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452A - 차량의 usb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의 usb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452A
KR20190078452A KR1020180033970A KR20180033970A KR20190078452A KR 20190078452 A KR20190078452 A KR 20190078452A KR 1020180033970 A KR1020180033970 A KR 1020180033970A KR 20180033970 A KR20180033970 A KR 20180033970A KR 20190078452 A KR20190078452 A KR 20190078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
housing
box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165B1 (ko
Inventor
사티시 레디 마리야라
황진만
김종대
황승해
이재준
자가딕쉬 레디 만다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7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 시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는, 기본 몸체인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하도록 기능하는 캡,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장착되고,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소켓에 삽입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삽입 단자, 상기 삽입 단자에 공급된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는 USB 단자,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고,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단자 박스, 상기 USB 단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선택적으로 서로 접촉되는 상기 단자 박스의 중공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위치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가 서로 접촉하도록 기능하는 단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에는 상기 캡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폐쇄될 때에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를 서로 이격시키는 캡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USB 커넥터{UNIVERSAL SERIAL BUS CONNEC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USB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장에 대한 보완 성능이 향상된 차량의 USB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플러그를 회로에 접속시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구멍이 만들어진 소켓(socket)이 구비된다.
기존에는 이러한 소켓이 차량의 라이터를 점화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기기들의 발달로 인해 이러한 소켓을 이용하여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커넥터가 개발되었다.
한편, 범용성(generality)을 갖는 직렬 버스 규격의 하나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가 있으며, 상기 커넥터에 USB 단자가 구비된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항시 상기 소켓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는 USB 커넥터에 요구되지 않은 전력이 공급되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고 고장이 발생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 시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는, 기본 몸체인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하도록 기능하는 캡,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장착되고,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소켓에 삽입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삽입 단자, 상기 삽입 단자에 공급된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는 USB 단자,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고,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단자 박스, 상기 USB 단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선택적으로 서로 접촉되는 상기 단자 박스의 중공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위치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가 서로 접촉하도록 기능하는 단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에는 상기 캡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폐쇄될 때에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를 서로 이격시키는 캡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돌기가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USB 단자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캡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힌지 운동 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스프링의 탄성력을 효율적으로 전달받도록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에는 각각 탄성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 박스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기준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는, 상기 캡 돌기가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를 선택적으로 서로 이격시키도록 기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박스, 상기 고정 박스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박스에 천공된 박스 관통 홀을 통하여 상기 단자 박스와 연결되며, 상기 단자 박스와 함께 왕복운동 하는 작동 바디, 상기 고정 박스에서 상기 박스 관통 홀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자 박스의 중공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작동 바디를 관통하는 하우징 돌기, 상기 작동 바디를 상기 하우징 돌기가 돌출되는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도록 기능하는 바디 스프링, 상기 하우징 돌기가 돌출되는 면에 일단이 힌지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 바디의 측면에 접촉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후크가 접촉되는 상기 작동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자 박스를 수동으로 한 번 밀었다가 떼면, 상기 단자 박스가 원위치까지 돌출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에 상기 하우징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후크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홈의 하나의 경로를 따라 상기 작동 바디와 상대이동 하여 상기 가이드 홈의 걸림부에 걸릴 수 있다.
상기 후크의 타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자 박스를 수동으로 한 번 더 밀었다가 떼면, 상기 단자 박스가 원위치로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로부터 상기 하우징 돌기가 이탈되도록 상기 후크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홈의 다른 경로를 따라 상기 작동 바디와 상대이동 하여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돌기가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USB 단자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단자 박스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 중 하나인 제1 스위치 단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다른 하나인 제2 스위치 단자는 상기 단자 박스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는, 상기 캡 돌기가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를 선택적으로 서로 이격시키도록 기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단자 박스의 외측에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조작부 및 상기 단자 박스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와 상기 제1 스위치 단자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 홀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 단자로부터 돌출되는 단자 돌기 및 상기 단자 박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박스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1 스위치 단자가 일체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단자 돌기는 상기 박스 돌기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조작부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박스 돌기에 상기 단자 돌기가 걸리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가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단자가 이동될 때에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의 일단은 상기 단자 박스의 일면에 천공된 단자 관통 홀을 통하여 상기 단자 박스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박스 돌기에 상기 단자 돌기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단자 박스의 내측을 향하여 상기 조작부를 밀면, 상기 단자 돌기가 상기 박스 돌기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단자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에 접촉되는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 시에만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고 고장이 발생되는 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이 차단되도록 기능하는 캡의 파손 시에도 추가적인 스위치가 전력을 차단되도록 기능함으로써, 고장에 대한 보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캡을 개방시킨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캡이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캡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스위치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USB 단자에 전력이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USB 단자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스위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1)는 하우징(10), 캡(20), 및 삽입 단자(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USB 커넥터(1)의 구성요소가 장착, 형성, 또는 구비되는 상기 USB 커넥터(1)의 몸체이다.
상기 캡(20)은 상기 하우징(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을 개폐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삽입 단자(30)는 상기 하우징(10)의 타단에 장착되고, 차량의 실내에서 소켓(5)을 제공하는 소켓 제공 면(3)에 배치된 소켓(5)에 십입된다. 이러한 소켓(5)은 플러그를 회로에 접속시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구멍이 만들어진 부분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 단자(30)는 상기 플러그로서, 상기 USB 커넥터(1)가 상기 소켓(5)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상기 소켓(5)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캡을 개방시킨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0)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에는 USB 단자(12), 단자 박스(14) 및 스위치 단자(16)가 구비되고, 상기 캡(20)에는 힌지부(22) 및 캡 돌기(24)가 형성된다.
상기 USB 단자(12)는 상기 소켓(5)으로부터 상기 삽입 단자(30)에 공급된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는다. 여기서, USB 단자(12)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USB(Universal Serial Bus) 플러그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단자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단자 박스(14)는 상기 USB 단자(12)와는 별도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자 박스(14)는 중공의 기둥형상을 갖는다. 도 2에는 중공의 사각기둥 형상의 단자 박스(14)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단자 박스(14)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을 기준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 단자(16)는 상기 단자 박스(14)의 중공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단자(16)는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16) 중 하나를 제1 스위치 단자(16a)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스위치 단자(16b)라 칭하기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가 접촉되면, 상기 USB 단자(12)에 전력이 공급된다. 반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가 이격되면, 상기 USB 단자(12)에 전력이 해제된다.
상기 힌지부(22)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단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캡(20)은 상기 힌지부(22)를 중심으로 하는 힌지 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을 개폐한다.
상기 캡 돌기(24)는 상기 캡(20)이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을 폐쇄할 때에 상기 단자 박스(1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캡(20)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을 향하여 돌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캡이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0)이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을 폐쇄하면, 상기 캡 돌기(24)가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16)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를 이격시킨다. 따라서, 상기 USB 단자(12)에 전력이 해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캡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0)이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을 개방하면, 상기 캡 돌기(24)가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16)의 사이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USB 단자(12)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 및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를 당기는 단자 스프링(17)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 스프링(17)의 탄성력을 효율적으로 전달받도록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에는 제1 탄성 지지부(19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에는 제2 탄성 지지부(19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 및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 중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만이 이동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1)는 하우징 돌기(4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돌기(42)는 상기 캡(20)이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을 폐쇄할 때에 상기 캡 돌기(24)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돌기(42)는 상기 캡(20)이 파손될 시에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16)의 사이에 삽입되거나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16)의 사이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의 이격 및 접촉을 구현하도록 기능한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캡 돌기(24)가 상측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16)의 사이에 삽입된다면, 상기 하우징 돌기(42)는 하측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16)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로 상기 캡(20)의 파손 시에 상기 USB 단자(12)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해제하는 스위치(40, 5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1)의 스위치(40)는 고정 박스(41), 작동 바디(43), 바디 스프링(45), 후크(47), 및 가이드 홈(49)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박스(41)는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고, 내측에 공간(S)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 박스(41)에는 박스 관통 홀(41h)이 천공된다. 나아가, 상기 단자 박스(14)는 상기 박스 관통 홀(41h)을 통하여 왕복운동하고, 상기 박스 관통 홀(41h)은 상기 단자 박스(1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을 기준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상기 단자 박스(14)의 왕복운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 작동 바디(43)는 상기 고정 박스(41)의 내측 공간(S)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 박스(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 박스(14)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 박스(41)의 내측 공간(S)에서 왕복운동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돌기(42)는 상기 고정 박스(41)에서 상기 박스 관통 홀(41h)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자 박스(14)의 중공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작동 바디(43)를 관통한다.
상기 바디 스프링(45)은 상기 하우징 돌기(42)가 돌출되는 상기 고정 박스(41)의 면과 상기 작동 바디(4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 바디(43)를 상기 하우징 돌기(42)가 돌출되는 상기 고정 박스(41)의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도록 기능한다.
상기 후크(47)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 돌기(42)가 돌출되는 상기 고정 박스(41)의 면에 힌지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 바디(43)의 측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 바디(43)의 측면은 상기 단자 박스(14)가 형성되는 면을 상기 작동 바디(43)의 상면이라 하고, 상기 바디 스프링(45)에 의해 밀리는 면을 상기 작동 바디(43)의 하면이라 할 경우의 측면을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 홈(49)은 상기 후크(47)가 접촉되는 상기 작동 바디(43)의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49)은 상기 후크(47)를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스위치의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USB 단자에 전력이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USB 단자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자 박스(14)를 수동으로 한 번 밀었다가 떼면, 상기 후크(47)의 타단은 원위치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49)의 제1 경로(R1)를 따라 상기 작동 바디(43)와 상대이동 하여 상기 가이드 홈(49)의 걸림부(49a)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 박스(14)는 원위치까지 돌출되지 않고,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의 사이에 상기 하우징 돌기(42)가 삽입되어 상기 USB 단자(12)에 전력이 해제된다(도 7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자 박스(14)를 수동으로 한 번 더 밀었다가 떼면, 상기 후크(47)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홈(49)의 제2 경로(R2)를 따라 상기 작동 바디(43)와 상대이동 하여 상기 걸림부(49a)에 걸린 위치로부터 원위치로 돌아온다. 따라서, 상기 단자 박스(14)는 원위치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의 사이로부터 상기 하우징 돌기(42)가 이탈되어 상기 USB 단자(12)에 전력이 공급된다(도 8 참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고정 박스(41), 상기 하우징 돌기(42), 상기 작동 바디(43), 상기 바디 스프링(45), 상기 후크(47), 및 상기 가이드 홈(49)과 같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40)의 구성요소들이 삭제되고, 왕복운동 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도록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단자 박스(14a)를 포함하는 스위치(50)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1)의 스위치(50)에서도 상기 캡 돌기(24)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의 접촉 및 이격을 구현하는 작동은 동일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1)의 스위치(50)는 조작부(51), 가이드 홀(53), 연결부(55), 단자 돌기(57), 박스 돌기(59)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1)의 스위치(50)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가 이동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는 상기 단자 박스(14a)에 고정되며, 단자 스프링(17a)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를 향하여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를 밀도록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부터 변형된다.
상기 조작부(51)는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단자 박스(14a)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홀(53)은 상기 단자 박스(14a)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5)는 상기 조작부(5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53)을 통하여 상기 단자 박스(14a)의 내측에 연장된다. 또한, 상기 단자 박스(14a)의 내측에 연장된 상기 연결부(55)는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일체로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55)는 상기 가이드 홀(53)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상기 가이드 홀(53)을 따라 상기 조작부(51) 및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단자 돌기(57)는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박스 돌기(59)는 상기 단자 박스(14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상기 단자 돌기(57)는 상기 조작부(51), 상기 연결부(55), 및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박스 돌기(59)에 걸릴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SB 커넥터의 스위치의 작동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51)가 수동으로 조작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면, 상기 USB 단자(12)에 전력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가 상기 박스 돌기(59)에 상기 단자 돌기(57)가 걸릴 때까지 이동되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가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의 일단은 상기 단자 박스(14a)의 일면에 천공된 단자 관통 홀(14h)을 통하여 상기 단자 박스(14a)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단자 스프링(17a)은 상기 단자 박스(14a)의 일면에 지지된다.
상기 박스 돌기(59)에 상기 단자 돌기(57)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단자 박스(14a)의 내측을 향하여 상기 조작부(51)를 밀면, 상기 단자 돌기(57)가 상기 박스 돌기(59)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단자(16a)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16b)와 접촉된 상태로 원위치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 시에만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고 고장이 발생되는 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이 차단되도록 기능하는 캡(20)의 파손 시에도 추가적인 스위치(40, 50)가 전력을 차단되도록 기능함으로써, 고장에 대한 보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5)

  1. 기본 몸체인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하도록 기능하는 캡;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장착되고,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소켓에 삽입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삽입 단자;
    상기 삽입 단자에 공급된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는 USB 단자;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고,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단자 박스;
    상기 USB 단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선택적으로 서로 접촉되는 상기 단자 박스의 중공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위치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가 서로 접촉하도록 기능하는 단자 스프링;
    을 포함하되,
    상기 캡에는 상기 캡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일면이 폐쇄될 때에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를 서로 이격시키는 캡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돌기가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USB 단자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힌지 운동 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스프링의 탄성력을 효율적으로 전달받도록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에는 각각 탄성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박스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기준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 돌기가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를 선택적으로 서로 이격시키도록 기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박스;
    상기 고정 박스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박스에 천공된 박스 관통 홀을 통하여 상기 단자 박스와 연결되며, 상기 단자 박스와 함께 왕복운동 하는 작동 바디;
    상기 고정 박스에서 상기 박스 관통 홀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자 박스의 중공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작동 바디를 관통하는 하우징 돌기;
    상기 작동 바디를 상기 하우징 돌기가 돌출되는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도록 기능하는 바디 스프링;
    상기 하우징 돌기가 돌출되는 면에 일단이 힌지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 바디의 측면에 접촉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후크가 접촉되는 상기 작동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자 박스를 수동으로 한 번 밀었다가 떼면,
    상기 단자 박스가 원위치까지 돌출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에 상기 하우징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후크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홈의 하나의 경로를 따라 상기 작동 바디와 상대이동 하여 상기 가이드 홈의 걸림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타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자 박스를 수동으로 한 번 더 밀었다가 떼면,
    상기 단자 박스가 원위치로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로부터 상기 하우징 돌기가 이탈되도록 상기 후크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홈의 다른 경로를 따라 상기 작동 바디와 상대이동 하여 원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돌기가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USB 단자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박스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 중 하나인 제1 스위치 단자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다른 하나인 제2 스위치 단자는 상기 단자 박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 돌기가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의 사이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단자를 선택적으로 서로 이격시키도록 기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단자 박스의 외측에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조작부; 및
    상기 단자 박스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와 상기 제1 스위치 단자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 홀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 단자로부터 돌출되는 단자 돌기; 및
    상기 단자 박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박스 돌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1 스위치 단자가 일체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단자 돌기는 상기 박스 돌기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박스 돌기에 상기 단자 돌기가 걸리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가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단자가 이동될 때에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의 일단은 상기 단자 박스의 일면에 천공된 단자 관통 홀을 통하여 상기 단자 박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돌기에 상기 단자 돌기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단자 박스의 내측을 향하여 상기 조작부를 밀면,
    상기 단자 돌기가 상기 박스 돌기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단자가 상기 제2 스위치 단자에 접촉되는 원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USB 커넥터.
KR1020180033970A 2017-12-26 2018-03-23 차량의 usb 커넥터 KR102487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711046634 2017-12-26
IN201711046634 2017-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452A true KR20190078452A (ko) 2019-07-04
KR102487165B1 KR102487165B1 (ko) 2023-01-10

Family

ID=6725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970A KR102487165B1 (ko) 2017-12-26 2018-03-23 차량의 usb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1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99963A1 (en) * 2021-04-28 2023-06-22 Hyundai Kefico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20240007357A (ko) 2022-07-08 2024-01-16 (주)삼광윈테크 Usb 장착 하우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09Y1 (ko) * 2010-07-08 2010-12-08 박봉기 보석류 케이스
KR101268527B1 (ko) * 2012-02-10 2013-05-28 (주)대성이엔티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KR20170056780A (ko) * 2015-11-13 2017-05-24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CN206293333U (zh) * 2016-12-30 2017-06-30 甲阿莲 一种防电弧强电开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09Y1 (ko) * 2010-07-08 2010-12-08 박봉기 보석류 케이스
KR101268527B1 (ko) * 2012-02-10 2013-05-28 (주)대성이엔티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KR20170056780A (ko) * 2015-11-13 2017-05-24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CN206293333U (zh) * 2016-12-30 2017-06-30 甲阿莲 一种防电弧强电开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99963A1 (en) * 2021-04-28 2023-06-22 Hyundai Kefico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device
US11889628B2 (en) * 2021-04-28 2024-01-30 Hyundai Kefico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20240007357A (ko) 2022-07-08 2024-01-16 (주)삼광윈테크 Usb 장착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165B1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96448A (ja) ピンソケットタイプの電気コネクタ
KR20190078452A (ko) 차량의 usb 커넥터
CN105987360B (zh) 电连接头和包括该电连接头的照明装置
CN110011131B (zh) 一种安全插座
KR101351973B1 (ko)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WO1998045903A1 (fr) Groupe batterie de voiture
CN110060897B (zh) 一种集成开关
KR101755938B1 (ko)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CN105333404B (zh) 照明装置的端盖和照明装置
KR100762278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JP6729360B2 (ja) スイッチ
KR20120045587A (ko) 윈도우 잠금 스위치 모듈
JPH11233203A (ja) コンセント装置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CN213071574U (zh) 适配器
KR101702368B1 (ko) 자동차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KR200215094Y1 (ko) 전원차단이 가능한 전원인출부재
JP2015153557A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装置
JP5293962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772104B1 (ko) 룸램프 스위치
JPH11121127A (ja) 蛍光ランプソケット
KR200465487Y1 (ko) 푸시 스위치 유니트
KR20170091201A (ko)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
CN114206673A (zh) 用于手套箱的照明装置及手套箱
JP3103432U (ja) スイッチ付き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