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527B1 -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527B1
KR101268527B1 KR1020120013880A KR20120013880A KR101268527B1 KR 101268527 B1 KR101268527 B1 KR 101268527B1 KR 1020120013880 A KR1020120013880 A KR 1020120013880A KR 20120013880 A KR20120013880 A KR 20120013880A KR 101268527 B1 KR101268527 B1 KR 101268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m
plug
outle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호
Original Assignee
(주)대성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이엔티 filed Critical (주)대성이엔티
Priority to KR1020120013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4Resiliently-mounted rigid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센트공이 형성된 이동판이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최초 가압되거나, 이미 가압된 상태에서 재차 가압되는 경우에 전원이 순차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게 됨으로써 플러그를 뽑지 않은 채 작은 힘으로 대기전력을 제로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는 동작에서 콘센트 방향으로 힘을 더 가하면 전원이 턴온되고, 재차 플러그를 가압하면 전원이 턴오프되므로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전원을 스위칭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플러그를 뽑은 것과 동일하게 스탠바이 전원이 전무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ELECTRIC OUTLET APPARATUS FOR POWER SAVING OF PUSH TYPE}
본 발명은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콘센트공이 형성된 이동판이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최초 가압되거나, 이미 가압된 상태에서 재차 가압되는 경우에 전원이 순차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게 됨으로써 플러그를 뽑지 않은 채 작은 힘으로 대기전력을 제로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종래 텔레비전, 비디오 테이프 녹화기, 전축 등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벽에 내장된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지만 외출시나 취침 등과 같이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단지 전기제품에 설치된 전원스위치만 폐로하고 콘센트에 끼워진 플러그를 빼지 않고 사용하게 된다.
또한, 공장에서는 전원스위치가 단자함에 설치되어 개폐를 할 수 있지만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각 기기의 플러그를 뺏다, 꽂았다 해야 하므로 플러그의 파손으로 감전의 위험이 따랐다.
또한, 전기제품의 불사용시 콘센트에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꽂아두면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다는 사실을 숙지하고 있을지라도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빼는 자체가 번거롭고, 매번 허리를 굽혀 강하게 꽂혀있는 플러그를 빼고 사용시 다시 꼽기가 불편하고 꽤 많은 힘이 가해져야만 플러그가 빠지게 되므로 대부분 플러그를 꽂아둔 상태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기제품에 구비된 전원스위치만 끄게 되기 때문에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놓아둠으로써 전기제품내의 회로상에 공급되는 미세한 전류가 소비되며 그로인한 에너지의 낭비가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가전제품은 전원 케이블이 당겨져서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플러그는 콘센트에 강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제작되게 된다.
그러나, 에너지 절약상 이러한 가전들의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빼기 위해 통상 전원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경우가 있으며 그로인해 전원케이블과 플러그간의 접속상태가 불량해져 고장발생의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피가 큰 가전제품의 배면측 벽에 부착된 콘센트에 대해 플러그 장치를 뽑았다 꽂았다 하는 동작은 인출 공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콘센트공이 형성된 이동판이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최초 가압되거나, 이미 가압된 상태에서 재차 가압되는 경우에 전원이 순차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게 됨으로써 플러그를 뽑지 않은 채 작은 힘으로 대기전력을 제로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되는 콘센트부가 구비되며 하단에 단자편이 형성된 삽입단자와; 상기 삽입단자가 전면에 구성되고 내부 케이스에 고정된 캠링크에 대해 작동되는 가이드캠이 그 전면 소정부에 탑재되는 스위칭 변환판과; 전원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삽입단자가 체결되는 체결단자와; 상기 체결단자를 그 내부에 고정시키며, 그 전면이 개방된 육각면체로 이루어진 내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에 대한 삽입단자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최초 가압되거나, 이미 가압된 상태에서 재차 가압되는 경우에 전원이 순차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 변환판은 그 소정부에 스프링이 관통되는 스프링 관통공과, 상기 체결단자가 관통되는 체결단자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 변환판은 그 전면에 상기 삽입단자를 은폐시키면서 플러그 단자봉이 관통되는 콘센트공이 형성되고, 그 배면에 상기 스위칭변환판에 고정되는 리브가 형성된 이동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전면에는 그 배면에 상기 스위칭변환판이 내부에서 이동되는 가이드관체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내부커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최전면과 최배면에는 각각 외부 커버와 외부케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캠은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체결단자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스위칭변환판의 전면에 구성되며, 육각면체로 이루어진 가이드캠 몸체와; 상기 캠링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캠 몸체의 내부를 그 캠링크가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가압력에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캠링크가 임시로 위치될 수 있게 되는 링크 유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 유도부는 상호 연장되면서 링크 유도부의 입구를 형성하는 유출입부와; 상기 유출입부와 연장되면서 사용자의 최초 가압시 캠링크가 이동되는 제 1 유도이동부와; 상기 제 1유도이동부와 연장되면서 사용자의 최초 가압시 캠링크가 위치되는 대기부와; 상기 대기부와 연장되면서, 사용자의 재차 가압시 캠링크가 이동되는 제 2 유도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는 동작에서 콘센트 방향으로 힘을 더 가하면 전원이 턴온되고, 재차 플러그를 가압하면 전원이 턴오프되므로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전원을 스위칭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플러그를 뽑은 것과 동일하게 스탠바이 전원이 전무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의 스위칭 오프/온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의 스위칭 오프/온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2)는 콘센트공이 형성된 이동판이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최초 가압되거나, 이미 가압된 상태에서 재차 가압되는 경우에 전원이 순차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게 됨으로써 플러그를 뽑지 않은 채 작은 힘으로 대기전력을 제로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2)는 전면에 플러그 단자봉(6)이 삽입되는 콘센트부(10)가 구비되며 하단에 단자편(12)이 형성된 삽입단자(8)와; 상기 삽입단자(8)가 전면에 구성되고 내부 케이스(14)에 고정된 캠링크(16)에 대해 작동되는 가이드캠(35)이 그 전면 소정부에 탑재되는 스위칭 변환판(18)과; 전원케이블(미도시)과 연결되며 상기 삽입단자(8)가 체결되는 체결단자(22)와; 상기 체결단자(20)를 그 내부에 고정시키며, 그 전면이 개방된 육각면체로 이루어진 내부 케이스(14)와; 상기 내부케이스(14)에 대한 삽입단자(8)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44)을 구비함으로써, 플러그 단자봉(6)이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최초 가압되거나, 이미 가압된 상태에서 재차 가압되는 경우에 전원이 순차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 변환판(18)은 그 소정부에 스프링(44)이 관통되는 스프링 관통공(70)과, 상기 체결단자(20)가 관통되는 체결단자 관통공(7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 변환판(18)은 그 전면에 상기 삽입단자(8)를 은폐시키면서 플러그 단자봉(6)이 관통되는 콘센트공(74)이 형성되고, 그 배면에 상기 스위칭변환판(18)에 고정되는 리브(76)가 형성된 이동판(78)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내부 케이스(14)의 전면에는, 그 배면에 상기 스위칭변환판(18)이 내부에서 이동되는 가이드관체(80)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내부커버(82)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2)의 최전면과 최배면에는 각각 외부 커버(84)와 외부케이스(86)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단자(20)는 스위칭로드(22)의 상단과 하단 전면에 각각 형성된 바, 이러한 스위칭로드(22)는 복수개 구성되어 복수개의 콘센트부(10)에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바, 복수개의 플러그(4)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86)의 내부에 지지판(88)이 결합되고 그 지지판(88)은 상기 스위칭로드(22)를 전면에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2)에 구비된 상기 이동판(78)과 삽입단자(8)의 사이에는 부수적으로 유동커버(90)가 구비되며, 그 유동커버(90)의 하단에는 플러그 단자봉(6)과 수직방향으로 스프링(92)이 구비되고, 그 유동커버(90)의 상단면이며 예컨대, 상기 플러그 단자봉(6)이 통과하는 직선상의 유동커버(9)의 상단면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봉(6)이 삽입될 때, 그 플러그 단자봉(6)과 접하면서 그 플러그 단자봉(6)의 진입력에 의해 유동커버(90)는 하방으로 오픈된다.
반면, 상기 플러그 단자봉(6)을 상기 이동판(78)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유동커버(90)를 하방으로 밀어내린 힘이 제거된 것이므로, 상기 유동커버(90)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원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2)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캠(35)은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체결단자(20)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스위칭변환판(18)의 전면에 구성되며, 육각면체로 이루어진 가이드캠 몸체(36)와; 상기 캠링크(16)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캠 몸체(36)의 내부를 그 캠링크(16)가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가압력에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캠링크(16)가 임시로 위치될 수 있게 되는 링크 유도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링크 유도부는 상호 연장되면서 링크 유도부의 입구를 형성하는 유출입부(56)와; 상기 유출입부(56)와 연장되면서 사용자의 최초 가압시 캠링크(16)가 이동되는 제 1 유도이동부(50)와; 상기 제 1유도이동부(50)와 연장되면서 사용자의 최초 가압시 캠링크(16)가 위치되는 대기부(52)와; 상기 대기부(52)와 연장되면서, 사용자의 재차 가압시 캠링크(16)가 이동되는 제 2 유도이동부(5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2)는 상기 플러그(4)의 전단에 구비된 플러그 단자봉(6)이 상기 이동판(78)에 형성된 콘센트공(74)을 통과하여 삽입단자(8)의 콘센트부(10)에 체결된 상태에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단자(8)가 고정된 스위칭변환판(18)이 상기 체결단자(2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면 전원경로는 오픈 경로로 이루어져 콘센트장치(2)까지 유입된 전원이 플러그(4)를 통해 가전제품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턴온시키기 위해, 상기 플러그(4)를 상기 체결단자(20)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플러그 단자봉(6)이 삽입된 삽입단자(8)가 결합된 상기 스위칭변환판(18)도 체결단자(2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서, 상기 스위칭변환판(18)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캠(35)도 상기 체결단자(20)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로인해 상기 캠링크(16)가 상기 링크 유도부(38)의 유출입부(56)를 거쳐 제 1 유도이동부(5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고정로드(34)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스프링(44)의 탄성력이 상기 이동판(78)에 가해지고, 그 이동판(78)은 스위칭변환판(18)에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결국 스프링(44)의 탄성력은 상기 스위칭변환판(18)에 가해지면서 상기 스위칭변환판(18)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캠링크(16)는 도 5b와 같이 상기 대기부(52)에 위치되게 되며, 이 상태는 상기 삽입단자(8)의 단자편(12)이 상기 체결단자(20)에 유입된 상태이므로 전원이 스위칭 턴온되게 되고, 도 4의 B와 같은 상태이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차 상기 플러그 단자봉(6)이 상기 이동판(78)에 형성된 콘센트공(74)을 통과하여 삽입단자(8)의 콘센트부(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4)를 상기 체결단자(20)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대기부(52)에 위치된 캠링크(16)가 제 2 유도이동부(54)를 따라 상기 유출입부(56)의 위치로 이동되는 바, 그 유출입부(56)는 폐쇄되어져 있으므로 캠링크(16)가 이탈되지는 않는 상태에서 도 5a와 같이 스프링(44)이 완전히 신장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단자(8)의 단자편(12)이 상기 체결단자(20)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므로 전원이 스위칭 턴오프되고, 이는 도 4의 A와 같은 상태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4:플러그,
6:플러그 단자봉, 8:삽입단자,
10:콘센트부, 12:단자편,
16:캠링크, 35:가이드캠,
36:가이드캠 몸체, 44:스프링.

Claims (7)

  1. 전면에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되는 콘센트부가 구비되며 하단에 단자편이 형성된 삽입단자와;
    상기 삽입단자가 전면에 구성되고 내부 케이스에 고정된 캠링크에 대해 작동되는 가이드캠이 그 전면 소정부에 탑재되는 스위칭 변환판과;
    전원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삽입단자가 체결되는 체결단자와;
    상기 체결단자를 그 내부에 고정시키며, 그 전면이 개방된 육각면체로 이루어진 내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에 대한 삽입단자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최초 가압되거나, 이미 가압된 상태에서 재차 가압되는 경우에 전원이 순차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변환판은 그 소정부에 스프링이 관통되는 스프링 관통공과, 상기 체결단자가 관통되는 체결단자 관통공과;
    그 전면에 상기 삽입단자를 은폐시키면서 플러그 단자봉이 관통되는 콘센트공과;
    그 배면에 상기 스위칭변환판에 고정되는 리브가 형성된 이동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전면에는
    그 배면에 상기 스위칭변환판이 내부에서 이동되는 가이드관체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내부커버와;
    최전면과 최배면에는 각각 외부 커버와 외부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캠은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체결단자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스위칭변환판의 전면에 구성되며, 육각면체로 이루어진 가이드캠 몸체와;
    상기 캠링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캠 몸체의 내부를 그 캠링크가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가압력에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캠링크가 임시로 위치될 수 있게 되는 링크 유도부와;
    상기 링크 유도부는 상호 연장되면서 링크 유도부의 입구를 형성하는 유출입부와;
    상기 유출입부와 연장되면서 사용자의 최초 가압시 캠링크가 이동되는 제 1 유도이동부와;
    상기 제 1유도이동부와 연장되면서 사용자의 최초 가압시 캠링크가 위치되는 대기부와;
    상기 대기부와 연장되면서, 사용자의 재차 가압시 캠링크가 이동되는 제 2 유도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13880A 2012-02-10 2012-02-10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KR101268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80A KR101268527B1 (ko) 2012-02-10 2012-02-10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80A KR101268527B1 (ko) 2012-02-10 2012-02-10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527B1 true KR101268527B1 (ko) 2013-05-28

Family

ID=4866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880A KR101268527B1 (ko) 2012-02-10 2012-02-10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5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313A1 (ko) * 2017-07-26 2019-01-31 주식회사 태주산업 콘센트의 승강판 홀드 및 래치 장치
KR20190078452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usb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32Y1 (ko) 2009-06-12 2010-07-01 박연숙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32Y1 (ko) 2009-06-12 2010-07-01 박연숙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313A1 (ko) * 2017-07-26 2019-01-31 주식회사 태주산업 콘센트의 승강판 홀드 및 래치 장치
KR20190078452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usb 커넥터
KR102487165B1 (ko) * 2017-12-26 2023-01-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usb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307Y1 (ko)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CN104205522B (zh) 便于整理连接至电子产品的多余电线的多插口插座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KR101268527B1 (ko)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CN204102770U (zh) 电子烟的开关机构
KR20110065800A (ko) 멀티탭 콘센트
KR200418469Y1 (ko) 전기 콘센트의 스위칭 장치가 부착된 멀티 콘센트
KR20090115604A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벽체 매립형 콘센트
CN104157496B (zh) 电子烟的开关机构
KR20110100490A (ko) 원터치 분리가능한 전기플러그
KR101567801B1 (ko)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KR101268521B1 (ko) 푸쉬형 절전 플러그 장치
KR102214004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고정형 절전장치
KR101626608B1 (ko) 벽면 매설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박스
KR200175161Y1 (ko) 전원 플러그 이탈수단을 가지는 콘센트
KR20100002913U (ko)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KR101791602B1 (ko) 다기능 멀티탭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CN211404924U (zh) 一种抽屉式智能开关插座
KR100886825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벽체 매립형 콘센트
CN209880984U (zh) 一种方便通断的电源插头
CN208522159U (zh) 一种防水配电柜插座
KR101773798B1 (ko)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KR200458242Y1 (ko) 슬라이드형 벽붙이 전원 콘센트
JP3183461U (ja) 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