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307Y1 -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307Y1
KR200462307Y1 KR2020120004118U KR20120004118U KR200462307Y1 KR 200462307 Y1 KR200462307 Y1 KR 200462307Y1 KR 2020120004118 U KR2020120004118 U KR 2020120004118U KR 20120004118 U KR20120004118 U KR 20120004118U KR 200462307 Y1 KR200462307 Y1 KR 200462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eparation
groove
outle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영
Original Assignee
김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영 filed Critical 김나영
Priority to KR2020120004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3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3Separation or disconnection ai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콘센트케이스(100),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플러그홈(110), 상기 플러그홈(110)에 결합되는 플러그(200), 상기 플러그(200)의 일면에 힘을 가하여 플러그(200)가 플러그홈(110)으로부터 전방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분리블럭(300), 상기 분리블럭(3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블럭스프링(310),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의 전방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함에 따라 상기 분리블럭(300)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분리버튼(400), 분리버튼(400)과 분리블럭(300)이 서로 연동하여 전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지렛대(410), 상기 지렛대(4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단(420), 상기 플러그(200)가 플러그홈(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500), 상기 이탈방지돌기(500)의 끝단부가 플러그홈(11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힘을 가하는 돌기스프링(510), 상기 플러그(200)에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500)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이탈방지홈(502), 상기 플러그(200)에 장착되며 상기 플러그(200)가 플러그홈(110)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이탈되도록 가이드하는 보조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플러그의 체결과 분리가 보다 용이하며,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FOR PLUG AND CONCENT}
본 고안은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 일측에 구비되는 분리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콘센트의 단자홈으로부터 플러그의 단자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분리된 플러그의 몸체는 콘센트의 플러그홈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와 콘센트는 짝을 이루어, 가전제품이나 기타 전기용품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플러그와 콘센트는 서로 전원단자가 결합되어야 하므로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여 서로 결합하여야 한다. 또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플러그 및 콘센트 형상에서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가 플러그와 콘센트를 체결하거나 분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는 한국공개특허 10-2005-0024530, 한국등록특허 10-0633363와 같이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구조에서도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이탈되므로, 다시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하려는 경우에는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튼을 미는 동작에만 의존하여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이 또한 노약자나 어린이에게는 일정 이상의 힘이 필요하므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일정 부분 밀려나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가(假)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튼을 이용하여 플러그가 분리되도록 하는 외에, 플러그에 보조수단을 더 구비하여 플러그의 장착과 분리를 더욱 편리하도록 하는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콘센트케이스와, 상기 콘센트케이스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전방이 개구되는 플러그홈과, 상기 플러그홈에 선택적으로 일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홈에 수용된 플러그의 일면에 힘을 가하여 플러그가 플러그홈으로부터 전방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분리블럭과, 상기 콘센트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분리블럭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블럭스프링과, 상기 콘센트케이스의 전방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함에 따라 상기 분리블럭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분리버튼과, 상기 분리버튼과 분리블럭 사이에 구비되며 분리버튼과 분리블럭이 서로 연동하여 전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지렛대와, 상기 콘센트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지렛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단과, 상기 플러그홈의 하방에 구비되며,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러그가 플러그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끝단부가 플러그홈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힘을 가하는 돌기스프링과, 상기 플러그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이탈방지홈과, 상기 플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플러그가 플러그홈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이탈되도록 가이드하는 보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수단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플러그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반원 형상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도록 안내하는 인출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렛대와 분리버튼 사이에는 버튼연결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렛대의 상단과 분리버튼이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지렛대와 분리블럭 사이에는 블럭연결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렛대의 하단과 분리블럭이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지렛대의 상단으로부터 지지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지렛대 하단으로부터 지지단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에는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콘센트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이러한 분리버튼을 누르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분리블럭이 구비된다. 분리버튼의 조작에 의해 돌출되는 분리블럭은 플러그를 전방으로 밀어내어, 콘센트로부터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의 단자가 콘센트의 단자홈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버튼에 의해 콘센트로부터 분리된 플러그는, 콘센트 케이스 일측의 이탈방지돌기에 걸림으로써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가(假)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假) 결합된 상태에서는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플러그의 단자는 콘센트의 단자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므로 전원이 차단된다.
이처럼 플러그가 콘센트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은 가(假)조립 상태를 유지하다가, 다시 전원연결이 필요한 경우에 플러그를 간단히 콘센트의 플러그홈에 밀어넣으면 플러그의 단자가 콘센트의 단자홈에 완전히 결합된다. 따라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는 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플러그에 보조수단이 더 구비된다. 보조수단은 일단이 상기 플러그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압박부와, 압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반원 형상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인출고리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수단을 이용하여 플러그를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플러그의 분리를 도울 수 있다. 즉, 분리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보조수단의 압박부를 전방으로 돌린 상태에서 인출고리부에 손가락을 넣어 당기면, 플러그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를 콘센트에 체결하는 경우에는, 보조수단의 압박부를 플러그의 양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압박부를 손으로 밀어넣으면 플러그가 콘센트에 쉽게 체결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콘센트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콘센트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콘센트의 외부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콘센트의 체결구조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외부 구성이 사시도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를 구성하는 콘센트(10)는 콘센트케이스(100)와, 플러그홈(110), 단자홈(112) 등으로 구성된다.
콘센트케이스(100)는 콘센트(10)를 이루는 틀을 구성하며,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콘센트케이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플러그홈(110)은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전방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홈(110)은 상기 콘센트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깊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홈(110)은 상기 콘센트(10)에 플러그(200)를 체결할 때에, 플러그(200)가 안착되는 공간이 된다.
단자홈(112)은 상기 플러그홈(110)의 내측에 구비되며, 플러그(200)의 단자(2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자홈(112)에는 상기 콘센트(10)에 플러그(200)를 체결할 때에 단자(210)가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홈(110)의 일측에는 분리블록(300)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블록(300)은 상기 플러그홈(110)에 수용된 플러그(200)의 일면에 힘을 가하여, 플러그(200)가 상기 플러그홈(110)으로부터 전방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블록수용부(310)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수용부(310)는 상기 플러그홈(110)의 후측(도 2에서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리블록(300)이 전후(도 2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수용부(310)는 전방의 분리블럭홀(312)을 통해 외부와 연통 된다. 상기 분리블럭홀(312)은 상기 분리블록(300)이 전진 이동시에 분리블록(300)의 전단이 외부, 즉 상기 플러그홈(110)으로 돌출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수용부(310)에는 전진차단턱(314)과 후진차단턱(316)이 형성된다. 상기 전진차단턱(314)과 후진차단턱(316)은 상기 분리블록(300)의 일측에 걸려, 상기 분리블록(3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진차단턱(314)과 후진차단턱(316)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블록(300)은 상기 전진차단턱(314)과 후진차단턱(316) 사이의 이격된 거리만큼 전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블록(300)에는 상기 전진차단턱(314) 또는 상기 후진차단턱(316)에 걸리는 걸림턱(30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02)은, 상기 분리블록(300)이 전진 이동할 시에 상기 전진차단턱(314)에 걸리고, 상기 분리블록(300)이 후진 이동할 시에 상기 후진차단턱(316)에 걸린다.
그리고, 상기 블록수용부(310)의 일측에는 블록스프링(320)이 구비된다. 상기 블록스프링(320)은 상기 분리블록(3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스프링(320))은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스프링(320)은 상기 분리블록(300)이 후진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여, 상기 분리블록(300)이 상기 분리블럭홀(312)의 후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강제한다.
한편,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의 다른 일측에는 분리버튼(400)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버튼(400)은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의 전방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력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분리버튼(400)은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함으로써 후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버튼(400)과 분리블록(300)의 사이에는 지렛대(410)가 구비된다. 상기 지렛대(410)는 일단이 상기 분리버튼(4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분리블록(300)과 연결된다. 상기 지렛대(410)는 상기 분리버튼(400)과 분리블록(300)이 서로 연동하여 전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
그리고, 상기 지렛대(410)는 상기 콘센트케이스(100)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단(42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단(420)은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의 내측 벽에 구비되며, 상기 분리버튼(400)과 분리블록(3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렛대(410)는 상기 지지단(420)에 의해 일측이 지지된 상태로 시소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렛대(410)는 상기 분리버튼(400)과 분리블록(300)이 서로 연동하여 전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렛대(410)와 분리버튼(400)의 사이에는 버튼연결대(430)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연결대(430)는 일단이 상기 지렛대(4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분리버튼(40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버튼연결대(430)는 상기 지렛대(410)와 상기 분리버튼(400)이 서로 연동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지렛대(410)와 분리블록(300)의 사이에는 블록연결대(440)가 구비된다. 상기 블록연결대(440)는 일단이 상기 지렛대(4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분리블록(30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블록연결대(440)는 상기 지렛대(410)와 상기 분리블록(300)이 서로 연동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상기 지렛대(410)의 상단으로부터 지지단(420) 사이의 거리(L)는, 상기 지렛대(410)의 하단으로부터 지지단(420) 사이의 거리(M)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분리블록(300)을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분리블록(300)을 전방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리버튼(400)을 가압할 때, 상기 가압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홈(110)의 하방에는 이탈방지돌기(500)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500)는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500)는 플러그(200)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걸려, 플러그(200)가 상기 플러그홈(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500)의 하부에는 돌기스프링(510)이 구비된다. 상기 돌기스프링(510)은 상기 이탈방지돌기(500)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500)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플러그홈(110)에는 플러그(200)가 선택적으로 결합 된다. 상기 플러그(200)는 상기 콘센트(10)에 결합 될 때에, 일부가 상기 플러그홈(110)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200)의 일측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500)에 대응되는 이탈방지홈(502)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홈(502)은 상기 플러그(20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홈(502)은 상기 이탈방지돌기(500)에 걸려, 상기 플러그(200)가 콘센트(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플러그(200)의 다른 일측에는 보조수단(60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수단(600)은 상기 플러그(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플러그(200)가 플러그홈(110)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이탈되도록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수단(600)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부(610), 인출고리부(6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압박부(61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플러그(20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박부(610)는 상기 플러그(200)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610)는 도 4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압박하여 밀 수 있다.
상기 압박부(610)의 일단에는 인출고리부(620)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고리부(620)는 상기 압박부(6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도록 절곡 형성된다. 상기 인출고리부(6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도록 안내한다. 즉, 도 4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고리부(620)가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당길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가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는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된 상태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콘센트(10)에 플러그(200)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콘센트(10)에 플러그(20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플러그(200)를 콘센트케이스(100)의 플러그홈(110)에 근접시킨 후, 상기 플러그(200)를 상기 플러그홈(110) 측으로 밀어 결합한다. 즉, 플러그(20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단자(210)를 콘센트(10)의 단자홈(도시되지 않음)에 끼운다.
상기 플러그홈(110)에 플러그(200)를 장착할 때에는, 도 3 및 도 4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단(600)이 콘센트(10) 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압박부(610)를 밀어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 5와 같이 플러그(200)의 우측면이 플러그홈(110) 속으로 완전히 수용되어 분리블록(300)의 좌측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분리버튼(400)은 좌측으로 돌출된 상태다 된다.
다음으로,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200)가 분리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2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분리버튼(400)을 압박한다. 즉, 상기 분리버튼(400)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콘센트케이스(100)로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상기 분리블록(300)이 좌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되는 분리블록(300)에 의해 상기 플러그(200)가 좌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연이어 도 6과 같이 상기 플러그(200)의 이탈방지홈(502)에 이탈방지돌기(500)가 수용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플러그(200)의 분리가 정지되고, 플러그(200)의 단자(210)는 콘센트의 단자홈(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므로 전원은 차단된다.(가조립상태임)
상기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200)를 분리할 때에는,도 3 및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수단(600)이 상기 콘센트(10)의 반대 측으로 접혀지도록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수단(600)의 인출고리부(620)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걸은 다음 전방으로 당겨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수단(600)을 이용하여 계속해서 상기 플러그(200)를 당기면, 상기 플러그(200)는 가(假)조립상태를 벗어나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즉, 상기 플러그(200)가 좌측으로 더 이탈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500)가 이탈방지홈(502)을 벗어나게 되어, 플러그(200)는 플러그홈(1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다.
물론, 도 6과 같이 가(假)체결된 상태에서 다시 전원 공급을 위해서 상기 보조수단(600)의 압박부(610)를 손가락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이탈방지돌기(500)는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탈방지홈(502)을 벗어나게 되므로, 플러그(200)의 단자(210)는 콘센트(10)의 단자홈(112)에 삽입되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콘센트 100 : 콘센트케이스
110 : 플러그홈 112 : 단자홈
200 : 플러그 210 : 단자
300 : 분리블록 302 : 걸림턱
310 : 블록수용부 312 : 분리블럭홀
314 : 전진차단턱 316 : 후진차단턱
320 : 블록스프링 400 : 분리버튼
410 : 지렛대 420 : 지지단
430 : 버튼연결대 440 : 블록연결대
500 : 이탈방지돌기 502 : 이탈방지홈
510 : 돌기스프링 600 : 보조수단
610 : 압박부 620 : 인출고리부

Claims (3)

  1.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콘센트케이스(100)와;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전방이 개구되는 플러그홈(110)과;
    상기 플러그홈(110)에 선택적으로 일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플러그(200)와;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에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홈(110)에 수용된 플러그(200)의 일면에 힘을 가하여 플러그(200)가 플러그홈(110)으로부터 전방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분리블럭(300)과;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에 구비되며, 상기 분리블럭(3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블럭스프링(310)과;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의 전방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함에 따라 상기 분리블럭(300)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분리버튼(400)과;
    상기 분리버튼(400)과 분리블럭(300) 사이에 구비되며, 분리버튼(400)과 분리블럭(300)이 서로 연동하여 전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지렛대(410)와;
    상기 콘센트케이스(100)에 형성되며, 상기 지렛대(4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단(420)과;
    상기 플러그홈(110)의 하방에 구비되며,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러그(200)가 플러그홈(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500)와;
    상기 이탈방지돌기(500)의 끝단부가 플러그홈(11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힘을 가하는 돌기스프링(510)과;
    상기 플러그(20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500)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이탈방지홈(502)과;
    상기 플러그(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압박되거나 당겨져 상기 플러그(200)가 플러그홈(110)에 장착되거나 이탈되도록 가이드하는 보조수단(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60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플러그(20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압박부(610)와;
    상기 압박부(6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도록 절곡 형성된 인출고리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렛대(410)와 분리버튼(400) 사이에는 버튼연결대(4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렛대(410)의 상단과 분리버튼(400)이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지렛대(410)와 분리블럭(300) 사이에는 블럭연결대(44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렛대(410)의 하단과 분리블럭(300)이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지렛대(410)의 상단으로부터 지지단(420) 사이의 거리(L)는, 상기 지렛대(410) 하단으로부터 지지단(420) 사이의 거리(M)보다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KR2020120004118U 2012-05-17 2012-05-17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KR200462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18U KR200462307Y1 (ko) 2012-05-17 2012-05-17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18U KR200462307Y1 (ko) 2012-05-17 2012-05-17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307Y1 true KR200462307Y1 (ko) 2012-09-10

Family

ID=4707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118U KR200462307Y1 (ko) 2012-05-17 2012-05-17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30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88B1 (ko) * 2013-02-06 2013-08-09 주수헌 사용성이 개선된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
KR101546060B1 (ko) * 2014-07-17 2015-08-28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부하 측정용 연결지그
KR101565737B1 (ko) 2014-02-04 2015-11-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터치 멀티탭
KR20190000971U (ko) 2017-10-17 2019-04-25 (주)월드코리아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KR102167680B1 (ko) * 2019-07-02 2020-10-19 박경일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조립체
KR102167940B1 (ko) * 2020-06-03 2020-10-20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용 콘센트 구조
KR20210094768A (ko) * 2020-01-22 2021-07-30 고철희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743Y1 (ko) 2000-09-14 2001-02-15 조성원 플러그 탈거 장치를 가진 콘센트
KR200262203Y1 (ko) 2001-10-05 2002-03-18 남건우 플러그 인출장치가 있는 콘센트
JP2010225503A (ja) 2009-03-25 2010-10-07 Toshiba Hokuto Electronics Corp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コネクタ並びにこれらのセ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743Y1 (ko) 2000-09-14 2001-02-15 조성원 플러그 탈거 장치를 가진 콘센트
KR200262203Y1 (ko) 2001-10-05 2002-03-18 남건우 플러그 인출장치가 있는 콘센트
JP2010225503A (ja) 2009-03-25 2010-10-07 Toshiba Hokuto Electronics Corp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コネクタ並びにこれらのセッ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88B1 (ko) * 2013-02-06 2013-08-09 주수헌 사용성이 개선된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
KR101565737B1 (ko) 2014-02-04 2015-11-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터치 멀티탭
KR101546060B1 (ko) * 2014-07-17 2015-08-28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부하 측정용 연결지그
KR20190000971U (ko) 2017-10-17 2019-04-25 (주)월드코리아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KR102167680B1 (ko) * 2019-07-02 2020-10-19 박경일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조립체
KR20210094768A (ko) * 2020-01-22 2021-07-30 고철희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KR102306788B1 (ko) 2020-01-22 2021-09-30 고철희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KR102167940B1 (ko) * 2020-06-03 2020-10-20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용 콘센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307Y1 (ko)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CN201797166U (zh) 连接器
US9130296B2 (en) Power jack with a movable socket cover
US8807618B2 (en) Connecting device for multifunctional box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140002391U (ko)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CN103025097A (zh) 电子装置
KR20080075380A (ko) 탄성 레버 커넥터
CN104103960A (zh) 电源插座
JP2010123480A (ja) 雄雌接続構造
US8011940B1 (en) Power socket device having switches
JP3851841B2 (ja) コネクタの離脱構造及びコネクタ離脱用治具
KR100986197B1 (ko) 탈거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KR101796200B1 (ko) 콘센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CN212277527U (zh) 一种便于插头固定的插座
KR200461009Y1 (ko) 원터치 플러그 분리 콘센트
JP3161717U (ja) コネクタ構造
CN109193266B (zh) 具有解锁功能的插头连接器
KR101268527B1 (ko)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JP5052373B2 (ja) コネクタ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0172065Y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JP3879911B2 (ja) コネクタの離脱構造
KR20120104710A (ko) 플러그 착탈 제어형 안전용 콘센트
CN219629341U (zh) 一种茶吧机
KR200373005Y1 (ko) 원터치 플러그 제거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