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332Y1 -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332Y1
KR200449332Y1 KR2020090007625U KR20090007625U KR200449332Y1 KR 200449332 Y1 KR200449332 Y1 KR 200449332Y1 KR 2020090007625 U KR2020090007625 U KR 2020090007625U KR 20090007625 U KR20090007625 U KR 20090007625U KR 200449332 Y1 KR200449332 Y1 KR 200449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outlet
fixed
hollow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숙
Original Assignee
박연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숙 filed Critical 박연숙
Priority to KR2020090007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3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3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센트의 원통형 단자가 구비되는 플러그 꽂음 부위를 상하 이동되게 구성하여, 플러그 부위를 원터치로 누르기만 하면 전원 투입 상태 동작 또는 전원 차단 상태 동작이 이루어지며,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도 전원 투입 및 전원 차단을 할 수 있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콘센트의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부(100) 및 상부커버부(200)와; 플러그를 꽂을 수 있고 콘센트의 몸체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전기 공급을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꽂음부(300)와; 플러그꽂음부(300)를 누름 및 누름 해제에 따라 플러그꽂음부(3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며, 캠트랙 및 스토퍼로 구성되는 로킹수단(400); 으로 이루어진다.
콘센트, 플러그, 원터치, 캠트랙, 감전, 대기전력

Description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CONCENT FOR ONE TOUCH POWER SWITCHING}
본 고안은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센트의 원통형 단자가 구비되는 플러그 꽂음 부위를 상하 이동되게 구성하여, 플러그 부위를 원터치로 누르기만 하면 전원 투입 동작 또는 전원 차단 동작이 이루어지며,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도 전원 투입 및 전원 차단을 할 수 있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원통형 단자를 구비하여, 플러그에 구비된 봉 형태의 단자가 원통형 단자에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벽체 매입형, 노출형 또는 멀티콘센트형 등으로 제작된다.
최근에는,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도 플러그에 전원을 투입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도 제시되고 있으며,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201813호에 의한 콘센트는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지 않으면 전원이 투입되지 않도록 구성되었고,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0739096호에 의 한 콘센트는 그에 맞는 플러그를 꽂았을 때에만 통전되게 하며 비록 맞는 플러그라도 일정한 깊이만큼 꽂아야만 통전되게 구성되었다.
하지만, 스위치를 구비한 콘센트는 스위치의 온/오프가 부주의에 의한 손동작에 의해서도 쉽게 이루어져 잘못 건들어도 전원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201813호는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것도 불편하였지만 플러그를 회전시킴에 따라 플러그의 코드선이 꼬여 사용하기에도 불편하였다. 또한,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0739096호는, 그에 맞는 전용 플러그에만 적용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러그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원터치 방식이 아니고 손으로 플러그를 잡고 끼우거나 빼내는 방식이어서 사용하기에 불편하였으며, 플러그 단자가 콘센트의 단자에 꽂혀 있지만 통전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플러그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플러그를 강하게 고정하지도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종래기술들은, 꽂혀 있는 플러그를 일반 콘센트와 동일하게 강하게 고정시키며, 동시에 꽂혀 있는 플러그를 원터치로 간단하게 온/오프(ON/OFF) 할 수 있고, 아울러 부주의에 의한 손동작으로는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모든 조건을 갖추지 못하였던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종래의 콘센트나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201813호는 플러그의 봉형태 단자가 콘센트의 통전 단자에 직접 닿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콘센트 단자에 상시 전원이 투입되어 있으므로 가느다란 철사 등이 삽입되어 감전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에 의해 제작된 콘센트는 스프링에 의한 회전 복원력을 사용 함에 따라, 고장이 나기 쉬운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플러그의 몸체 일부가 내부로 끼워지는 형태의 접지형 콘센트만 통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접지형 콘센트는 꽂혀 있는 플러그를 빼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플러그를 손쉽게 뺄 수 있는 콘센트도 제작되었으나, 상기 종래기술들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구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꽂혀 있는 플러그를 강하게 고정시키고, 아울러 꽂혀 있는 플러그를 원터치로 간단하게 온/오프(ON/OFF) 할 수 있으며, 부주의에 의한 손동작으로는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를 꽂을 때에만 원통형 단자에 전기가 통전되도록 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하기에 간편하고, 잔고장도 없으며, 꽂혀 있는 플러그를 용이하게 뺄 수 있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개의 전극판(110)이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고, 중공의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의 양 전극판(110) 사이에 입설되며 상측에 탄성체(121)가 배치되는 슬라이드부(120)를 구비하는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콘센트 몸체의 외형을 이루고, 플러그가 꽂혀 관통되는 플러그관통구(210)를 내측 하부 방향으로 돌설된 원통형의 플러그슬라이드부(211)에 이어지게 형성되는 상부커버부(200); 두개의 원판(310, 320) 중심을 중공관(330) 양단에 고정하여 외형이 형성되고, 중공관(330)에 고정되는 하부 원판(320) 부위는 개구되며, 개구 부위를 통해 상기 중공관(330)에 상기 슬라이드부(120)가 내삽되되 상기 탄성체(121)에 지지되며 내삽되고, 상부 원판(310)에는 플러그단자가 관통되는 플러그단자관통구(311)가 조성되고, 상기 플러그단자관통구(311)의 위치에 해당되는 하부 원판(320) 상면에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는 원통형단자(321)가 고정되고, 상기 원통형단자(321) 위치의 하부 원판(320) 저면에는 상기 원통형단자(3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322)가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슬라이드부(211)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며, 상기 플러그슬라이드부(211)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단자(322)가 상기 전극판(110)에 접촉할 수 있게 되는 플러그꽂음부(300); 상기 슬라이드부(120)에 조성되는 캠트랙과, 상기 플러그꽂음부(300)의 중공관(330)에 고정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플러그꽂음부(300)가 눌릴 때마다 스토퍼가 캠트랙에 안내되게 하는 로킹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플러그가 꽂히는 플러그꽂음부(300)가 원터치를 할 때마다 상승 또는 하강을 반복하므로, 간편하게 온/오프(ON/OFF) 할 수 있고, 플러그꽂음부(300)의 상부원판(310) 및 원통형단자(321)에 의해 플러그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적절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를 채용함으로써 부주의에 의한 손동작으로는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장점을 갖으므로 본 고안은,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굳이 콘센 트에 꽂혀 있는 플러그를 뺄 필요가 없으며, 콘센트에 꽂혀 통전된 플러그를 간편하게 터치만 하면 전원이 차단된 상태로 되므로,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대기전력을 줄이기 위한 콘센트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눌렀을 때에만 원통형단자(321)가 전극판(110)에 의해 통전되므로, 플러그가 꽂혀 있지 않은 평상시에는 원통형단자(321)가 전극판(110)에서 떨어져 있고 밀폐된 콘센트 몸체 내부에 전극판(110)이 배치되므로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고, 플러그를 꽂고 플러그를 뺄 때에도 원터치로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잔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콘센트에 꽂혀 있는 플러그를 원터치로 누르기만 하면 상승하는 플러그꽂음부(300)에 의해 플러그가 콘센트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플러그를 손으로 잡기에도 편리하여 콘센트에서 빼기에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플러그꽂음부(30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에 있어서, 로킹수단(400) 부분의 측면도(a) 및 단면도(b)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는, 두개의 플러그(미도시)를 꽂을 수 있으며,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부(100) 및 상부커버부(200)와,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플러그꽂음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밑판(101)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로 벽체(102)를 두르고, 일측의 벽체에는 통공(103)이 조성되어 내측으로 전선을 인입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밑판(101)에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개의 전극판(110)이 고정된다.
즉,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 바닥면(밑판(101)의 상부면)에는 전선의 두 소선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판(110)이 마련되는 것이며, 상기 전극판(110)에는 전선의 소선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체결공(111)이 조성된다.
각각의 상기 전극판(110)의 양 끝단 부위는 하부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단자접촉부(112)가 조성되며, 이러한 단자접촉부(112)의 형태는 하술하는 플러그꽂음부(300)에 하방으로 만곡 돌출되게 구비되는 단자(322)와의 접촉을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극판(110)의 단자접촉부(112)는 밑판(101)과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단자접촉부(112) 부위를 상방에서 누르게 되면 탄성 복원력을 갖으며 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 전극판(110)의 단자접촉부(112) 사이에는 4각 단면을 갖는 관 형태를 갖으며 내측에는 탄성체(121)가 상부로 돌출되게 내삽되는 슬라이드부(120)가 입설된다. 상기 슬라이드부(120)는 플러그꽂음부(300)의 중공관(330)에 내삽될 수 있게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플러그꽂음부(300)를 탄성체(121)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상기 상부커버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와 함께 콘센트 몸체의 외형을 이룬다.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커버부(200)의 네 모서리에 볼트 구멍(230)이 조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네 모서리에 볼트 결합공(104)이 조성되어 있어서, 볼트(231)를 상기 볼트 구멍(230)에 관통시켜 볼트 결합공(104)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부(200)를 상기 베이스부(100)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부(200)는 플러그가 꽂혀 관통되는 플러그관통구(210)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상부커버부(200)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돌설된 원통형의 플러그슬라이드부(211)가 조성되되 상기 플러그관통구(210)에 연통되는 형태로 조성된다.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러그관통구(210) 및 플러구슬라이드부(211)는 각각 두개씩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플러구슬라이드부(211)의 내측 벽면에는, 일반 콘센트에 구비되는 접지단자(220)가 돌출되도록 구비됨을 볼 수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220)는 상기 플러구슬라이드부(211)의 내측 벽면에 구비하지 아니하고 대신에 하술하는 플러그꽂음부(300)에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꽂음부(300)는, 상·하부에 각각 두개의 원판(310, 320)을 배치한 상태에서 각 원판(310, 320)의 중심 부위를 중공관(330)의 양단에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중공관(330)에 고정되는 하부 원판(320) 부위는 개구되고 이때 개구 부위는 중공관(330)의 내부와 연통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원판(310)에는 플러그단자가 관통되는 두개의 플러그단자관통구(311)가 조성되며, 상기 플러그단자관통구(311)의 위치에 해당되는 하부 원판(320) 상면에는 플러그단자를 삽입할 수 있는 원통형단자(321)가 상기 플러그단자삽입구(311)와 동일하게 두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원통형단자(321) 위치의 하부 원판(320) 하면에는 상기 원통형단자(3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32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원통형단자(321)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수직방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플러그꽂음부(300)는, 상기 플러그슬라이드부(21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각각 플러그슬라이드부(211)에 하나씩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플러그슬라이드부(211)에 안내되어 하강하여 상기 단자(322)가 상기 전극판(110)의 단자접촉부(112)에 접촉되면 상기 단자(322) 및 상기 원통형단자(321)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전극판(110)과 플러그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는, 상기 플러그꽂음부(300)가 상기 플러그슬라이드부(211)를 따라 상·하부로 승강할 때에 하방 저점 부근으로 이동시켜 상기 단자(322)가 상기 전극판(110)의 단자접촉부(112)에 접촉할 때에 상기 플로그꽂음부(300)를 멈추게 하고, 멈춘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꽂음부(300)를 다시 누르면 멈춤이 해제되어 상기 플러그꽂음부(300)가 상승하게 하는 로킹수단(400)을 더욱 구비한다.
즉, 상기 로킹수단(400)은, 플러그를 상기 플러그슬라이드부(211)에 끼워 상기 플러그꽂음부(300)에 꽂으면서 누르게 되면 플러그꽂음부(300)의 단자(332)가 상기 전극판(110)의 단자접촉부(112)에 접촉하게 되어 그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플러그꽂음부(300)를 정지시키고, 이 후에 플러그를 누르면 상기 플러그꽂음부(300)의 정지시킴을 해제시켜 상기 플러그꽂음부(300)가 상기 플러그슬라이드부(211)에 안내되어 상승되게 함으로써 단자(322)와 단자접촉부(112) 사이의 접촉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킹수단(400)은, 상기 플러그꽂음부(300)에 구비되는 고리형 스토퍼(430)와, 상기 슬라이드부(120)의 외측 표면에 폐곡을 이루는 조성되는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은, 상기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폐곡선(510)과 외측 폐곡선(520)을 경계선으로 하여 내측 폐곡선(510)과 외측 폐곡선(520) 사이에 형성되는 골(530)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측 폐곡선(510)의 하측변(511)은, 일측점(510a)으로부터 타측점(510b)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면(512)을 이루고 타측점(510b)에서 하방으로 턱(513)을 이루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외측 폐곡선(520)의 하측변(521)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제1 경사면(522)과 제2 경사면(523)이 단턱(524)을 이루며 횡방향으로 연이어진 형태를 갖는다. 즉, 제1 경사면(522)의 하방 끝부분과 제2 경사면(523)의 상방 끝부분은 턱을 이룬다. 또한, 상기 외측 폐곡선(520)의 상측변(525)은, 상기 제1,2 경사면(522, 523)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1 경사면(522)의 최하부점(522a) 및 단턱(524)은, 상기 내측 폐곡선(510)의 하측변(511)의 경사면(512)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 폐곡선(510)의 하측변(511)의 타측점(510b) 및 최상부 점(512a)은, 상기 제2 경사면(523)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측 폐곡선(520)의 양 측변은 수직을 이루고, 상기 내측 폐고선(510)의 상측변과 양 측변은 하측변(511)의 일측점(510a)과 타측점(510b) 사이에 상부로 만곡된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형 스토퍼(430)는, 봉(432)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중공관(330)의 내측면과 상기 슬라이드부(120)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중공관(33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슬라이드부(120)의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에 끼워지는 걸림고리(431)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중공관(330)에 핀삽입공(332)를 조성하여 상기 고리형 스토퍼(430)의 일단(433)이 상기 핀삽입공(332)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걸림고리(443)는, 상기 플러그꽂음부(300)가 상기 슬라이드부(120)에 외삽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을 따라 안내되어 폐곡 경로를 이루며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고리(431)가 내측 폐곡선(510)의 하측변(511) 최상부점(512a)에 걸려 있을 때에는 상기 플러그꽂음부(300)의 단자(322)가 상기 베이스부(100)의 전극판(110)의 단자접촉부(112)에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걸림고리(431)가 외측 폐곡선(520)의 상측변(525)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상기 플러그꽂음부(300)의 단자(322)가 상기 베이스부(100)의 전극판(110)의 단자접촉부(112)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고리형 스토퍼(430)의 길이 및 상기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의 형성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고리형 스토퍼(43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고리형 스토퍼(430)의 일단이 고정되는 중공관(330)의 면, 즉 핀삽입공(332)이 조성된 면을 중공관(330)의 다른 면들과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공관(330)의 구성형태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는 과정을 도시한 로킹수단(400) 부분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6에는, 로킹수단(400)의 동작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플러그꽂음부(300)와 슬라이드부(120)만을 도시하였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도 6의 (a)는, 플러그가 플러그꽂음부(300)에 꽂혀 있지 아니한 상태로서, 플러그꽂음부(300)가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a) 상태 이후에 플러그를 플러그꽂음부(300)에 꽂으면서 누르게 되면 도 6의 (b) 상태를 거쳐 (c)의 상태로 된다. 즉, 걸림고리(431)가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의 제1 경사면(522)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단자(322)는 전극판(110)의 단자접촉부(112)에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플러그를 꽂으며 가하던 힘을 해제하면, 플러그꽂음부(300)는 탄성체(121)의 탄성력에 밀려 상승하게 되고, 이때 걸림고리(431)가 폐곡안내홈형 캠 트랙(500)의 내측 폐곡선(510)의 경사면(512)을 따라 이동하여 (d) 상태로 되고, 이 과정에서 단자(322)는 전극판(110)의 단자접속부(112)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플러그꽂음부(300)에 꽂혀 있는 플러그를 누르면, 걸림고리(431)가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의 제2 경사면(523)을 따라 이동하여 (e) 상태로 되고, 플러그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걸림고리(431)가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a)상태로 되면서 단자(322)와 단자접촉부(112) 사이의 접촉이 해제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플러그꽂음부(300) 및 로킹수단(400)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플러그꽂음부(300) 및 로킹수단(400)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는 과정을 도시한 로킹수단(400)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 도 9 및 도 10에서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이 명확히 이해하는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는 부분만을 도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슬라이드부(120)의 몸통은 단면도로 도시하고, 내측에 조성되는 톱니형 캠트랙(410), 회전형 스토퍼(420) 및 고 정톱니(414)를 측면도로 도시하였고, 상기 구성들(410, 420, 414)의 배면측의 톱니들은 도시하지 아니하였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에 있어서, 슬라이드부(120) 및 로킹수단(400)의 구성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는 다른 형태로 구성되므로, 상기 슬라이드부(120) 및 로킹수단(40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120)는, 상단에 관통구(123)가 구비된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고 하단 외주면에는 돌출부(122)가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100)의 두 단자접촉부(112) 사이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상단 내주면에 끼움홈(120b)이 조성된 끼움관(120a)가 구비되어, 상기 끼움홈(120b)에 돌출부(122)가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관(120a)에 슬라이드부(120)를 고정할 수 있게 되고, 탄성체(121)는 슬라이드부(120)의 상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킹수단(400)은 상기 슬라이드부(120)의 내측에 구비되는 톱니형 캠트랙(410) 및 고정톱니(414), 톱니형 캠트랙(410)과 고정톱니(414)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형 스토퍼(420), 그리고 상기 회전형 스토퍼(420)를 상기 플러그꽂음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부재들(424, 425)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톱니형 캠트랙(410)은, 상기 슬라이드부(120)의 상측 내주면에 돌출되 게 조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언덕부(411)로 구성되며, 이때, 인접하는 언덕부(411) 사이에는 안내홈(413)이 마련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언덕부(411)의 단턱 부위는 하부 방향을 향하는 제1 경사면(412a)과 제2 경사면(412b)이 연이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제1 경사면(412a)와 제2 경사면(412b)의 경사 각도는 동일하되, 제2 경사면(412b)의 폭이 제1 경사면(412a)의 폭의 절반에 가깝게 조성되는 것임을 볼 수 있다.
상기 톱니형 캠트랙(410)은 탄성체(121)에 의해 상승되는 회전형 스토퍼(420)의 안내돌기(422)가 언덕부(411)의 경사면(412a, 412b)에 걸리거나 또는 안내홈(413)에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톱니(414)는, 상기 슬라이드부(120)의 내측 하부면, 즉 상기 끼움관(120a)의 내측인 베이스부(10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을 향하여 조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고정톱니(414)의 톱니 첨두는 상기 언덕부(411)의 경사면(412a,412b)의 첨두의 직하 위치에서 약간 편향되어 있다.
상기 회전형 스토퍼(420)는, 상기 톱니형 캠트랙(410)과 상기 고정톱니(414)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언덕부(411)가 조성된 슬라이드부(120)의 상측에 내삽 가능한 원통형으로 몸체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회전형 스토퍼(420)의 하단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톱니(421)가 조성되어 상기 고정톱니(414)에 치합될 수 있게 되고, 하단면의 중심부위에는 상단면을 관통하는 볼트구멍(423)이 조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형 스토퍼(4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내홈(413)에 끼움 안내되는 안내돌기(422)가 톱니(421)에 대해 교번으로 마련된다. 즉, 상기 안내홈(413)은 하나 걸러 하나씩 선정되는 톱니(421) 위치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어지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안내홈(413)은 선정된 톱니(421)의 첨두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422)의 상면은 상기 톱니형 캠트랙(410)의 제1,2 경사면(412a, 412b)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회전형 스토퍼(420)는, 볼트구멍(423)에 장볼트(425)를 끼우고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장볼트(425)에 원통형 지지부재(424)를 외삽한 후에, 상기 원통형 지지부재(424)를 상기 슬라이드부(120)의 관통구(123)에 끼우며, 다음으로 장볼트(425)의 상부를 플러그꽂음부(300)의 중공관(330) 내측 상단에 볼트결합(425a)하여, 플러그꽂음부(3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형 스토퍼(420)는 장볼트(425)를 볼트결합(425a)함에 있어서 장볼트(425)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느슨하게 고정한다.
다음으로, 회전형 스토퍼(420) 및 플러그꽂음부(300)와 결합된 슬라이드부(120)를 베이스부(100)의 끼움관(120a)에 끼우고, 상부커버부(200)를 베이스부(100)에 고정함으로 콘센트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음에 따라 이루어지는 로킹수 단(400)의 상태변화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의 (a)상태는 플러그가 꽂히지 아니한 상태이며, 이때에는 회전형 스토퍼(420)가 슬라이드부(120)의 톱니형 캠트랙에 끼워진 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으로, 플러그를 플러그슬라이드부(211)에 꽂게 되면, 플러그꽂음부(300)가 눌리게 되어 회전형 스토퍼(420)가 하강하여 (b)상태로 되고, 플러그꽂음부(300)가 더욱 눌리게 되면 상기 회전형 스토퍼(420)는 톱니(421)가 고정톱니(414)에 치합되면서 회전하게 되어 (c)의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플러그꽂음부(300)의 눌림을 해제하면, 탄성체(121)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꽂음부(300)가 상승하게 되므로 회전형 스토퍼(420)도 상승하여 (d) 상태를 거쳐 (e)상태로 된다. (d)상태에서 (e)상태로의 변화는, 안내돌기(422)가 톱니형 캠트랙(410)의 제1 경사면(412a)을 따라 안내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는 과정에서 플러그를 누르게 되면, 플러그꽂음부(300)가 눌리게 되어 회전형 스토퍼(420)가 하강하여 (f)상태를 거쳐 (g)상태로 된다. (f)상태로부터 (g)상태로의 변화는, 회전형 스토퍼(420)의 톱니(421)가 고정톱니(414)에 취합되면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플러그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플러그꽂음부(300)가 상승하게 되므로 회전형 스토퍼(420)가 상승하여 (h)상태로 된 후에, 안내돌기(422)가 톱니형 캠트랙(410)의 제2 경사면(412b)에 안내되면서 회전형 스토퍼(420)가 회전하여 (i) 상태로 된다. 그리고, 안내돌기(422)가 톱니형 캠트랙(410)의 안내홈(413)에 안내되어 (j)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도 7을 다시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는, 플러그슬라이드부(211)의 내측면에 상·하로 이어지는 돌기(211a)가 조성되고, 플러그꽂음부(300)의 상부 원판(310) 외주면의 일측에 홈(312)이 조성된다. 따라서, 플러그꽂음부(300)가 플러그슬라이드부(21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때에 홈(312)에 돌기(211a)가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게 하여, 플러그꽂음부(3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1 내지 도 10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는, 노출 콘센트 또는 멀티콘센트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는 하술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에 매입되는 콘센트박스에 설치할 수 있는 매입형 콘센트의 형태도로도 제작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콘센트는, 콘센트박스(미도시)에 설치할 수 있는 메입형 콘센트를 갖으며, 이를 위한 베이스부(100a)는 일반적인 메입형 콘센트의 외형에 맞게 형성되되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꽂음부(300) 및 로킹수단(4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내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부(100a)의 저면에는 콘센트박스(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00b)이 장착되며, 상부커버부(200a)의 상면에는 공지의 플레이트커버(600)가 장착된다.
도 12는 안전편(323)을 구비한 플러그꽂음부(300)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12의 도시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꽂음부(300)는 하부 원판(320) 저면에 단자(322)의 둘레를 감싸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안전편(323)을 더욱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안전편(323)은 전극판(110)에 눌리면 상기 단자(322)의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하방 끝단이 상기 단자(322)의 외측으로 편향 절곡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안전편(323)은, 일정한 힘을 가하여 누르지 않는 한 외측으로 벌어지지 아니하게 하여, 일정한 힘보다는 약한 힘으로 눌려지면 단자(322)가 전극판(110)의 단자접속부(112)에 닿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러그곶음부(300)를 일정한 힘보다 약하게 누르면 단자(322)와 단자접속부(11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도 7에 도시된 플러그슬라이드부(211)의 돌기(211a)에 스위치(211b)를 구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211b)가 플러그꽂음부(300)의 상부 원판(310)의 홈(312) 내면에 눌리게 되면 점등하는 램프(240)를 상부커버부(200)의 상면 일측에 구비한다. 상기 램프(240)는 상기 스위치(211b)에 의해 단속되도록 베이스부(100)의 전극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미도시).
즉, 플러그꽂음부(300)가 플러그슬라이드부(211)를 따라 하강하여 단자(322) 와 단자접촉부(112)가 닿게 되면 상기 스위치가(211b)가 상기 홈(312)의 내면에 의해 눌려 상기 램프(240)를 점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플러그꽂음부(300)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의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에 있어서, 로킹수단(400) 부분의 측면도(a) 및 단면도(b).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는 과정을 도시한 로킹수단(400) 부분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플러그꽂음부(300) 및 로킹수단(400) 부분의 단면도.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플러그꽂음부(300) 및 로킹수단(400) 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는 과정을 도시한 로킹수단(400) 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의 분해 사 시도.
도 12는 안전편(323)을 구비한 플러그꽂음부(300)의 단면도.
도 13은 플러그의 꽂음 상태를 알 수 있게 하기 위한 스위치 및 램프를 더욱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이스부 110 : 전극판 111 : 볼트체결공
112 : 단자접촉부 120 : 슬라이드부 121 : 탄성체
200 : 상부커버부 210 : 플러그관통구 211 : 플러그슬라이드부
300 : 플러그꽂음부 310 : 상부 원판 311 : 플러그단자관통구
320 : 하부 원판 321 : 원통형단자 322 : 단자
330 : 중공관 331 : 슬라이드부관통홈 340 : 볼트 결합공
400 : 로킹수단 410 : 톱니형 캠트랙 411 : 언덕부
412a : 제1 경사면 412b : 제2 경사면 413 : 안내홈
414 : 고정톱니 420 : 회전형 스토퍼 421 : 톱니
422 : 안내돌기 424 : 스토퍼 지지관 430 : 고리형 스토퍼
431 : 걸림고리
500 : 폐곡안내홈형 캠트랙
510 : 내측 폐곡선 511 : 하측변 512 : 경사면
513 : 턱 514 : 상측변 520 : 외측 폐곡선
521 : 하측변 522 : 제1 경사면 523 : 제2 경사면
524 : 단턱 525 : 상측변

Claims (5)

  1. 삭제
  2.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개의 전극판(110)이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고, 중공의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의 양 전극판(110) 사이에 입설되며 상측에 탄성체(121)가 배치되는 슬라이드부(120)를 구비하는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콘센트 몸체의 외형을 이루고, 플러그가 꽂혀 관통되는 플러그관통구(210)를 내측 하부 방향으로 돌설된 원통형의 플러그슬라이드부(211)에 이어지게 형성되는 상부커버부(200);
    두개의 원판(310, 320) 중심을 중공관(330) 양단에 고정하여 외형이 형성되고, 중공관(330)에 고정되는 하부 원판(320) 부위는 개구되며, 개구 부위를 통해 상기 중공관(330)에 상기 슬라이드부(120)가 내삽되되 상기 탄성체(121)에 지지되며 내삽되고, 상부 원판(310)에는 플러그단자가 관통되는 플러그단자관통구(311)가 조성되고, 상기 플러그단자관통구(311)의 위치에 해당되는 하부 원판(320) 상면에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는 원통형단자(321)가 고정되고, 상기 원통형단자(321) 위치의 하부 원판(320) 저면에는 상기 원통형단자(3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322)가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슬라이드부(211)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며, 상기 플러그슬라이드부(211)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단자(322)가 상기 전극판(110)에 접촉할 수 있게 되는 플러그꽂음부(300);
    상기 슬라이드부(120)의 외측 표면에 폐곡을 형성하며 조성되는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 상기 중공관(330)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에 끼워져서 캠트랙(500)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고리(431)가 형성되는 고리형 스토퍼(430)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곡안내홈형 캠트랙(500)은, 내측 폐곡선(510)과 외측 폐곡선(520)을 경계선으로 하여 조성되는 골(530)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폐곡선(510)의 하측변(511)은 일측점(510a)으로부터 타측점(510b)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면(512)을 이루고 타측점(510b)에서 하방으로 턱(513)을 이루는 형태를 갖고, 상기 외측 폐곡선(520)의 하측변(521)은 하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제1 경사면(522)과 제2 경사면(523)이 단턱(524)을 이루며 연이어진 형태를 갖고, 상기 외측 폐곡선(520)의 상측변(525)은 상기 제1,2 경사면(522, 523)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며, 제1 경사면(522)의 최하부점(522a) 및 단턱(524)은, 상기 내측 폐곡선(510)의 하측변(511)의 경사면(512)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폐곡선(510)의 하측변(511)의 타측점(510b) 및 최상부점(512a)은, 상기 제2 경사면(523)의 상방에 위치하는 로킹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3.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개의 전극판(110)이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고, 중공의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의 양 전극판(110) 사이에 입설되며 상측에 탄성체(121)가 배치되는 슬라이드부(120)를 구비하는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콘센트 몸체의 외형을 이루고, 플러그가 꽂혀 관통되는 플러그관통구(210)를 내측 하부 방향으로 돌설된 원통형의 플러그슬라이드부(211)에 이어지게 형성되는 상부커버부(200);
    두개의 원판(310, 320) 중심을 중공관(330) 양단에 고정하여 외형이 형성되고, 중공관(330)에 고정되는 하부 원판(320) 부위는 개구되며, 개구 부위를 통해 상기 중공관(330)에 상기 슬라이드부(120)가 내삽되되 상기 탄성체(121)에 지지되며 내삽되고, 상부 원판(310)에는 플러그단자가 관통되는 플러그단자관통구(311)가 조성되고, 상기 플러그단자관통구(311)의 위치에 해당되는 하부 원판(320) 상면에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는 원통형단자(321)가 고정되고, 상기 원통형단자(321) 위치의 하부 원판(320) 저면에는 상기 원통형단자(3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322)가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슬라이드부(211)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며, 상기 플러그슬라이드부(211)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단자(322)가 상기 전극판(110)에 접촉할 수 있게 되는 플러그꽂음부(300);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두개의 경사면(412a,412b)이 연이어지게 형성되게 하는 언덕부(411)가 상기 슬라이드부(120)의 내측벽면 상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조성되되 인접하는 언덕부(411) 사이에는 안내홈(413)이 마련되게 형성되는 톱니형 캠트랙(410), 상기 톱니형 캠트랙(4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언덕부(411)의 내측으로 내삽 가능한 원통형으로 몸체를 이루며 하단면 둘레에 톱니(422)가 조성되고 상단면이 상기 플러그꽂음부(300)의 중공관(330) 내측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안내홈(413)에 끼움 안내되는 안내돌기(422)가 톱니(422)에 대해 교번으로 마련되는 회전형 스토퍼(420), 상기 회전형 스토퍼(420)의 톱니(422)에 치합되는 고정톱니(414)가 마련되어, 하강하는 상기 회전형 스토퍼(420)를 고정톱니(414)의 경사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탄성체(121)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회전형 스토퍼(420)의 안내돌기(422)가 언덕부(411)에 걸리거나 또는 안내홈(413)에 안내되게 하도록 하는 로킹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꽂음부(300)의 하부 원판(320) 저면에는, 상기 단자(322)의 둘레를 감싸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안전편(323)이 구비되며,
    상기 안전편(323)은 전극판(110)에 눌리면 상기 단자(322)의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하방 끝단이 상기 단자(322)에 대해 외측으로 절곡되게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322)는,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322)가 접촉되는 전극판(110)의 단자접촉부(112)는, 상기 단자(322)의 형상에 맞게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KR2020090007625U 2009-06-12 2009-06-12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KR200449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625U KR200449332Y1 (ko) 2009-06-12 2009-06-12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625U KR200449332Y1 (ko) 2009-06-12 2009-06-12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332Y1 true KR200449332Y1 (ko) 2010-07-01

Family

ID=4424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625U KR200449332Y1 (ko) 2009-06-12 2009-06-12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332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527B1 (ko) 2012-02-10 2013-05-28 (주)대성이엔티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KR101281093B1 (ko) 2012-04-18 2013-07-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445273B1 (ko) * 2013-06-26 2014-09-30 심병섭 원터치형 콘센트
KR20180058596A (ko) 2016-11-24 2018-06-01 디에이치산업주식회사 콘센트
KR20180081337A (ko) * 2017-01-06 2018-07-16 지아 밍 양 방수 콘센트
CN108832420A (zh) * 2018-05-24 2018-11-16 广州俊天科技有限公司 一种呼吸科用医疗器械
CN108832403A (zh) * 2018-05-24 2018-11-16 广州宝升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智能的皮肤专用病灶清理设备
CN108832407A (zh) * 2018-05-24 2018-11-16 广州立杏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的纺织机械接合设备
CN108832404A (zh) * 2018-05-24 2018-11-16 广州宝升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智能式皮肤专用病灶清理设备
CN108832405A (zh) * 2018-05-24 2018-11-16 广州俊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呼吸科医疗器械
WO2019022313A1 (ko) * 2017-07-26 2019-01-31 주식회사 태주산업 콘센트의 승강판 홀드 및 래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13Y1 (ko) 1997-04-10 2000-12-01 김종희 전격방지용 플러그 및 콘센트
KR100283185B1 (ko) 1998-12-30 2001-03-02 윤종용 출몰식 스피커 장치
KR20020001813A (ko) * 1999-03-30 2002-01-09 프리시전 밸브 코포레이션 대용적 에어로졸 밸브
KR100739096B1 (ko) 2007-02-02 2007-07-13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감전사고방지형 콘센트 구조
KR20090057162A (ko) * 2007-12-01 2009-06-04 김태연 누름스위치형 절전 콘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13Y1 (ko) 1997-04-10 2000-12-01 김종희 전격방지용 플러그 및 콘센트
KR100283185B1 (ko) 1998-12-30 2001-03-02 윤종용 출몰식 스피커 장치
KR20020001813A (ko) * 1999-03-30 2002-01-09 프리시전 밸브 코포레이션 대용적 에어로졸 밸브
KR100739096B1 (ko) 2007-02-02 2007-07-13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감전사고방지형 콘센트 구조
KR20090057162A (ko) * 2007-12-01 2009-06-04 김태연 누름스위치형 절전 콘센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527B1 (ko) 2012-02-10 2013-05-28 (주)대성이엔티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KR101281093B1 (ko) 2012-04-18 2013-07-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445273B1 (ko) * 2013-06-26 2014-09-30 심병섭 원터치형 콘센트
KR20180058596A (ko) 2016-11-24 2018-06-01 디에이치산업주식회사 콘센트
KR20180081337A (ko) * 2017-01-06 2018-07-16 지아 밍 양 방수 콘센트
WO2019022313A1 (ko) * 2017-07-26 2019-01-31 주식회사 태주산업 콘센트의 승강판 홀드 및 래치 장치
CN108832420A (zh) * 2018-05-24 2018-11-16 广州俊天科技有限公司 一种呼吸科用医疗器械
CN108832403A (zh) * 2018-05-24 2018-11-16 广州宝升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智能的皮肤专用病灶清理设备
CN108832407A (zh) * 2018-05-24 2018-11-16 广州立杏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的纺织机械接合设备
CN108832404A (zh) * 2018-05-24 2018-11-16 广州宝升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智能式皮肤专用病灶清理设备
CN108832405A (zh) * 2018-05-24 2018-11-16 广州俊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呼吸科医疗器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332Y1 (ko)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EP2385588A1 (en) Safe electrical outlet
KR101727115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301250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20090002704A (ko)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KR101306175B1 (ko) 콘센트장치
KR101372538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KR20110080111A (ko)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KR101691718B1 (ko) 안전 콘센트
KR101690219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418469Y1 (ko) 전기 콘센트의 스위칭 장치가 부착된 멀티 콘센트
KR101626354B1 (ko) 안전콘센트
KR200458651Y1 (ko) 원터치 방수콘센트
FR2876508A1 (fr) Prise de courant avec obturateur de surete et bati multifonctionnel
US2474454A (en) Electrical plug
KR100666036B1 (ko) 플러그 이탈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KR102075242B1 (ko) 돌려서 켜는 전기 콘센트
KR101819319B1 (ko) 콘센트
KR101564843B1 (ko) 콘센트
KR101769437B1 (ko) 안전 콘센트
KR101697969B1 (ko) 플러그단자 범용 콘센트
KR20080003145U (ko) 콘센트 안전커버
KR101039101B1 (ko) 플러그 인출이 용이한 콘센트
KR200397548Y1 (ko) 플러그 이탈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CN218101796U (zh) 一种嵌入式取电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