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390B1 -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390B1
KR101939390B1 KR1020170067098A KR20170067098A KR101939390B1 KR 101939390 B1 KR101939390 B1 KR 101939390B1 KR 1020170067098 A KR1020170067098 A KR 1020170067098A KR 20170067098 A KR20170067098 A KR 20170067098A KR 101939390 B1 KR101939390 B1 KR 10193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pole
gear
photographing
mou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902A (ko
Inventor
전광호
안성준
Original Assignee
(주)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세 filed Critical (주)메세
Priority to KR102017006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390B1/ko
Priority to CN201810069796.4A priority patent/CN108980555A/zh
Publication of KR2018013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0Frames, stands, or wheels for dolls or toy anim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는, 메인유닛; 상기 메인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인형이 장착되는 인형 장착유닛; 및 상기 메인유닛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촬영기기 장착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는 인형과 촬영기기를 모두 장착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인형 및 촬영 대상물을 함께 촬영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Holer for camera and doll}
본 발명은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의 한쪽에는 촬영기기를 장착하고 다른 한쪽에는 인형을 장착하여, 촬영기기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물과 인형을 함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생활 필수품이 되면서 자기 자신의 모습을 찍거나 또는 자신의 생활사진 등을 언제 어디서나 촬영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물의 움직임과 음성을 함께 촬영할 수 있는 동영상 촬영도 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찍을 경우에는 촬영자의 머리나 상반신만 크게 나오고 뒷 배경은 거의 나오지 않거나, 여러 명의 모습을 함께 찍을 경우에도 사람들이 가까이 붙어서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를 장착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는 셀카봉(Selfi-Stick)이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셀카봉의 일단부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촬영기기를 장착하고 타단부에 마련된 촬영버튼을 이용하여 촬영한다. 이때, 사용자는 찍고자 하는 촬영 대상물의 크기, 구도 등에 따라 셀카봉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여서 사용한다.
사용자는 셀카봉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취향에 따라 사용자의 뒤쪽 배경을 함께 촬영하거나, 풍경 등 사용자와 떨어져 있는 촬영 대상물을 손쉽게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셀카봉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부분과 촬영버튼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잡는 부분이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만약,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찍거나 촬영 대상물을 촬영하기 위하여 팔을 쭉 뻗게 되면, 셀카봉의 일단부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와 셀카봉을 잡고 있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그러면, 셀카봉에 장착된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의 무게에 의하여 셀카봉의 손잡이 부분에 큰 힘이 인가되고, 결국 셀카봉의 손잡이 부분이 요동이 발생되어 셀카봉의 일단부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가 크게 흔들리게 됨으로써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셀카봉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촬영기기가 위치되는 부분과 사용자가 잡는 부분이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마련되기 때문에, 태양이 있는 대낮이나 밝은 환경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의 화면이 빛에 의해 반사되어 잘 보이지 않게 되므로 연출하고자 하는 대로 촬영이 이루어지는지 사용자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셀카봉에는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를 장착하는 부분 이외에 별도로 인형 등 액세서리 거치하기 위한 거치 수단 또는 부분이 마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셀카봉을 이용하여 인형이나 다른 제품 등과 함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인형 등의 다른 제품을 직접 들고 촬영하거나 다른 사람이 들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셀카봉 보다 고급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 액션캠(또는 액션카메라) 및 액션캠이 장착된 거치대가 점차 상용화되고 있다. 액션캠이 장착된 거치대가 점차 상용화되고 있다. 액션캠거치대 역시 셀카봉과 유사한 기능을 하지만 셀카봉과는 달리 힌지 구조를 적용하여 접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접는 형태의 액션캠거치대 역시 액션캠 즉, 카메라만 장착할 수 있을 뿐 카메라의 촬영 앵글에 들어가는 인형 등의 피사체를 장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4925 (발명의 명칭: 셀프 촬영용 스틱, 공개일: 2017. 01. 11.)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형 등을 촬영기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 또는 거치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촬영 대상물과 인형을 함께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구동유닛을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구도 등에 따라 인형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인형을 움직일 수 있어서 인형과 촬영 대상물을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인유닛; 상기 메인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인형이 장착되는 인형 장착유닛; 및 상기 메인유닛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촬영기기 장착유닛을 포함하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닛은, 폴딩 가능한 링크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이 장착되는 제1 폴대; 상기 제1 폴대에 회전 또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폴대; 및 일단부는 상기 제2 폴대의 타단부에 회전 또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인형 장착유닛에 회전 또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3 폴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폴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폴대의 폭은 상기 수납공간의 폭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제3 폴대에 대해서 상기 제2 폴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수납공간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폴대에는, 상기 인형 장착유닛에 장착되고 상기 인형에 삽입되는 연장부재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형 장착유닛은, 제3 관절에 의해서 상기 제3 폴대와 연결되며, 상기 제3 관절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움직임 가능하게 마련되는 인형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형 장착유닛은, 상기 인형이 결합되는 인형 결합부재; 및 상기 인형 결합부재와 직결되고, 복수개의 기어가 치합되어 상기 인형 결합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움직이게 하는 인형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형 회전부재는, 상기 인형 결합부재와 직결되어 회전하는 제1 기어; 상기 제3 폴대와 축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치합되는 제3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닛은, 상기 인형 회전부재와 치합되어 상기 인형 회전부재 또는 상기 제3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3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3 폴대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3 샤프트의 일단에 마련되는 샤프트 기어; 상기 제3 폴대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 기어와 치합되는 다이얼 기어; 및 상기 제3 폴대에 마련되되 상기 다이얼 기어와 직결되어 상기 다이얼 기어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다이얼 기어의 회전력을 받는 구동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샤프트는, 기둥 또는 케이블 중 어느 하나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은, 촬영기기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 브라켓; 및 일단부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이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 폴대의 일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제1 폴대에 대해 상기 장착 브라켓을 회전시키거나 움직이게 하는 브라켓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회동부재가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촬영기기를 잡아주고, 상기 브라켓 회동부재가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브라켓 회동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그립부에 형성된 결합홈에는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그립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브라켓 회동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결합홈에는 상기 지지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닛은, 플렉시블(flexible) 한 재질의 부재가 복수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닛의 내부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며,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에는 상기 인형 장착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인형 장착유닛과 마주 보는 상기 복수개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는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이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에는 상기 인형 장착유닛을 회전시키거나 움직이게 하는 조작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는, 인형과 촬영기기를 모두 장착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인형 및 촬영 대상물을 함께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는, 구동유닛 또는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촬영기기에 대한 인형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인형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타인의 도움 없이도 인형을 움직이면서 다양한 연출을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는, 촬영기기와 인형 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촬영기기 및 인형의 장착 상태 내지 위치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인형의 다양한 촬영 구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는, 인형을 이용한 인형극 또는 인형 영화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는, 촬영하지 않을 때 촬영용 거치대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서 휴대가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촬영용 거치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촬영용 거치대가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촬영용 거치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인형운동 수단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인형운동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다이얼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촬영용 거치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에 장착되는 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인형에 장착되는 체결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에 장착되는 연장부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촬영용 거치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촬영용 거치대가 접힌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촬영용 거치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인형운동 수단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인형운동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다이얼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촬영용 거치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에 장착되는 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인형에 장착되는 체결부재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에 장착되는 연장부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100, 이하에서는 '촬영용 거치대' 라 함)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100)는 메인유닛(110), 메인유닛(110)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인형(1)이 장착되는 인형 장착유닛(120) 및 인형 장착유닛(120)과 마주 보도록 메인유닛(110)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촬영기기(2)가 장착되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닛(110)은 후술할 인형 장착유닛(120) 및 촬영기기 장착유닛(130)가 장착되는 본체 또는 메인 프레임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또한, 메인유닛(110)은 사용자가 촬영용 거치대(100)를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부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유닛(110)은 폴딩(folding) 가능한 즉, 접을 수 있는 링크(link)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메인유닛(110)은 복수개의 관절을 갖는 다관절 링크(multi-joint link)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유닛(110)은 제1 폴대(112), 제2 폴대(114) 및 제3 폴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폴대(112)에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이 장착되고, 제2 폴대(114)의 일단부는 제1 폴대(112)와 연결되며, 제3 폴대(116)의 일단부는 제2 폴대(114)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제3 폴대(116)의 타단부는 인형 장착유닛(12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폴대(112)와 제2 폴대(114)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 폴대(112)가 생략되고 제2 폴대(114)의 일단부에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이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폴대(112)와 제2 폴대(114)는 제1 관절(111)을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폴대(114)와 제3 폴대(116)는 제2 관절(115)을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폴대(116)와 인형 장착유닛(120)도 제3 관절(119)을 통해 서로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폴대(112)의 타단부와 제2 폴대(114)의 일단부가 힌지(hinge) 결합되어 제1 관절(111)이 형성되고, 제2 폴대(114)의 타단부와 제3 폴대(116)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제2 관절(115)이 형성되며, 제3 폴대(116)의 타단부와 인형 장착유닛(120)이 힌지 결합되어 제3 관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절(111) 및 제2 관절(115)은 하나의 평면 상에서 피벗(pivot)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제3 관절(119)은 볼 조인트(ball joint) 또는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 등을 채용하여 제1 및 제2 관절(111, 115) 보다 더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용 거치대(100)를 사용할 경우, 제1 관절(111), 제2 관절(115) 및 제3 관절(119)을 각각 꺾어서 제1 폴대(112), 제2 폴대(114) 및 제3 폴대(116)의 각도 및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구도로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촬영용 거치대(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관절(115)을 꺾어서 제2 폴대(114)가 제3 폴대(116)의 내부로 인입시켜 촬영용 거치대(100)의 크기 내지 부피를 최소화하여 접힌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촬영용 거치대(100)의 휴대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폴대(116)에는 제2 폴대(114)가 인입되는 수납공간(118, 도 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118)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폴대(114)가 제3 폴대(116)의 내부로 인입되어 수납되는 공간일 수 있다. 수납공간(118)은 제3 폴대(116)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폴대(116)의 폭은 제2 폴대(114)의 폭 보다 크게 마련되고, 제3 폴대(116)에 형성된 수납공간(118)의 폭은 제2 폴대(114)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거나 제2 폴대(114)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2 폴대(114)를 제2 관절(115)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제3 폴대(116)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제2 폴대(114)에는 수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홈(113)은 제2 폴대(114)의 표면에서부터 음각으로 인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2 폴대(114)의 수납홈(113) 부위를 손으로 잡더라도 이물감이 느껴지거나 불편하지 않게 된다.
한편, 수납홈(113)에는 연장부재(117)가 수납될 수 있다. 수납홈(113)은 수납될 연장부재(117)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수납홈(113)의 길이방향 단면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재(117)는 인형 장착유닛(120)의 인형 장착부재(122)에 끼워져서 인형 장착유닛(120)과 인형(1)의 결합을 더욱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연장부재(117)는 인형(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재(117)의 형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1 폴대(112), 제2 폴대(114) 및 제3 폴대(116)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만약, 제1 폴대(112), 제2 폴대(114) 및 제3 폴대(116)가 원기둥 형태로 마련될 경우, 사용자가 제1 폴대(112), 제2 폴대(114) 및 제3 폴대(116) 중 어느 한 부분을 잡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인형 장착유닛(120)은 결합된 인형(1)을 움직이거나 회전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인형 장착유닛(120)은 제3 폴대(116)와 제3 관절(119)을 중심으로 회전 등 움직임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형 장착유닛(120)은 인형 장착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인형 장착부재(122)의 일단부에는 인형(1)이 끼워져서 거치되고, 타단부는 제3 폴대(116) 또는 제3 관절(119)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은 메인유닛(110)의 타단부 즉, 인형 장착유닛(120)과 마주 보는 타단부에 마련되며 촬영기기(2)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이때, 촬영기기 장착유닛(130)는 제1 폴대(112)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에 장착된 촬영기기(2)가 제1 폴대(11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등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촬영기기 장착유닛(130)는 장착 브라켓(131), 브라켓 회동부재(137)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브라켓(131)에는 스마트폰,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촬영기기(2)가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촬영기기(2)를 스마트폰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장착 브라켓(131)은 지지부(132), 지지부(132)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장착되는 촬영기기(2)를 잡아주는 그립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2)는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에 브라켓 회동부재(137)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34)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32)의 양단부에는 그립부(133)가 형성되며, 그립부(133)는 지지부(132)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지부(132)의 일단부(도 1의 경우에는 상단부)에도 그립부(133a)가 마련되고, 지지부(132)의 타단부(도 1의 경우에는 하단부)에도 그립부(133b)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그립부(133a, 133b)는 지지부(132)를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기기(2)의 길이방향 길이 또는 폭방향 길이와 관계없이 촬영기기(2)를 장착 브라켓(131)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촬영기기(2)가 그립부(133a, 133b) 사이의 간격 보다 큰 경우에도 어느 일단의 그립부(133a, 133b)를 움직여서 그립부(133a, 133b) 사이의 간격을 확장한 후에 촬영기기(2)를 그립부(133a, 133b)에 끼울 수 있다. 참고로,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그립부(133a, 133b) 사이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셀카봉(selfi-stick)과 동일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립부(133)에도 지지부(132)에 형성된 결합홈(134)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의 결합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5)은 지지부(132)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그립부(133a, 133b) 중에서 일단에 마련된 그립부(133a)의 일면에만 마련될 수도 있고, 타단에 마련된 그립부(133b)의 일면에만 마련될 수도 있으며, 양단부에 마련된 그립부(133a, 133b)의 일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부(132) 또는 그립부(133a, 133b)에 형성된 결합홈(134, 135)에 브라켓 회동부재(137) 또는 지지 손잡이(150)가 결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홈(134, 135)의 직경 또는 길이는 결합되는 부재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32)에 형성된 결합홈(134)에 브라켓 회동부재(137)가 결합되면 그립부(133a, 133b)에 형성된 결합홈(135)에는 지지손잡이(150)가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립부(133a, 133b)에 형성된 결합홈(135)에 브라켓 회동부재(137)가 결합되면 지지부(132)에 형성된 결합홈(134)에는 지지손잡이(15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장착 브라켓(131)에는 댐퍼(136, damper)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댐퍼(136)는 지지부(132)의 내측면이나 그립부(133a, 133b)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136)는 지지부(132) 또는 그립부(133a, 133b)의 내측면 중 어느 한 부분에만 마련될 수도 있고 지지부(132) 및 그립부(133a, 133b)의 내측면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댐퍼(136)는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e) 등 부드러운 재질로 마련되어 촬영기기(2)가 장착 브라켓(131)에 장착될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고, 촬영기기(2)의 외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 회동부재(137)는 장착 브라켓(131)을 제1 폴대(112)에 대해 회전 또는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브라켓 회동부재(137)는 일단부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술한 장착 브라켓(131)의 지지부(132)에 형성된 결합홈(134) 또는 그립부(133)에 형성된 결합홈(135)과 결합될 수 있다.
반면, 브라켓 회동부재(137)의 타단부는 별도의 축 결합 없이 제1 폴대(112)와 결합되어 제1 폴대(112)에 대해 회전 또는 움직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회동부재(137)의 타단부는 일반적인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joint)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브라켓 회동부재(137)의 타단부는 별도의 축 결합 없이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제1 폴대(112)에 삽입 고정되어 제1 폴대(112)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결국 브라켓 회동부재(137)의 일단부에 결합된 장착 브라켓(131)이 제1 폴대(112)에 대해 회전 또는 움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100)는 장착되는 인형(1)과 촬영기기(2) 간의 거리 또는 인형(1)에 대한 촬영기기(2)의 각도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기기(2)의 촬영 앵글 내에 인형(1)을 쉽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유닛(110)을 접을 수 있어서 촬영용 거치대(100)의 휴대성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200)를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우선, 인형 장착유닛(220)은 인형(1)이 결합되는 인형 결합부재(222) 및 인형 회전부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인형 결합부재(222)는 인형(1)이 결합되어 거치되는 부분이다. 인형 결합부재(22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서의 인형 장착부재(122)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인형 결합부재(222)는 후술할 인형 회전부재(224)에 의해 회전하거나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인형 결합부재(222)에 장착되는 인형(1)도 인형 결합부재(222)가 회전하거나 움직이면 같이 회전하거나 움직이게 된다.
한편, 인형 장착유닛(220)에는 제1 잠금부재(2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잠금부재(221)는 인형 결합부재(222)가 인형 회전부재(224)에 의해 회전되거나 외부 환경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잠금 장치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잠금부재(221)를 일방향으로 잠그면 인형 결합부재(222)가 회전되지 않고, 제1 잠금부재(221)를 타방향으로 풀면 인형 결합부재(222)가 정상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인형 회전부재(224)는 인형 결합부재(222)와 직결되어 인형 결합부재(222)를 회전시키거나 운동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인형 회전부재(224)는 인형 결합부재(222)와 직결되어 동일한 축을 가지고 회전하는 제1 기어(225), 제3 폴대(116)와 제3 관절(119)을 통해 축 결합되고, 제1 기어(225)와 치합되는 제2 기어(226) 및 제2 기어(226)와 치합되며, 제3 폴대(116)의 내부에 마련된 제3 샤프트(227a)와 동일한 축으로 결합되는 제3 기어(2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어(225), 제2 기어(226), 제3 기어(227)는 서로 수직으로 맞물려 치합될 수 있다. 즉, 제2 기어(226)의 일단부는 제1 기어(225)와 치합되고, 제2 기어(226)의 타단부는 제3 기어(227)와 치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어(226)의 제2 샤프트(226a)가 제3 폴대(116)와 인형 장착유닛(220) 사이의 제3 관절(119)과 축 결합될 수 있다. 즉, 제3 기어(227)가 회전되면 제3 기어(227)와 일부분이 치합된 제2 기어(226)가 회전되고, 제2 기어(226)가 회전되면 제2 기어(226)와 일부분이 치합된 제1 기어(225)가 회전되게 된다. 그러면, 제1 기어(225)의 제1 샤프트(225a)와 축 결합된 인형 결합부재(222)가 회전되게 되므로, 결국 인형(1)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 거치대(200)에는 인형 회전부재(22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240)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구동유닛(240)는 인형 회전부재(224)의 제3 기어(227)의 제3 샤프트(227a)과 치합되어 인형 회전부재(22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동유닛(240)은 제3 기어(227)의 제3 샤프트(227a)의 타단 즉, 제3 기어(227)와 마주 보는 일단에 마련되는 샤프트 기어(242), 샤프트 기어(242)와 치합되는 다이얼 기어(244) 및 다이얼 기어(244)와 직결되는 구동 다이얼(246)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기어(242)는 제3 기어(227)의 제3 샤프트(229)의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 기어(242)는 제3 기어(227)가 회전되어 제3 샤프트(229)가 회전되면 제3 샤프트(229)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기어(244)는 제3 폴대(116)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다이얼 기어(244)는 샤프트 기어(242)와 치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 기어(242)가 회전되면 샤프트 기어(242)와 치합된 다이얼 기어(244)도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샤프트 기어(242) 및 다이얼 기어(244)는 모두 베벨 기어(bevel gear)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베벨 기어의 형태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베벨 기어는 원뿔 형태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는 두 기어의 서로 교차하는 두 축 사이에서 운동을 전달하는 부재이다. 샤프트 기어(242)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된 다이얼 기어(244)가 교차되어 회전됨으로써 제3 기어(227)의 제3 샤프트(227a) 쪽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구동 다이얼(246)은 제3 폴대(116)에 마련되고, 다이얼 기어(244)와 직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다이얼(246)을 회전시키면 다이얼 기어(244)도 회전하고, 반대로 다이얼 기어(244)가 회전되면 구동 다이얼(246)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다이얼(246)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구동 다이얼(246)을 회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제3 기어(227)의 제3 샤프트(227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cable)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형 장착유닛(220)에는 제2 잠금부재(2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잠금부재(223)는 인형 회전부재(224)가 인형 결합부재(222)에 의해 회전되거나, 구동 다이얼(246)이 회전되어 인형회전부재(224)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잠금부재(223)를 일방향으로 잠그면(lock) 인형 회전부재(224)가 회전되지 않게 되지 않고, 제2 잠금부재(223)를 일방향으로 돌려서 풀면(loosen) 인형 회전부재(224)가 정상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인형 결합부재(222)도 회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20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인형(1)을 인형 결합부재(222)에 장착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구동 다이얼(246)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구동 다이얼(246)과 직결된 다이얼 기어(244)가 회전되고, 다이얼 기어(244)와 치합되는 제3 기어(227)의 제3 샤프트(227a)가 회전된다. 또한, 제3 샤프트(227a)의 회전에 의해 제3 기어(227)도 회전되고 제3 기어(227)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226) 및 제1 기어(225)가 차례로 회전된다.
최종적으로, 제1 기어(225)가 회전으로 제1 기어(225)의 제1 샤프트(225a)와 직결된 인형 결합부재(222)가 회전됨으로써 인형 결합부재(222)에 결합된 인형(1)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참고로, 사용자가 구동 다이얼(246)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인형(1)의 회전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200)는 사용자가 인형(1)의 방향을 직접적으로 바꾸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구동 다이얼(246)을 이용하여 인형(1)의 각도 또는 위치를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기기(2)를 이용하여 인형(1)을 촬영하는 도중에 편리하게 인형(1)의 위치를 바꾸거나 인형(1)이 움직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마치 인형(1)이 실제로 움직이고 있는 듯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300)를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300)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100)(2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을 준용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300)의 메인유닛(310)은 플렉시블(flexible) 한 재질의 또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유닛(310)은 제1 몸체(312), 복수개의 제2 몸체(313) 및 제3 몸체(314)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312)는 인형 장착유닛(120)이 연결되는 부재이다. 제3 몸체(314)는 인형 장착유닛(120)에 장착된 인형(1)을 움직이게 하는 조작버튼(340)이 형성되고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이 결합되는 부재이다. 제2 몸체(313)는 제1 몸체(312)와 제3 몸체(314) 사이에 위치하며 비교적 자유롭게 모양 변형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부재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몸체(312), 제2 몸체(313) 및 제3 몸체(314)의 내부에는 케이블(311)이 관통될 수 있다. 케이블(311)의 일단부는 제1 몸체(312)를 관통하고, 타단부는 제3 몸체(314)를 관통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몸체(312)에 결합되는 인형 장착유닛(120)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버튼(340)은 제1 몸체(312)에 연결된 인형 장착유닛(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이때, 조작버튼(340)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회전식 버튼 즉, 다이얼(dial)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조작버튼(340)을 이용하여 제1 몸체(312)에 연결된 인형 장착유닛(120)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참고로, 조작버튼(340)을 왼쪽 방향으로 돌리면 인형 장착유닛(120)에 연결된 인형(1)도 왼쪽 방향으로 회전되고, 조작버튼(340)을 오른쪽 방향으로 돌리면 인형 장착유닛(120)에 연결된 인형(1)도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더욱이, 조작버튼(340)은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길 수 있기 때문에, 제1 몸체(312), 복수개의 제2 몸체(313) 및 제3 몸체(314)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메인유닛(310)의 휘어지는 각도를 조정하거나 인형(1)을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메인유닛(310)의 제1 몸체(312), 복수개의 제2 몸체(313) 및 제3 몸체(314)는 조작버튼(340)의 당김 또는 회전에 따라 휘어지는 각도 또는 방향 등이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딱딱한(rigid) 한 재질 보다는 부드럽고 플렉시블 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블(311)의 양단부가 제1 몸체(312) 및 제3 몸체(314)를 관통할 때, 케이블(311)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31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베어링 부재(316)는 볼 베어링(ball-bearing)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조작버튼(340)의 회전에 따라 케이블(311)이 회전되므로, 케이블(311)의 양단부를 제1 몸체(312) 및 제3 몸체(314)에 관통시킬 때 볼 베어링 형태의 베어링 부재(316)를 사용하게 되면 케이블(311)이 회전할 때 꼬이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311)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조작버튼(340)이 결합되는 제3 몸체(314)에는 촬영기기(2)가 장착되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 몸체(314)에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31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결합홈(315)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촬영기기 장착 유닛(130)의 브라켓 회동부재(137)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촬영기기 장착유닛(130)가 제3 몸체(314)가 아닌 복수개의 제2 몸체(313) 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몸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참고로, 제3 몸체(314)에 결합되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은 제3 몸체(314)에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30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내부에 케이블(311)이 관통되고, 제1 몸체(312), 복수개의 제2 몸체(313), 제3 몸체(314)를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메인유닛(310)의 일단부에 인형 장착유닛(120)을 결합시키고, 인형 장착유닛(120)에 인형(1)을 장착한다.
그 다음, 메인유닛(310)의 제3 몸체(314)에 촬영기기 장착유닛(130)를 결합하고, 촬영기기(2)를 장착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조작버튼(340)을 이용하여 케이블(311)을 회전시키거나 당기면서 메인유닛(310) 전체의 휘어지는 각도 또는 방향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인형(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움직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300)는 사용자가 조작버튼(340) 만으로 촬영기기(2)에 대한 인형(1)의 각도 또는 방향을 변경하거나 촬영기기(2)의 화면에서의 인형(1)의 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 시 편리하고, 메인유닛(310)이 플렉시블 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잘 휘어지고 가볍기 때문에 휴대성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100, 200, 300)의 일단부에는 인형(1)이 장착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인형(1)을 촬영용 거치대(100)의 인형 장착유닛(120)에 결합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100)의 인형 장착유닛(120)의 인형 장착부재(122)에 인형(1)이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대(200, 300)의 일단부에도 하기에서 설명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인형(1)이 장착될 수 있다.
우선, 인형(1)에 인형 장착부재(122)를 끼우기 위하여 적당한 위치에 칼, 가위, 펀치 등을 이용하여 인형(1)에 작은 구멍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되는 구멍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 'ㅡ', '◇'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 별도의 체결부재(3)를 마련한다. 이때,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3)에는 인형 장착부재(12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면(3a)에 '╋' 형태가 표시된다. 참고로, 체결부재(3)의 일면(3a)에 표시된 ╋ 형태가 찢어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칼, 가위 등을 이용하여 그 표시를 따라 절개한다.
그 다음, 인형(1)에 미리 뚫어놓은 작은 구멍에 체결부재(3)를 끼워 넣는다. 이때, 체결부재(3)는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3)의 측면에는 체결홈(4)이 형성되어 있고, 인형(1)은 일반적으로 직물(fabric)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인형(1)에 형성된 작은 구멍에 체결부재(3)의 체결홈(4)을 끼워서 체결부재(3)를 어렵지 않게 인형(1)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인형(1)에 형성된 작은 구멍에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인형(1)과 체결부재(3) 간에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체결부재(3)의 형태 및 크기는 도 11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형(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형(1)과 체결부재(3) 사이에 접착을 위해 사용된 접착제가 마를 수 있도록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인형 장착부재(122) 또는 연장부재(117)를 인형(1)에 삽입함으로써 인형(1)을 촬영용 거치대(1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인형 장착부재(122)의 타단부 즉, 하단부는 제3 폴대(116)와 별도의 나사(미도시)를 이용하여 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인형 장착부재(122)의 타단부와 제3 폴대(116)의 결합 방법은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축 결합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인형 장착부재(122)의 타단부와 제3 폴대(116)가 축 결합됨에 따라 제3 관절(1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형(1)은 인형 장착부재(122)에 의해 제3 관절(119)을 중심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연장부재(117)는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면에는 인형 장착부재(122)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돌기가 복수개 형성된 안테나(antenna)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연장부재(117)가 안테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재(117)는 인형(1)의 크기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길이를 늘리거나 하측 방향으로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110, 310: 메인 유닛 111: 제1 관절
112: 제1 폴대 113: 수납홈
114: 제2 폴대 115: 제2 관절
116: 제3 폴대 117: 연장부재
118: 수납공간 119: 제3 관절
120, 220: 인형 장착유닛 122: 인형 장착부재
130: 촬영기기 장착유닛 131: 장착 브라켓
132: 지지부 133a, 133b: 그립부
134, 135: 결합홈 137: 브라켓 회동부재
150: 지지손잡이 221: 제1 잠금부재
222: 인형 결합부재 223: 제2 잠금부재
224: 인형 회전부재 225: 제1 기어
225a: 제1 샤프트 226: 제2 기어
226a: 제2 샤프트 227: 제3 기어
227a: 제3 샤프트 240: 구동유닛
242: 샤프트 기어 244: 다이얼 기어
246: 구동 다이얼 311: 케이블
312: 제1 몸체 313: 제2 몸체
314: 제3 몸체 315: 결합홈
316: 베어링 부재 340: 조작버튼

Claims (15)

  1. 메인유닛;
    상기 메인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인형이 장착되는 인형 장착유닛; 및
    상기 메인유닛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촬영기기 장착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유닛은, 폴딩 가능한 링크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이 장착되는 제1 폴대;
    상기 제1 폴대에 대해서 상대적인 회전 또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폴대에 연결되는 제2 폴대; 및
    일단부는 상기 제2 폴대의 타단부에 회전 또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인형 장착유닛에 회전 또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3 폴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폴대에는 상기 제3 폴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상기 제2 폴대가 내부로 인입되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폴대의 폭은 상기 제2 폴대의 폭보다 크게 마련되되 상기 수납공간의 폭은 상기 제2 폴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폴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3 폴대에 대해서 상기 제2 폴대를 회동시켜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상기 제2 폴대가 완전히 수납되면 상기 제3 폴대의 외측으로 상기 제2 폴대가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 폴대에는, 상기 인형 장착유닛에 장착되고 상기 인형에 삽입되는 연장부재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상기 제2 폴대의 표면에서부터 음각으로 인입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인형 장착유닛에 끼워져서 상기 인형 장착유닛과 상기 인형을 결합하도록 상기 인형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인형 장착유닛과 결합되도록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돌기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인형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 장착유닛은,
    제3 관절에 의해서 상기 제3 폴대와 연결되며, 상기 제3 관절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움직임 가능하게 마련되는 인형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 장착유닛은,
    상기 인형이 결합되는 인형 결합부재; 및
    상기 인형 결합부재와 직결되고, 복수개의 기어가 치합되어 상기 인형 결합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움직이게 하는 인형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 회전부재는,
    상기 인형 결합부재와 직결되어 회전하는 제1 기어;
    상기 제3 폴대와 축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치합되는 제3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은,
    상기 인형 회전부재와 치합되어 상기 인형 회전부재 또는 상기 제3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3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3 폴대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3 샤프트의 일단에 마련되는 샤프트 기어;
    상기 제3 폴대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 기어와 치합되는 다이얼 기어; 및
    상기 제3 폴대에 마련되되 상기 다이얼 기어와 직결되어 상기 다이얼 기어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다이얼 기어의 회전력을 받는 구동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샤프트는,
    기둥 또는 케이블 중 어느 하나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은,
    촬영기기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 브라켓; 및
    일단부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이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 폴대의 일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제1 폴대에 대해 상기 장착 브라켓을 회전시키거나 움직이게 하는 브라켓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회동부재가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촬영기기를 잡아주고, 상기 브라켓 회동부재가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브라켓 회동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그립부에 형성된 결합홈에는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그립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브라켓 회동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결합홈에는 상기 지지손잡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67098A 2017-05-30 2017-05-30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KR101939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98A KR101939390B1 (ko) 2017-05-30 2017-05-30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CN201810069796.4A CN108980555A (zh) 2017-05-30 2018-01-24 可加装玩偶的拍摄用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98A KR101939390B1 (ko) 2017-05-30 2017-05-30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02A KR20180130902A (ko) 2018-12-10
KR101939390B1 true KR101939390B1 (ko) 2019-04-11

Family

ID=6454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098A KR101939390B1 (ko) 2017-05-30 2017-05-30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9390B1 (ko)
CN (1) CN1089805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9153A (zh) * 2019-03-06 2019-05-28 上海梁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摄像头保护装置
CN113339655A (zh) * 2021-06-30 2021-09-03 重庆城市管理职业学院 一种便捷式三角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88Y1 (ko) * 2010-06-29 2011-10-26 최석원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CN205261179U (zh) * 2015-11-18 2016-05-25 尹蕾 话筒自拍杆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388B1 (ko) * 2004-11-30 2007-04-02 김무중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AU2006236750B2 (en) * 2005-04-15 2010-05-20 Garrett W. Brown Folding and adjusting hinge for stabilized equipment support
EP2117391A1 (en) * 2007-02-27 2009-11-18 Tatiana Chvetsova Foldable handbag hanger
US8197149B2 (en) * 2007-04-27 2012-06-12 Tocad America, Inc. Apparatuses and systems for supporting and positioning cameras and other equipment
US20110169940A1 (en) * 2010-01-11 2011-07-14 Emerson Electric Co. Camera manipulating device for video inspection system
KR101244983B1 (ko) * 2011-01-13 2013-03-18 최명재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TWM437035U (en) * 2012-04-13 2012-09-01 Comart Corp Electric device holder
KR20160085711A (ko) * 2015-01-08 2016-07-18 루크 시스템 인크 원격제어 촬영을 위한 카메라 액세서리
KR20160090213A (ko) * 2015-01-21 2016-07-29 손상열 카메라 및 휴대 단말기용 모노포드에 있어서 방수팩의 설치를 겸용하는 모노포드 및 이 모노포드에 사용되는 방수팩
CN205331734U (zh) * 2015-12-10 2016-06-22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旋转底座及显示装置
CN205640149U (zh) * 2015-12-15 2016-10-12 四川省雷克赛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吸附柔性支架
CN205640100U (zh) * 2016-05-06 2016-10-12 浙江树人大学 摄像头固定支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88Y1 (ko) * 2010-06-29 2011-10-26 최석원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CN205261179U (zh) * 2015-11-18 2016-05-25 尹蕾 话筒自拍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02A (ko) 2018-12-10
CN108980555A (zh)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3038B2 (en) Support for a camcorder
WO2017215064A1 (zh) 一种手持稳定器
JP3185803U (ja) スマートフォン用撮影補助具
KR920001020Y1 (ko) 비데오 카메라의 모니터 장착기구
CN210662167U (zh) 便于收纳的一体式支架
US20060257138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US20130221169A1 (en) Portable Platform for Imaging Device
US20110211164A1 (en) Camera stabilizer
KR101840741B1 (ko)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KR101939390B1 (ko)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JP2020523528A (ja) 雲台撮影器
WO2021036069A1 (zh) 云台
KR20170099073A (ko) 3축 흔들림 보정장치가 구비된 영상촬영 짐벌기구
WO2019023854A1 (zh) 云台拍摄器
KR20190121471A (ko)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WO2019023860A1 (zh) 云台拍摄器
KR101712724B1 (ko) 전자기기 거치대
CN207924403U (zh) 一种带夹持装置的遥控器
KR101792412B1 (ko)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JP4818479B1 (ja) 自己撮影用カメラ器具
CN214947688U (zh) 一种全景拍摄用手机三脚架
KR20220154983A (ko)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CN205847357U (zh) 一种手机自拍支架
KR102155673B1 (ko)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CN205792827U (zh) 一种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