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815A -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 Google Patents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815A
KR20190015815A KR1020170099473A KR20170099473A KR20190015815A KR 20190015815 A KR20190015815 A KR 20190015815A KR 1020170099473 A KR1020170099473 A KR 1020170099473A KR 20170099473 A KR20170099473 A KR 20170099473A KR 20190015815 A KR20190015815 A KR 20190015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agnet
groove
plu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림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림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림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70099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5815A/ko
Publication of KR2019001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콘센트와 연결되어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Plug)에 있어서, 전방측 중앙부에 인출부재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방측 중앙부에 가압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며, 인출부재 가이드홈과 가압부재 안착홈 사이에 가이드부재 고정홈이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에 제1마그네트가 구비된 인출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안착홈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에 제2마그네트가 구비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에 고정되며, 상기 인출부재의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이 삽입되어 인출부재와 가압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일측에 제3마그네트가 구비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원터치로 해제하여 플러그의 고정 해제가 매우 간편함은 물론 무리한 힘으로 플러그를 해제하기 위한 수고와 플러그의 접속 단자의 변형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그네트의 척력에 의해 콘센트 홈부의 바닥면을 밀어 해제되고 가압부재 역시 마그네트의 척력에 의해 원상복원되어 플러그의 반복적인 사용에도 변형과 고장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Plugs that can be pulled out by pressing}
본 발명은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 제1마그네트가 구비된 인출부재와 제2마그네트가 구비된 가압부재 및 제3마그네트가 구비된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가압부재의 가압으로 가이드부재에 고정된 인출부재의 고정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2마그네트와 제1마그네트의 척력에 의해 인출부재가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콘센트 홈부의 바닥면을 밀어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plug)는 옥내배선에 연결된 콘센트에 접속되어 필요로 하는 전자·전기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고, 사용 후 콘센트에서 분리되어 전기공급을 차단함은 물론 전자·전기제품과 함께 보관된다. 이처럼 전자·전기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수시로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 및 분리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보다 쉽고 간편하게 플러그를 취출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1998-019438호 '전자석을 이용한 플러그 인출장치'에서 소켓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쉽게 뺄 수 있고,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석을 이용한 플러그 인출장치를 선출원한바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소켓이 있는 위치까지 가지 않고도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자석 단속스위치를 누르기만 하면 플러그 단자들이 소켓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하지만, 상기 전술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플러그 인출장치는 전자석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자석 전원공급선과 전자석 단속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고, 이때 전원공급선은 플러그 접속 단자들과 연결되는 전원공급선과 함께 연결케이블
에 피복되어야하므로 구조가 상당히 조잡하다.
또한, 플러그 접속 단자가 플러그 본체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설치되므로 반복적인 유동으로 인해 전원공급선이 단락될 우려가 크고, 이는 플러그 본체 내부에 복합적으로 설치되는 플러그 접속 단자의 전원공급선 혹은 전자석 전원공급선에 접속되어 전기합선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플러그 하우징 전방으로 돌출되는 인출부재에 제1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인출부재가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에 제1마그네트와 같은 극이 마주보도록 제2마그네트가 구비되며, 플러그 하우징 후방에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가압부재에 의해 인출부재의 고정이 해제되어 인출부재가 제1마그네트와 제2마그네트의 척력에 의해 플러그의 전방으로 인출됨과 동시에 제2마그네트와 제3마그네트의 척력에 가압부재가 원상복원되고 인출부재의 단부가 플러그 홈부의 바닥면을 밀어 플러그가 콘센트에서 간편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출부재의 이동과 가압부재의 원상복원이 마그네트의 척력에 의해 이루어져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고 빼는 반복적 작동에도 인출부재의 가압력과 가압부재의 원상복원이 항상 일정한 힘으로 장시간 이루어져 플러그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콘센트와 연결되어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Plug)에 있어서, 전방측 중앙부에 인출부재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방측 중앙부에 가압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며, 인출부재 가이드홈과 가압부재 안착홈 사이에 가이드부재 고정홈이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에 제1마그네트가 구비된 인출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안착홈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에 제2마그네트가 구비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에 고정되며, 상기 인출부재의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이 삽입되어 인출부재와 가압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일측에 제3마그네트가 구비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출부재는 원통체로 형성되되 콘센트의 홈부 바닥면에 밀착되며 양측에는 날개부가 돌출된 머리부와; 머리부의 후방측 둘레에 돌출된 스토퍼돌기와; 스토퍼돌기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ㄷ'자로 절개공이 형성되어 자체탄성력을 갖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단부 내측에 제1마그네트가 구비된 이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은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상기 스토퍼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제2마그네트가 고정되며 단차부가 형성된 원형의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전면 양측에서 돌출되는 해제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재 안착홈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후방측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단차부가 걸리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전방측이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에 구비되고, 후방측은 상기 가압부재 안착홈의 내측면 중앙에 관통된 통공에 삽착되되 중앙부에 상기 인출부재의 후방측이 삽입되도록 전방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3마그네트가 구비된 원통체의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전방측이 삽입되도록 후방측이 개방된 제2가이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은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과 수평으로 인출부재 가이드홈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원터치로 해제하여 플러그의 고정 해제가 매우 간편함은 물론 무리한 힘으로 플러그를 해제하기 위한 수고와 플러그의 접속 단자의 변형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그네트의 척력에 의해 콘센트 홈부의 바닥면을 밀어 해제되고 가압부재 역시 마그네트의 척력에 의해 원상복원되어 플러그의 반복적인 사용에도 변형과 고장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의 A-A 및 B-B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이하 '플러그'라 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전방에 접속단자(101)가 구비되며, 콘센트(1)와 연결되어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Plug)에 있어서, 전방측 중앙부에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이 형성되고, 후방측 중앙부에 가압부재 안착홈(116)이 형성되며, 인출부재 가이드홈(114)과 가압부재 안착홈(116) 사이에 가이드부재 고정홈(115)이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110)과;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에 제1마그네트(121)가 구비된 인출부재(120)와; 상기 가압부재 안착홈(116)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에 제2마그네트(141)가 구비된 가압부재(140)와;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115)에 고정되며, 상기 인출부재(120)의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140)의 일측이 삽입되어 인출부재(120)와 가압부재(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일측에 제3마그네트(131)가 구비된 가이드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플러그 하우징(110)의 내부 중앙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인출부재(120), 가이드부재(130) 및 가압부재(140)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이에 따라 인출부재 가이드홈(114)과 가이드부재 고정홈(115) 및 가압부재 안착홈(116)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110)의 중앙부는 인출부재(120), 가이드부재(130) 및 가이드부재(130)가 상호 연결되어 인출부재(120)가 외부로 인출되고, 가이드부재(130)를 외부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114)과 가이드부재 고정홈(115) 사이에는 접지판(102)이 삽입되는 접지판홈(117)이 형성되며, 플러그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접속단자(101)와 및 접지판(102)에 각각 전원선(101a) 및 접지선(102a)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전선공(118)이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110)은 공지된 플러그 하우징의 형태와 같이 형성되며, 제1하우징(112)과 제2하우징(113)이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하우징(112)의 둘레와 각 부품이 안착되는 홈의 둘레 등에 결합돌기(112a)가 돌출되고, 제2하우징(113)에는 상기 결합돌기(112a)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113a)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재(120)는 원통체로 형성되되 콘센트의 홈부(1a) 바닥면에 밀착되며 양측에는 날개부(123)가 돌출된 머리부(122)와; 머리부(122)의 후방측 둘레에 돌출된 스토퍼돌기(124)와; 스토퍼돌기(124)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ㄷ'자로 절개공(125a)이 형성되어 자체탄성력을 갖는 걸림편(125b)이 형성되고, 단부 내측에 제1마그네트(121)가 구비된 이동부(1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은 플러그 하우징(110)의 전방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122)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상기 스토퍼돌기(124)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14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인출부재(120)의 머리부(122)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을 따라 전,후 이동되며 원통형의 머리부(122)의 양측에 대략 사각형상의 날개부(123)가 돌출되어 인출부재(1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콘센트 홈부(1a)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 플러그(100)를 인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보다 큰 힘이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돌기(124)는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의 전,후방에 돌출된 걸림턱(114a)에 걸려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플러그(100)가 콘센트(1)에서 분리되어 있을 시 인출부재(120)가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출부재(120)가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125)는 플러그(100)를 콘센트(1)에 연결하게 되면 머리부(122)가 콘센트 홈부(1a)에 밀착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125)의 단부 내측에 제1마그네트(121)가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며, 가이드부재(130)의 제2마그네트(141)와 대응되어 척력에 의해 인출부재(120)가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125)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편(125b)의 단부는 쐐기형태로 형성되어 이동부(125)가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삽입되어 후술할 고정턱(132b)에 걸려 고정되며, 역시 후술할 가이드부재(13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고정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압부재(140)는 제2마그네트(141)가 고정되며 단차부(142a)가 형성된 원형의 가압판(142)과; 상기 가압판(142)의 전면 양측에서 돌출되는 해제돌기(14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재 안착홈(116)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110)의 후방측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142)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단차부(142a)가 걸리는 이탈방지턱(116a)이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140)의 가압판(142)은 가압부재 안착홈(116)에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며, 제2마그네트(141)와 가이드부재(130)에 고정된 제3마그네트(131)의 척력에 의해 원상복원되며, 단차부(142a)가 가압부재 안착홈(116)의 후방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16a)에 걸려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마그네트(141)는 가압판(142)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된 마그네트홈(142b)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며, 제2마그네트(141)의 양측으로 해제돌기(143)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삽입되어 상기 인출부재(120)의 이동부(125)의 고정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30)는 전방측이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115)에 구비되고, 후방측은 상기 가압부재 안착홈(116)의 내측면 중앙에 관통된 통공(116b)에 삽착되되 중앙부에는 상기 인출부재(120)의 후방측이 삽입되도록 전방이 개방되어 제1공간부(132a)가 형성된 제1가이드부(132)와, 상기 제1가이드부(132)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140)의 전방측이 삽입되도록 후방측이 개방되어 제2공간부(133a)가 형성된 제2가이드부(13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115)은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114)과 수평으로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132)의 내부 후방에는 제3마그네트(131)가 형성되며, 내주면 전방에는 고정턱(132b)이 형성되고, 제1가이드부(132)의 양측 중앙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공간부(132a)와 제2공간부(133a)가 상호 연통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30)는 상기 인출부재(12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함은 물론 인출부재(120)의 이동부(125)를 고정하고, 가압부재(140)의 해제돌기(143)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해제돌기(143)가 이동부(125)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인출부재(120)의 이동부(125)는 상기 제1가이드부(132)의 제1공간부(132a)에 삽입되어 걸림편(125b)이 고정턱(132b)에 걸려 고정되게 되고, 상기 해제돌기(143)는 가압판(142)의 가압으로 제2가이드부(133)의 제2공간부(133a)에 삽입되어 단부가 쐐기형태의 걸림편(125b)의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걸림편(125b)이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오므려지고 고정턱(132b)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인출부재(120)의 제1마그네트(121)와 가이드부재(130)의 제3마그네트(131)의 척력에 의해 인출부재(120)가 플러그(100)의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콘센트(1)에서 플러그(100)가 해제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133)는 제1가이드부(132)의 양측에 대략 사각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해제돌기(143)는 상기 제2가이드부(1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바 형태로 2개가 대칭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그네트(121)와 제3마그네트(131) 및 제2마그네트(141)와 제3마그네트(131)는 각각 같은 극이 마주보도록 구비됨은 물론이며, 상기 인출부재(120)와 가이드부재(130) 사이 및 가이드부재(130)와 가압부재(140) 사이에 탄성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출부재(120)의 이동과 가압부재(140)의 원상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00)의 작동상태 즉, 플러그(100)가 콘센트(1)에 연결되고, 연결이 해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플러그(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4a는 플러그(100)를 콘센트(1)에 연결한 도면으로 플러그(100)의 접속단자(101)가 콘센트홀에 삽입됨과 동시에 인출부재(120)의 머리부(122)가 콘센트 홈부(1a)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인출부재(120)의 이동부(125)는 가이드부재(130)의 제1가이드부(132) 내측 즉, 제1공간부(132a)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이동부(125)의 걸림편(125b)은 제1가이드부(132)에 삽입되면서 내측으로 오므려지다 원상복원되어 걸림편(125b)의 끝단이 제1가이드부(132)의 고정턱(132b)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
이때, 인출부재(120)의 이동부(125) 후방에 고정된 제1마그네트(121)와 제1가이드부(132) 후방에 고정된 제3마그네트(131)는 같은 극이 마주보도록 대응되어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100)의 후방측에 구비된 가압부재(140)는 해제돌기(143)가 가이드부재(130)의 제2가이드부(133)의 내부 즉, 제2공간부(133a)에 삽입된 상태로 가압부재(140)의 제2마그네트(141)와 상기 제3마그네트(131)의 척력에 의해 플러그(100)의 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와 더불어 도 4b는 플러그(100)를 콘센트(1)에서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가압부재(140)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가압부재(140)의 해제돌기(143)가 가이드부재(13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해제돌기(143)의 끝단이 인출부재(120)의 이동부(125) 후방에 형성된 걸림편(125b)을 중심부로 밀어 걸림편(125b)이 탄성적으로 오므려지게 되면 인출부재(120)의 고정이 해제됨과 동시에 인출부재(120)의 제1마그네트(121)와 가이드부재(130)의 제3마그네트(131)의 척력에 의해 인출부재(120)가 전방측으로 이동하고, 콘센트 홈부(1a)의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의 인출부재(120)의 머리부(122)가 콘센트 홈부(1a)의 바닥면을 밀어 플러그(100)가 후방으로 인출된다.
한편, 가압부재(140)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부재(140)의 제2마그네트(141)와 가이드부재(130)의 제3마그네트(131)의 척력에 의해 가압부재(140)가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즉, 가압부재(140)를 계속적으로 가압하지 않고 원터치 방식으로 눌러주게 되면 누구나 간편하게 마그네트의 척력에 의해 플러그(100)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사용에도 인출되는 힘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콘센트 100: 플러그
101: 접속단자 102: 접지판
110: 플러그 하우징 112: 제1하우징
113: 제2하우징 114: 인출부재 가이드홈
115: 가이드부재 고정홈 116: 가압부재 안착홈
117: 접지판홈 118: 전선공
120: 인출부재 121: 제1마그네트
122: 머리부 123: 날개부
124: 스토퍼돌기 125: 이동부
130: 가이드부재 131: 제3마그네트
132: 제1가이드부 133: 제2가이드부
140: 가압부재 141: 제2마그네트
142: 가압판 143: 해제돌기

Claims (6)

  1. 전방에 접속단자(101)가 구비되며, 콘센트(1)와 연결되어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Plug)에 있어서,
    전방측 중앙부에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이 형성되고, 후방측 중앙부에 가압부재 안착홈(116)이 형성되며, 인출부재 가이드홈(114)과 가압부재 안착홈(116) 사이에 가이드부재 고정홈(115)이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110)과;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에 제1마그네트(121)가 구비된 인출부재(120)와;
    상기 가압부재 안착홈(116)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에 제2마그네트(141)가 구비된 가압부재(140)와;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115)에 고정되며, 상기 인출부재(120)의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재(140)의 일측이 삽입되어 인출부재(120)와 가압부재(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일측에 제3마그네트(131)가 구비된 가이드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120)는 원통체로 형성되되 콘센트의 홈부(1a) 바닥면에 밀착되며 양측에는 날개부(123)가 돌출된 머리부(122)와; 머리부(122)의 후방측 둘레에 돌출된 스토퍼돌기(124)와; 스토퍼돌기(124)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ㄷ'자로 절개공(125a)이 형성되어 자체탄성력을 갖는 걸림편(125b)이 형성되고, 단부 내측에 제1마그네트(121)가 구비된 이동부(1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은 플러그 하우징(110)의 전방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122)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상기 스토퍼돌기(124)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140)는 제2마그네트(141)가 고정되며 단차부(142a)가 형성된 원형의 가압판(142)과; 상기 가압판(142)의 전면 양측에서 돌출되는 해제돌기(14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재 안착홈(116)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110)의 후방측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142)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단차부(142a)가 걸리는 이탈방지턱(11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30)는 전방측이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115)에 구비되고, 후방측은 상기 가압부재 안착홈(116)의 내측면 중앙에 관통된 통공(116b)에 삽착되되 중앙부에는 상기 인출부재(120)의 후방측이 삽입되도록 전방이 개방되어 제1공간부(132a)가 형성된 제1가이드부(132)와, 상기 제1가이드부(132)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140)의 전방측이 삽입되도록 후방측이 개방되어 제2공간부(133a)가 형성된 제2가이드부(13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재 고정홈(115)은 상기 인출부재 가이드홈(114)과 수평으로 인출부재 가이드홈(114)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132)의 내부 후방에는 제3마그네트(131)가 형성되며, 내주면 전방에는 고정턱(132b)이 형성되고, 제1가이드부(132)의 양측 중앙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공간부(132a)와 제2공간부(133a)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121)와 제3마그네트(131) 및 제2마그네트(141)와 제3마그네트(131)는 각각 같은 극이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KR1020170099473A 2017-08-07 2017-08-07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KR20190015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473A KR20190015815A (ko) 2017-08-07 2017-08-07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473A KR20190015815A (ko) 2017-08-07 2017-08-07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815A true KR20190015815A (ko) 2019-02-15

Family

ID=6536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473A KR20190015815A (ko) 2017-08-07 2017-08-07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58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8654A (zh) * 2019-05-24 2019-07-26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外设接口及电子设备
KR102104746B1 (ko) * 2019-05-10 2020-04-24 이건희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KR102161992B1 (ko) * 2019-05-31 2020-10-06 김수만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CN114639984A (zh) * 2020-12-15 2022-06-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适配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746B1 (ko) * 2019-05-10 2020-04-24 이건희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CN110058654A (zh) * 2019-05-24 2019-07-26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外设接口及电子设备
CN110058654B (zh) * 2019-05-24 2023-12-05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外设接口及电子设备
KR102161992B1 (ko) * 2019-05-31 2020-10-06 김수만 원클릭 탈착형 전기 플러그
CN114639984A (zh) * 2020-12-15 2022-06-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适配器
CN114639984B (zh) * 2020-12-15 2023-10-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适配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5815A (ko)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KR100707690B1 (ko) 자동취출식 플러그
US10063010B2 (en) Connector part
US20180366871A1 (en) Socket structure
KR101432053B1 (ko) 플러그 이탈 방지용 어댑터
KR200462307Y1 (ko)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KR102001669B1 (ko) 멀티 락킹 안전소켓유닛 및 이를 구비한 콘센트
CN106887726B (zh) 夹持装置、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8968015B2 (en) Safety socket
TW201304311A (zh) 卡連接器
US11025001B2 (en) Plug-in connector part having modular contact inserts inserted into a holding frame
CN218569295U (zh) Led显示装置的插接结构及led显示装置
KR20140064289A (ko) 레버타입 커넥터
CA2519918A1 (en) Battery charging assembly
JP6334672B2 (ja) ラッチ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5551887A (en) Connector
US20210159628A1 (en) Magnetic power connection
JPS5944751B2 (ja) コネクタ並びにコネクタ間の電気的結合方法
CN218385866U (zh) 一种可快速更换插脚的适配器
JPH07130428A (ja) コネクタ
CN216624790U (zh) 一种通讯接插件
CN216750564U (zh) 一种通讯接插件
US6945797B2 (en) Card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CN214378960U (zh) Thr卧式无头带侦测3.5立体声插座
JP3833804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