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410A -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 Google Patents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410A
KR20150033410A KR20130113395A KR20130113395A KR20150033410A KR 20150033410 A KR20150033410 A KR 20150033410A KR 20130113395 A KR20130113395 A KR 20130113395A KR 20130113395 A KR20130113395 A KR 20130113395A KR 20150033410 A KR20150033410 A KR 20150033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cylindrical portion
guide hole
spring member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오
Original Assignee
김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오 filed Critical 김준오
Priority to KR2013011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3410A/ko
Publication of KR2015003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분리구조를 이용하여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콘센트의 접속공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는, 전원코드의 단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하단에 콘센트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로드; 및 상기 누름로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누름로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로드의 상단을 누름에 따라 상기 누름로드의 하단은 하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EASY DETACHABLE PLUG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분리구조를 활용하여 어린이 및 노약자 등이 협소하고 좁은 공간에서 플러그의 접속단자를 콘센트의 접속공에서 손쉽게 분리 가능한 플러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전자제품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코드가 연결되어 있고, 이 전원코드의 단부에는 한 쌍의 접속단자를 가진 플러그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플러그장치는 콘센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가정에서 사용의 대기 중인 대기전력은 가정 전력 소모량의 약 1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기전력은 연간 약 5천억원의 비용을 낭비하고 있다.
이에, 플러그장치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거나 멀티탭의 온오프 스위치를 오프시키면 한달치의 전기를 절약할 수 있지만, 실상은 이를 실천하기가 매우 번거롭다. 일부의 멀티탭에는 온/오프스위치가 설치되어, 전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프시킴으로써 그 조작이 간편하지만, 협소한 좁은공간에서 전자제품을 옮기거나수리보수시 플러그장치를 콘센트에서 분리할 때 한손으로 쉽게 빠지지 않아 부득이 양손을 사용하여야 하고, 어떠한 경우에는 양손으로도 쉽게 빠지지 않아 매우 힘이 들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플러그장치의 내부에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한 전자적 분리구조, 회동손잡이 등을 이용한 기구적인 분리구조 등을 내장하여, 플러그장치의 접속단자를 콘센트의 소켓공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는 전자적 또는 기구적인 분리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고, 이로 인해 조립공정이 번거로워 대량생산이 어려우며,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높아 실용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플러그장치는 복잡한 분리구조와 접속력이 강하여 어린이 및 노약자가 콘센트로부터의 분리작동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KR 10-0707680 B1(2007.04.09) KR 10-1178290 B1(2012.09.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 및 개발된 것으로, 기구적으로 단순화된 분리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조립공정의 간소화를 통해 대량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하여 실용화를 높일 수 있고, 접속단자들의 분리 및 접속을 반복하는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분리작동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이를 활용함으로 인하여 에너지 절감을 습관화할 수 있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것으로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는,
전원코드의 단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하단에 콘센트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로드; 및
상기 누름로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누름로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로드의 상단을 누름에 따라 상기 누름로드의 하단은 하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는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로드는 상기 가이드구멍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로드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의 하부에 위치한 제2원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원통부는 상기 제1원통부 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원통부와 제2원통부의 만나는 부분에는 제1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의 하단에는 내경방향으로 제2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은 제1지지턱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하단은 제2지지턱에 지지되어 상기 누름로드를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누름로드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구멍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상단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로드의 하단에는 하단 스토퍼가 분리되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는,
상부에 한 쌍의 소켓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콘센트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로드; 및
상기 누름로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누름로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로드의 상단을 누름에 따라 상기 누름로드의 하단은 하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는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로드는 상기 가이드구멍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로드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의 하부에 위치한 제2원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원통부는 상기 제1원통부 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원통부와 제2원통부의 만나는 부분에는 제1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의 하단에는 내경방향으로 제2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은 제1지지턱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하단은 제2지지턱에 지지되어 상기 누름로드를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누름로드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구멍의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진 상단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로드의 하단에는 하단 스토퍼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통전표시램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통전표시램프에 의해 접속단자의 접속 및 분리를 손쉽게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구적으로 단순화된 분리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조립공정의 간소화를 통해 대량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하여 실용화를 높일 수 있고, 접속단자들의 분리 및 접속을 반복하는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분리작동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이를 생활의 패턴으로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습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몸체의 파지홈을 사용자의 검지 및 중지에 의해 파지한 상태에서 잡아당김과 동시에 엄지로 누름로드의 상단을 눌러주는 작용 및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어린이 및 노약자가 소력으로 협소공간에서 매우 손쉽게 플러그장치를 콘센트에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에 의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 C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에 의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가능한 플러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가능한 플러그장치는 전원코드(1)의 단부에 일체로 마련된 몸체(10)와, 몸체(10)의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로드(20)와, 누름로드(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3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전자기기 등에서 연장된 전원코드(1)의 단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몸체(10)의 하단에는 콘센트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11)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접속단자(11)는 몸체(10)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몸체(10)의 외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특히, 사용자의 검지 및 중지로 파지하는 파지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0)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파지홈(15)은 몸체(1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몸체(10)의 외면에는 통전표시램프(13)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통전표시램프(13)에 의해 접속단자(11)의 접속 및 분리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다.
누름로드(20)는 몸체(10)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누름로드(20)의 상단을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눌러줌에 따라 누름로드(20)의 하단이 몸체(10)의 하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몸체(10)의 중심부에는 가이드구멍(18)이 형성되고, 누름로드(20)는 가이드구멍(18)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누름로드(20)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누름로드(20)는 제1원통부(21)와 제1원통부(21)의 하부에 위치한 제2원통부(22)로 이루어지고, 제2원통부(22)는 제1원통부(21) 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진다.
누름로드(20)의 상단에는 가이드구멍(18)의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진 상단 스토퍼(28)가 형성되고, 누름로드(20)의 하단에는 하단 스토퍼(29)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누름로드(20)는 상단 스토퍼(28) 및 하단 스토퍼(29)에 의해 가이드구멍(18)의 상단 및 하단에 걸려 그 상하 이동거리가 적절히 규제될 수 있다.
또한, 누름로드(20)의 상단 특히, 상단 스토퍼(28)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야간에도 손쉽게 인식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30)는 누름로드(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누름로드(20)를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구성된다.
제1원통부(21)와 제2원통부(22)이 만나는 부분에는 제1지지턱(41)이 형성되고, 가이드구멍(18)의 하단에는 제2지지턱(42)이 내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프링부재(30)의 상단은 제1지지턱(41)에 지지되고, 스프링부재(30)의 하단은 제2지지턱(42)에 지지됨으로써 누름로드(20)는 스프링부재(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장치에 의한 분리작동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와 같이 플러그장치의 몸체(10)가 콘센트(2)의 플러그홈(2a)에 삽입되면, 몸체(10)의 접속단자(11)들이 콘센트(2)의 소켓공(3)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그 후에, 플러그장치를 콘센트(2)에서 분리하여 플러그장치와 콘센트(2)의 접속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지홈(15)에 사용자의 검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파지홈(15)을 파지하여 잡아당김과 동시에 엄지로 누름로드(20)의 상단면을 눌러주면, 도 4(b)와 같이 누름로드(20)의 하단이 콘센트(2)의 플러그홈(2a) 바닥면을 눌러주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엄지로 누름로드(20)의 상단면을 연속하여 누르면 도 4(c)와 같이 접속단자(11)들이 콘센트(2)의 소켓공(3)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검지 및 중지의 잡아당기는 힘과 엄지의 누르는 힘이 작용 및 반작용하여 매우 손쉽게 플러그장치를 콘센트(2)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장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로드(20)와, 누름로드(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30)를 포함한다.
몸체(10)의 상부에 한 쌍의 소켓공(51)이 형성된 보조 콘센트부(50)가 일체로 구비되고, 몸체(10)의 하단에는 콘센트(2)의 소켓공(3)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11)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접속단자(11)는 몸체(10)의 하단에서 하부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소켓공(51)은 접속단자(11)들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몸체(10)의 상부에 마련된 보조 콘센트부(50)의 소켓공(51)을 통해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기존의 전자기기의 전원코드에 일체로 연결된 플러그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에 보조 콘센트부(50)를 마련하여, 이 보조 콘센트부(50)에 기존의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접속한 후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장치를 멀티탭 또는 벽체에 매립된 콘센트 측에 용이하게 접속 및 분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장치는 중간 접속구 역할을 할 수 있다.
몸체(10)의 상부 즉, 보조 콘센트부(50)의 외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특히, 사용자의 검지 및 중지로 파지하는 파지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10) 또는 보조 콘센트부(50)의 외면에는 통전표시램프(13)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통전표시램프(13)에 의해 접속단자(11)의 접속 및 분리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다.
누름로드(20)는 몸체(10) 및 보조 콘센트부(50)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누름로드(20)의 상단을 사용자의 엄지로 눌러줌에 따라 누름로드(20)의 하단이 몸체(10)의 하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몸체(10) 및 보조 콘센트부(50)의 중심부에는 가이드구멍(18)이 형성되고, 누름로드(20)는 가이드구멍(18)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누름로드(20)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누름로드(20)는 제1원통부(21)와 제1원통부(21)의 하부에 위치한 제2원통부(22)로 이루어지고, 제2원통부(22)는 제1원통부(21) 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진다.
누름로드(20)의 상단에는 가이드구멍(18)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상단 스토퍼(28)가 형성되고, 누름로드(20)의 하단에는 하단 스토퍼(29)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누름로드(20)는 상단 스토퍼(28) 및 하단 스토퍼(29)에 의해 가이드구멍(18)의 상단 및 하단에 걸려 그 상하 이동거리가 적절히 규제될 수 있다.
또한, 누름로드(20)의 상단 특히, 상단 스토퍼(28)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야간에도 손쉽게 인식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30)는 누름로드(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누름로드(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원통부(21)와 제2원통부(22)이 만나는 부분에는 제1지지턱(41)이 형성되고, 가이드구멍(18)의 하단에는 제2지지턱(42)이 내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프링부재(30)의 상단은 제1지지턱(41)에 지지되고, 스프링부재(30)의 하단은 제2지지턱(42)에 지지됨으로써 누름로드(20)는 스프링부재(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장치에 의한 분리작동을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a)와 같이 플러그장치의 몸체(10)가 콘센트(2)의 플러그홈(2a)에 삽입되면, 몸체(10)의 접속단자(11)들이 콘센트(2)의 소켓공(3)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그 후에, 플러그장치를 콘센트(2)에서 분리하여 플러그장치와 콘센트(2)의 접속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지홈(15)에 사용자의 검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파지홈(15)을 파지하여 잡아당김과 동시에 엄지로 누름로드(20)의 상단면을 눌러주면, 도 9(b)와 같이 누름로드(20)의 하단이 콘센트(2)의 플러그홈(2a) 바닥면을 눌러주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엄지로 누름로드(20)의 상단면을 연속하여 누르면 도 9(c)와 같이 접속단자(11)들이 콘센트(2)의 소켓공(3)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검지 및 중지의 잡아당기는 힘과 엄지의 누르는 힘이 작용 및 반작용하여 매우 손쉽게 플러그장치를 콘센트(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몸체 11: 접속단자
15: 파지홈 18: 가이드구멍
20: 누름로드 21: 제1원통부
22: 제2원통부 28: 상단 스토퍼
29: 하단 스토퍼 30: 스프링부재
41: 제1지지턱 42: 제2지지턱
50: 보조 콘센트부 51: 소켓공

Claims (11)

  1. 전원코드의 단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콘센트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를 가진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로드; 및
    상기 누름로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누름로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로드의 상단을 누름에 따라 상기 누름로드의 하단은 하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는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로드는 상기 가이드구멍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로드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의 하부에 위치한 제2원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원통부는 상기 제1원통부 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원통부와 제2원통부의 만나는 부분에는 제1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의 하단에는 내경방향으로 제2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은 제1지지턱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하단은 제2지지턱에 지지되어 상기 누름로드를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로드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구멍의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진 상단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로드의 하단에는 하단 스토퍼가 분리되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6. 상부에 한 쌍의 소켓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콘센트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로드; 및
    상기 누름로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누름로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로드의 상단을 누름에 따라 상기 누름로드의 하단은 하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는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로드는 상기 가이드구멍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누름로드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의 하부에 위치한 제2원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원통부는 상기 제1원통부 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원통부와 제2원통부의 만나는 부분에는 제1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의 하단에는 내경방향으로 제2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은 제1지지턱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하단은 제2지지턱에 지지되어 상기 누름로드를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누름로드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구멍의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진 상단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로드의 하단에는 하단 스토퍼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통전표시램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통전표시램프에 의해 접속단자의 접속 및 분리를 손쉽게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KR20130113395A 2013-09-24 2013-09-24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KR20150033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395A KR20150033410A (ko) 2013-09-24 2013-09-24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395A KR20150033410A (ko) 2013-09-24 2013-09-24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410A true KR20150033410A (ko) 2015-04-01

Family

ID=5303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3395A KR20150033410A (ko) 2013-09-24 2013-09-24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34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1219A1 (de) * 2017-09-20 2019-04-17 Sebastian Thomas Stecksystem und stecker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steckverbindung
AT16681U1 (de) * 2017-11-17 2020-04-15 Pc Electric Gmbh Steckvorrichtung
KR102104746B1 (ko) * 2019-05-10 2020-04-24 이건희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1219A1 (de) * 2017-09-20 2019-04-17 Sebastian Thomas Stecksystem und stecker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steckverbindung
AT16681U1 (de) * 2017-11-17 2020-04-15 Pc Electric Gmbh Steckvorrichtung
KR102104746B1 (ko) * 2019-05-10 2020-04-24 이건희 원터치 인출형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2686B2 (en) Remote control electrical switch
CN203911113U (zh) 易拔插座
KR20150033410A (ko) 소력으로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장치
CN203147403U (zh) 一种led安全灯管
KR101861984B1 (ko) 플러그를 눌러서 뽑는 콘센트
WO2012065302A1 (zh) 开关与报警器一体的照明灯具
CN204067676U (zh) 一种欧式转换插头及多功能转换插座
CN202721062U (zh) 跷板开关
CN205790710U (zh) 弹跳式防触电开关卡槽导盲插座
CN204905111U (zh) 轻触开关
CN205724196U (zh) 安全插座
CN207530206U (zh) 一种带有标识的电线插头
CN2886855Y (zh) 易拔插头
CN203085419U (zh) 一种自锁微动开关
KR20130067434A (ko) 지렛대를 이용한 플러그
KR20110087686A (ko) 뒤집어진 멀티탭
CN204927130U (zh) 轻触开关
CN204011178U (zh) 按钮式双段开关
CN203706973U (zh) 用于电视机的电磁复位按钮开关
KR101237049B1 (ko) 전원 플러그 장치
CN215184634U (zh) 一种高速吹风机配件的自动电气连接装置
CN219199092U (zh) 一种智能交互灯
CN203205581U (zh) 按压式单手操控插座
CN216015145U (zh) 一种多功能控制开关
CN201184501Y (zh) 可使用多种型号电池的手电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