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464B1 - 새우 껍질 제거봉 - Google Patents

새우 껍질 제거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464B1
KR101964464B1 KR1020170107519A KR20170107519A KR101964464B1 KR 101964464 B1 KR101964464 B1 KR 101964464B1 KR 1020170107519 A KR1020170107519 A KR 1020170107519A KR 20170107519 A KR20170107519 A KR 20170107519A KR 101964464 B1 KR101964464 B1 KR 101964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mp
fixing
binding
binding portion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972A (ko
Inventor
김태완
김태준
Original Assignee
김태완
김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완, 김태준 filed Critical 김태완
Priority to KR102017010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4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4Opening, shelling or peeling shellfish
    • A22C29/026Mechanically peeling and shelling shrimps, prawns or other soft-shelled crustacea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4Opening, shelling or peeling shellfish
    • A22C29/027Hand tools for shelling shell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우 껍질 제거봉에 관한 발명으로, 손잡이부, 다단으로 상호 인출입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부, 새우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새우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거치부에 고정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고정부 본체 및 고정부 본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착부를 포함하고, 결착부는 새우의 마디에 삽입되어 새우의 껍질의 내면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새우 껍질을 제거할 수 있고, 다양한 새우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껍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새우 껍질 제거봉{STICK TO REMOVE SHRIMP SHELL}
본 발명은 새우 껍질 제거봉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우 껍질 제거봉이 손잡이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부, 새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새우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거치부에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다단으로 꺾임 가능한 결착부를 포함하여, 새우 마디를 통해 삽입되어 새우 껍질 내면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새우 껍질을 제거할 수 있고, 다양한 새우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껍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새우(shrimp)란, 십각목 새우아목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이다. 새우의 종류는 약 2500종으로 보고 있으며, 크기가 작은 새우의 경우 통째로 먹게 되나, 크기가 큰 새우(예컨대 대하)의 경우 껍질을 제거하여 껍질 내의 살만 먹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새우 껍질은 딱딱하고, 살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아 소비자들이 새우 껍질을 제거하는 데 불편함을 겪었다. 이에, 새우 껍질을 제거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일 예로, 새우의 껍질의 중간 마디에 고정구를 삽입하여 껍질을 고정시키고, 고정구의 후방부에 위치된 껍질 및 고정구의 전방부에 위치된 껍질을 순차적으로 잡아 당겨 새우 껍질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새우 껍질을 손으로 잡는 과정에서 껍질의 날카로운 부분에 손이 벨 가능성이 있어 안전성의 문제가 있으며, 새우를 고정할 때 마다 손으로 새우를 잡게 되므로, 손에 냄새가 배어 소비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7657호
본 발명은 새우 껍질 제거봉에 관한 발명으로, 새우 껍질 제거봉이 손잡이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부, 새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새우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거치부에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다단으로 꺾임 가능한 결착부를 포함하여, 새우 마디를 통해 삽입되어 새우 껍질 내면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새우 껍질을 고정 및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비자의 안전성, 위생성 문제를 해결하고, 더불어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은 손잡이부, 다단으로 상호 인출입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부, 새우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새우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거치부에 고정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고정부 본체 및 고정부 본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착부를 포함하고, 결착부는 새우의 마디에 삽입되어 새우의 껍질의 내면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결착부의 하면에는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고, 고정부 본체의 내부에서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여, 결착부가 고정부 본체의 외부로 돌출 또는 내부로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결착부는 제1 결착부, 제2 결착부 및 제3 결착부를 포함하고, 제1 결착부 및 제2 결착부 사이에는 제2 결착부를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꺾이게 할 수 있는 제1 꺾임부가 형성되고, 제2 결착부 및 제3 결착부 사이에는 제3 결착부를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꺾이게 할 수 있는 제2 꺾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제1 꺾임부 및 제2 꺾임부는 자바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고정부 본체는 거치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고정부 본체의 내측면에는 마찰력 있는 소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제3 결착부는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마디부, 제1 마디부와 수직되도록 절곡되는 제2 마디부 및 제2 마디부와 수직되도록 절곡되는 제3 마디부를 포함하고, 제1 마디부 및 제3 마디부 사이의 공간에 새우의 껍질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폴대부로 인해, 사용자의 팔 길이 등 신체 조건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측면의 범용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고정부 및 하부 거치부가 측부에서 보았을 때 역 'ㄷ'자 형상을 구축하여 새우를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에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새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새우 껍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새우 껍질 제거봉 외부로 새우가 이탈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우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부 거치부와 하부 거치부가 새우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부 거치부의 하부 거치부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새우의 크기 측면에서 범용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고정부가 힌지 결합을 통해 회전하는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고정부의 내측면이 하부 거치부를 향하도록 접게 되고, 이로 인해 새우 껍질 제거봉 전체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본체의 내측면이 마찰력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고정부 본체의 내측면 부분에 마찰부가 형성되면 새우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대되어 새우 껍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새우가 이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꺾임부 및 제2 꺾임부를 기준으로 결착부가 다단으로 꺾일 수 있게 되어, 새우와 직접 맞닿는 제3 결착부가 위치될 수 있는 범위가 다양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새우의 마디에 제3 결착부를 삽입하고자 할 때, 새우마다 다른 마디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3 결착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만곡된 고정부 본체 및 돌출부로 인해 새우와 고정부 본체간 고정력이 상승되어 새우의 껍질을 제거하는 도중 새우가 이탈될 가능성이 낮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에 새우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일 지점에서의 거치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착부를 이용하여 새우 껍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고정부 본체에 새우가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에 새우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구성 요소 및 이에 따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은 손잡이부(100), 폴대부(200), 거치부(300) 및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을 파지하는 용도이다. 사용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부(100)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후술할 결착부(420)를 새우(10)의 마디(12)에 삽입하면 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00)의 구성으로 인해 휴대성이 증대되며, 접시에 놓고 새우(10)의 껍질(11)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폴대부(200)는 다단으로 상호 인출입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원하는 길이만큼 폴대부(200)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게 된다. 폴대부(200)의 길이에 따라서 거치부(300) 및 고정부(400)의 사용자로부터의 거리가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팔 길이 등 신체 조건에 대응하여 폴대부(200)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측면의 범용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거치부(300)는 하부 거치부(310), 연장 거치부(320), 상부 거치부(330)를 포함한다.
하부 거치부(310)는 폴대부(200)의 상부와 연결된다. 하부 거치부(310)는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하부 거치부(310)의 정면에는 한 쌍의 고정부(400) 중 새우 껍질 제거봉의 하부에 위치된 고정부(400)가 결합된다.
하부 거치부(310) 중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에는 새우(10)가 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고정부(400) 및 하부 거치부(310)가 측부에서 보았을 때 역 'ㄷ'자 형상을 구축하여 새우(10)를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에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새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새우 껍질(11)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새우 껍질 제거봉 외부로 새우(10)가 이탈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연장 거치부(320)는 하부 거치부(310)와 상부 거치부(330)를 잇는 역할을 한다. 연장 거치부(320)의 하부는 하부 거치부(3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가능하고, 연장 거치부(320)의 상부는 상부 거치부(330)의 하부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부 거치부(330)는 하부 거치부(310)를 기준으로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하게 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하부 거치부(310) 및 상부 거치부(330)가 맞닿아 새우 껍질 제거봉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편의성을 증대시킬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을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상부 거치부(330)를 잡아 당기게 되면, 하부 거치부(310) 내부의 연장 거치부(320)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여 상부 거치부(330) 및 연장 거치부(320)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부 거치부(330)의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새우(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부 거치부(330)와 하부 거치부(310)가 새우(10)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부 거치부(330)의 하부 거치부(310)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새우(10)의 크기 측면에서 범용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하부 거치부(310) 및 상부 거치부(330)의 정면(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에는 한 쌍의 고정부(400)가 각각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고정부(400)는 하부 거치부(310) 및 상부 거치부(330)와 각각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하부 거치부(310) 및 상부 거치부(330)는 도 2를 기준으로 x, z축이 이루는 평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한 쌍의 고정부(400) 중 도 2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된 고정부(400)는 하부 거치부(310)와 힌지 막대부(312)를 통해 연결되고, 힌지 막대부(312)는 하부 거치부(310)에 형성된 힌지부(311)와 연결된다. 또한, 상부에 위치된 고정부(400)는 상부 거치부(330)와 힌지 막대부(332)를 통해 연결되고, 힌지 막대부(332)는 상부 거치부(330)에 형성된 힌지부(331)와 연결된다. 한 쌍의 힌지 막대부(312, 332) 및 한 쌍의 힌지부(311, 331)는 각각 도면부호를 달리 하였으나, 이는 상부 및 하부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함이고, 형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한 쌍의 고정부(400)가 힌지 결합을 통해 회전하는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고정부(400)의 내측면이 하부 거치부(310)를 향하도록 접게 되고, 이로 인해 새우 껍질 제거봉 전체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일 지점에서의 거치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 요소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400)는 고정부 본체(410), 결착부(420) 및 마찰부(430)를 포함한다. 고정부 본체(410)는 도 3을 기준으로 외측부가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 본체(410)의 내부는 중공부(411)가 형성된다. 중공부(411)는 고정부 본체(4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 본체(410)의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이때, 중공부(411)의 일단부는 개방되어 결착부(420)가 고정부 본체(4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중공부(411)의 타단부는 폐쇄되어 결착부(420)가 중공부(411)의 일단부로만 돌출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고정부 본체(410)를 기준으로 결착부(420)가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한 소위 '서랍' 구조가 형성된다.
고정부 본체(410)의 중공부(411)에는 결착부(420)가 위치된다. 결착부(420)의 상세한 구조는 도 4 내지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결착부(420)는 고정부 본체(4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결착부(420)의 하면에는 고정부 본체(4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13)이 형성되고, 고정부 본체(410)의 내부의 중공부(411)에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13)이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맞물리게 되는 가이드 홈(4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413)이 형성된 결착부(420)는 고정부 본체(4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고정부 본체(410)의 외부로의 돌출 및 고정부 본체(410)의 내부로의 삽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결착부(420)를 고정부 본체(410) 내부에 보관하여 새우 껍질 제거봉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을 사용할 때에는 결착부(420)를 고정부 본체(410)의 외부로 잡아당길 수 있고, 결착부(420)가 슬라이딩 동작하여 고정부 본체(410)의 외부로 돌출되어 후술할 새우 껍질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고정부 본체(410)의 내부에 결착부(420)를 보관하게 되므로 외부 노출을 막고, 결착부(420)의 날카로운 부분으로 인한 신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정부 본체(410)의 내측면에는 마찰력 있는 소재로 형성된 마찰부(43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측면이라 함은, 도 3을 기준으로 고정부 본체(410)의 하면을 의미한다. 고정부 본체(410)는 새우(10)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새우(10)의 등 부분과 배 부분이 직접 맞닿게 되는 고정부 본체(410)의 내측면 부분에 마찰부(430)가 형성되면 새우(10)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대되어 새우 껍질(11)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새우(10)가 이탈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찰력 있는 소재라 함은, 일 예로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착부를 이용하여 새우 껍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결착부의 구성 요소, 효과 및 새우 껍질 제거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착부(420)는 제1 결착부(421), 제2 결착부(422) 및 제3 결착부(423)를 포함한다. 제1 결착부(421) 및 제2 결착부(422)는 고정부 본체(4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결착부(421) 중 고정부 본체(410)의 내부에서의 단면의 형상은 도 3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결착부(421)의 일 지점의 하면에는 가이드 레일(413)이 결합된다.
제1 결착부(421) 및 제2 결착부(422) 사이에는 제1 결착부(421) 및 제2 결착부(422)를 잇는 제1 꺾임부(424)가 형성된다. 또한, 제2 결착부(421) 및 제3 결착부(423) 사이에는 제2 결착부(421) 및 제3 결착부(423)를 잇는 제2 꺾임부(425)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결착부(421)-제1 꺾임부(424)-제2 결착부(422)-제2 꺾임부(425)-제3 결착부(423)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결착부(420)를 구성한다.
이때, 제2 결착부(422)는 제1 결착부(421)를 기준으로 제1 꺾임부(424)를 통해 꺾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새우(10)의 등 부분을 향하도록 고정부 본체(410)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꺾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꺾임부(424)는 자바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2 결착부(422)가 새우(10)의 등 부분을 향하도록 꺾여도, 본 발명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을 사용한 후에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제3 결착부(423)는 제2 결착부(422)를 기준으로 제2 꺾임부(425)를 통해 꺾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새우(10)의 등 부분을 향하도록 고정부 본체(410)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꺾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꺾임부(425) 또한, 제1 꺾임부(424)와 같이 자바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른 효과 또한 동일하다.
제1 꺾임부(424) 및 제2 꺾임부(425)를 기준으로, 결착부(420)가 다단으로 꺾일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새우(10)와 직접 맞닿는 제3 결착부(423)가 위치될 수 있는 범위가 다양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새우(10)의 마디(12)에 제3 결착부(423)를 삽입하고자 할 때, 새우(10)마다 다른 마디(12)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3 결착부(423)의 위치를 변경하여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3 결착부(423)는 제1 마디부(4231), 제2 마디부(4232) 및 제3 마디부(4233)를 포함한다. 제1 마디부(4231)는 고정부 본체(4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마디부(4232)는 제1 마디부(4231)와 수직되도록 절곡된다. 또한, 제3 마디부(4233)는 제2 마디부(4232)와 수직되도록 절곡된다. 이로 인해, 도 4와 같이 역 'ㄷ'자 형상이 이루어져, 제1 마디부(4231)와 제3 마디부(423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제3 결착부(423) 전체는 소위 '갈고리' 형상이 이루어진다.
제3 결착부(423)에 형상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새우 껍질(11) 제거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결착부(420) 전체를 고정부 본체(410)로부터 돌출시킨다. 사용자가 제3 결착부(423)를 잡아 당기게 되면, 결착부(420) 전체가 이어진 바, 고정부 본체(41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꺾임부(424) 및 제2 꺾임부(425)를 통해 제2 결착부(422) 및 제3 결착부(423)를 꺾고, 제3 결착부(423)를 새우(10)의 마디(12)에 삽입한다. 이때, 제3 결착부(423)의 '갈고리' 형상으로 인해, 제3 결착부(423) 중 제3 마디부(4233)가 새우 살(13)과 껍질(11) 내측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마디부(4231)가 껍질(11) 외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1 마디부(4231) 및 제3 마디부(4233) 사이의 공간에 새우(10)의 껍질(11)이 배치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제3 결착부(423) 전방 부분의 새우(10)(머리 쪽)는 고정부 본체(410) 및 제3 결착부(423)에 의해 고정되고, 제3 결착부(423) 후방 부분의 새우(10)(꼬리 쪽)는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제3 결착부(423)가 삽입되는 새우(10)의 마디(12)를 기준으로 후방 부분은 새우(10)의 껍질(11)만 분리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제3 결착부(423)가 삽입되는 새우(10)의 마디(12)를 기준으로 후방 부분의 새우(10)의 껍질(11)만을 잡아 당겨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결착부(420)를 고정부 본체(410) 내부로 삽입하여 원 상태로 복귀시키고, 새우(10)의 살(13) 부분을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제3 마디부(4233)가 새우(10)의 살(13)에 삽입된 것이 아니라, 새우(10)의 살(13)과 껍질(11) 사이에 배치되므로, 살(13)이 껍질(11)에 고정되지 않는 구조가 된다. 이로 인해, 새우(10)의 살(13) 부분을 잡아 당기게 되면, 고정부 본체(410)에 고정되어 남아 있는 새우(10)의 껍질(11)만 남겨 놓고 살(13)이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손쉽게 새우(10)의 껍질(11)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고정부 본체에 새우가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구성 요소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고정부 본체(410) 및 마찰부(430)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조를 지닌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우 껍질 제거봉의 고정부 본체(410a, 410b)는 내측면이 곡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고정부 본체(410a)의 내측면은 중심부가 상부로 상승되도록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 고정부 본체(410b)의 내측면 또한 중심부가 상부로 상승되도록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우(10)의 경우, 통상적으로 몸통부분이 반달모양으로 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본체(410)의 경우, 플랫한 형상인 바, 새우(10)의 몸통 부분과 맞닿는 면적이 적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본체(410a, 410b)의 경우, 휘어진 새우(10)의 몸통 부분과 대응되어 만곡되어 있으므로, 일 실시예에 비하여 새우(10)의 몸통 부분과 맞닿는 면적이 넓다. 즉, 접지 면적이 일 실시예에 비하여 넓은 것으로, 새우(10)와 고정부 본체(410a, 410b) 간 고정력이 상승되어 새우(10)의 껍질(11)을 제거하는 도중 새우(10)가 이탈될 가능성이 낮게 된다.
또한, 고정부 본체(410a, 410b)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부 본체(410a, 410b)의 길이 방향으로 톱니 형상의 돌출부(44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440)가 새우(10)의 껍질(11) 부분을 가압하게 되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430)보다 새우(10)의 껍질(11) 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새우(10)와 고정부 본체(410a, 410b) 간 고정력이 상승되어 새우(10)의 껍질(11)을 제거하는 도중 새우(10)가 이탈될 가능성이 낮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손잡이부 200…폴대부
300…거치부 310…하부 거치부
320…연장 거치부 330…상부 거치부
331…힌지부 332…힌지 막대부
400…고정부 410…고정부 본체
411…홀 412…가이드 홈
413…가이드 레일 420…결착부
421…제1 결착부 422…제2 결착부
423…제3 결착부 4231…제1 마디부
4232…제2 마디부 4233…제3 마디부
424…제1 꺾임부 425…제2 꺾임부

Claims (7)

  1. 손잡이부;
    다단으로 상호 인출입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부;
    새우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새우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상기 거치부에 고정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고정부 본체 및 상기 고정부 본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착부는 상기 새우의 마디에 삽입되어 상기 새우의 껍질의 내면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착부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여, 상기 결착부가 상기 고정부 본체의 외부로 돌출 또는 내부로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껍질 제거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제1 결착부, 제2 결착부 및 제3 결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착부 및 상기 제2 결착부 사이에는 상기 제2 결착부를 상기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꺾이게 할 수 있는 제1 꺾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착부 및 상기 제3 결착부 사이에는 상기 제3 결착부를 상기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꺾이게 할 수 있는 제2 꺾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껍질 제거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꺾임부 및 상기 제2 꺾임부는 자바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껍질 제거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본체는 상기 거치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껍질 제거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본체의 내측면에는,
    마찰력 있는 소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껍질 제거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착부는,
    상기 고정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마디부;
    상기 제1 마디부와 수직되도록 절곡되는 제2 마디부; 및
    상기 제2 마디부와 수직되도록 절곡되는 제3 마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디부 및 상기 제3 마디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새우의 상기 껍질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 껍질 제거봉.
KR1020170107519A 2017-08-24 2017-08-24 새우 껍질 제거봉 KR10196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519A KR101964464B1 (ko) 2017-08-24 2017-08-24 새우 껍질 제거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519A KR101964464B1 (ko) 2017-08-24 2017-08-24 새우 껍질 제거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72A KR20190021972A (ko) 2019-03-06
KR101964464B1 true KR101964464B1 (ko) 2019-04-01

Family

ID=6576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519A KR101964464B1 (ko) 2017-08-24 2017-08-24 새우 껍질 제거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713A (ko) 2019-11-11 2021-05-20 하재원 새우 껍질 제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6404B2 (ja) 2004-08-06 2008-09-10 株式会社加ト吉 エビの殻除去方法
JP2016192948A (ja) 2015-04-02 2016-11-17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エビの背わた取り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657B1 (ko) 2011-10-18 2013-05-24 김경배 새우 껍질제거기
KR20150028277A (ko) *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전동셀카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6404B2 (ja) 2004-08-06 2008-09-10 株式会社加ト吉 エビの殻除去方法
JP2016192948A (ja) 2015-04-02 2016-11-17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エビの背わた取り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713A (ko) 2019-11-11 2021-05-20 하재원 새우 껍질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72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2459B2 (ja) ノートブックコンピュータ用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のロッキング装置
TWI819080B (zh) 延伸機構及具有延伸機構之控制器
US7798581B2 (en) Fast detachable slide bracket
KR101964464B1 (ko) 새우 껍질 제거봉
EP1913837A2 (en) Book grip
US20140044482A1 (en) Latch for securing a compute node in a component storage rack
US7546753B1 (en) Key chain attachment and 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D548336S1 (en) Injection device
US5784830A (en) Fish hook removing devices
JP3905377B2 (ja) マイクロホンホルダー
US7789290B2 (en) Portfolio
KR101373632B1 (ko) 낚시용 뜰채
US9485980B1 (en) Fish hook removal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KR102161992B1 (ko)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NL1026102C2 (nl) Blokkeerinrichting voor eileiders, alsmede inbrenginrichting daarvoor.
JP6974625B2 (ja) 脱出用具収容部材
TW200536210A (en) Card board structure for electric connector
US20060272913A1 (en) Folding frame for a case
CN207410398U (zh) 一种自夹紧手机架结构
JP4092934B2 (ja) 綴じ具及びこれを用いたファイル
TWI304530B (ko)
JP4276508B2 (ja) ファイル用バインダの綴金具
JPH0139191Y2 (ko)
NL2007943C2 (nl) Inrichting voor het houden van een bril of dergelijke.
CN218564797U (zh) 一种夹持装置及拍摄辅助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