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746B1 -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 Google Patents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746B1
KR102104746B1 KR1020190055099A KR20190055099A KR102104746B1 KR 102104746 B1 KR102104746 B1 KR 102104746B1 KR 1020190055099 A KR1020190055099 A KR 1020190055099A KR 20190055099 A KR20190055099 A KR 20190055099A KR 102104746 B1 KR102104746 B1 KR 102104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press block
cylinder
hous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희
Original Assignee
이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희 filed Critical 이건희
Priority to KR102019005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조작으로 콘센트에서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함하여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콘센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Plugs that can be pulled out by pressing}
본 발명은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터치 조작으로 콘센트에 장착된 플러그를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벽면 등에 매입 설치되어 전자제품, 기기 등의 전원선에 연결된 콘센트를 콘센트의 전원접속공에 삽입함으로서 전원이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 전자·전기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수시로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 및 분리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보다 쉽고 간편하게 플러그를 취출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기존 플러그의 경우 한 번 콘센트에 장착되면 소정의 견인력을 제공하기 전까지는 빠지지 않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취출해내기가 쉽지 않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1998-0019438호 '전자석을 이용한 플러그 인출장치(선행문헌)'에서 소켓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쉽게 뺄 수 있고,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플러그 인출장치를 선출원한바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소켓이 있는 위치까지 가지 않고도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자석 단속스위치를 누르기만 하면 플러그 단자들이 소켓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하지만, 상기 전술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플러그 인출장치는 전자석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자석 전원공급선과 전자석 단속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고, 이때 전원공급선은 플러그 접속 단자들과 연결되는 전원공급선과 함께 연결케이블에 피복되어야하므로 구조가 상당히 조잡하다.
또한, 플러그 접속 단자가 플러그 본체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설치되므로 반복적인 유동으로 인해 전원공급선이 단락될 우려가 크고, 이는 플러그 본체 내부에 복합적으로 설치되는 플러그 접속 단자의 전원공급선 혹은 전자석 전원공급선에 접속되어 전기합선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초래하였다.
또, 위 선행문헌은 전자석을 내장하는 구조를 채용함에 있어 플러그 내부로 수분 등이 쉽게 침투하는 구조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 전자석이 쉽게 녹슬어 내구성 면에서 분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석의 부식이 심화될 경우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특허 제10-1998-001943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원터치 조작으로 콘센트에서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함하여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콘센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면에는 개방구가, 하면에는 노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되 상단이 상기 개방구에 끼움되며 중심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상부실린더; 상기 상부실린더의 하방으로 설치되며 상기 노출구로 노출되는 접속단자를 지지하되 중심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도록 상면에서부터 하방을 향해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된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실린더;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 하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하부실린더의 하면을 관통하여 노출구로 노출되는 작동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프레스블럭; 상기 프레스블럭이 상기 작동부를 가압하여 작동부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프레스블럭과 안착공간 사이에서 프레스블럭을 작동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상부실린더의 중공부에서 상, 하 방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가 상기 상부실린더의 상부로 노출되며 하단이 상기 프레스블럭에 접촉되어 하강에 따라 상기 프레스블럭을 상기 작동부에서 이격시키는 프레스부; 및 상기 작동부와 프레스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스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에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에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단 모서리부분이 곡면으로 만곡진 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스블럭의 상부에는 사선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재의 하단 모서리부분을 사선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작동부는, 측면에는 상기 프레스블럭에 걸려 하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가 형성되고 중심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 형태의 인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실린더의 중공부 내주면에는 상기 누름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상부 벽면에 상기 누름부재의 상단이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내장되되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부재는, 하부실린더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반원 형상의 접지판; 및 상기 접지판의 양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핀;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지판이 안착되는 안착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레스부의 가압판을 지속적으로 가압하지 않고 원터치 방식으로 눌러주게 되면 간편하게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둘째, 플러그의 원터치 취출을 위한 부재가 상부실린더와 하부실린더 내부의 한 채널에서 서로 연동하기 때문에 각 부재들이 연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접촉소음 등이 하우징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정숙성을 보장할 수 있다.
셋째, 상부실린더와 하부실린더가 서로 기밀하게 인접하고 있고 그 내부에서 작동부, 프레스부, 제1 탄성부재, 제2 탄성부재 등이 적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부재들로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면에서도 효과적일 수 있다.
넷째,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된 코드의 전선이 상부실린더와 하부실린더 내부에서 작동되는 각종 부재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선의 단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부가 절개된 상부실린더와 프레스부의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하부실린더, 접지부재, 작동부의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하부실린더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부가 절개된 하부실린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B-B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a와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일부가 절개된 상부실린더와 프레스부의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하부실린더, 접지부재, 작동부의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하부실린더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일부가 절개된 하부실린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B-B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 상부실린더(20), 하부실린더(30), 작동부(40), 프레스블럭(60), 제1 탄성부재(80), 프레스부(50) 및 제2 탄성부재(9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0)은 플러그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상면에는 개방구(11)가, 하면에는 노출구(12)가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전술한 상부실린더(20), 하부실린더(30), 작동부(40), 프레스블럭(60), 제1 탄성부재(80), 프레스부(50) 및 제2 탄성부재(90) 등이 수용되며 상부 일측으로는 코드가 연결되는 코드연결구(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코드연결구(13)에 연결된 코드의 전선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되어 후술 될 접지부재(70), 접속단자(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추게 된다.
하우징(10)의 개방구(11)로는 상부실린더(20)와 프레스부(50)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사용자가 이렇게 노출된 프레스부(50)를 누름 조작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플러그를 콘센트(C)에서 취출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노출구(12)로는 접속단자(M), 작동부(40)의 하부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작동부(40)의 하부 일부는 콘센트(C)에서 플러그를 취출하는 작동 상태에서만 노출구(12)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춘다.
하우징(10)은 2조 한 쌍으로 분할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구성된 한 쌍의 하우징(10)을 볼트 등을 이용해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의 하부 일측에는 접지부재(7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슬릿 형태의 접지노출구(14)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로 상부실린더(20)와 하부실린더(30)가 각각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실린더(20)의 하면과 하부실린더(30)의 상면은 서로 기밀하게 맞닿아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상부실린더(20)와 하부실린더(30)의 내부에서 작동부(40), 프레스부(50), 프레스블럭(60) 등이 서로 연동되어 유기적으로 작동되는 구성을 갖추게 된다.
먼저, 상부실린더(20)는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되 상단이 상기 개방구(11)에 끼움되며 중심에 중공부(21)가 형성된다. 중공부(21) 내에서 후술 될 프레스부(50)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중공부(21)는 대략 원형의 구멍 형태로 마련되고 상부실린더(20)의 중심을 상, 하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여 구현되고 상부실린더(20)의 하면에는 하부실린더(30)와의 물리적인 결속을 위한 결속돌기(22)가 마련될 수 있다.
하부실린더(30)는 상기 상부실린더(20)의 하방으로 설치되며 상기 노출구(12)로 노출되는 접속단자(M)를 지지하되 중심에는 상기 중공부(21)와 연통되는 작동공간(31)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31)과 연통되도록 상면에서부터 하방을 향해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된 안착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실린더(20)와 하부실린더(30)가 원통형 부재라고 가정할 때 상부실린더(20)와 하부실린더(30)는 서로 동축 상에 연결되고 각각의 내부공간인 중공부(21)와 작동공간(31)이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채널을 이룬다.
상기 작동공간(31)에서는 후술 될 작동부(40)가 상, 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전술한 중공부(21)와 다르게 하부실린더(30)를 상, 하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상면에서부터 하방을 향해 일정 깊이 까지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하부실린더(30)의 하면에는 작동구(33)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작동구(33)는 상기 작동공간(31)과 연통되는 구성을 갖춘다.
하부실린더(3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실린더(20)의 결속돌기(22)에 대응되는 결속홈(35)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실린더(20)와 하부실린더(30)가 상호 결합될 때 결속돌기(22)와 결속홈(35)이 결속됨으로써 양자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하부실린더(30)와 상부실린더(20)의 상대회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실린더(30)의 작동공간(31)과 안착공간(32)은 각각 하부실린더(30) 내부에 형성된 일정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안착공간(32)은 작동공간(31)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 공간이 확장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32)에서는 후술 될 프레스블럭(60)이 왕복 이동될 수 있다.
프레스블럭(60)은 상기 안착공간(32)에 안착되어 프레스부(50)의 가압과 제1 탄성부재(8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프레스부(5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작동부(4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작동부(40)는 상기 작동공간(31)에서 상, 하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방으로의 이동시 하부가 상기 하부실린더(30)의 하면을 관통하여 노출구(12)로 노출된다.
이때, 작동부(40)의 하부는 하부실린더(30)의 작동구(33)를 통과해 노출구(12)로 노출되며 이 과정에서 작동부(40)의 하부가 콘센트(C)의 바닥면을 밀어내는 작용을 해 플러그가 콘센트(C)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취출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프레스부(50)를 가압하면 이 가압력이 작동부(40)로 전달되어 작동부(40)의 하단이 콘센트(C)의 하면을 강하게 타격해 플러그가 취출되는 원리이다.
작동부(40)는 그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는 상기 프레스블럭(60)에 걸려 하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42)가 형성되고 중심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9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수용공간(43)이 형성되는 이동부재(41) 및 상기 이동부재(4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 형태의 인출바(4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작동부(40)가 작동공간(31) 내에서 하사점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부재(41)는 하부실린더(30)의 작동공간(31) 내에서 작동공간(31) 하면에 맞닿게 되어 작동부(40)의 하방 이동이 제한되나 인출바(44)는 작동구(33)를 통과해 하우징(10)의 노출구(12)로 노출된다.
즉, 인출바(44)가 하우징(10)의 노출구(12)를 향해 외부로 노출되어 콘센트(C)의 바닥면을 타격하게 된다.
이동부재(41)와 작동공간(31)의 횡단면을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해 작동공간(31) 내에서 작동부(40)의 원활한 상, 하 왕복이동을 보장하도록 하되, 작동부(40)가 작동공간(31)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프레스블럭(60)이 이동부재(41)에 접촉한 상태에서 스톱퍼(42)가 프레스블럭(60)에 걸려있는 상태가 될 경우 작동부(40)의 하방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프레스블럭(60)이 이동부재(41)에서 이격되는 순간 작동부(40)의 하방 이동이 허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1 탄성부재(80)는 상기 프레스블럭(60)이 상기 작동부(40)를 가압하여 작동부(4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프레스블럭(60)과 안착공간(32) 사이에서 프레스블럭(60)을 작동부(4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즉, 제1 탄성부재(80)는 프레스블럭(60)을 작동부(40) 방향으로 항시 탄성 가압하고 있으며, 프레스부(50)의 하방 이동에 따라 프레스블럭(60)이 작동부(40)에서 이격되면 안착공간(32)의 벽면과 프레스블럭(60) 사이에서 압축되는 구조를 갖춘다.
프레스부(50)는 상기 상부실린더(20)의 중공부(21)에서 상, 하 방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가 상기 상부실린더(20)의 상부로 노출되며 하단이 상기 프레스블럭(60)에 접촉되어 하강에 따라 상기 프레스블럭(60)을 상기 작동부(40)에서 이격시키게 된다.
프레스부(5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면 프레스부(50)가 하강하면서 작동부(40)에 접촉해 있던 프레스블럭(60)을 작동부(40)에서 이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력을 상실한 작동부(40)가 하강하게 되는 원리이다.
프레스부(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판(51) 및 상기 가압판(51)에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에 상기 제2 탄성부재(90)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수용공간(53)이 형성되고 하단 모서리부분이 곡면으로 만곡진 누름부재(5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가압판(51)은 사용자가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넓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가압판(51)에서부터 누름부재(52)가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고 상부수용공간(53)에는 제2 탄성부재(90)의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대(5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54)의 외측으로 제2 탄성부재(90)의 상단이 끼움 결합된다.
사용자가 가압판(51)을 가압하게 되면 이에 따라 누름부재(52)가 하강하고 누름부재(52)의 직하방에 위치한 프레스블럭(60)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스블럭(60)의 상부에는 사선으로 경사진 경사면(61)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재(52)의 하단 모서리부분을 사선으로 안내하게 되는데, 상기 경사면(61)은 누름부재(52)가 하강함에 따라 프레스블럭(60)이 작동부(40)의 이동부재(41)에서 이격되도록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위해 형성된다.
즉, 프레스부(50)의 누름부재(52)가 하강하게 되면 누름부재(52)의 하단 모서리가 프레스블럭(60)의 경사면(61)에 안내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레스블럭(60)은 안착공간(32) 내에서 작동부(40)의 이동부재(41)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누름부재(52)의 하단 모서리가 곡면으로 만곡져있기 때문에 상기 경사면(61)과의 마찰저항이 최소화되어 프레스부(50)와 프레스블럭(60) 사이에 원활한 연계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61)은 이동부재(41)를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면(61)의 경사도는 누름부재(52)의 하단 모서리를 대각선으로 안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2 탄성부재(90)는 상기 작동부(40)와 프레스부(50)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스블럭(60)의 구속이 해제된 작동부(40)를 탄발시키는 작용을 담당한다.
제2 탄성부재(90)는 상단이 프레스부(50)의 상부수용공간(53)에 수용되고 하단이 작동부(40)의 하부수용공간(43)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실린더(20)의 중공부(21) 내주면에는 상기 누름부재(52)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23)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23)의 상부 벽면(23')에 상기 누름부재(52)의 상단이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3)은 상부실린더(20)의 중공부(21)에서부터 확장된 일정 공간을 의미하며 누름부재(52)를 가이드하여 프레스부(50)의 원활한 상, 하 왕복 이동을 보장하면서, 특히 프레스부(50)가 중공부(21) 내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가이드홈(23)에 누름부재(52)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중공부(21) 내에서 프레스부(50)의 상, 하 왕복이동은 가능하나 프레스부(50)가 중공부(21) 내에서 상대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내장되되 일부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70)는 플러그가 콘센트(C)에 장착될 때 안정된 접치효과를 얻어 감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으며,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실린더(30)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반원 형상의 접지판(71) 및 상기 접지판(71)의 양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핀(7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실린더(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지판(71)이 안착되는 안착대(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지부재(70)는 접지판(71)이 하우징(1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고, 접지핀(72)만 하우징(10)의 접지노출구(14)로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대(34)의 일측면에는 접지핀(72)이 안착되는 핀안착홈(34a)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겠다. 본 작용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가 콘센트(C)에서 취출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콘센트(C)에서 플러그를 취출하기 위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우징(10)의 개방구(11) 측으로 노출된 프레스부(50)의 가압판(51)을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면 이에 따라 프레스부(50) 전체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제2 탄성부재(90)를 압축시킨다.
이때, 프레스블럭(60)은 제1 탄성부재(80)에 의해 이동부재(41)를 탄성 가압하여 작동부(40)가 하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이를 구속하고 있는 상태인데, 프레스부(50) 전체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누름부재(52)가 프레스블럭(60)을 가압해 프레스블럭(60)을 이동부재(41)에서 이격시키게 된다. 이때, 제1 탄성부재(80)는 안착공간(32)의 벽면과 프레스블럭(60) 사이에서 압축된다.
프레스블럭(60)이 작동부(40)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작동부(40)의 하방 이동이 허용되는데, 특히, 스톱퍼(42)에 걸려있던 프레스블럭(60)이 스톱퍼(42)에서 이격되면 작동부(40)가 제2 탄성부재(9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작동공간(31) 내부에서 하방을 향해 탄발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41)는 작동공간(31)의 하사점으로 하강되고 인출바(44)는 작동구(33)로 노출된다.
작동구(33)로 노출된 인출바(44)는 하우징(10)의 노출구(12)를 통해 플러그의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인출바(44)가 콘센트(C)의 바닥면을 강하게 타격하여 이에 대한 반발력으로 플러그가 콘센트(C)에서 취출된다.
한편, 플러그를 콘센트(C)에 장착시키게 되면, 인출바(44)가 콘센트(C)의 바닥면에 의해 상부로 밀려나면서 작동부(40)가 상부로 이동되고 이동부재(41)의 스톱퍼(42)가 프레스블럭(60)을 넘어서는 순간 프레스블럭(60)이 제1 탄성부재(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41) 측으로 이동되면서 프레스블럭(60)의 상단에 스톱퍼(42)가 걸림 지지되는 구조가 된다.
즉, 콘센트(C)에 플러그가 장착되면 작동부(40)는 작동공간(31)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가 되고, 작동부(40)의 상부 이동에 따라 프레스부(50) 또한 상부로 연동하여 이동되면서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는 프레스부(50)의 가압판(51)을 지속적으로 가압하지 않고 원터치 방식으로 눌러주게 되면 간편하게 플러그를 콘센트(C)에서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플러그의 원터치 취출을 위한 부재가 상부실린더(20)와 하부실린더(30) 내부의 한 채널에서 서로 연동하기 때문에 각 부재들이 연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접촉소음 등이 하우징(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정숙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 상부실린더(20)와 하부실린더(30)가 서로 기밀하게 인접하고 있고 그 내부에서 작동부(40), 프레스부(50), 제1 탄성부재(80), 제2 탄성부재(90) 등이 적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부재들로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면에서도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된 코드의 전선이 상부실린더(20)와 하부실린더(30) 내부에서 작동되는 각종 부재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선의 단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2점쇄선은 전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20: 상부실린더
30: 하부실린더 40: 작동부
50: 프레스부 60: 프레스블럭
70: 접지부재 80: 제1 탄성부재
90: 제2 탄성부재

Claims (5)

  1. 상면에는 개방구가, 하면에는 노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되 상단이 상기 개방구에 끼움되며 중심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상부실린더;
    상기 상부실린더의 하방으로 설치되며 상기 노출구로 노출되는 접속단자를 지지하되 중심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도록 상면에서부터 하방을 향해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된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실린더;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 하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하부실린더의 하면을 관통하여 노출구로 노출되는 작동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프레스블럭;
    상기 프레스블럭이 상기 작동부를 가압하여 작동부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프레스블럭과 안착공간 사이에서 프레스블럭을 작동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상부실린더의 중공부에서 상, 하 방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가 상기 상부실린더의 상부로 노출되며 하단이 상기 프레스블럭에 접촉되어 하강에 따라 상기 프레스블럭을 상기 작동부에서 이격시키는 프레스부; 및
    상기 작동부와 프레스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에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에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단 모서리부분이 곡면으로 만곡진 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스블럭의 상부에는 사선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재의 하단 모서리부분을 사선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측면에는 상기 프레스블럭에 걸려 하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가 형성되고 중심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 형태의 인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실린더의 중공부 내주면에는 상기 누름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상부 벽면에 상기 누름부재의 상단이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내장되되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부재는,
    하부실린더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반원 형상의 접지판; 및
    상기 접지판의 양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핀;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지판이 안착되는 안착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KR1020190055099A 2019-05-10 2019-05-10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KR102104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99A KR102104746B1 (ko) 2019-05-10 2019-05-10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99A KR102104746B1 (ko) 2019-05-10 2019-05-10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746B1 true KR102104746B1 (ko) 2020-04-24

Family

ID=7046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099A KR102104746B1 (ko) 2019-05-10 2019-05-10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7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438A (ko) 1998-03-18 1998-06-05 김원철 전자석을 이용한 플러그 인출장치(device for extracting an plug from a socket using electromagnet)
KR100707690B1 (ko) * 2006-09-11 2007-04-16 김용현 자동취출식 플러그
KR101310351B1 (ko) * 2012-06-12 2013-09-23 김경애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KR200473894Y1 (ko) * 2014-03-13 2014-08-06 신영주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KR20150033410A (ko) * 2013-09-24 2015-04-01 김준오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KR20190015815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태림정보통신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438A (ko) 1998-03-18 1998-06-05 김원철 전자석을 이용한 플러그 인출장치(device for extracting an plug from a socket using electromagnet)
KR100707690B1 (ko) * 2006-09-11 2007-04-16 김용현 자동취출식 플러그
KR101310351B1 (ko) * 2012-06-12 2013-09-23 김경애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KR20150033410A (ko) * 2013-09-24 2015-04-01 김준오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KR200473894Y1 (ko) * 2014-03-13 2014-08-06 신영주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KR20190015815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태림정보통신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8755B2 (ja) マルチ導線ケーブル用のコネクタ装置
CN105075022B (zh) 连接端子或接线端子
CN104508910B (zh) 带有用于操作弹簧件的按压件的连接端子或接线端子
US9054464B1 (en) Pow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device
EP2797177A1 (en) Pow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device
CN102439793A (zh) 电连接器
CN108963626B (zh) 一种自锁插头
KR102104746B1 (ko)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CN106785504B (zh) 内嵌式快速接线结构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JP7199205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CN106887726B (zh) 夹持装置、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111224294B (zh) 具有防水、防触电功能的插座
CN116131013B (zh) 一种漏电保护插座
MY117442A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with guide wall section to keep lever members from coming off
CN102683955B (zh) 一种多功能安全插座
US3019406A (en) Wiring device with wire gripping electrical connector
KR102151760B1 (ko) 플러그 삽입 장치
CN102347568A (zh) 滑动式电连接装置及插头、插座、插线板
TWM397090U (en) Socket with switch function
CN218300479U (zh) 一种开关内置式插座
CN221102540U (zh) 电源插座
KR101355864B1 (ko) 콘센트
KR200340351Y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CN204632710U (zh) 保险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