를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320)는 상기 거치부재(200)와 상기 랙기어(311)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311)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20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기어(320)는 상기 회전축(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랙기어(311)의 상면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랙기어(311)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220)에 회전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수단(300)은 상기 회전축(220)과 연결되는 회전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전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0)는 상기 회전수단(300)의 회전을 조작한다. 상기 스위치(4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10)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위치(400)는 일단이 상기 구동샤프트(31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샤프트(310)를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재(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울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울부재(500)는 복수의 거울(510)들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울부재(500)는 셀프카메라 촬영 중, 촬영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촬영영상화면을 반사하여 촬영자에게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후방카메라를 이용하여 셀프카메라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자가 촬영영상을 확인하면서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나,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울부재(500)를 구비하여 촬영자가 후방카메라를 이용하여 셀프카메라를 촬영하면서 본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점은 스마트폰의 후방카메라가 전방카메라에 비하여 현격히 화소가 높다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고해상도의 셀프카메라 촬영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도 1과 같이, 상기 전자기기(M)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되고, 촬영버튼(610) 및 카메라전환버튼(620)이 마련된 블루투스리모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버튼(610)은 카메라의 셔터를 작동시켜, 촬영자가 전자기기(M)의 타이머를 일일이 설정하지 않아도 원격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전환버튼(620)은 상기 거치부재(200)를 회전시켜 전자기기(M)의 전방 및 후방카메라를 번갈아가며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M)의 촬영모드를 그에 맞게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거치대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거치대는 휴대 및 보관 중에는 도 2와 같은 상태로 구비된다.
사용 시에는, 상기 거치대를 상기 거치부재(200)에 상기 전자기기(M)를 장착하고, 촬영자가 한 손으로는 상기 스위치(400)를 최대한 후방으로 슬라이딩한 채로 고정하며 다른 한 손으로는 상기 폴대(100)의 전방을 잡아끌어 상기 폴(121)들을 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방 또는 후방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에 맞추고, 상기 블루투스리모컨(600)의 촬영버튼(610)을 눌러 촬영한다. 여기서 촬영자가 상기 후방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상기 거울부재(500)를 부착하여 스스로의 모습을 확인 하며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또는 후방카메라를 전환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스위치(400)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거치부재(200)를 180℃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방 또는 후방카메라 중 촬영자의 채택에 알맞게 상기 카메라전환버튼(620)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드를 전환한다. 그리고 촬영자는 상기 전방 또는 후방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에 맞추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재촬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상기 거치대는, 상기 스위치(400)에 의하여 상기 거치부재(200)가 180ㅀ회전 가능하여, 상기 전자기기(M)의 전방 및 후방카메라를 자유롭게 번갈아가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M : 전자기기 10 : 전자기기 거치대
100 :폴대 110 : 손잡이부
120 : 텔레스코픽부 121 : 폴
200 : 거치부재 210 : 고정프레임
220 : 회전축 300 : 회전수단
310 : 구동샤프트 311 : 렉기어
312 : 샤프트 320 : 피니언기어
400 : 스위치 500 : 거울부재
510 : 거울 600 : 거울부재
610 : 거울

Claims (9)

  1. 봉 형상의 폴대;
    상기 폴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거치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을 조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이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폴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타단에 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거치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랙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랙기어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거치부재를 회동시키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빼거나 포개어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 복수의 폴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샤프트는 빼거나 포개어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 복수의 샤프트들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폴대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내측면에 복수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전자기기 거치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샤프트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삽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전자기기 거치대.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울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재는 복수의 거울들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자기기 거치대.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되고, 촬영버튼 및 카메라전환버튼이 마련된 블루투스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KR1020150041522A 2015-03-25 2015-03-25 전자기기 거치대 KR101712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522A KR101712724B1 (ko) 2015-03-25 2015-03-25 전자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522A KR101712724B1 (ko) 2015-03-25 2015-03-25 전자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091A true KR20160116091A (ko) 2016-10-07
KR101712724B1 KR101712724B1 (ko) 2017-03-07

Family

ID=5714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522A KR101712724B1 (ko) 2015-03-25 2015-03-25 전자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7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344B1 (ko) * 2018-12-14 2019-03-19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보안 시스템
CN111853442A (zh) * 2020-07-15 2020-10-30 山东同其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亩产效益数据评价采集装置
US20240036443A1 (en) * 2022-07-31 2024-02-01 Jared Cohn Telescoping po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478B1 (ko) * 2018-04-16 2019-11-01 권수연 다기능 셀프 핸들링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7137A1 (en) * 2005-05-10 2006-11-16 Fromm Wayne G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by hand
US7706673B1 (en) * 2007-04-06 2010-04-27 Staudinger Robert J Portable remote camera control device
KR20110123630A (ko) * 2010-05-07 2011-11-15 김제민 셀프 카메라 기능 부여용 핸드폰 거치대
KR20150028277A (ko) *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전동셀카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7137A1 (en) * 2005-05-10 2006-11-16 Fromm Wayne G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by hand
US7706673B1 (en) * 2007-04-06 2010-04-27 Staudinger Robert J Portable remote camera control device
KR20110123630A (ko) * 2010-05-07 2011-11-15 김제민 셀프 카메라 기능 부여용 핸드폰 거치대
KR20150028277A (ko) *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전동셀카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344B1 (ko) * 2018-12-14 2019-03-19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보안 시스템
CN111853442A (zh) * 2020-07-15 2020-10-30 山东同其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亩产效益数据评价采集装置
US20240036443A1 (en) * 2022-07-31 2024-02-01 Jared Cohn Telescoping pole
US11966148B2 (en) * 2022-07-31 2024-04-23 Jared Cohn Telescoping p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724B1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2462B2 (ja) 手持式スタビライザー
KR101712724B1 (ko) 전자기기 거치대
US10579108B2 (en) Phone case with camera
JP3948387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US2013017641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ingle-handedly self-photographing
US10866617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KR200475741Y1 (ko) 셀카 스틱
KR101840741B1 (ko)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JP6656543B1 (ja) 調節可能な自撮り棒
KR101718441B1 (ko)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KR20180024752A (ko) 셀프 촬영용 스틱
WO2018000122A1 (zh) 自拍装置
CN110326286B (zh) 便携式手柄
WO2017014227A1 (ja) 携帯通信端末用ケース
CN105492967B (zh) 单反照相机外接电子取景器
KR20180039789A (ko)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621922B1 (ko) 인출식 카메라 모듈 내장형 스마트폰 케이스
JP2015207886A (ja) 撮像装置および把持部材
KR101907895B1 (ko) 셀프 촬영용 스틱
JP2005204005A (ja) 携帯電話無線機の本体自立構造及び本体自立構造を有する携帯電話無線機
CN108351575A (zh) 数字照相机
KR20100119618A (ko) 휴대폰 또는 티브이용 스크린장치
KR101939390B1 (ko)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KR200484029Y1 (ko)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KR200480830Y1 (ko) 휴대폰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