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704A -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 Google Patents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704A
KR20090002704A KR1020070066854A KR20070066854A KR20090002704A KR 20090002704 A KR20090002704 A KR 20090002704A KR 1020070066854 A KR1020070066854 A KR 1020070066854A KR 20070066854 A KR20070066854 A KR 20070066854A KR 20090002704 A KR20090002704 A KR 20090002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groove
plate
lock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871B1 (ko
Inventor
신헌수
김형현
Original Assignee
신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4856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0270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헌수 filed Critical 신헌수
Priority to KR102007006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871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홈 및 상부가 제1홈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부가 제1홈보다 소정 각도 굴절되어 형성된 제2홈을 갖는 케이스; 이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소정 공간에 위치하여 제1홈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운동하고, 상부로부터 하부를 관통하여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의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일단에 걸림홈이 형성된 중심축이 구비되고, 측부에 제1홈에 삽입되며 일측에 개방홈을 갖는 회전방지부재가 구비된 승강판; 중심부가 중심축에 끼움결합되어 평상시 하부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의 지지에 의하여 삽입홈을 차폐하며, 측부에 제2홈에 삽입되는 회전보조돌기가 구비되어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삽입홈을 통해 삽입될 경우 플러그의 단자공이에 의해 제2홈의 상부를 따라 하단으로 슬라이딩운동하게 되며, 일정 위치 이하로 슬라이딩될 경우 개방홈을 통과하여 제2홈의 하부를 따라 회전운동하는 회전판; 이 회전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판이 회전운동할 경우 플러그의 단자공이를 수납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판; 및 일측에 회동가능한 돌출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승강판고정부를 포함하는 안전콘센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Safety outlet and multi-tab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평상시 내부를 차폐하여 분진의 위험을 막고 젓가락과 같은 이물질의 삽입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전기는 우리의 삶에 없어서는 안될 도구가 되었다. 이러한 전기는 통상적으로 대규모 발전시설에서 생성되어 일반 가정에 공급되는데, 일반적인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콘센트를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전기/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의 단자공이 삽입부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어린 아이들이 젓가락과 같은 이물질의 삽입을 시도하여 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자공이 삽입부의 개방된 공간 또는 플러그가 완벽하게 결합되지 않아 생기는 틈새를 통하여 분진(粉塵)이 쌓이게 되고, 이러한 분진으로 인하여 분진화재가 일어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에 플러그가 완전히 결합되지 않아 플러그가 흔들리게 되 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자 부분에 스파크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콘센트 내부에 분진이 쌓이게 되면, 플러그의 불완전한 결합으로 발생한 스파크가 분진으로 튀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이다.
게다가, 콘센트와 플러그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콘센트에 플러그를 강제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되어있어 플러그의 분리에 많은 힘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고정되어 있지 않은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플러그를 잡아당길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콘센트에 젓가락과 같은 이물질을 삽입되더라도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내부에 분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스파크에 의하여 화재 발생을 방지하고,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분리하는 것이 매우 간편한 안전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홈 및 상부가 상기 제1홈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제1홈보다 소정 각도 굴절되어 형성된 제2홈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1홈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운동하고, 상부로부터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의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일단에 걸림홈이 형성된 중심축이 구비되고, 측부에 상기 제1홈에 삽입되며 일측에 개방홈을 갖는 회전방지부재가 구비된 승강판; 중심부가 상기 중심축에 끼움결합되어 평상시 하부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의 지지에 의하여 상기 삽입홈을 차폐하며, 측부에 상기 제2홈에 삽입되는 회전보조돌기가 구비되어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상기 삽입홈을 통해 삽입될 경우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에 의해 상기 제2홈의 상부를 따라 하단으로 슬라이딩운동하게 되며, 일정 위치 이하로 슬라이딩될 경우 상기 개방홈을 통과하여 상기 제2홈의 하부를 따라 회전운동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판이 회전운동할 경우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를 수납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판; 및 일측에 회동가능한 돌출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축의 일단을 수납하여 상기 단자판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상기 단자판에 삽입될 경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에 의해 내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중심축에 형성된 걸림홈에 결합고정되는 승강판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승강판의 하부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삽입되는 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회전판과 접촉하여 상기 삽입홈을 차폐시킬 수 있는 단자공이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자공이가이드는, 상기 회전판이 상기 단자공이가이드의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에 수직방향의 회전판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와 접촉하는 부분은 회전판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두 개의 경사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돌기는, 상기 단자공이가이드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게 되는 상기 일정 위치는, 상기 승강판의 개방홈과 상기 제2홈의 하부에 연결되는 지점일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걸림홈은,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승강판이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인입홈; 상기 걸림부의 상승량을 제한하는 제1상부걸림단;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상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이 제거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의 하강량을 제한하는 하부걸림단;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의 상승량을 제한하는 제2상부걸림단; 및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2상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하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인출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자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타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보조단자공이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안전콘센트는 상기 안전콘센트를 하나 이상 포함한 멀티탭의 형태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콘센트는, 내부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케이스; 외주면에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돌기형상의 누름부가 형성된 승강판; 링형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 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누름부에 대응하여 외곽부에 상부방향으로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와 상기 경사부의 빗면접촉에 의하여 회전하며, 일측에서 타측을 가로지르는 막대형상의 단자공이 차폐부가 형성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판이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판이 원위치 되는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를 수납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을 공급하는 단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걸림홈은,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승강판이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인입홈; 상기 걸림부의 상승량을 제한하는 제1상부걸림단;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상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이 제거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의 하강량을 제한하는 하부걸림단;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의 상승량을 제한하는 제2상부걸림단; 및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2상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하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인출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중앙부에 플러그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디스크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결합하여 상기 승강판이 상기 케이스에서 상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상부이탈방지부재; 및 디스크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하 부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이 상기 케이스에서 하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하부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는 상기 단자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타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보조단자공이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의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에 구비된 삽입홈을 통해 젓가락과 같은 이물질을 삽입하더라도 단자판이 개방되지 않으므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 회전판을 통해 삽입홈을 차폐하여 내부에 분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손만으로도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며 특히 장애인 등에게 매우 유용하다.
아울러, 생활방수가 가능하므로 유아가 콘센트를 핥는 경우 침이 콘센트에 침투하여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안전콘센트에 단자공이를 구비하여 종래의 콘센트에 결합하여 일종의 어댑터와 같은 형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안전콘센트를 포함하여 멀티탭을 제작함으로써 한정된 수의 일반 콘센트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효과를 더욱 많이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100)는 케이스(110), 승강판(120), 회전판(130), 단자판(140) 및 승강판고정부(15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위에서 열거한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며, 내부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홈(112) 및 상부가 제1홈(112)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부가 제1홈(112)보다 소정 각도 굴절되어 형성된 제2홈(113)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로는 케이스(110)가 원통 모양인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의 의도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구성요소인 제1홈(112)과 제2홈(113)에 관해서는 승강판(120)과 회전판(130)의 동작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승강판(12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소정 공간에 위치하여 제1홈(112)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운동하고, 상부로부터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21)이 형성되며, 하부의 일측에 사각기둥 형상으로 일단에 걸림홈이 형성된 중심축(122)이 구비되고, 측부에 제1홈(112)에 삽입되며 일측에 개방홈(124a)을 갖는 회전방지부재(12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122)의 형상은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130)은 중심부가 중심축(122)에 끼움결합되어 평상시 하부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125)의 지지에 의하여 삽입홈(121)을 차폐하며, 측부에 제2홈(113)에 삽입되는 회전보조돌기(131)가 구비되어 플러그(10)의 단자공이(12)가 삽입홈(121)을 통해 삽입될 경우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12)에 의해 제2홈(113)의 상부를 따라 하단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게 되며, 일정 위치 이하로 슬라이딩될 경우 개방홈(124a)을 통과하여 제2홈(113)의 하부를 따라 회전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130)은 제1탄성부재(125)에 의하여 지지되는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판(130)이 회전하는 동안 제1탄성부재(125)와의 마찰에 의하여 회 전에 방해를 받거나 제1탄성부재가 꼬이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판(130)과 제1탄성부재(125)의 사이에 부싱(13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판(120)과 회전판(130)의 자세한 동작에 관해서는 도 2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자판(140)은 회전판(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 단자공이수납공(142)이 형성되어, 회전판(130)이 회전운동할 경우 플러그(10)의 단자공이(12)를 수납하고 상기 단자공이(1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을 공급한다.
승강판고정부(150)는 단자판(140)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중심축(122)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51)를 구비하고 중심축(122)의 일단을 수납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12)가 단자판(140)에 삽입될 경우 승강판고정부(150)의 일측에 구비된 돌출부(152)가 플러그의 단자공이(12)에 의하여 승강판고정부(150)쪽으로 눌리게 되며, 이때 상기 돌출부(152)의 반대쪽에 형성된 걸림돌기(151)가 중심축(122)에 형성된 걸림홈(123)에 삽입되어 승강판(120)을 고정시키기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이러한 승강판고정부(150)를 이용하여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경우 플러그의 단자공이(12)와 중심축(12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승강판고정부(150)의 자세한 구성과 동작에 관해서는 차후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플러그의 삽입에 따른 승강판과 회전판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설명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 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100)는 플러그(10)가 삽입되지 않은 평상시에 회전판(130)이 제1탄성부재(125)에 의해 승강판(120)의 하부에 접촉되어 삽입홈(121)을 차폐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콘센트의 내부에 분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시킨다.
이때, 승강판(120)의 하부에는 플러그의 단자공이(12)가 삽입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단자공이가이드(12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단자공이가이드(126)는 단자공이(12)가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은 물론 회전판과의 접촉(130)에 의해 하여 삽입홈(121)을 더욱 신뢰성있게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공이가이드(126)는 상기 회전판(130)이 상기 단자공이가이드(126)의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에 수직방향의 회전판삽입홈(1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공이가이드(126)의 내부에도 분진 등이 쌓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회전판(130)을 단자공이가이드(126)의 내부로 삽입시켜 단자공이가이드(126)의 내부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단자공이(12)가 수직으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동시에 회전판(130)이 승강판(120)의 하면과 접하는 위치까지 상 승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공이가이드(126)의 내부에 분진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발명을 실시하는 자의 의도에 따라 단자공이가이드(126)가 회전판(130)과 접촉하는 부위에 고무패킹과 같은 밀봉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회전판(130)의 상부에 플러그의 단자공이(12)와 접촉하는 부분은 회전판(130)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두 개의 경사돌기(1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덧붙여 이러한 경사돌기(132)는 삽입홈(121)의 차폐를 위해 단자공이가이드(126)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의 단자공이(12)가 삽입홈(121)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승강판(120)보다 회전판(130)이 먼저 하부로 슬라이딩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회전판(130)은 양단에 구비된 회전보조돌기(131)가 케이스(110)의 내면에 형성된 제2홈(113)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는 데, 상기 제2홈(113)은 상부가 제1홈(112)과 평행한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제1홈(112)과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판(130)이 제2홈(113)의 하부에 이르게 되면 하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홈(113)의 하부는 회전판(130)이 플러그의 단자공이(12)를 통과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회전할 수 있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콘센트의 크기에 따라 회전판(130)이 10° 내지 90°회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승강판(120)에 개방홈(124a)이 형성된 회전방지부재(124)를 구비하여 승강판(120)이 상기 개방홈(124a)의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을 경우 회전판(130)에 형성된 회전보조돌기(131)가 제2홈(113)의 하부로 진입하지 못하므로 상기 회전판(130)이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즉, 실제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와 같이 회전판(130)이 충분한 깊이로 하강된 상태에서 승강판(120) 역시 하부로 일정 깊이 이상 하강되지 않으면 하부의 단자판(140)이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승강판(120)에 형성된 삽입홈(121)으로 젓가락과 같은 이물질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회전판(130)만 하강되며, 상기 승강판(120)은 하강하지 않으므로 단자판(140)이 노출되지 않아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c에는 회전판(130)에 형성된 회전보조돌기(131)가 제2홈(113)의 하부에 위치한 상황에서 아직 승강판(120)이 하부로 이동하지 않아 제2홈(113)의 하부가 차단되어 상기 회전판(130)이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에,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에 의하여 승강판(120)이 하부로 이동하면 회전방지부재(124)에 구비된 개방홈(124a)에 의해 제2홈(113)의 하부가 개방되며, 회전보조돌기(131)가 제2홈(113)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30)이 회전하면서 단자판(140)이 개방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130)에는 상기 플러그(10)의 단자공이(12)와 접촉하는 부분에 회전판(13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의 경사돌기(1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의 단자공이(12)가 단자판(140)에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 이때 단자공이(12)에 밀려 승강판고정부(150)에 구비된 돌출부(152)가 내측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 돌출부(152)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부(153)가 중심축(122)에 형성된 걸림홈(123)에 결합되어 승강판(120)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단자공이(12)가 삽입될 경우 돌출부(152)가 단자공이(12)에 밀려 내측으로 회동함으로써 타측에 형성된 걸림부(153)가 중심축(122)에 형성된 걸림홈(123)에 삽입되어 제1탄성부재(125)와 제2탄성부재(151)의 탄성에 의해 승강판(120)이 다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123)은 인입홈(123a), 제1상부걸림단(123b), 하부걸림단(123c), 제2상부걸림단(123d) 및 인출홈(123e)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홈(123)에 걸림부(153)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과정을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플러그(10)가 상기 승강판(120)을 누르는 힘에 의하여 승강판(120)이 하강하면, 상기 승강판(120)의 중심축(1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걸림부(153)는 상승하게 되어, 상기 인입홈(123a)으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53)가 상승을 계속하다가 제1상부걸림단(123b)에 걸리게 되어 상승량이 제한된다. 여기서, 플러그가(10)가 승강판(12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승강판(120) 제2탄성부재(151)의 탄성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고 상기 걸림부(153)는 중심축(1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53)는 하강하다가 상기 하부걸림단(123c)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승강판(130)도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가 단자판(140)에 플러그(10)가 삽입고정된 상태이다.
다시 사용자가 플러그(10)를 누르게 되면 상기 승강판(130)이 하강하여 걸림부(153)는 중심축(1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상부걸림단(123d)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10)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어 제2탄성부재(151)에 의하여 승강판(130)이 상승하면 도 3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53)는 중심축(122)에 대하여 하부로 이동하여 인입홈(123e)을 거쳐 초기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 상태가 단자판(140)에서 플러그(10)가 분리된 상태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안전콘센트(100)는 플러그(10)를 눌러 삽입하면 삽입 후 플러그(10)의 위치가 결합된 그대로 유지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플러그(10)를 누르게 되면 안전콘센트(100)와 플러그(10)가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해 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양손이 모두 필요하지도 않다. 즉, 양손의 사용이 불편한 사용자라 해도 손쉽게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급박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플러그(10)를 눌러 빼지 않고 완력으로 무리하게 분리하더라도 이 경우 단자공이(12)에 의해 눌려있던 돌출부(152)가 최초위치로 복귀하면서 걸림부(153)가 걸림홈(123)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판(120)도 상부로 슬라이딩되어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해 권장되는 사용법(플러그를 눌러 삽입하고 인출하는)이 아니라 사용자가 무리하게 플러그를 제거하더라도 본 발명의 사용에는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공이수납공(142)의 바닥부와 가깝게 위치하여 단자공이(12)가 단자공이수납공(142)에서 약간만 빠지더라도 플러그(10)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공이(12)가 단자공이수납공(142)에서 약간 빠진 상태에서는 전기적 접촉이 불안정하여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단자공이(12)가 완벽하게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플러그(10)가 분리되도록 하여 화재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100)에는 단자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타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보조단자공이(17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본 발명과 같은 효과를 갖지 못하는 일반 콘센트(미도시)에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콘센트를 이용하기 위해 콘센트매립 공사 등의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100)는 멀티탭에 포함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6a 및 도 6b에는 도 5에 도시된 안전콘센트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200)는 케이스(210), 승강판(220), 회전판(240), 회전탄성부재((245) 및 단자판(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내부에 플러그(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걸림홈(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220)은 외주면에 상기 걸림홈(211)에 대응하는 걸림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또한, 상기 승강판(220)에는 플러그(10)의 단자공이(12)가 삽입되는 통공(22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돌기형상의 누름부(223)가 형성된다.
아울러, 회전판(240)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회전판(240)외곽부에는 상기 누름부(223)에 대응하여 상부방향으로 경사부(242)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223)와 경사부(242)의 빗면접촉에 의하여 회전판(240)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판(240)에는 일측에서 타측을 가로지르는 막대형상의 단자공이차폐부(243)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판(240)의 외주면에는 회전탄성부 재(245)가 위치하여 상기 회전판(240)이 회전될 경우 회전판(240)이 원위치 되는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판(미도시)은 회전판(24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10)의 단자공이(12)를 수납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을 공급한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200)에 플러그(10)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a는 안전콘센트(200)에 플러그(10)가 인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단자공이(12)가 단자판(미도시)과 접촉될 수 있는 통로는 단자공이차폐부(243)에 의하여 차폐되어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안전콘센트(200)에 플러그(10)가 인입되어 있으나, 아직 승강판(220)이 눌리지 않은 상태이므로, 단자판(미도시)으로의 통로는 차폐된 상태이다.
도 7c를 참조하면, 플러그(10)가 승강판(220)을 누르기 시작하면서, 상기 승강판(220)이 하강하고, 승강판(220)에 형성된 누름부(223)가 경사부(242)를 누르면서 누름부(223)와 경사부(242)가 빗면접촉하여 회전판(24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240)이 회전하면 단자공이차폐부(243)도 같이 회전하여 단자판(미도시)의 통로가 개방되게 된다.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공이차폐부(243)가 완전히 회전하여 단자공이(12)가 하강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플러그(10)를 제거하게 되면 회전탄성부재(245)에 의하여 상기 회전판(240)이 원위치로 되돌아오게 되어 단자판(미도시)으로의 통로가 차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200)는 승강판(220)이 하강하여야만 회전판(240)이 회전하여 단자판(미도시)으로의 통로가 개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콘센트(200)에 젓가락 등을 삽입하는 경우 승강판(220)은 하강하지 않아 단자판(미도시)으로의 통로가 차폐되어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걸림홈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211)도 인입홈(미도시), 제1상부걸림단(미도시), 하부걸림단(미도시), 제2상부걸림단(미도시) 및 인출홈(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221)가 인입홈(미도시), 제1상부걸림단(미도시), 하부걸림단(미도시), 제2상부걸림단(미도시) 및 인출홈(미도시)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10)를 눌러 삽입하면 삽입 후 플러그(10)의 위치가 결합된 그대로 유지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플러그(10)를 누르게 되면 안전콘센트(200)와 플러그(10)가 분리되게 된다.
상기 걸림홈(21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221)가 이동하게 되므로, 앞서 설명한 내용과는 반대로 상하 방향이 바뀌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콘센트(200)는 중앙부에 플러그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디스크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결합하는 상부이탈방지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이탈방지부재(230)는 승강판(220)이 케이스(210)에서 상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한다.
아울러, 디스크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하부와 결합하는 하부이탈방지부재(2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하부이탈방지부재(250)는 회전판(240)이 케이스(210)에서 하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200)도 보조단자공이를 더 포함하여 일반적인 콘센트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멀티탭의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 있어서 플러그(10)와 단자공이(12)는 220V 전용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10V플러그도 얼마든지 사용이 가능하며, 나아가 3상전원을 이용하는 플러그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과 걸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안전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에 도시된 안전콘센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판과 회전판의 분해사시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승강판과 회전판의 결합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케이스 112...제1홈
113...제2홈 120,220...승강판
121,222...삽입홈 122...중심축
123,211...걸림홈 124...회전방지부재
124a...개방홈 125...제1탄성부재
126...단자공이가이드 127...회전판삽입홈
130,240...회전판 131...회전보조돌기
132 ...경사돌기 135...부싱
140...단자판 150...승강판고정부
151...제2탄성부재 152...돌출부
153...걸림부 170...보조단자공이
223...누름부 230..상부이탈방지부재
242...경사부 243..단자공이차폐부
245...회전탄성부재 250...하부이탈방지부재

Claims (15)

  1. 내부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홈 및 상부가 상기 제1홈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제1홈보다 소정 각도 굴절되어 형성된 제2홈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1홈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운동하고, 상부로부터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의 일측에 사각기둥 형상으로 일단에 걸림홈이 형성된 중심축이 구비되고, 측부에 상기 제1홈에 삽입되며 일측에 개방홈을 갖는 회전방지부재가 구비된 승강판;
    중심부가 상기 중심축에 끼움결합되어 평상시 하부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의 지지에 의하여 상기 삽입홈을 차폐하며, 측부에 상기 제2홈에 삽입되는 회전보조돌기가 구비되어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상기 삽입홈을 통해 삽입될 경우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에 의해 상기 제2홈의 상부를 따라 하단으로 슬라이딩운동하게 되며, 일정 위치 이하로 슬라이딩될 경우 상기 개방홈을 통과하여 상기 제2홈의 하부를 따라 회전운동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판이 회전운동할 경우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를 수납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판; 및
    일측에 회동가능한 돌출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는 제2탄 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축의 일단을 수납하여 상기 단자판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상기 단자판에 삽입될 경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에 의해 내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돌출부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중심축에 형성된 걸림홈에 결합고정되는 승강판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하부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삽입되는 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회전판과 접촉하여 상기 삽입홈을 차폐시킬 수 있는 단자공이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공이가이드는,
    상기 회전판이 상기 단자공이가이드의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에 수직방향의 회전판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와 접촉하는 부분은 회전판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두 개의 경사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는,
    상기 단자공이가이드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게 되는 상기 일정 위치는,
    상기 승강판의 개방홈과 상기 제2홈의 하부에 연결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승강판이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인입홈;
    상기 걸림부의 상승량을 제한하는 제1상부걸림단;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상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이 제거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의 하강량을 제한하는 하부걸림단;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의 상승량을 제한하는 제2상부걸림단; 및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2상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하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인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타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보조단자공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콘센트를 하나 이상 포함한 멀티탭.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와 접촉하는 부분은 회전판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의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11. 내부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케이스;
    외주면에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플러그의 단자공이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돌기형상의 누름부가 형성된 승강판;
    링형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누름부에 대응하여 외곽부에 상부방향으로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와 상기 경사부의 빗면접촉에 의하여 회전하며, 일측에서 타측을 가로지르는 막대형상의 단자공이 차폐부가 형성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판이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판이 원위치 되는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의 단자공이를 수납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을 공급하는 단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승강판이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인입홈;
    상기 걸림부의 상승량을 제한하는 제1상부걸림단;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상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이 제거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의 하강량을 제한하는 하부걸림단;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의 상승량을 제한하는 제2상부걸 림단; 및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2상부걸림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누르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하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인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플러그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디스크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결합하여 상기 승강판이 상기 케이스에서 상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상부이탈방지부재; 및
    디스크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하부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이 상기 케이스에서 하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하부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14.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타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보조단자공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15. 제 1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콘센트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KR1020070066854A 2007-07-04 2007-07-04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KR10091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854A KR100917871B1 (ko) 2007-07-04 2007-07-04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854A KR100917871B1 (ko) 2007-07-04 2007-07-04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704A true KR20090002704A (ko) 2009-01-09
KR100917871B1 KR100917871B1 (ko) 2009-09-16

Family

ID=4048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854A KR100917871B1 (ko) 2007-07-04 2007-07-04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87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584B1 (ko) * 2010-12-20 2013-01-29 신헌수 콘센트 장치
KR200468109Y1 (ko) * 2012-07-09 2013-07-29 김신화 플러그 및 콘센트용 어댑터
WO2013162351A1 (en) * 2012-04-23 2013-10-31 Fook Khean Wong Safety power socket
CN103427248A (zh) * 2012-05-25 2013-12-04 上海通领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墙面插座
KR101650503B1 (ko) * 2016-01-06 2016-09-05 김현무 회전 접속타입 콘센트
CN106785733A (zh) * 2017-01-19 2017-05-31 重庆玖玖新能源有限公司 厅门/轿门旁听转换接头
KR20180031554A (ko) * 2016-09-20 2018-03-28 유선진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
WO2019022313A1 (ko) * 2017-07-26 2019-01-31 주식회사 태주산업 콘센트의 승강판 홀드 및 래치 장치
KR101976147B1 (ko) * 2018-08-30 2019-05-07 전강현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WO2021029628A1 (ko) * 2019-08-12 2021-02-18 (주)디앤더블유 안전장치를 구비한 전기접속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기기
KR102439702B1 (ko) * 2021-11-19 2022-09-01 이종호 안전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564B1 (ko) 2013-03-18 2013-06-19 정순락 방수용 안전콘센트
KR101483011B1 (ko) 2013-04-25 2015-01-16 해경 기 플러그 단자 고정구조를 갖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KR101697969B1 (ko) 2015-05-29 2017-01-19 최하길 플러그단자 범용 콘센트
KR20190079843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태주산업 콘센트 안전장치
KR20190093392A (ko)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태주산업 콘센트의 승강판 홀드 및 래치 장치
KR200490628Y1 (ko) * 2018-08-13 2019-12-09 조경군 안전 회전자가 구비된 콘센트
KR102079322B1 (ko) * 2019-12-03 2020-02-19 손진욱 감전방지 멀티탭
KR20230113673A (ko) 2022-01-23 2023-08-01 신헌수 자동소화패치을 적용한 전기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43U (ko) * 1998-12-28 2000-07-15 강태삼 안전 콘센트
KR20010068857A (ko) * 2000-01-10 2001-07-23 이권호 안전콘센트
KR20040090059A (ko) * 2003-04-16 2004-10-22 고인석 안전 콘센트
KR200401613Y1 (ko) 2005-09-06 2005-11-21 신동아전기(주) 플러그 인출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584B1 (ko) * 2010-12-20 2013-01-29 신헌수 콘센트 장치
WO2013162351A1 (en) * 2012-04-23 2013-10-31 Fook Khean Wong Safety power socket
CN103427248A (zh) * 2012-05-25 2013-12-04 上海通领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墙面插座
KR200468109Y1 (ko) * 2012-07-09 2013-07-29 김신화 플러그 및 콘센트용 어댑터
KR101650503B1 (ko) * 2016-01-06 2016-09-05 김현무 회전 접속타입 콘센트
KR20180031554A (ko) * 2016-09-20 2018-03-28 유선진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
CN106785733A (zh) * 2017-01-19 2017-05-31 重庆玖玖新能源有限公司 厅门/轿门旁听转换接头
CN106785733B (zh) * 2017-01-19 2023-07-18 重庆玖玖新能源有限公司 厅门/轿门旁听转换接头
WO2019022313A1 (ko) * 2017-07-26 2019-01-31 주식회사 태주산업 콘센트의 승강판 홀드 및 래치 장치
KR101976147B1 (ko) * 2018-08-30 2019-05-07 전강현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WO2021029628A1 (ko) * 2019-08-12 2021-02-18 (주)디앤더블유 안전장치를 구비한 전기접속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기기
KR102439702B1 (ko) * 2021-11-19 2022-09-01 이종호 안전 콘센트
WO2023090492A1 (ko) * 2021-11-19 2023-05-25 이종호 안전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871B1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871B1 (ko)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EP2385588B1 (en) Safe electrical outlet
US20150104960A1 (en) Safe outlet
KR100633363B1 (ko)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
KR101420123B1 (ko) 안전 콘센트
KR101626354B1 (ko) 안전콘센트
KR101690219B1 (ko) 콘센트 안전장치
WO2011065622A1 (ko) 플러그 인출이 용이한 콘센트
KR101933505B1 (ko)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200341326Y1 (ko) 콘센트
KR100950600B1 (ko) 콘센트
KR200214737Y1 (ko) 매립형 콘센트
CN106549247B (zh) 插座
KR20180126680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KR101819319B1 (ko) 콘센트
KR200401613Y1 (ko) 플러그 인출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KR20110060042A (ko)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564843B1 (ko) 콘센트
KR101769437B1 (ko) 안전 콘센트
KR101697969B1 (ko) 플러그단자 범용 콘센트
KR20180126679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KR101567654B1 (ko) 전기 플러그
CN110649414B (zh) 带有防尘盖保护门的插座
KR200376343Y1 (ko)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
KR200294855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1130

Effective date: 201304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