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454A -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454A
KR20180024454A KR1020160110692A KR20160110692A KR20180024454A KR 20180024454 A KR20180024454 A KR 20180024454A KR 1020160110692 A KR1020160110692 A KR 1020160110692A KR 20160110692 A KR20160110692 A KR 20160110692A KR 20180024454 A KR20180024454 A KR 2018002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eg
camera module
mobile phone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0741B1 (ko
Inventor
장병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이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이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이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11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7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F16M11/245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G03B17/56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256
    • H04N5/2257
    • H04N5/232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는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신축되는 카메라 지지봉;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선단에 마련되며, 휴대폰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 지지봉에 마련되는 촬영버튼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기립을 지지하기 위해 카메라 지지봉의 일단에 마련되는 접철형 기립다리;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전동회전수단에 의해 카메라 지지봉을 기준으로 자전가능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관절을 갖는 네크부에 의해 굽힘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linked phone type selfie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의해 조작되는 카메라 모듈을 갖추고 있어서 휴대폰을 거치하지 않고도 촬영이 가능한 셀카봉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기립 설치할 수 있어서 멀리 떨어진 채 원거리에서도 원격촬영이 가능하여 무선 셀프카메라 및 파워캠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생활필수품이 되고,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즈(SNS)가 일반화됨에 따라,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에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생활사진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하여(셀카) 실시간으로 SNS 를 이용하여 공유하고 있다.
여기서, 셀카란 영어의 한국식 표현인 셀프 카메라(self camera)를 줄여 이른 신조어로서, 자신이 직접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디카(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등의 촬영기능을 갖는 촬영수단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하여 자신을 피사체로 촬영하는 것으로, 영어 표현으로는 셀피(selfie)라고 한다.
종래에는 셀카를 찍을 때 촬영수단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잡고 팔을 뻗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였으나, 이런 경우 머리나 상반신만 크게 나오고 뒷배경은 나오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다단안테나 형태로 길이조절한 셀카봉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셀카봉은 모노포드(monopod)나 셀카스틱이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종래의 셀카봉은 촬영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대와, 이 폴대의 끝단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스마트폰과 같은 촬영수단이 거치되는 홀더로 구성되어, 홀더에 스마트폰을 장착하고, 복수의 폴대를 적절하게 신장시킨 다음, 손잡이를 잡아서 셀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셀카봉은 셀카봉의 말단에 스마트 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촬영을 해야 하므로 촬영할 때마다, 스마트 폰을 거치하고 또 분리하는 과정이 번거롭다는 사용상 불편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셀카봉을 잡고 입는 팔을 쭉 뻣은 상태로 촬영을 할 때, 스마트 폰의 무게에 의해 사용자의 팔에 무리가 가해지면서 스마트 폰이 흔들릴 수 있으므로 촬영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셀카봉을 잡고 촬영할 때, 스마트 폰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게 되므로, 햇볕이 있는 대낮이나 밝은 환경에서는 반사에 의하여 스마트 폰의 화면이 잘 보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자신이 연출하고자 하는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또한, 종래의 셀카봉은 제한된 자세에서만 촬영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각도에서의 셀카촬영이 어렵고, 광각촬영이나, 줌인 및 줌아웃 기능이 없어서 셀카촬영의 범위가 극기 제한적이라는 사용상 협소점도 문제가 있었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514호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741호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2541호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휴대폰에 의해 제어되는 카메라 모듈을 갖추고 있어서 휴대폰을 거치하지 않고도 촬영이 가능한 셀카봉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기립 설치할 수 있어서 멀리 떨어진 채 원거리에서도 원격촬영이 가능하여 무선 셀프카메라 및 파워캠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신축되는 카메라 지지봉;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선단에 마련되며, 휴대폰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 지지봉에 마련되는 촬영버튼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기립을 지지하기 위해 카메라 지지봉의 일단에 마련되는 접철형 기립다리;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전동회전수단에 의해 카메라 지지봉을 기준으로 자전가능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관절을 갖는 네크부에 의해 굽힘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동회전수단은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선단에 설치된 채, 상기 카메라 모듈의 네크부와 커플링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휴대폰에서 발신되는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주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네크부와 결합되어 있는 모듈 베이스와, 상기 모듈 베이스에 나사 결합되는 카메라 헤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일단 내부에는 상기 접철형 기립다리를 수납하기 위한 다리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철형 기립다리는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다리 수납부측 단부에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다리헤드와; 상기 다리헤드의 일면에 접철 가능하게 핀 결합된 채, 상기 다리헤드가 카메라 지지봉에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다리 수납부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또는 다리 수납부의 내부로 수납되는 삼발이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리헤드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그 반대측에 제1 암체결부와 제2 암체결부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제1, 2 암체결부는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다리 수납부 개구단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에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면에 구비되는 후레쉬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술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에 따르면, 종래의 셀카봉은 휴대폰을 반드시 거치한 상태에서 촬영을 하지만 본 발명은 휴대폰에 의해 제어되는 카메라 모듈을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어서 휴대폰을 거치 또는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없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화면을 근거리에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촬영을 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연출하고자 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셀프촬영장치를 멀리 떨어뜨린 상태에서 원격촬영이 가능하므로 전신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이 줌인 및 줌아웃 기능이 있어서 근거리 및 원거리 샷을 손쉽게 촬영할 수 있고, 고화소의 카메라를 적용함에 따라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의 기립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로서, 기립 다리를 수납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로서, 카메라 모듈을 굽힌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전동회전수단의 구성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층들, 부위 및/또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부위 및/또는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를 다른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예를 들면 제조 과정에서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의 기립상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로서, 기립 다리를 수납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로서, 카메라 모듈을 굽힌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전동회전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5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100)는 카메라 지지봉(110), 카메라 모듈(120) 및 접철형 기립다리(130)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지지봉(110)은 상기 카메라 모듈(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봉 본체(111)와, 상기 지지봉 본체(111)에 연결된 채 텔레스코프타입으로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한 신축봉(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봉(112)의 선단에는 측면에 절개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개홈(112a)은 상기 카메라 모듈(120)을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굽힐 때 카메라 모듈의 네크부(후술할 예정)가 요입됨으로써 네크부(121)가 신축봉(112)의 간섭으로 굽힘각도의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뒤에 또 다시 언급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 본체(111)의 일측(기립상태에서의 하측을 의미함) 내부에는 상기 절첩형 기립다리(130)를 수납하기 위한 다리 수납부(111a)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 수납부(111a)의 개구단 외주면에는 숫나사(111b)가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0)은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의 선단에 설치된 채,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으로, 여기서 카메라 모듈(120)은 휴대폰(M)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에 마련되는 촬영버튼(113)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버튼(113)을 사용하는 경우는 본 셀프촬영장치를 셀카봉으로 활용할 때 유용하고, 휴대폰(M)에 의한 촬영은 본 셀프촬영장치를 기립 상태로 설치한 후 원거리에서 촬영할 때 유용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20)은 전동회전수단(140)에 의해 카메라 지지봉(110)을 기준으로 자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동회전수단(140)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의 선단에 설치된 채, 상기 카메라 모듈(120)의 네크부(121)와 커플링(122) 결합되는 구동모터(141)와, 상기 휴대폰(M)에서 발신되는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141)를 구동시켜주는 제어부(14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휴대폰(M)에 의해 구동모터(141)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카메라 지지봉(110)에 스위치를 구동모터(123)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미도시)를 마련하고, 이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141)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20)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네크부(121)와 결합 또는 일체로 되어 있는 모듈 베이스(123)와, 상기 모듈 베이스(123)에 나사 결합되며 카메라(124a)를 갖는 카메라 헤드부(12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120)은 카메라 헤드부(124)를 모듈 베이스(124)로 부터 분해한 후, 벽면이나 헬멧, 자전거 등에 부착하여 독립적인 카메라 또는 액션캠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20)의 일측에는 휴대폰(M) 조작이나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에 구비되는 후레쉬 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후레쉬로 사용되는 후레쉬 램프(125)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120)의 네크부(121)에는 관절(121a)이 구성되어 있어서, 이 관절(121a)을 기준으로 카메라 모듈(120)의 굽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20)을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과 직각을 이루도록 굽히면 기존 셀카봉과 같은 형태가 되므로 셀카봉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상술한 바 있듯이,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의 최선측 신축봉(112)에 형성된 절개홈(112a)을 통해 상기 네크부(121)가 삽입되면서 네크부(121)가 신축봉(112)의 선단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굽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접철형 기립다리(130)는 도 1 및 2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의 기립을 지지하기 위하여 카메라 지지봉(110)의 일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도 2 및 3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의 상기 다리 수납부(111a)측 단부에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다리헤드(131)와; 상기 다리헤드(131)의 일면에 접철 가능하게 핀 결합된 채, 상기 다리헤드(131)가 카메라 지지봉(110)에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다리 수납부(111a)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또는 다리 수납부의 내부로 수납되는 삼발이(13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리헤드(131)는 격벽(131a)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그 반대측에 제1 암체결부(131b)와 제2 암체결부(131c)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제1, 2 암체결부(131b,131c)는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의 다리 수납부(111a) 개구단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111b)에 선택적으로 치합된다.
따라서, 접철형 기립다리(13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삼발이(132)를 모아지게 접은 후,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의 다리 수납부(111a)에 수납하고, 상기 다리헤드(131)의 제1 암체결부(131b)를 상기 카메라 지지봉(110)의 개구단 내주면에 형성된 숫나사(111b)와 치합되도록 나사 결합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이를 수 있고,
반면, 상기와 같이 수납된 상태에서 접철형 기립다리(130)를 사용할 때는, 다리 수납부(111a)에 수납되어 있던 삼발이(132)를 인출한 후, 상기 다리헤드(131)를 반전시켜서 상기 제2 암체결부(131c)를 다리 수납부(11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111b)에 치합함으로써, 카메라 지지봉(110)에 접철형 기립다리(130)가 지지된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에서 삼발이(132)를 펼치게 되면 카메라 지지봉(110)을 기립상태로 세울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110 : 카메라 지지봉
111 : 지지봉 본체 111a : 다리 수납부
111b : 암나사 111c : 숫나사
112 : 신축봉 120 : 카메라 모듈
121 : 네크부 121a : 관절
124 : 모듈 베이스 125 : 카메라 헤드부
130 : 접철형 기립다리 131 : 다리헤드
132 : 삼발이 140 : 전동회전수단
141 : 구동모터 142 : 제어부

Claims (6)

  1.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신축되는 카메라 지지봉;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선단에 마련되며, 휴대폰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 지지봉에 마련되는 촬영버튼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기립을 지지하기 위해 카메라 지지봉의 일단에 마련되는 접철형 기립다리;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전동회전수단에 의해 카메라 지지봉을 기준으로 자전가능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관절을 갖는 네크부에 의해 굽힘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회전수단은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선단에 설치된 채, 상기 카메라 모듈의 네크부와 커플링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휴대폰에서 발신되는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주는 제어부로 구성된, 휴대폰 연통형 셀프촬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네크부와 결합되어 있는 모듈 베이스와, 상기 모듈 베이스에 나사 결합되는 카메라 헤드부로 구성된,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일단 내부에는 상기 접철형 기립다리를 수납하기 위한 다리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철형 기립다리는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다리 수납부측 단부에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다리헤드와; 상기 다리헤드의 일면에 접철 가능하게 핀 결합된 채, 상기 다리헤드가 카메라 지지봉에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다리 수납부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또는 다리 수납부의 내부로 수납되는 삼발이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리헤드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그 반대측에 제1 암체결부와 제2 암체결부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제1, 2 암체결부는 상기 카메라 지지봉의 다리 수납부 개구단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면에 구비되는 후레쉬 램프를 더 포함하는 휴대톤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KR1020160110692A 2016-08-30 2016-08-30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KR10184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692A KR101840741B1 (ko) 2016-08-30 2016-08-30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692A KR101840741B1 (ko) 2016-08-30 2016-08-30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54A true KR20180024454A (ko) 2018-03-08
KR101840741B1 KR101840741B1 (ko) 2018-03-21

Family

ID=6172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692A KR101840741B1 (ko) 2016-08-30 2016-08-30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7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0474A (zh) * 2018-07-03 2018-10-12 佛山市影腾科技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200039916A (ko) *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CN111491054A (zh) * 2020-04-27 2020-08-04 深圳市理德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固定台及装有该手机固定台的自拍杆
CN111510541A (zh) * 2020-04-26 2020-08-07 李绚兮 魔杖手机盒
KR102155673B1 (ko) * 2020-02-04 2020-09-14 김도영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WO2022141271A1 (zh) * 2020-12-30 2022-07-0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云台系统的控制方法、控制设备、云台系统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0389A (ja) * 2004-09-22 2006-04-06 Akihiko Ohara 一脚用筒体の補助三脚構造
US20150048233A1 (en) 2013-03-13 2015-02-19 Matthew Richard Dumas Portable electronic support devic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0474A (zh) * 2018-07-03 2018-10-12 佛山市影腾科技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200039916A (ko) *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102155673B1 (ko) * 2020-02-04 2020-09-14 김도영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CN111510541A (zh) * 2020-04-26 2020-08-07 李绚兮 魔杖手机盒
CN111491054A (zh) * 2020-04-27 2020-08-04 深圳市理德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固定台及装有该手机固定台的自拍杆
CN111491054B (zh) * 2020-04-27 2021-02-02 深圳市理德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固定台及装有该手机固定台的自拍杆
WO2022141271A1 (zh) * 2020-12-30 2022-07-0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云台系统的控制方法、控制设备、云台系统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741B1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741B1 (ko)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US20180106418A1 (en) Imaging stand
US20160337492A1 (en) Cellular Phone With Built-In Selfie Stick
US2013017641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ingle-handedly self-photographing
US20160044227A1 (en) Image capturing device support with remote controller
CA2707962A1 (en) Stabilized mount for, and method of,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US20150029352A1 (en) Collapsible cell phone boom arm
CN217559406U (zh) 用于图像捕获设备的安装系统和可展开安装系统
KR20160000408U (ko)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CN105430131A (zh) 一种手机的角度可调式摄像头组件及手机
CN105492967B (zh) 单反照相机外接电子取景器
WO2017014227A1 (ja) 携帯通信端末用ケース
KR200479601Y1 (ko) 다용도 휴대폰 케이스
KR101855790B1 (ko) 전방위 카메라용 제어 워치
KR20160116091A (ko) 전자기기 거치대
KR20180085569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WO2016017054A1 (ja) 撮像装置
CN106556962A (zh) 一种镜头快换的拍摄架及摄影装置
CN110290294A (zh) 将用于外部装置的连接器布置在最佳位置的摄像设备
JP6597745B2 (ja) 支持装置
JP6852760B2 (ja) 撮像装置
CN204756379U (zh) 一种伸缩固定杆
JP2010032981A (ja) 撮影者と背後の風景を一緒に写し込める簡易カメラ保持具
KR100631327B1 (ko) 모든 방향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CN206272676U (zh) 一种方便调整的手机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