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437A - 전동셀카봉 - Google Patents

전동셀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437A
KR20160099437A KR1020150037648A KR20150037648A KR20160099437A KR 20160099437 A KR20160099437 A KR 20160099437A KR 1020150037648 A KR1020150037648 A KR 1020150037648A KR 20150037648 A KR20150037648 A KR 20150037648A KR 20160099437 A KR20160099437 A KR 20160099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main body
actuator
po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표
Original Assignee
김용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표 filed Critical 김용표
Publication of KR20160099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동셀카봉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동셀카봉은 외주면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관체로 형성되는 본체케이스; 다단안테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어 다수의 폴대들이 상기 본체케이스에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케이스에서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폴대부재; 상기 폴대부재의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관절부; 상기 힌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촬영수단이 지지되는 홀더부;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부재의 길이를 전동식으로 자동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제1액츄에이터; 및,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셀카봉{ELECTRIC MONOPOD FOR SELF-CAMERA}
본 발명은 전동셀카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폴대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카란 영어의 한국식 표현인 셀프 카메라(self camera)를 줄여 이른 신조어로서, 자신이 직접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디카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등의 촬영기능을 갖는 촬영수단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하여 자신을 피사체로 촬영하는 것으로, 영어 표현으로는 셀피(selfie)라고 한다.
종래에는 셀카를 찍을 때 촬영수단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잡고 팔을 뻗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였으나, 이런 경우 머리나 상반신만 크게 나오고 뒷배경을 나오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다단안테나 형태로 길이조절한 셀카봉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셀카봉은 모노포드(monopod)나 셀카스틱이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종래의 셀카봉은 촬영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폴대와, 이 폴대의 끝단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스마트폰과 같은 촬영수단이 거치되는 홀더로 구성되어, 홀더에 스마트폰을 장착하고, 복수의 폴대를 적절하게 신장시킨 다음, 손잡이를 잡아서 셀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셀카봉은 복수의 폴대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잡아빼서 신장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스마트폰이 장착된 홀더의 각도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셀카봉을 이용해 셀카를 찍을 때, 밤과 같이 어둡거나 조도가 낮은 장소에서 촬영을 할 경우, 스마트폰에 구비된 플래쉬만으로는 제대로 양질의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5741호 대한민국 등록디자인 30-062969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5-000042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폴대길이를 전동식으로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진동셀카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수단을 거치하는 홀더의 각도를 전동식으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를 갖는 진동셀카봉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래쉬모듈을 구비하여 조도가 낮은 환경에서 양질의 촬상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형태의 전동셀카봉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동셀카봉은 외주면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관체로 형성되는 본체케이스; 다단안테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어 다수의 폴대들이 상기 본체케이스에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케이스에서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폴대부재; 상기 폴대부재의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관절부; 상기 힌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촬영수단이 지지되는 홀더부;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부재의 길이를 전동식으로 자동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제1액츄에이터; 및,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액츄에이터는,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보빈;일단은 상기 폴대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보빈에 권취되거나 권출되면서 상기 폴대부재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액츄에이터는,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보빈; 본체케이스의 상면 외측과, 상기 다수의 폴대 중 최상단의 폴대를 제외한 나머지 폴대의 상면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롤러; 플레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줄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상기 보빈에 일방향으로 권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롤러 각각을 "∩" 로 감싸도록 지나고 인접한 상기 다수의 폴대의 하단을 관통하며, 상단은 상기 다수의 폴대 중 최상단 폴대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제1줄부재; 및, 플레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줄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상기 제1줄부재와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보빈에 권취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폴대의 하단을 관통하고, 상단은 상기 다수의 폴대 중 최상단 폴대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제2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줄부재 또는 상기 제2줄부재가 상기 보빈에 감기게 되며, 상기 제1줄부재가 상기 보빈에 감길 경우, 상기 다수의 폴대가 신장하고, 상기 제2줄부재가 상기 보빈에 감길 경우, 상기 다수의 폴대가 수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롤러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면 외측과, 상기 다수의 폴대 중 최상단의 폴대를 최외한 나머지 폴대의 상면 외측에 각각 형성된 제1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폴대의 하단 각각에는 상기 제1줄부재가 통과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폴대의 하단 각각에는 상기 제2줄부재가 통과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에는 상기 제1줄부재가 사이로 통과되게 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부재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전후각도를 전동식으로 자동조절하는 제2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재를 전후로 회동시키는 제2모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힌지부재의 측방으로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과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절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촬영시 빛을 발광하도록 설치되는 플래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레쉬모듈의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폴대 각각의 단면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액츄에이터, 상기 제2액츄에이터 및 상기 플래쉬모듈에 인가하기 위한 전원을 상기 촬영수단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기 제1액츄에이터, 상기 제2액츄에이터 및 상기 플래쉬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1소켓단자; 및, 전선과, 상기 전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소켓단자와 접속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핀단자와, 상기 전선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촬영수단에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제2핀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제1소켓단자와 상기 촬영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전원연결코드;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액츄에이터, 상기 제2액츄에이터 및 상기 플래쉬모듈에 전원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는 건전지 장착부와, 상기 건전지 장착부에 설치되는 건전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동셀카봉은 외주면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관체로 형성되는 본체케이스; 다단안테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어 다수의 폴대들이 상기 본체케이스에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케이스에서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폴대부재; 상기 폴대부재의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관절부; 상기 힌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촬영수단이 지지되는 홀더부;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부재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전후각도를 전동식으로 자동조절하는 제2액츄에이터;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재를 전후로 회동시키는 제2모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힌지부재의 측방으로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과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셀카봉은 외주면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관체로 형성되는 본체케이스; 다단안테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어 다수의 폴대들이 상기 본체케이스에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케이스에서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폴대부재; 상기 폴대부재의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관절부; 상기 힌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촬영수단이 지지되는 홀더부; 상기 관절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촬영시 빛을 발광하도록 설치되는 플래쉬모듈;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래쉬모듈를 온/오프시키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폴대부재를 수동으로 늘이거나 줄이는 번거로움없이 간단한 버튼조작을 통해 자동으로 폴대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셀카를 찍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버튼조작을 통해 홀더부에 고정된 촬영수단(스마트폰 등)의 전후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수동으로 관절부를 꺾어줄 필요없이 손쉽게 자동으로 촬영각도를 조절하여 편리하고 신속한 셀카를 찍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수단(스마트폰 등)에 플래쉬기능이 없거나 플래쉬기능이 있더라도 성능이 부족할 때, 셀카봉에 구비된 플래쉬모듈을 간단하게 조작해 작동시켜 줌으로써 주변을 밝게하여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전지를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는 촬영수단(스마트폰 등)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언제어디서든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오랫동안 셀카를 찍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셀카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더부의 그립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셀카봉의 폴대부재가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동셀카봉에서 본체케이스 내에 설치된 제1액츄에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전동셀카봉에서 고정부재에 설치된 제2액츄에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전동셀카봉의 본체케이스에 형성된 건전지장착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셀카봉의 제어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셀카봉의 사용을 위해 스마트폰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전동셀카봉에서 제1액츄에이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서 회전핀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셀카봉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셀카봉은 본체케이스(100), 폴대부재(200), 관절부(300), 홀더부(400), 제1액츄에이터(510), 제2액츄에이터(520), 플래쉬모듈(550), 조작부(560)를 포함한다.
본체케이스(100)은 전방이 개방된 원형관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폴대부재(200)는 복수의 폴대(210,212,214,216,218)로 구성되어, 본체케이스(100) 내에 인입되거나, 본체케이스(10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도 3과 같이 길이가 신장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체케이스(100)에 폴대부재(200)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구조는 통상의 셀카봉과 같이 통상의 다단안테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폴대(210,212,214,216,218)들의 각각의 단면은 타원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각각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관절부(300)는 고정부재(310)와 힌지부재(320)로 구성된다. 고정부재(310)는 폴대부재(200)의 끝단 즉, 폴대(210,212,214,216,218)들 중 최상단에 위치한 폴대(216)의 끝단에 고정설치되며, 힌지부재(320)는 고정부재(310)의 절개홈(316)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관절부(300)는 통상의 셀카봉(모노포드)나 삼각대(트라이포드)등에 적용된 볼헤드구조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노브(318)의 조작에 따라 힌지부재(320)의 각도가 고정될 수 있으며, 힌지부재(320)의 상단에는 홀더부(400)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브라켓(325)이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브라켓(325)은 통상의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해 삼각대 상부에 형성된 나사방식의 결합브라켓의 구조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관절부(300)가 볼헤드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부재(320)가 고정부재(310)에 대해 전후각도 조절가능할 수 있으면, 그 외의 여타 셀카봉이나 삼각대의 힌지구조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홀더부(400)는 스마트폰과 같은 촬영수단(p)을 거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홀더부(400)는 "ㄷ"형태로 형성되어 본체판(410)의 양단에 형성된제1그립부(420) 및 제2그립부(430)가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제1그립부(420) 및 제2그립부(430) 사이에 촬영수단(p)이 가압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판(410)의 일단에는 제1그립부(4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제2그립부(430)는 슬라이딩바(435)를 구비하여, 이 슬라이딩바(435)가 본체판(41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본체판(410)의 내부에는 제2그립부(430)가 제1그립부(420)를 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탄성수단(미도시)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에서는 홀더부(400)가 "ㄷ"형태로 형성되어 제1그립부(420)와 제2그립부(430)가 촬영수단(p)을 잡아 고정하는 구성이라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스마트폰 거치대와 같이 빨래집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한, 일면에 스마트폰을 부착할 수 있는 접착겔을 구비한 판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 되어도 무방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액츄에이터(510)는 본체케이스(100) 내에 설치되어 전동식으로 홀대부재(200)의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액츄에이터(510)는 차량에 장착되는 자동안테나 구조와 같이, 제1모터(511), 보빈(513) 및, 와이어(515)를 포함한다.
제1모터(511)는 본체케이스(100) 내에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빈(513)은 제1모터(511)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와이어(515)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된다.
와이어(515)는 일단은 폴대부재(200)의 끝단에 고정하고, 타단은 보빈(513)에 고정하여, 제1모터(51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보빈(513)에 와이어(515)가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와이어(515)가 보빈(513)에서 풀릴 경우, 와이어(515)가 펴지면서 폴대부재(200)를 밀어올려 폴대부재(200)가 신장되게 하고, 와이어(515)가 보빈(513)에 감길 경우, 폴대부재(200)를 끌어당겨 신축되게 한다.
한편, 상기에서 제1액츄에이터(510)는 제1모터(511), 보빈(513) 및 와이어(515)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형태의 차량 자동안테나 구조와 같이,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랙기어와, 이 랙기어와 맞물려 이동하여 폴대부재를 밀거나 당겨서 폴대부재를 신축시키는 랙로프를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액츄에이터(520)는 폴더부재(200)에 대한 홀더부(400)의 전후각도를 전동식으로 자동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제2액츄에이터(520)는 제2모터(521), 연결축(523), 동력전달수단(525,526)을 포함한다.
제2모터(521)는 고정부재(310) 내에 설치되며, 연결축(523)은 힌지부재(320)의 하단 일측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고정부재(310)를 관통하여 고정부재(310) 내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동력전달수단(525,526)은 베벨기어형태로 구성되어, 각각의 구성이 각각의 기어(525,526)가 제2모터(521)의 회전축 및 연결축(523)에 고정설치되며,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제2모터(52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힌지부재(320)가 고정부재(3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플래쉬모듈(550)은 촬영시 발광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플래쉬모듈(550)로 구성되며, 고정부재(310)의 외주면 전방에 고정설치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작부(560)는 제1액츄에이터(510), 제2액츄에이터(520) 및 프레쉬모듈(5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본체(100)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560)는 길이조절버튼(561), 각도조절버튼(564), 플래쉬버튼(565)을 포함한다.
길이조절버튼(561)은 신장버튼(562)과 수축버튼(563)으로 구성되며, 제1액츄에이터(510)의 제1모터(5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모터(511)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한다. 신장버튼(562)을 누르면, 제1모터(511)가 정회전하여 폴대부재(200)가 신장하고, 수축버튼(563)을 누르면, 제1모터(511)가 역회전하여 폴대부재(200)가 수축하게 된다.
각도조절버튼(564)은 롤러형 버튼으로 구성되며, 제2액츄에이터(510)의 제2모터(5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모터(521)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한다. 각도조절버튼(564)을 상방향으로 돌리면, 제2모터(521)가 정회전하여 힌지부재(320)가 고정부재(310)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되게 되며, 각도조절버튼(564)을 하방향으로 돌리면, 제2모터(521)가 역회전하여 힌지부재(320)가 고정부재(310)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된다.
플래쉬버튼(565)는 플래쉬모듈(5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플래쉬모듈(550)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킨다. 플래쉬버튼(565)을 한번 누르면 플래쉬모듈(550)에 전원이 인가되어 플래쉬모듈(565)이 발광하게 되고, 다시 누르면 플래쉬모듈(550)의 전원 인가가 정지되어 플래쉬모듈(565)이 작동이 정지되게 된다.
상기에서, 길이조절버튼(561), 각도조절버튼(564), 플래쉬버튼(565)등은 그 형태가 누름식 버튼, 롤러형 버튼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버튼부(560)의 조작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510), 제2액츄에이터(520), 플래쉬모듈(55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60)를 포함한다.
제어부(570)는 본체케이스(100)에 내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1모터(511), 제2모터(521), 플래쉬모듈(550) 및 버튼부(5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버튼부(560)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570)가 제1모터(511), 제2모터(521) 및 플래쉬모듈(5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모터(511), 제2모터(521), 플래쉬모듈(550), 제어부(570) 등 전기를 필요하는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530,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30,540)는 건전지(c)의 전원을 이용하기 위한 제1전원공급부(530)와 스마트폰(p)의 배터리전원을 사용하는 제2전원공급부(54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전원공급부(530)는 본체케이스(100)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건전지 안착부(531)와, 이 건전지안착부(531)에 삽입되는 건전지(c)와, 상기 안착부(531)의 개방부(535)를 막는 마개(535)로 구성된다.
안착부(531)의 후단내주면에는 암나사산(532)이 형성되고, 마개(535)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536)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535)는 안착부(531)에 나사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건전지 안착부(531)에 건전지(c)가 삽입된 경우, 건전지(c)의 전원이 제어부(570)를 통해 제1모터(511), 제2모터(521), 플래쉬모듈(550)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전원공급부(540)는 고정부재(3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소켓단자(541)와, 이 제1소켓단자(541)와 스마트폰(p)의 접속단자를 연결하는 전원연결코드(542)를 포함한다. 전원연결코드(542)는 전선(543)과, 이 전선(543)의 양측에 연결된 제1핀단자(544) 및 제2핀단자(545)로 구성된다. 제1핀단자(544)는 제1소켓단자(541)에 접속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제2핀단자(545)는 스마트폰(p)의 접속단자와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소켓단자(541)는 제어부(5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연결코드(542)를 이용해 제1소켓단자(541)와 스마트폰(p)의 접속단자를 연결할 경우, 스마트폰(p)의 배터리전원이 제어부(570)를 통해 제1모터(511), 제2모터(521), 플래쉬모듈(550)에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570)는 건전지를 이용한 제1전원공급부(540)의 전원이 소진된 경우, 제2전원공급부(540)를 통해 스마트폰(p)의 배터리전원이 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제1전원공급부(530) 및 제2전원공급부(540)가 둘다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전원공급부(530)만이 설치되거나 제2전원공급부(540)만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570)는 마이콤과 같은 칩을 갖는 인쇄회로기판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튼부(560)의 조작에 따라 전원공급부(530,540), 제1모터(511), 제2모터(521), 플래쉬모듈(550)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며,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없이 간단한 전기회로구성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셀카봉의 사용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제2그립부(430)를 제1그립부(420)에서 멀어지도록 벌린 다음, 그 사이에 스마트폰(p, 도 8참조)를 배치한 다음, 외력을 제거하면 제2그립부(430)가 제1그립부(420)로 이동하여, 제1그립부(420 및 제2그립부(430)에 의해 스마트폰(p)이 거치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p)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원연결코드(542)를 이용해 소켓단자(541)와 스마트폰(p) 단자를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560)의 길이조절버튼(561)의 신장버튼(562)을 누르면, 제1모터(511)가 구동되어 폴대부재(200)가 도 8과 같이 신장되게 된다. 사용자는 신장버튼(562) 및 수축버튼(563)을 조작해 폴대부재(20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각도조절버튼(564)을 조작하면, 제2모터(512)가 가동되어 폴대부재(200)에 대한 홀더부(400)의 전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도조절버튼(564)을 통해 스마트폰(p)의 화면에 보여지는 촬상영상을 확인하면서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촬영시 주변환경이 어두운 경우, 플래쉬버튼(565)을 눌러, 플래쉬모듈(550)을 발광시켜 조도를 올려준 상태에서 양질의 촬영을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수동으로 폴더부재(200)를 늘이거나 줄일 필요 없이, 길이조절버튼(561)을 조작하여 자동으로 폴더부재(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셀카를 찍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도조절버튼(564)을 조작해 폴대부재(200)에 대한 홀더부(400)의 전후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편리게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래쉬버튼(565)을 조작해, 플래쉬모듈(550)을 발광시켜 주변환경을 밝게하여 양질의 촬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스마트폰(p)의 배터리전원을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오랫동안 셀카를 찍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원공급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전동셀카봉은 본체케이스(100)의 외주면 일측에 셔터버튼이 구비되고, 전원공급코드(542)가 신호선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셔터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 스마트폰(p)이 셔터동작하여 촬영이 이루어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액츄에이터(5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모터(511), 보빈(513) 및 와이어(515)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 1 액츄에이터(600)는 간단한 구조를 갖으면서도 용이하고 정확한 폴대부재(2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액츄에이터(600)는 제1모터(601), 보빈(603), 제1가이드롤러(612), 제1줄부재(622), 제2줄부재(62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모터(601)는 본체케이스(100) 내에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빈(603)은 제1모터(601)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제1권취홈(604)과 제2권취홈(605)이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롤러(612)는 본체케이스(100)의 상면 외측과, 폴대부재(200) 중 최상단의 폴대부재(200) 중 최상단의 폴대(218)를 제외한 나머지 폴대(210,212,214,216) 각각의 상면 외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롤러(621)는 본체케이스(100)의 상면 외측에 관통형성된 제1관통공(6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도11참조).
또한, 같은 방식으로 제1가이드롤러(621)는 최상단의 폴대(218)를 제외한 나머지 폴대(210,212,214,216) 각각의 상면 외측에 형성된 제1관통공(6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줄부재(622) 및 제2줄부재(624)는 낚시줄과 같은 플레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줄로 이루어진다.
제1줄부재(622)는 하단부가 제1권취홈(604)에 시계방향(CW)으로 권취되어 있고, 상단은 최상단의 폴대(218)의 내측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중간부분은 각각의 제1가이드롤러(621)를 "∩" 로 감싸도록 지나서 인접한 폴대(210,212,214,216,218)의 하단을 관통한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줄부재(622)는 하단부가 제1권취홈(604)에 시계방향(CW)으로 귄취된 상태에서, 본체케이스(100) 상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롤러(621)에 "∩"형태로 감기고, 1단 폴대(210)의 하단을 관통하고, 1단 폴대(210)의 상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롤러(621)에 "∩"형태로 감기고, 2단 폴대(212)의 하단을 관통하고, 2단 폴대(212)의 상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롤러(621)에 "∩"형태로 감기고, 3단 폴대(214)의 하단을 관통하고, 3단 폴대(214)의 상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롤러(621)에 "∩"형태로 감기고, 3단 폴대(214)의 하단을 관통하고, 3단 폴대(214)의 상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롤러(621)에 "∩"형태로 감기고, 4단 폴대(216)의 하단을 관통하고, 4단 폴대(216)의 상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롤러(621)에 "∩"형태로 감기고, 최상단 폴대(218)의 하단을 관통한 다음, 최상단폴대(218)의 상단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각 폴대(210,212,214,216,218)의 하단에는 제1줄부재(622)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216)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이 제2관통공(216)에는 한 쌍의 제2가이드롤러(61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줄부재(622)가 한 쌍의 제2가이드롤러(616)를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관통공(216)들은 각 폴대(210,212,214,216,218)의 하단 외측(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줄부재(624)는 하단부가 제2권취홈(605)에 반시계방향(CCW)으로 권취되어 있고, 각 폴대(210,212,214,216,218)의 하단을 관통하고, 상단은 최상단폴대(218)의 상단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각 폴대(210,212,214,216,218)의 하단에는 제2줄부재(624)가 관통되는 제3관통공(21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제3관통공(218)은 각 폴대(210,212,214,216,218)의 하단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줄부재(622) 및 제2줄부재(624) 각각의 하단부는 보빈(603)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으면 된다. 이에 따라, 제1줄부재(622)의 하단부가 보빈(603)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있고, 제2줄부재(624)의 하단부가 보빈(603)에 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제1모터(60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줄부재(603)는 보빈(603)의 제1권취홈(604)에 더 감기게 되고, 보빈(603)에 반시계방향으로 감겨 있는 제2줄부재(603)는 풀리게 된다.
제1줄부재(622)가 보빈(603)에 감기게 됨에 따라,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줄부재(622)가 본체케이스(100)에 대해 1단 폴대(210)의 하부를 밀어 위로 올리고, 동일한 방식으로, 제1줄부재(622)가 1단 폴대(210)에 대해 2단 폴대(212)를, 2단 폴대(212)에 대해 3단 폴대(214)를, 3단 폴대(214)에 대해 4단 폴대(216)를 4단 폴대(216)에 대해 5단 폴대(218)를 밀어 위로 올려줌으로써, 도 9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에 대해 각 폴대(210,212,212,214,216,218)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반대로,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제1모터(60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줄부재(603)는 보빈(603)에서 풀리게되고, 제2줄부재(624)는 보빈(603)에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줄부재(624)가 보빈(603)에 감기게 됨에 따라, 제2줄부재(624)가 최상단 포대(218)부터 잡아당기면서 각 폴대(210,212,214,216,218)가 수축하여 길이가 줄어들고, 결국 폴대부재(200)가 본체케이스(100)에 인입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액츄에이터(600)는 제1모터(60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1줄부재(622)가 보빈(603)에 감기고 제2줄부재(624)는 보빈(603)에서 풀리게 되거나, 제2줄부재(624)는 보빈(603에 감기고 제1줄부재(622)는 보빈(603)에서 풀리게 됨으로본체케이스(100)에 대해 폴대부재(200)가 신장하거나 수축되므로, 별도의 브레이크 부재를 설치할 필요 없이 폴대부재(200)의 정교한 신장과 수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모터(601)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줄부재(622)가 보빈(603)에 감기면서 폴대부재(200)가 신장될 경우, 제2줄부재(624)는 제1줄부재(622)가 감기는 만큼만 풀리게 되므로, 제1모터(601)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폴대부재(200)의 신장이 멈추게 된다. 반대로, 제2모터(601)를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줄부재(624)가 보빈(603)에 감기면서 폴대부재(200)가 수축될 경우, 제1줄부재(622)는 제2줄부재(624)가 감기는 만큼만 풀리게 되므로, 제1모터(601)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폴대부재(200)의 수축이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부(560)를 조작하여 폴대부재(200)를 용이하게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길이만큼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본체케이스
200...폴대부재
210,212,214,216,218...복수의 폴대
300...관절부
310...고정부재
320...힌지부재
400...홀더부
510...제1액츄에이터
520...제2액츄에이터
530...제1전원공급부
540...제2전원공급부
550...플래쉬모듈
560...조작부
570...제어부
600...제1액츄에이터
601...제1모터
603...보빈
604...제1권취홈
605...제2권취홈
610...제1관통공
612...제1가이드롤러
614...제2관통공
616...제2가이드롤러
618...제3관통공
622...제1줄부재
624...제2줄부재

Claims (16)

  1. 외주면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관체로 형성되는 본체케이스;
    다단안테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어 다수의 폴대들이 상기 본체케이스에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케이스에서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폴대부재;
    상기 폴대부재의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관절부;
    상기 힌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촬영수단이 지지되는 홀더부;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부재의 길이를 전동식으로 자동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제1액츄에이터;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츄에이터는,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보빈;
    일단은 상기 폴대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보빈에 권취되거나 권출되면서 상기 폴대부재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츄에이터는,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보빈;
    본체케이스의 상면 외측과, 상기 다수의 폴대 중 최상단의 폴대를 제외한 나머지 폴대의 상면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롤러;
    플레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줄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상기 보빈에 일방향으로 권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롤러 각각을 "∩" 로 감싸도록 지나고 인접한 상기 다수의 폴대의 하단을 관통하며, 상단은 상기 다수의 폴대 중 최상단 폴대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제1줄부재; 및,
    플레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줄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상기 제1줄부재와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보빈에 권취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폴대의 하단을 관통하고, 상단은 상기 다수의 폴대 중 최상단 폴대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제2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줄부재 또는 상기 제2줄부재가 상기 보빈에 감기게 되며, 상기 제1줄부재가 상기 보빈에 감길 경우, 상기 다수의 폴대가 신장하고, 상기 제2줄부재가 상기 보빈에 감길 경우, 상기 다수의 폴대가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롤러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면 외측과, 상기 다수의 폴대 중 최상단의 폴대를 최외한 나머지 폴대의 상면 외측에 각각 형성된 제1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폴대의 하단 각각에는 상기 제1줄부재가 통과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폴대의 하단 각각에는 상기 제2줄부재가 통과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에는 상기 제1줄부재가 사이로 통과되게 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부재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전후각도를 전동식으로 자동조절하는 제2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재를 전후로 회동시키는 제2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힌지부재의 측방으로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과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촬영시 빛을 발광하도록 설치되는 플래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레쉬모듈의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폴대 각각의 단면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츄에이터, 상기 제2액츄에이터 및 상기 플래쉬모듈에 인가하기 위한 전원을 상기 촬영수단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기 제1액츄에이터, 상기 제2액츄에이터 및 상기 플래쉬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1소켓단자; 및,
    전선과, 상기 전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소켓단자와 접속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핀단자와, 상기 전선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촬영수단에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제2핀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제1소켓단자와 상기 촬영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전원연결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츄에이터, 상기 제2액츄에이터 및 상기 플래쉬모듈에 전원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는 건전지 장착부와, 상기 건전지 장착부에 설치되는 건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13. 외주면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관체로 형성되는 본체케이스;
    다단안테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어 다수의 폴대들이 상기 본체케이스에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케이스에서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폴대부재;
    상기 폴대부재의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관절부;
    상기 힌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촬영수단이 지지되는 홀더부;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폴대부재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전후각도를 전동식으로 자동조절하는 제2액츄에이터;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재를 전후로 회동시키는 제2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는,
    상기 힌지부재의 측방으로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과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16. 외주면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관체로 형성되는 본체케이스;
    다단안테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어 다수의 폴대들이 상기 본체케이스에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케이스에서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폴대부재;
    상기 폴대부재의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관절부;
    상기 힌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촬영수단이 지지되는 홀더부;
    상기 관절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촬영시 빛을 발광하도록 설치되는 플래쉬모듈;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래쉬모듈를 온/오프시키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셀카봉.

KR1020150037648A 2015-02-12 2015-03-18 전동셀카봉 KR201600994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1664A KR20150028277A (ko) 2015-02-12 2015-02-12 전동셀카봉
KR1020150021664 2015-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437A true KR20160099437A (ko) 2016-08-22

Family

ID=530232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21664A KR20150028277A (ko) 2015-02-12 2015-02-12 전동셀카봉
KR1020150037648A KR20160099437A (ko) 2015-02-12 2015-03-18 전동셀카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21664A KR20150028277A (ko) 2015-02-12 2015-02-12 전동셀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28277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84A1 (ko) * 2016-08-31 2018-03-08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EP3316567A1 (en) * 2016-10-28 2018-05-02 Disney Enterprises, Inc. User interface aspects for a motorized monopod jib for cameras
KR20180083007A (ko) 2017-01-11 2018-07-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KR101948607B1 (ko) * 2018-08-29 2019-04-02 고운택 자유회전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기구
KR20190069027A (ko) * 2017-12-11 2019-06-19 장미희 계측기기용 마운트 및 스탠드
KR102042814B1 (ko) * 2018-11-05 2019-11-08 신영측기(주) 계측기기용 마운트 어셈블리
KR200490783Y1 (ko) * 2018-10-16 2020-01-03 신영측기(주) 미세회전이 가능한 계측기기용 마운트 어셈블리
US10551724B2 (en) 2014-02-04 2020-02-04 Disney Enterprises, Inc. Motorized monopod jib for cameras
US10583556B2 (en) 2017-06-30 2020-03-10 Disney Enterprises, Inc. Motion stabilization on a motorized monopod jib
US10642130B2 (en) 2015-02-20 2020-05-05 Disney Enterprises, Inc. Motorized monopod jib for cameras
KR102155673B1 (ko) * 2020-02-04 2020-09-14 김도영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KR20210017219A (ko) * 2019-08-07 2021-02-17 이영삼 길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감지모듈 시험 장치
KR20230011124A (ko) * 2021-07-13 2023-01-20 손지혜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하는 다기능 셀카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5505A (en) * 2015-02-19 2016-08-24 David Leahy Brian A handheld device for recording digital images
KR101712724B1 (ko) * 2015-03-25 2017-03-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기기 거치대
WO2016190674A1 (ko) * 2015-05-26 2016-12-01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KR101711534B1 (ko) * 2015-06-12 2017-03-02 홍성은 각도 조절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용 스틱
US10414332B2 (en) 2015-10-22 2019-09-17 Bong Cheol Kim Vehicle emergency safety device using selfie stick
KR101712424B1 (ko) * 2015-10-22 2017-03-06 김봉철 쎌카봉을 이용한 차량비상안전장치
KR101867928B1 (ko) * 2015-11-17 2018-07-23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KR200484029Y1 (ko) 2016-01-07 2017-07-24 박민수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CN107466379B (zh) * 2016-04-15 2020-03-31 深圳市大疆灵眸科技有限公司 装配组件、手持云台结构及拍摄装置
CN107426375A (zh) * 2016-05-24 2017-12-01 华东交通大学 一种多功能自拍杆
KR101899104B1 (ko) * 2016-11-01 2018-09-14 노지열 카메라 지지 장치
KR20180060668A (ko) * 2016-11-29 2018-06-07 심기용 매몰자 탐지기
KR101907895B1 (ko) * 2016-12-23 2018-10-16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JP6852244B2 (ja) 2017-07-31 2021-03-31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オスモ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Osmo Technology Co., Ltd. 雲台撮影器
KR101964464B1 (ko) * 2017-08-24 2019-04-01 김태완 새우 껍질 제거봉
KR102202653B1 (ko) * 2019-02-18 2021-01-12 박재성 전동식 텔레스코픽형 길이조절 기구
KR102233471B1 (ko) * 2020-05-19 2021-03-29 주식회사 케이씨 가스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691B1 (ko) 2004-10-30 2006-09-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475741Y1 (ko) 2014-07-22 2014-12-29 김기동 셀카 스틱
KR20150000421U (ko) 2014-12-04 2015-01-27 백동호 셀프카메라용 보조 기구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691B1 (ko) 2004-10-30 2006-09-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475741Y1 (ko) 2014-07-22 2014-12-29 김기동 셀카 스틱
KR20150000421U (ko) 2014-12-04 2015-01-27 백동호 셀프카메라용 보조 기구봉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1724B2 (en) 2014-02-04 2020-02-04 Disney Enterprises, Inc. Motorized monopod jib for cameras
US10642130B2 (en) 2015-02-20 2020-05-05 Disney Enterprises, Inc. Motorized monopod jib for cameras
WO2018044084A1 (ko) * 2016-08-31 2018-03-08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547773B2 (en) 2016-10-28 2020-01-28 Disney Enterprises, Inc. User interface aspects for a motorized monopod jib for cameras
EP3316567A1 (en) * 2016-10-28 2018-05-02 Disney Enterprises, Inc. User interface aspects for a motorized monopod jib for cameras
CN108006404A (zh) * 2016-10-28 2018-05-08 迪斯尼实业公司 用于相机的电动型独脚架摇臂的用户界面的各方面
KR20180083007A (ko) 2017-01-11 2018-07-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US10583556B2 (en) 2017-06-30 2020-03-10 Disney Enterprises, Inc. Motion stabilization on a motorized monopod jib
KR20190069027A (ko) * 2017-12-11 2019-06-19 장미희 계측기기용 마운트 및 스탠드
KR101948607B1 (ko) * 2018-08-29 2019-04-02 고운택 자유회전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기구
KR200490783Y1 (ko) * 2018-10-16 2020-01-03 신영측기(주) 미세회전이 가능한 계측기기용 마운트 어셈블리
KR102042814B1 (ko) * 2018-11-05 2019-11-08 신영측기(주) 계측기기용 마운트 어셈블리
KR20210017219A (ko) * 2019-08-07 2021-02-17 이영삼 길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감지모듈 시험 장치
KR102155673B1 (ko) * 2020-02-04 2020-09-14 김도영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KR20230011124A (ko) * 2021-07-13 2023-01-20 손지혜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하는 다기능 셀카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277A (ko) 2015-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9437A (ko) 전동셀카봉
EP3232649B1 (en) Flexible scre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sliding separably
KR20160130553A (ko) 상하한 검출기능이 구비된 자동 길이조절식 셀카봉
CN201152920Y (zh) 一种手持式照相机自拍支架
JP2012502312A (ja) 前後角度調節が機械的な操作によって微細に調整されるカメラ三角台用のボールヘッド
CN108426157A (zh) 手持云台及其夹持机构
US20190186679A1 (en) Support
KR20180024752A (ko) 셀프 촬영용 스틱
US11524802B2 (en) Binding machine
CN110326286A (zh) 便携式手柄
CN205579103U (zh) 一种线控自拍杆
CN208253143U (zh) 手持云台及其夹持机构
KR20160116091A (ko) 전자기기 거치대
WO2018126500A1 (zh) 自拍杆
KR10218732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
JP2011067381A (ja) 内視鏡装置
US20230044936A1 (en) Binding machine
US20210396028A1 (en) Binding machine
CN108685557B (zh) 内窥镜系统的手持端及内窥镜系统
KR20170046035A (ko) 전동형 길이조절장치
KR101711534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용 스틱
KR20150124817A (ko) 촬상장치 보조기구
JP2009008923A (ja) 情報収集用カメラ装置
CN215767386U (zh) 一种检测头可旋转的红外热像仪
CN206162034U (zh) 一种自拍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