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673B1 -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 Google Patents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673B1
KR102155673B1 KR1020200013388A KR20200013388A KR102155673B1 KR 102155673 B1 KR102155673 B1 KR 102155673B1 KR 1020200013388 A KR1020200013388 A KR 1020200013388A KR 20200013388 A KR20200013388 A KR 20200013388A KR 102155673 B1 KR102155673 B1 KR 102155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ube
base
pipe
fini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김영주
김영민
김주은
Original Assignee
김도영
김영주
김영민
김주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영, 김영주, 김영민, 김주은 filed Critical 김도영
Priority to KR102020001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길이조정이 가능하여 휴대폰을 이용한 셀프촬영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만족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서 인출되는 것으로서 직경이 상이한 복수 개의 단위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관이 텔레스코프식 안테나와 같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구성의 신축관체; 상기 신축관체의 끝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휴대폰을 홀딩하기 위한 휴대폰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관체는;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 및 상기 기저내관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기저외관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 상기 기저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내관 및 상기 기저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외관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 상기 연결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내관의 회전으로 연동되어 상기 연결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마감외관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외관은 신축 완료된 상기 마감외관의 회전력으로 연동되어 상기 기저외관을 따라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Selfie Stick Can Adjust The Length Of Which Automatically}
본 발명은 휴대폰용 셀카봉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적으로 길이조정이 가능하여 휴대폰을 이용한 셀프촬영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만족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근래 널리 보급되어 있는 휴대폰은 통화, 메시지 전송 및 인터넷을 기본으로 하여 그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 스마트폰이라 불려진다. 사진촬영 역시 휴대폰의 기본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고, 그 기능도 날로 발전하고 있다. 사진촬영을 위하여 휴대폰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의 렌즈도 휴대폰의 전후면에 각각 마련되어 사물촬영은 물론이고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기에도 용이하게 되어 있다.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을 조금 멀리 떨어뜨린 상태에서 촬영하여야 하는데 이 셀프촬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셀카봉이라는 도구가 제안되었다. 셀카봉은 길이조정이 가능한 기다란 봉과, 봉의 끝에 설치되어 있으며 휴대폰을 파지할 수 있는 휴대폰 홀더를 포함한다. 봉은 스코프식 안테나처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휴대폰을 이용하여 셀프촬영함에 있어서, 휴대폰과 피사체의 거리를 자신이 원하는 화면구도가 나올 수 있도록 조절할 필요를 느낄 때가 많다. 2인 이상이 함께 셀프촬영을 한다는가. 뒷 배경을 원하는 범위로 화면 안에 넣고 싶을 때가 있기 때문이다. 셀카봉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렇게 휴대폰과 피사체 간의 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셀카봉은 펼쳐진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휴대폰과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팔을 펴거나 오므려야 하는데, 이렇게 팔을 움직이게 되면 초점이 흔들려 제대로 된 사진을 얻기가 어렵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75589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08635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8436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길이조절이 용이한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버튼을 누르는 등 간단한 조작으로 셀카봉의 길이를 조정하여 원하는 구도로 휴대폰을 이용한 셀프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적 길이조정이 가능한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서 인출되는 것으로서 직경이 상이한 복수 개의 단위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관이 텔레스코프식 안테나와 같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구성의 신축관체; 상기 신축관체의 끝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휴대폰을 홀딩하기 위한 휴대폰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관체는;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 및 상기 기저내관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기저외관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 상기 기저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내관 및 상기 기저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외관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 상기 연결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내관의 회전으로 연동되어 상기 연결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마감외관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외관은 신축 완료된 상기 마감외관의 회전력으로 연동되어 상기 기저외관을 따라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저내관 및 연결내관의 외측 단부 내면에는 걸림턱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내관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각각 단속되도록 토우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외관 및 마감외관의 내측 하부에는 디텐트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기저외관 및 연결외관의 외측에는 상기 디텐트에 각각 걸리도록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신축관은 직경을 달리하여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신축관은 상기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외관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외관의 외측 단부를 마감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덮개, 상기 연결덮개를 고정시키도록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축관체는, 제1 수나사가 구비되어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 및 상기 제1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도록 제1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기저내관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기저외관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 상기 기저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2 수나사를 갖는 연결내관 및 상기 제2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도록 제2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내관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연결외관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 상기 연결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3 수나사를 갖는 마감내관 및 상기 제3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도록 제3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마감내관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마감외관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저외관과 연결외관 및 마감외관은 기전내관과 연결내관 및 마감외관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신축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저내관 및 연결내관의 외측 단부 내면에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내관 및 마감내관의 내측 단부 외면에는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도록 캐치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저외관과 연결외관 및 마감외관의 내측 단부 내면에는 스탑림이 각각 형성되어 늘어나는 각각의 수나사에 단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신축관은 직경을 달리하여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셀카봉을 이용하여 셀프촬영을 함에 있어서, 셀카봉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휴대폰과 피사체 간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인이 원하는 구도 및 촬영범위를 결정할 수 있어서 다양한 장면을 연출할 수 있고 여러 명이 셀프촬영을 할 때 더욱 쉽게 촬영할 수 있고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셀카봉용 신축관체에 의하면, 각각의 신축관이 나사결합에 의해 동시에 신축되므로 소형의 기계요소를 정밀하게 신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의 신축관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각각의 신축관체가 줄어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감내관과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관체의 작동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각의 신축관체가 줄어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축관체의 작동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먼저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 내용을 설명하고 이후 나머지 도면을 인용하면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이하, 셀카봉이라 한다)은 손잡이부(10), 신축관체(20), 휴대폰홀더(4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0)는 봉형상으로서 손으로 잡기에 편리한 자루의 형태를 가진다. 손잡이부(10)에는 스위치(11,12)와 충전포트(13)를 포함한다. 스위치(11,12)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휴대폰(P)의 촬영버튼을 원격에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촬영스위치(11)와, 신축관체(20)의 길이의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스위치(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손으로 잡기 적당하고 휴대하기에 적당한 직경과 길이로 제공된다. 손잡이부(10)에는 손목에 끼울 수 있는 스트립(14)이 연결될 수 있다.
신축관체(20)는 손잡이부(1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납되어 있다. 신축관체(20)는 손잡이부(10)에서 인출되는 것으로서 직경이 상이한 복수 개의 단위관(100,200,300)으로 구성된다. 단위관(100,200,300)은 텔레스코프식 안테나와 같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신축관체(20)는 차량의 안테나, 라디오의 안테나, 낚싯대 등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신축관체(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단위관(100,200,300)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된 파이프로서 3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단위관(100,200,300)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단위관(100,200,300)의 갯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휴대폰(P)을 홀딩하기 위한 휴대폰홀더(40)가 신축관체(20)의 끝에 설치된다. 휴대폰홀더(40)는 휴대폰(P)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파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 역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부분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휴대폰홀더(40)와 신축관체(20)는 힌지연결구(30)에 의해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휴대폰홀더(40)에 의하면 도 1의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신축관체(20)에 대한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폭도 탄성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들은 공지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신축관체(20)의 길이를 원격에서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수단이 포함된다. 길이조정수단은 신축관체(20)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이기 위하여 단위관(100,200,300)을 손으로 잡고 밀거나 잡아당기지 않아도 되게끔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길이조정수단은 구동모터(M)와, 구동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B)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은 손잡이부(20)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동모터(50)는 양방향 회전모터이며 길이가 최대한 늘어나거나 최소한으로 줄어들 때 센서 또는 부하에 의해 자동으로 정지된다. 길이조정스위치(12)를 한번 누르면 늘어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줄어드는 형식으로 할 수 있으며, 앞으로 밀면 늘어나고 뒤로 당기면 줄어들도록 하는 형식으로 할 수도 있다. 즉 길이조정스위치(12)의 동작방식 내지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이하 신축관체(20)의 구성 및 작용을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축관체는,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110) 및 이 기저내관(110)을 수용하는 기저외관(130)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100), 기저내관(110)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내관(210) 및 기저외관(130)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외관(230)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200), 연결내관(210)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마감내관(310) 및 이 마감내관(310)의 회전으로 연동되어 연결외관(230)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마감외관(330)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300)을 포함한다.
기저신축관(100)은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기저신축관(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角管) 형상의 기저내관(110) 및 원형관(圓形管) 형상의 기저외관(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저내관(110)의 외면과 기저외관(130)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작동공간(S)이 형성되어 기저내관(110)의 회전 시 간섭을 방지하고 연결외관(230) 및 마감외관(330)의 신축을 가능하게 한다.
기저내관(110)의 하부에는 회전축(111)이 연결되어 모터(M) 따위를 포함하는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저내관(110)의 개방된 상단부 내면에는 제1 걸림턱(112)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연결내관(210)의 제2 토우림(tow rim, 212)을 단속하게 된다. 기저내관(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사각형의 각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오각형, 육각형 따위를 포함하는 각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외관(1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 제1 암나사(13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 암나사(131)에는 후술하는 연결외관(230)의 제2 수나사(234)가 나사결합되어 연결외관(230)의 신축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암나사(131)는 기저외관(130)의 내면 상단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기저외관(13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저외관(130)의 내면 상부에는 제1 노치(13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외관(230)의 제2 디텐트(232)가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제1 노치(132)는 제1 암나사(131)의 하단부에 인접되게 형성된다.
연결신축관(200)은 기저신축관(100)과 마감신축관(30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연결신축관(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저내관(1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내관(210)과,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저외관(13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외관(230)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내관(210)은 기저내관(11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각관으로 형성되어 기저내관(1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내관(210)의 외면 하부 양측에는 제2 토우림(21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기저내관(110)의 제1 걸림턱(112)에 걸려서 단속된다. 연결내관(210)의 내면 상단부에는 제2 걸림턱(211)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마감내관(310)의 제3 토우림(311)을 단속하게 된다.
연결외관(2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 제2 암나사(231)가 구비되고 외주면으로 제2 수나사(234)가 구비된다. 제2 암나사(231)는 후술하는 마감외관(330)의 제3 수나사(331)와 나사결합되고, 제2 수나사(234)는 기저외관(130)의 제1 암나사(131)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제2 암나사(231)는 연결외관(230)의 내면 상단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연결외관(23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외관(230)의 외면 하부에는 제2 디텐트(232)가 형성되어 기저외관(130)의 제1 노치(132)에 걸리게 된다.
특히, 연결신축관(200)은 직경을 달리하여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직경이 감소되는 복수의 연결내관(210)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고 직경이 감소되는 복수의 연결외관(230)을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하여, 기저신축관(100)과 마감신축관(300) 사이를 길게 연결하는 것이다.
마감신축관(300)은 본 발명의 끝 부분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마감신축관(3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내관(2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마감내관(310),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외관(23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마감외관(330), 마감내관(310)과 마감외관(330)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마감내관(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내관(21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각관으로 형성되어 연결내관(2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마감내관(310)의 외면 하부 양측에는 제3 토우림(31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결내관(210)의 제2 걸림턱(211)에 걸려서 단속된다. 마감내관(310)의 상부는 차폐되고 그 상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마감외관(3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으로 제3 수나사(33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3 수나사(331)는 연결외관(230)의 제2 암나사(231)에 나사결합되어 마감외관(330)의 신축을 안내하게 된다. 마감외관(330)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키홈(33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부재(350)의 결합키(352)가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마감외관(330)의 외면 하부에는 제3 디텐트(332)가 형성되어 연결외관(230)의 제2 노치(233)에 걸리게 된다.
연결부재(350)는 마감내관(310)과 마감외관(330)을 연결하여 마감내관(310)의 회전에 따라 마감외관(330)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연결부재(350)는 마감내관(310)과 마감외관(330)의 외측 단부를 마감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덮개(351), 연결덮개(351)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54)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덮개(351)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 카운터보링 가공이 이루어지고, 연결덮개(351)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키(352)가 구비되어 마감외관(330)의 키홈(333)에 키결합되며, 연결덮개(351)의 저면에는 결합철부(353)가 구비되어 마감내관(310)의 결합요부(312)에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결합철부(353)는 마감내관(310)의 결합요부(312)에 대응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감내관(310)의 회전력이 연결덮개(351)에 그대로 전달된다.
고정볼트(354)는 연결덮개(351)의 카운터보링을 관통하여 마감내관(310)의 탭홀(313)에 나사결합되므로 연결덮개(351)를 마감내관(3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마감외관(330)의 내측 단부는 연결외관(230)에 나사결합으로 지지되므로 볼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덮개(351)와 마감외관(330)을 고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신축관체(20)가 늘어나는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구동모터(M)에 의해 기저내관(110)이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연결내관(210) 및 마감내관(310)이 동시에 회전된다.
이어서, 마감내관(310)의 회전력이 연결부재(350)를 통해 마감외관(330)에 그대로 전달되어 동시에 회전되고, 이 마감외관(330)은 연결외관(230)의 제2 암나사(231)에 의해 안내되어 도 8에서와 같이 회전하면서 늘어나게 된다.
참고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점선화살표는 기저내관(110)과 연결내관(210) 및 마감내관(310)의 회전 상태 및 방향을 나타내었고, 실선화살표는 연결외관(230) 및 마감외관(330)의 회전 상태 및 방향을 나타내었다.
다음, 도 9에서와 같이 마감외관(330)의 회전으로 제3 디텐트(332)가 연결외관(230)의 제2 노치(233)에 단속되면 마감외관(330)의 늘어나는 거리는 최대치를 이루게 된다.
계속해서, 제2 노치(233)에 단속된 제3 디텐트(332)에 의해 마감외관(330)의 회전력이 연결외관(230)으로 전달되므로 연결외관(230) 및 마감외관(330)은 도 10에서와 같이 잇따라 함께 회전된다.
이때, 연결내관(210)은 제2 걸림턱(211)이 마감내관(310)의 제3 토우림(311)에 걸린 상태이므로 연결외관(230)은 마감내관(310)에 의해 견인되어 늘어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1에서와 같이 연결외관(230)의 회전으로 제2 디텐트(232)가 기저외관(130)의 제1 노치(132)에 단속되면 연결외관(230)의 늘어나는 거리는 최대치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신축관체(20)가 줄어드는 작동 관계는 상술한 신축관체(20)가 늘어나는 작동 관계의 역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축(11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마감외관(330)의 회전 완료 후 연결외관(230)이 회전되며, 도 6에서와 같이 완전히 줄어든 상태에서는 마감내관(310) 및 연결내관(210)이 기저내관(110)의 바닥면에 단속되어 더 이상 줄어들지 않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축관체(20)는, 제1 수나사(412)가 구비되어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410) 및 제1 수나사(412)에 나사결합되도록 제1 암나사(431)가 구비되어 기저내관(410)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기저외관(430)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400), 기저내관(410)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2 수나사(512)를 갖는 연결내관(510) 및 제2 수나사(512)에 나사결합되도록 제2 암나사(531)가 구비되어 연결내관(510)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연결외관(530)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500), 연결내관(510)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3 수나사(612)를 갖는 마감내관(610) 및 제3 수나사(612)에 나사결합되도록 제3 암나사(631)가 구비되어 마감내관(610)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마감외관(630)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600)을 포함한다.
기저신축관(400)은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기저신축관(400)은 제1 수나사(412)를 갖는 각관 형상의 기저내관(410) 및 제1 암나사(431)를 갖는 원형관 형상의 기저외관(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저내관(410)의 외면과 기저외관(430)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작동공간(S)이 형성되어 기저내관(410)의 회전 시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기저내관(410)의 하부에는 회전축(411)이 연결되어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저내관(410)의 개방된 상단부 내면에는 제1 스토퍼(413)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연결내관(510)의 제2 캐치를 단속하게 된다. 기저내관(410)은 내부가 빈 사각형의 각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오각형, 육각형 따위를 포함하는 각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내관(410)의 외주면에는 제1 수나사(412)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 수나사(41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내관(410)의 외주면 상단에 두껍게 돌출된 제1 보스(412a)에 형성된다.
기저외관(4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 제1 암나사(43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 암나사(431)에는 기저내관(410)의 제1 수나사(412)가 나사결합되므로 기저외관은 기저내관(410)의 회전에 의해 신축된다. 기저외관(430)의 외면 상단에는 제1 거셋(43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외관(530)의 제2 스탑림(stop rim, 533)을 단속하고, 내주면 하단에는 제1 스탑림(433)이 형성되어 기저내관(410)의 제1 수나사(412)에 단속된다.
연결신축관(500)은 기저신축관(400)과 마감신축관(60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연결신축관(500)은 제2 수나사(512)를 갖는 각관 형상의 기저내관(410) 및 제2 암나사(531)를 갖는 원형관 형상의 연결외관(530)을 포함한다.
연결내관(510)은 기저내관(41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각관으로 형성되어 기저내관(4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내관(510)의 외주면에는 제2 수나사(512)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2 수나사(51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내관(510)의 외주면 상단에 두껍게 돌출된 제2 보스(512a)에 형성된다. 연결내관(510)의 내면 상단에는 제2 스토퍼(513)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마감내관(610)의 제3 캐치(614)를 단속하고, 외면 하단에는 제2 캐치가 구비되어 기저내관(410)의 제1 스토퍼(413)에 단속된다.
연결외관(5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 제2 암나사(53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2 암나사(531)에는 연결내관(510)의 제2 수나사(512)가 나사결합되므로 연결외관은 연결내관(510)의 회전에 의해 신축된다. 연결외관(530)의 외주면 상단에는 제2 거셋(53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마감외관(630)의 제3 스탑림(633)을 단속하고, 내주면 하단에는 제2 스탑림(533)이 형성되어 연결내관(510)의 제2 수나사(512)에 단속된다.
특히, 연결신축관(500)은 직경을 달리하여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직경이 감소되는 복수의 연결내관(510)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고 직경이 증가되는 복수의 연결외관(530)을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하여, 기저신축관(400)과 마감신축관(600) 사이를 길게 연결하는 것이다.
마감신축관(600)은 본 발명의 끝 부분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마감신축관(600)은 제3 수나사(612)가 구비되어 연결내관(5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내관(610), 제3 암나사(631)가 구비되어 연결외관(530)의 외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외관(630), 마감내관(610)과 마감외관(630)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0)를 포함한다.
마감내관(610)은 연결내관(51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각관으로 형성되어 연결내관(510)의 내면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마감내관(610)의 외주면에는 제3 수나사(612)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3 수나사(61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내관(610)의 외주면 상단에 두껍게 돌출된 제3 보스(612a)에 형성된다. 마감내관(610)의 외면 하단에는 제3 캐치(614)가 형성되어 연결내관(510)의 제2 스토퍼(513)에 단속된다.
마감외관(630)은 내부가 빈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으로 제3 암나사(63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3 암나사(631)에는 마감외관(630)의 제3 수나사(612)가 나사결합되어 마감외관(630)이 마감내관(610)을 따라 회전하면서 신축된다. 마감외관(630)의 내면 하단에는 제3 스탑림(633)이 형성되어 마감내관(610)의 제3 수나사(612)에 단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전체적인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신축관체(20)가 늘어나는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구동모터(M)에 의해 기저내관(410)이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연결내관(510) 및 마감내관(610)이 동시에 회전된다.
이때, 제1 수나사(412) 내지 제3 수나사(612)가 회전되고, 각각의 수나사에 나사결합된 제1 암나사(431) 내지 제3 암나사(631)에 의해 기저외관(430)과 연결외관(530) 및 마감외관(630)이 동시에 회전되어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각각의 내관을 따라 늘어나게 된다.
다음, 도 15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스탑림(633)제3 스탑림(633)수나사에 단속되고 제2 캐치 및 제3 캐치(614)가 각각의 스토퍼에 단속되면, 기저신축관(400)과 연결신축관(500) 및 마감신축관(600)의 늘어나는 거리는 최대치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축관체(20)가 줄어드는 작동 관계는 상술한 신축관체가 늘어나는 작동 관계의 역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축(41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비단 셀카봉만이 아닌 노트식 스마트폰을 위한 터치펜(touch pen, 예를 들어 'S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요소를 초소형으로 하여 터치펜에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래서 도시 및 설명된 신축관체(20)의 구성이 그대로 터치펜에 채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손잡이부 11,12 : 스위치
13 : 충전포트 20 : 신축관체
21,22,23,24 : 단위관 30 : 힌지연결구
40 : 휴대폰홀더 50 : 구동모터
60 : 길이조정부 61 : 견인선재
62 : 케이싱 63 : 유도관
64 : 구동기어
100, 400 : 기저신축관 110, 410 : 기저내관
130, 430 : 기저외관 200, 500 : 연결신축관
210, 510 : 연결내관 230, 530 : 연결외관
300, 600 : 마감신축관 310, 610 : 마감내관
330, 630 : 마감외관 350 : 연결부재
B : 배터리 M : 구동모터
P : 휴대폰 S : 작동공간

Claims (6)

  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서 인출되는 것으로서 직경이 상이한 복수 개의 단위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관이 텔레스코프식 안테나와 같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구성의 신축관체; 상기 신축관체의 끝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휴대폰을 홀딩하기 위한 휴대폰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관체는;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저내관 및 상기 기저내관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기저외관을 포함하는 기저신축관;
    상기 기저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내관 및 상기 기저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연결외관을 포함하는 연결신축관;
    상기 연결내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내관의 회전으로 연동되어 상기 연결외관의 내주면으로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마감외관을 포함하는 마감신축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감신축관은 상기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외관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마감내관 및 상기 마감외관의 외측 단부를 마감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덮개, 상기 연결덮개를 고정시키도록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외관은 신축 완료된 상기 마감외관의 회전력으로 연동되어 상기 기저외관을 따라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내관 및 연결내관의 외측 단부 내면에는 걸림턱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내관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각각 단속되도록 토우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외관 및 마감외관의 내측 하부에는 디텐트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기저외관 및 연결외관의 외측에는 상기 디텐트에 각각 걸리도록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신축관은 직경을 달리하여 신축가능하게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5. 삭제
  6. 삭제
KR1020200013388A 2020-02-04 2020-02-04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KR102155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388A KR102155673B1 (ko) 2020-02-04 2020-02-04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388A KR102155673B1 (ko) 2020-02-04 2020-02-04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673B1 true KR102155673B1 (ko) 2020-09-14

Family

ID=7247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388A KR102155673B1 (ko) 2020-02-04 2020-02-04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6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277A (ko) *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전동셀카봉
KR20160108635A (ko) 2015-03-04 2016-09-20 한국광해관리공단 광산배수 정화용 계단식 폭기장치 및 광산배수 처리시스템
KR20160130553A (ko) * 2015-05-04 2016-11-14 정한상 상하한 검출기능이 구비된 자동 길이조절식 셀카봉
KR20170046035A (ko) * 2015-10-20 2017-04-28 김찬국 전동형 길이조절장치
KR20180024454A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 코이노시스템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JP6592735B1 (ja) * 2019-03-25 2019-10-23 寧波心維針織有限公司 制御しやすい自撮り棒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277A (ko) *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전동셀카봉
KR20160099437A (ko) * 2015-02-12 2016-08-22 김용표 전동셀카봉
KR20160108635A (ko) 2015-03-04 2016-09-20 한국광해관리공단 광산배수 정화용 계단식 폭기장치 및 광산배수 처리시스템
KR20160130553A (ko) * 2015-05-04 2016-11-14 정한상 상하한 검출기능이 구비된 자동 길이조절식 셀카봉
KR20170046035A (ko) * 2015-10-20 2017-04-28 김찬국 전동형 길이조절장치
KR20180024454A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 코이노시스템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JP6592735B1 (ja) * 2019-03-25 2019-10-23 寧波心維針織有限公司 制御しやすい自撮り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1716B2 (en) Handle for handheld terminal
JP6503467B2 (ja) 伸縮式デジタルカメラ
AU2019201695B1 (en) An anti-shake selfie stick
CN205123833U (zh) 一种自动伸缩自拍杆
WO2016206539A1 (zh) 一种自动伸缩自拍杆
KR101840741B1 (ko)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KR102155673B1 (ko)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WO2017014227A1 (ja) 携帯通信端末用ケース
CN105492967B (zh) 单反照相机外接电子取景器
CN205048104U (zh) 自拍杆及具有该自拍杆的电子产品支架
KR20180023400A (ko) 촬영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셀카봉
CN204717306U (zh) 便携式手机自拍杆
KR101939390B1 (ko)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KR20170056162A (ko) 모바일 단말기용 셀카봉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20160137325A (ko)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101682941B1 (ko) 셀카봉
CN207924893U (zh) 一种带夹持装置的遥控器
CN207924403U (zh) 一种带夹持装置的遥控器
KR101633865B1 (ko) 스마트폰용 셀프 카메라 촬영장치
CN110881760A (zh) 伞杆装置及其伞杆传动组件以及电动伞
KR101302968B1 (ko) 사용이 편리한 실물화상기
JP3155695U (ja) カメラ支持具
KR101564541B1 (ko) 이동단말기용 커버장치
CN206221922U (zh) 一种多功能组合可变的摄影摄像支架
KR200386178Y1 (ko) 모노포드 겸용 지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