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992B1 -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1992B1 KR102161992B1 KR1020190064654A KR20190064654A KR102161992B1 KR 102161992 B1 KR102161992 B1 KR 102161992B1 KR 1020190064654 A KR1020190064654 A KR 1020190064654A KR 20190064654 A KR20190064654 A KR 20190064654A KR 102161992 B1 KR102161992 B1 KR 1021619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plug
- piston rod
- guide member
- withdraw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하단에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하단 중앙부에 인출부재 인출공이 형성되어 콘센트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가이드부재 고정홈이 형성되는 플러그 본체,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에 고정되고, 내부에 인출부재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인출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인출부재 인출공을 통해 상기 플러그 본체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출부재,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를 통해 피스톤 구조를 형성하고 사용자의 원클릭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 속에서 상기 인출부재가 피스톤 운동을 하여 상기 콘센트로부터 상기 플러그 본체를 들어 올려 탈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양손 혹은 한손으로 잡고 빼지 않아도 원터치로 간편하게 전기 플러그가 빠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끼어 있는 플러그를 양손 혹은 한손으로 쥐고 빼지 않더라도 버튼 누름에 의해 플러그가 빠지는 새로운 구조로 된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기구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플러그는 몸체에 복수 개, 예컨대 두 개의 핀이 고정되어 있고, 이 핀에 전선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플러그의 핀을 벽에 설치된 콘센트 또는 연결사용의 다단 콘센트에 꽂아서 전기 접속으로 전원이 연결된다. 이는 전기 기구를 사용 후에는 콘센트에 꽂혀 있는 플러그의 핀을 콘센트에서 빼냄으로써 전기 기구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빼고 끼워 넣는 조작에 불편함이 있고, 전선을 당기는 습성으로 인하여 내부 전선이 절단되는 폐단도 있다. 어떤 때는 핀을 빼기에 번거롭고 힘이 들어, 플러그를 꽂은 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력손실이 발생하여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선행기술들이 다수 제시되고 있다.
그 일예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0999호는 전기콘센트에 삽입된 전기플러그를 한 손만 사용하여 콘센트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고안한 전기플러그를 개시한다. 이러한 전기플러그는 상부에 양쪽으로 돌기한 손잡이와 옆부분에 통공된 실린더와 그 실린더 내부에 누름대를 갖춘 전기플러그의 몸체를 구상하여, 벽면 또는 기물에 부착되어 있는 전기콘센트나 고정되지 않은 이동식 전기콘센트의 단자공에 삽입된 전기플러그의 단자봉을 한 손으로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고안하여 한 손이 불편한 장애인게 특히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3167호는 플러그에 절개홈을 형성하고 일정두께의 플러그 탈거장치를 내입시켜 힌지축을 중심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적용하여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탈거할 때 사용자가 간단히 누름 작동함으로써 플러그를 좀더 손쉽고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지렛대를 이용한 플러그를 개시한다. 이러한 지렛대를 이용한 플러그는 내부에서 단자 일부와 전선 일부가 내입되어 상호 통전결합되어 고정되는 플러그 몸체, 상기 플러그가 전기 콘센트에 부착시 사용자가 누름부를 눌러 밀림부에 의해 콘센트를 밀어내어 지렛대의 원리로 플러그를 탈거하는 탈거장치, 및 상기 탈거장치가 내입되도록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센트에 끼어 있는 플러그를 양손 혹은 한손으로 쥐고 빼지 않더라도 버튼 누름에 의해 플러그가 빠지는 새로운 구조로 된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스톤의 원리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적은 힘만으로 피스톤이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밀어내어 간단히 탈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힌 상태에서 피스톤을 구속하고 사용자의 버튼 누름에 의해 피스톤의 구속을 풀어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자동 분리하도록 하는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는 하단에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하단 중앙부에 인출부재 인출공이 형성되어 콘센트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가이드부재 고정홈이 형성되는 플러그 본체,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에 고정되고, 내부에 인출부재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인출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인출부재 인출공을 통해 상기 플러그 본체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출부재,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를 통해 피스톤 구조를 형성하고 사용자의 원클릭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 속에서 상기 인출부재가 피스톤 운동을 하여 상기 콘센트로부터 상기 플러그 본체를 들어 올려 탈거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내부가 빈 중공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양측에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인출부재 가이드홈, 상기 실린더부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인출부재 관통공, 및 상기 실린더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외부에 걸쳐 결합되고, 하단에 상기 콘센트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평평한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단에 탄성부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상단 양측에 걸림편이 형성되는 피스톤 봉, 및 상기 피스톤 봉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단 커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 봉이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편이 상기 잠금부재에 걸림 체결되어 상기 잠금부재에 의해 상기 피스톤 봉의 이동이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고, 누름면과 상기 누름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면과 상기 테두리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러그 본체 결합면으로 이루어진 누름식 버튼부, 상기 플러그 본체에 힌지 연결되고, 힌지 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밀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피스톤 봉의 걸림편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편으로부터 이탈되는 잠금부, 및 상기 버튼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의 누름 작동시 상기 밀림 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밀림 돌기를 밀어 상기 힌지를 회동시키는 누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버튼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버튼부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커버 중 적어도 한쪽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밀림 돌기의 하부면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복귀 스프링과, 상기 밀림 돌기의 하부면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커버 중 적어도 한쪽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귀 스프링을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본체를 콘센트에 꽂는 경우 상기 피스톤 봉이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탄성부를 압축시키고 상기 피스톤 봉의 걸림편이 상기 잠금부재의 걸림턱에 걸려 상기 피스톤 봉이 이동하지 못하고 잠김 상태가 되고, 상기 버튼부의 누름면을 원클릭하면 상기 누름 돌기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밀림 돌기가 밀리면서 상기 밀림 돌기의 반대측에 있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편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피스톤 봉이 풀림 상태가 되고 상기 탄성부가 팽창하여 상기 피스톤 봉이 상기 플러그 본체 내부에서 본래 위치로 돌아가면서 상기 플러그 본체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는 콘센트에 끼어 있는 플러그를 양손 혹은 한손으로 쥐고 빼지 않더라도 버튼을 누르는 적은 힘으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탈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는 피스톤의 원리를 적용하여 피스톤이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밀어내어 간단히 탈거할 수 있고,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둔 채로 방치하는 일이 줄어들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는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힌 상태에서 피스톤을 구속하고 사용자의 버튼 누름에 의해 피스톤의 구속을 풀어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자동 분리할 수 있어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전기 플러그를 콘센트에 끼고 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의 요부를 설명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전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전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와 빼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a-5b는 도 1에 있는 잠금부재의 잠김 및 풀림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의 요부를 설명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전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전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와 빼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a-5b는 도 1에 있는 잠금부재의 잠김 및 풀림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의 요부를 설명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100)는 플러그 본체(110), 가이드부재(120), 인출부재(130) 및 잠금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본체(110)는 접속단자(111)와 전선(112)을 포함하고, 접속단자(111) 일부와 전선(112) 일부가 내입되어 상호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된다. 플러그 본체(110)는 일반적으로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절연물로 이루어져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 본체(110)는 하단(콘센트와 마주보는 부분)에 접속단자(111)가 구비되고 하단 중앙부에 인출부재 인출공(113)이 형성되어 콘센트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가이드부재 고정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본체(110)는 상단측 둘레에 손잡이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손잡이부(115)는 손으로 잡기 용이할 수 있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재질의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100)는 가이드부재(120)와 인출부재(130)를 통해 피스톤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원클릭에 의해 가이드부재(120) 속에서 인출부재(130)가 피스톤 운동을 하여 콘센트로부터 플러그 본체(110)를 들어올려 탈거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120)는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고 고정홈(114)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에서, 가이드부재(120)는 내부가 빈 중공의 원형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린더부(121), 실린더부(121)의 양측에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인출부재 가이드홈(122), 실린더부(121)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인출부재 관통공(123), 및 실린더부(121)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출부재(130)는 가이드홈(122)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인출공(113)을 통해 플러그 본체(110)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출부재(130)는 피스톤 봉(131)과, 피스톤 봉(131)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피스톤 봉(131)은 가이드부재(120)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123)을 통해 가이드부재(120)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 봉(131)은 하단에 콘센트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평평한 접촉면(131a)이 형성되고 상단에 탄성부 안착홈(131b)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31b)의 상단 양측에는 걸림편(131c)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131c)은 가이드부재(120)의 가이드홈(122)에 삽입될 수 있고, 탄성부(132)의 압축 또는 팽창에 따라 피스톤봉(131)이 가이드홈(12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걸림편(131c)은 잠금부재(140)에 걸림 체결될 수 있고, 인출부재(130)는 잠금부재(140)에 의해 구속되거나 또는 구속 해제되어 가이드부재(120)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피스톤 운동을 할 수 있다.
탄성부(132)는 스프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안착홈(131b)에 안착되어 가이드부재(120)의 상단 커버(124)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132)는 플러그 본체(110)를 콘센트에 꽂는 과정에서 피스톤 봉(131)의 접촉면(131a)이 콘센트 바닥면에 맞닿으면서 피스통 봉(131)이 상향(후진) 이동하여 플러그 본체(110)로 내삽되고, 이때 탄성부(132)는 압축 상태가 되게 된다. 반대로, 플러그 본체(110)가 콘센트로부터 탈거되는 과정에서 탄성부(132)가 팽창 상태가 되고, 이때 피스톤 봉(13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피스톤 봉(131)이 콘센트를 향하여 하향(전진) 이동하게 된다.
잠금부재(140)는 플러그 본체(1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인출부재(1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부재(140)는 플러그 탈거를 위한 누름식 버튼부(141)와, 피스톤 봉(131)의 걸림편(131c)에 걸림 체결되어 피스톤 봉(131)을 구속하고 버튼부(141)의 누름압에 의해 걸림편(131c)으로부터 이탈되어 피스톤 봉(131)의 구속을 해제하는 잠금부(14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버튼부(141)는 플러그 본체(110)의 상단에 위치하고 누름면(141a)과 누름면(141a)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면(141b)과 테두리면(141b)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러그 본체 결합면(141c)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141)의 내부에는 스프링(143)을 포함하여 누름면(141a)을 누를 때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부(141)와 가이드부재(120) 중 적어도 한쪽면에는 스프링(14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144)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141)의 누름면(141a) 내측에는 내삽되어 있는 스프링(143)의 양측으로 누름 돌기(145)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142)는 버튼부(141)의 하단에 위치하고 플러그 본체(110)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축(142a)을 중심으로 일측에 누름 돌기(144)와 맞닿는 밀림 돌기(142b)가 형성되고 타측에 피스톤 봉(131)의 걸림편(131c)에 걸려지는 걸림턱(142c)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밀림 돌기(142b)는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누름 돌기(145)가 누르는 힘에 의해 비스듬한 경사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힌지축(142a)이 회동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밀림돌기(142b)의 하부면에는 복귀 스프링이 개재되어 버튼부(141)를 누를 때마다 밀림돌기(142b)가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복귀 스프링은 밀림돌기(142b)의 하부면과 가이드부재(120)의 상단 커버(124)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이탈 방지턱에 의해 상하 양쪽으로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기 플러그(100)의 상부에 있는 손잡이부(320)를 손으로 잡고 하부에 있는 접속단자를 콘센트(200)에 밀어서 힘을 가하여 꽂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320)는 플러그 본체(310)의 상단측 둘레에 고무 재질의 링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콘센트(200)에 끼워진 전기 플러그(100)의 상단에는 버튼부(330)가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버튼부(330)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전기 플러그(100)가 콘센트(200)로부터 들어 올려져 탈거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와 빼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가)에 보여진 바와 같이, 전기 플러그(100)의 접속단자(111)를 콘센트(200)의 접속구멍에 맞춘다. 전기 플러그(100)의 접속단자(111)를 콘센트(200)의 접속구멍에 맞춘 상태에서, 인출부재(130)의 탄성부(132)는 팽창상태로 피스톤 봉(13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피스톤 봉(131)의 접촉면(131a)이 콘센트(200)의 바닥면에 맞닿아 접촉하게 된다.
사용자는 (나)에 보여진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10)의 손잡이부(115)를 잡고 콘센트(200)를 향하여 힘을 가하여 콘센트(200)에 전기 플러그(100)를 완전하게 끼울 수 있다. 이때, 플러그 본체(110)는 사용자에 의해 외부 힘이 가해지면 접속단자(111)가 콘센트(200)의 접속구멍으로 인입되면서 중앙부에 돌출되어 있는 인출부재(130)가 가이드부재(120) 속에서 상향(후진) 이동하게 된다. 인출부재(130)의 피스톤 봉(131)은 가이드부재(120)의 실린더부(121)에 있는 가이드홈(122)을 따라 걸림편(131c)이 슬라이딩되어 상향(후진) 이동하고, 이에 따라 안착홈(131b)에 안착되어 있는 탄성부(132)가 압축 상태가 된다. 탄성부(132)가 압축된 상태에서 인출부재(130)는 피스톤 봉(131)의 걸림편(131c)이 잠금부재(140)의 잠금부(142)에 의해 걸림 체결을 통해 구속되게 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잠금 상태가 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 본체(110)는 콘센트(200)에 안정적으로 꽂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콘센트(200)에 꽂혀 있는 전기 플러그(100)를 빼고자 할 경우에는 (다)에 보여진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10)의 상단에 마련된 버튼부(141)를 가볍게 누르면 자동으로 전기 플러그(100)가 콘센트(200)로부터 들어 올려져 탈거되게 된다. 플러그 본체(110)의 상단에 마련된 버튼부(141)를 가볍게 한손가락으로 눌러 작동시키면,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부(141)가 하향되었다가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버튼부(141)의 작동에 따라 잠금부(142)의 잠금 상태가 풀리면서 탄성부(132)가 팽창 상태가 되어 피스톤 봉(131)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피스톤 봉(131)은 탄성부(132)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콘센트(200) 바닥을 지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 본체(110)를 들어 올려 접속단자(111)가 콘센트(200)의 접속구멍으로부터 자동으로 인출되면서 플러그 본체(110)가 콘센트(200)에서 분리되게 된다.
도 5a-5b는 도 1에 있는 잠금부재의 잠김 및 풀림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잠금부재(140)는 플러그 본체(110)의 상단에 마련되는 버튼부(141)와, 버튼부(141)의 하단 및 손잡이부(115) 내에 마련되는 잠금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141)는 내부에 스프링(143)을 포함하여 누름 작동시 스프링(143)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스프링(143)은 버튼부(141)와 가이드부재(120) 사이에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이탈방지턱(14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143)의 양측에는 누름 돌기(145)가 돌출 형성되어 버튼부(141)의 누름 작동시 잠금부(142)의 밀림 돌기(142b)에 누르는 힘을 가하여 밀림 돌기(142b)가 밀리면서 잠금부(142)가 풀릴 수 있다.
전기 플러그(100)를 콘센트(200)에 꽂으면, 도 5a에 보여진 바와 같이, 잠금부재(140)는 잠김 상태가 된다. 전기 플러그(100)를 콘센트(200)에 꽂을 때 플러그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되어진 피스톤 봉(131)의 해당 부분이 플러그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피스톤 봉(131)의 안착홈(131b)에 안착되어 있는 탄성부(132)를 압축시키게 된다. 이때, 피스톤 봉(131)의 안착홈(131b)의 상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진 걸림편(131c)이 잠금부재(140)의 걸림턱(142c)에 걸려 구속됨으로써, 피스톤 봉(131)이 이동하지 못하고 잠김 상태가 된다.
플러그 본체(110) 상단의 버튼부(141)를 누르면, 도 5b에 보여진 바와 같이, 잠금부재(140)는 풀림 상태가 된다. 버튼부(141)의 누름면(141a)을 가볍게 원클릭하면 버튼부(141)의 누름 작동에 의해 누름 돌기(145)가 밀림 돌기(142b)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밀림 돌기(142b)가 밀리게 된다. 밀림 돌기(142b)의 밀림에 의해 힌지(142a)가 축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편(131c)에 걸려 있던 걸림턱(142c)이 외측을 향해 들어 올려지면서 걸림편(131c)으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걸림편(131c)이 구속 해제되게 된다. 이때, 피스톤 봉(131)의 안착홈(131b)에 안착되어 있는 탄성부(132)가 팽창하여 콘센트(200)에 지지하고 있는 피스톤 봉(131)이 플러그 본체(110) 내부에서 원래 위치로 돌아가며 플러그 본체(110)를 들어 올려 전기 플러그(100)가 콘센트(20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110, 310: 플러그 본체
111: 접속단자 112: 전선
113: 인출공 114: 고정홈
115, 320: 손잡이부
120: 가이드부재
121: 실린더부 122: 가이드홈
123: 관통공 124: 커버
130: 인출부재
131: 피스톤 봉
131a: 접촉면 131b: 안착홈
131c: 걸림편
132: 탄성부
140: 잠금부재
141,330: 버튼부
141a: 누름면 141b: 테두리면
141c: 결합면
142: 잠금부
142a: 힌지 142b: 밀림 돌기
142c: 걸림턱
143: 스프링 144: 이탈 방지턱
145: 누름 돌기
200: 콘센트
110, 310: 플러그 본체
111: 접속단자 112: 전선
113: 인출공 114: 고정홈
115, 320: 손잡이부
120: 가이드부재
121: 실린더부 122: 가이드홈
123: 관통공 124: 커버
130: 인출부재
131: 피스톤 봉
131a: 접촉면 131b: 안착홈
131c: 걸림편
132: 탄성부
140: 잠금부재
141,330: 버튼부
141a: 누름면 141b: 테두리면
141c: 결합면
142: 잠금부
142a: 힌지 142b: 밀림 돌기
142c: 걸림턱
143: 스프링 144: 이탈 방지턱
145: 누름 돌기
200: 콘센트
Claims (8)
- 하단에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하단 중앙부에 인출부재 인출공이 형성되어 콘센트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가이드부재 고정홈이 형성되는 플러그 본체;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에 고정되고, 내부가 빈 중공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양측에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인출부재 가이드홈과 상기 실린더부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인출부재 관통공 및 상기 실린더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인출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외부에 걸쳐 결합되고, 하단에 상기 콘센트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평평한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단에 탄성부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상단 양측에 걸림편이 형성되는 피스톤 봉 및 상기 피스톤 봉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단 커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 봉이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출부재 인출공을 통해 상기 플러그 본체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출부재;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고, 누름면과 상기 누름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면과 상기 테두리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러그 본체 결합면으로 이루어진 누름식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에 힌지 연결되고, 힌지 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밀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피스톤 봉의 걸림편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편으로부터 이탈되는 잠금부; 및
상기 버튼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의 누름 작동시 상기 밀림 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밀림 돌기를 밀어 상기 힌지를 회동시키는 누름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를 통해 피스톤 구조를 형성하고 사용자의 원클릭에 의해 상기 피스톤 봉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탄성부 안착홈의 상단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상기 걸림편 각각에 대해 걸려 있는 상기 걸림턱이 구속 해제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 속에서 상기 인출부재가 피스톤 운동을 하여 상기 콘센트로부터 상기 플러그 본체를 들어 올려 탈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편이 상기 잠금부재에 걸림 체결되어 상기 잠금부재에 의해 상기 피스톤 봉의 이동이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버튼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버튼부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커버 중 적어도 한쪽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밀림 돌기의 하부면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복귀 스프링과, 상기 밀림 돌기의 하부면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커버 중 적어도 한쪽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귀 스프링을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를 콘센트에 꽂는 경우 상기 피스톤 봉이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탄성부를 압축시키고 상기 피스톤 봉의 걸림편이 상기 잠금부재의 걸림턱에 걸려 상기 피스톤 봉이 이동하지 못하고 잠김 상태가 되고,
상기 버튼부의 누름면을 원클릭하면 상기 누름 돌기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밀림 돌기가 밀리면서 상기 밀림 돌기의 반대측에 있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편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피스톤 봉이 풀림 상태가 되고 상기 탄성부가 팽창하여 상기 피스톤 봉이 상기 플러그 본체 내부에서 본래 위치로 돌아가면서 상기 플러그 본체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4654A KR102161992B1 (ko) | 2019-05-31 | 2019-05-31 |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4654A KR102161992B1 (ko) | 2019-05-31 | 2019-05-31 |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1992B1 true KR102161992B1 (ko) | 2020-10-06 |
Family
ID=7282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4654A KR102161992B1 (ko) | 2019-05-31 | 2019-05-31 |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199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525992A (zh) * | 2024-01-08 | 2024-02-06 | 安徽三竹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伸缩式插头 |
CN118572421A (zh) * | 2024-08-02 | 2024-08-30 | 瑞安市麦格电子科技有限公司 | 车辆轮速传感器插座结构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4450U (ko) * | 1997-10-02 | 1999-05-06 | 추호석 | 콘센트에서 반자동으로 추출되는 전기 플러그 |
KR100707690B1 (ko) * | 2006-09-11 | 2007-04-16 | 김용현 | 자동취출식 플러그 |
KR20080000999U (ko) | 2008-04-07 | 2008-05-13 | 진근호 | 전기플러그 |
KR20090074140A (ko) * | 2009-06-16 | 2009-07-06 | 한희선 | 원터치 전기 플러그 장치 |
KR20110100490A (ko) * | 2010-03-04 | 2011-09-14 |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 원터치 분리가능한 전기플러그 |
KR101303167B1 (ko) | 2011-12-14 | 2013-09-09 | 양용식 | 지렛대를 이용한 플러그 |
KR20190015815A (ko) * | 2017-08-07 | 2019-02-15 | 주식회사 태림정보통신 |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
-
2019
- 2019-05-31 KR KR1020190064654A patent/KR1021619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4450U (ko) * | 1997-10-02 | 1999-05-06 | 추호석 | 콘센트에서 반자동으로 추출되는 전기 플러그 |
KR100707690B1 (ko) * | 2006-09-11 | 2007-04-16 | 김용현 | 자동취출식 플러그 |
KR20080000999U (ko) | 2008-04-07 | 2008-05-13 | 진근호 | 전기플러그 |
KR20090074140A (ko) * | 2009-06-16 | 2009-07-06 | 한희선 | 원터치 전기 플러그 장치 |
KR20110100490A (ko) * | 2010-03-04 | 2011-09-14 |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 원터치 분리가능한 전기플러그 |
KR101303167B1 (ko) | 2011-12-14 | 2013-09-09 | 양용식 | 지렛대를 이용한 플러그 |
KR20190015815A (ko) * | 2017-08-07 | 2019-02-15 | 주식회사 태림정보통신 |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525992A (zh) * | 2024-01-08 | 2024-02-06 | 安徽三竹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伸缩式插头 |
CN117525992B (zh) * | 2024-01-08 | 2024-03-19 | 安徽三竹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伸缩式插头 |
CN118572421A (zh) * | 2024-08-02 | 2024-08-30 | 瑞安市麦格电子科技有限公司 | 车辆轮速传感器插座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210836A (en) | Electrical component remover and/or inserter | |
KR102161992B1 (ko) |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 |
JP5053928B2 (ja) | 光コネクタプラグ | |
TWM350873U (en) | Second bounce structure of socket | |
CN210460206U (zh) | 按压弹出结构及电子设备 | |
JPH05502328A (ja) | 多極の電気的なカップリング装置 | |
CN112333944B (zh) | 电子设备 | |
KR101964464B1 (ko) | 새우 껍질 제거봉 | |
US10122121B2 (en) | Locking connector | |
JPH04334888A (ja) | 端子金具の抜き取り治具 | |
US7398709B2 (en) | Cork extractor | |
KR100761272B1 (ko) |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JP2005291381A (ja) | 連結具 | |
CN211632041U (zh) | 一种直骨勾蜂巢式无按钮伞头 | |
TWM514678U (zh) | 光纖連接器的插拔裝置 | |
JP2004233403A (ja) | コネクタ及びそのコネクタ着脱工具 | |
KR100511307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 |
CN214636252U (zh) | 一种气溶胶发生装置 | |
JP2001265465A (ja) | 中継装置 | |
JP5288509B2 (ja) | プッシュオン・プッシュオフ型コネクタ及びジャック型コネクタ | |
CN210804178U (zh) | 顶推机构及电子设备 | |
TW201310823A (zh) | 跳帽 | |
CN220156513U (zh) | 一种具有易取卡托的手机 | |
CN216885951U (zh) | 推夹器 | |
KR200327772Y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체결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