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554A -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554A
KR20180031554A KR1020170055979A KR20170055979A KR20180031554A KR 20180031554 A KR20180031554 A KR 20180031554A KR 1020170055979 A KR1020170055979 A KR 1020170055979A KR 20170055979 A KR20170055979 A KR 20170055979A KR 20180031554 A KR20180031554 A KR 20180031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hutter
groove
safety
lifting plat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690B1 (ko
Inventor
유선진
Original Assignee
유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진 filed Critical 유선진
Publication of KR2018003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판이 구비된 콘센트에 추가로 구성되는 보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린이가 금속 핀을 한쪽의 접속 홈에 꽂을 경우 제1차 안전셔터에 의해 접속 홈이 차단되는 것은 물론 양쪽의 접속 홈에 금속 핀을 꽂더라도 제2차 안전셔터에 의해 접속 홈이 차단되며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아 콘센트의 승강판이 하강하면 제2차 안전셔터가 접속 홈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금속 핀을 양쪽의 접속 홈에 동시에 꽂더라도 감전의 위험이 없고, 먼지나 이물질이 접속단자에 쉽게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Secondary safety device used in the outlet}
본 발명은 승강판이 구성된 콘센트에 부가하여 구성되는 보조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콘센트는 어린이들이 젓가락이나 뾰쪽한 금속 핀 등을 콘센트에 꽂아도 전기에 감전되지 못하도록 플러그 접속 핀이 통과하는 접속 홈에 슬라이드 안전셔터라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접속 홈을 차단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한다.
그러나 슬라이드 안전셔터는 양쪽의 접속 홈에 금속 핀을 동시에 꽂을 경우 슬라이더가 쉽게 개방되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이 여전히 남게 된다.
이에 두 개의 금속 핀을 콘센트에 꽂아도 감전되지 않도록 하는 콘센트가 선행기술 특허출원 10-2015-0128239호 "콘센트 안전장치"에서 제시되었는데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승강판에 연장다리부를 구성하여 승강판이 하강할 경우 연장다리부가 제2차 슬라이드 안전셔터(통전홀 개폐부재)를 열도록 함으로써 승강판이 내려가지 않고는 두 개의 핀을 꽂아도 전기접속단자에 직접 닿지 못하도록 하여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승강판이 내려가기만 하면 자동으로 제2차 안전셔터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성되어 만약 승강판이 하강한 후 승강판이 박히거나 오르지 못할 경우 제1차 안전셔터 및 제2차 안전셔터가 개방된 체로 방치될 수밖에 없어 오히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어린이 또는 사용자가 두 개의 금속 핀을 콘센트의 양쪽 접속 홈에 꽂아도 접속 홈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며 더 나아가 승강판이 고장이 나서 오르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콘센트 접속 홈이 개방되지 않는 콘센트 보조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판이 구비된 콘센트에 추가로 구성되는 보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린이 또는 사용자가 한쪽의 접속 홈에 금속 핀을 꽂을 경우 제1차 안전셔터가 작동하여 접속 홈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양쪽의 접속 홈에 금속 핀을 꽂더라도 제2차 안전셔터가 접속 홈을 차단하며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아 콘센트의 승강판이 하강하면 승강판의 일부에 걸려있는 걸림이 해제되어 제2차 안전셔터가 회동 또는 이동하여 접속 홈이 개방되도록 하였다.
금속 핀을 양쪽의 접속 홈에 동시에 꽂더라도 감전의 위험이 없고, 먼지나 이물질이 접속단자에 쉽게 유입되지 않기때문에 화재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부품 분해 사시도.
도 2: 제1차 안전셔터 및 제2차 안전셔터의 작동 설명도.
도 3: 본 발명의 제1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 및 설명도.
도 4: 본 발명의 제2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 및 설명도.
도 5: 본 발명의 제3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 및 설명도.
도 6: 본 발명의 제4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 및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 및 설명도.
본 발명은 승강판(20)이 구성된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판(20)이 구비된 콘센트는 접속 구(30-2)가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일반적인 콘센트에 비하여 어린이에게 호기심을 유발하기가 쉬워 어떠한 경우라도 감전사고가 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더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승강판 내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제1차 안전셔터 외에 추가로 설치되는 보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조 안전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제2차 안전셔터로 명명하고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보조 안전장치 또는 제2차 안전셔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부품 분해 사시도다.
승강판(20)이 구성된 콘센트는 플러그(10)를 꽂기 전에는 승강판이 콘센트의 상측 하우징(30)의 외면과 거의 일치되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을 경우 승강판이 하강하고 플러그를 뽑을 경우 승강판 하부 기둥에 내장된 복원스프링(24)에 의해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측 승강판 덮개(21)와 하측 승강판 덮개(23) 사이에는 어린이가 금속 핀을 한쪽의 접속 홈(30-1)에 꽂더라도 접속 홈이 열리지 않게 하는 제1차 안전셔터(22)가 구비되는데 이 안전장치의 가장 큰 단점은 금속 핀을 양쪽에 꽂을 경우 접속 홈이 쉽게 개방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승강판 작동구간의 하부에는 두 개의 금속 핀을 꽂더라도 접속단자(45)와 금속 핀이 직접 닿지 못하도록 하는 보조 안전장치가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 이를 제2차 안전셔터(25)라 명명한다.
여기서 접속 홈(30-1)이란 그림에 나타난 표면의 홈 일부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플러그 접속 핀(10-1)을 접속단자(45)에 꽂기 위한 콘센트의 양쪽 홈 전체 통로를 포함한다.
도 2는 제1차 및 제2차 안전셔터의 작동 구성도 및 설명도이다.
이 그림은 본 발명의 구조를 예를 들어 간단히 표현한 것으로 좌측 [A]그림과 같이 한 개의 금속 핀을 접속 홈에 꽂을 경우 승강판(23) 내부의 제1차 안전셔터에 의해 금속 핀이 접속 홈을 통과하지 못하고 우측 [B] 그림과 같이 두 개의 금속 핀을 꽂을 경우에도 제2차 안전셔터(25)에 의해 금속 핀이 접속 홈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는 확대그림[a]과 같이 승강판 하부의 기둥에 형성된 걸림돌기(23-1)에 제2차 안전셔터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걸려 있기 때문이다.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안전장치는 상측 하우징(30)과 하측 하우징(40) 사이에 일체 또는 별도로 구성되는 고정부(35)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어 접속단자(45)에 연결되는 접속 홈(30-1)을 직접 차단한다.
보조 안전장치의 여러 가지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보조 안전장치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제2차 안전셔터(25)의 명칭을 형태 및 회전 후 복귀하는 방법에 따라 회전형, 캠형, 클러치형, 슬라이드형, 기둥형 안전셔터로 구분하여 명명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 및 설명도로 회전형 안전셔터에 관한 것이다.
좌측 [A] 그림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로 승강판 기둥 하단에는 걸림 돌기(23-1)가 형성되고 이 걸림 돌기가 형성된 지점 외곽에는 회전형 안전셔터(25A)가 구성되는데 안전셔터 내측에는 상기 걸림 돌기(23-1)와 대응하는 걸림 홈(25-1)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접속 홈(30-1)을 개폐하는 경사판(25-2)이 형성되며 안전셔터 하측에는 안전셔터의 양쪽 경사판(25-2)이 접속 홈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탄성 부재 또는 복귀스프링(26)이 구성되어 고정부(35)에 설치된다.
물론 탄성부재 또는 복귀스프링은 그림과 달리 안전셔터(25A) 측면에 압축스프링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안전셔터를 포함하는 보조 안전장치는 설계자에 따라 경사판 하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35)는 상하측 하우징(30, 40)이 만나는 접속 면의 어느 한쪽에 하우징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는 편의상 별도의 구성으로 나타내었다.
중앙 [B] 그림은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기 전 승강판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그림으로 부분 확대한 그림<b>과 같이 걸림 돌기(23-1)에 걸림 홈(25-1)이 맞물려있어 만약 어린이가 양쪽에 금속 핀을 꽂더라도 회전형 안전셔터가 회전하지 못하고 접속 홈을 차단하고 있어 금속 핀이 접속단자(45)에 직접 닿을 수 없다.
우측 그림 [C]은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을 경우 보조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승강판이 플러그의 바닥면에 의해 밀려 하강하면 걸림 돌기(23-1)가 걸림 홈(25-1)으로부터 빠져 회전형 안전셔터(25A)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플러그를 더 깊이 꽂으면 플러그의 접속 핀(10-1)이 회전형 안전셔터 경사판(25-2)의 경사면을 밀어 회전시켜 접속 홈(30-1)을 개방하고 플러그의 접속 핀은 하측 하우징에 구성된 접속단자(45)에 접속된다.
사용자가 플러그를 뽑으면 복귀스프링(26)에 의해 회전형 안전셔터가 역회전하여 접속 홈을 막고 승강판이 올라오면서 걸림 돌기(23-1)가 걸림 홈(25-1)에 걸려 맞물리게 된다.
그러므로 만약 승강판이 고장으로 인하여 상승하지 못하더라도 플러그가 접속 홈으로부터 빠지기만 하면 제2차 안전셔터는 무조건 원위치로 회전하여 접속 홈을 차단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 및 설명도로 캠형 안전셔터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를 제작함에 있어 가장 염려되는 부분은 합선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본 구성에서는 금속재질의 복귀스프링(26)을 제거하고 오직 승강판의 상하 움직임으로 보조 안전셔터가 작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좌측 [A] 그림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로 승강판 기둥에는 원주를 따라 회전하며 길게 형성된 나선형 걸림 돌기(23-2)가 구성되고, 고정부(35)에는 캠형 안전셔터(25B)가 축 고정되어 조립되며, 안전셔터 내측에는 상기 나선형 걸림 돌기(23-2)와 대응하는 걸림 홈(25-1)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콘센트의 접속 홈(30-1)을 개폐하는 경사판(25-2)이 형성된다.
중앙 [B] 그림은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기 전 승강판이 상승 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부분 확대한 그림과 같이 나선형 걸림 돌기(23-2)와 걸림 홈(25-1)이 서로 맞물려있어 양쪽 접속 홈에 금속 핀을 꽂더라도 캠형 안전셔터가 회전하지 못하고 접속 홈을 막고 있어 금속 핀이 접속단자(45)에 직접 닿을 수 없다.
우측 [C] 그림은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을 경우의 캠형 안전셔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플러그를 꽂아 승강판이 하강하면 나선형 걸림 돌기(23-2)를 따라 유도되는 걸림 홈(25-1)이 회전하며 캠형 안전셔터(25B)가 접속 홈(30-1)을 개방하게 된다.
사용자가 플러그를 접속단자로부터 뽑으면 승강판이 복원스프링(24)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캠형 안전셔터의 걸림 홈(25-1)이 나선형의 걸림 돌기(23-2)를 따라 역회전하며 접속 홈을 막는다.
이 구성은 구조가 간단한 반면 승강판이 오르내리면서 간섭이 있을 수 있고 승강판이 내려오면 제2차 안전셔터가 자동으로 열리는 문제가 있으며 승강판이 정상위치로 복원되지 못하였을 경우 제2차 안전셔터가 열려있는 단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 및 설명도로 클러치형 안전셔터에 관한 것이다.
좌측 [A] 그림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로 승강판 기둥 하단에는 걸림 돌기(23-1)가 형성되고 승강판 기둥 하부의 고정부(35)에는 클러치형 안전셔터(25C)가 구성되는데 부분 확대한 그림과 같이 내측에는 걸림 돌기(23-1)와 대응하는 걸림 홈(25-1)이 형성되고 외주면 하부에는 경사면을 갖는 클러치(25-3)가 형성되어 고정부(35) 하측 면에 축 고정된다.
참고로 축 고정하는 방법은 하측 하우징에 클러치 형상을 수용할 수 있는 원 형태의 홈 또는 가이드를 형성하여 클러치형 안전셔터를 수용 홈 또는 가이드에 조립하는 것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중앙 [B] 그림은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승강판이 상승한 상태이며 확대한 그림과 같이 걸림 돌기(23-1)와 걸림 홈(25-1)이 서로 맞물려있어 양쪽 접속 홈에 금속 핀을 꽂더라도 보조 안전셔터가 회전하지 못하고 접속 홈을 차단하고 있어 금속 핀이 접속단자(45)에 직접 닿을 수 없다.
우측 [C] 그림은 사용자가 플러그를 꽂을 경우의 보조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승강판이 플러그의 바닥면에 밀려 하강하면 걸림 돌기(23-1)가 걸림 홈(25-1)으로부터 빠지면서 클러치형 안전셔터(25C)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플러그를 더 깊이 꽂으면 플러그의 접속 핀(10-1)이 경사판(25-2)을 밀어 접속 홈을 개방하게 되고 플러그의 접속 핀은 접속단자(45)에 접속된다.
다시 플러그를 접속단자로부터 뽑으면 승강판 복원스프링(24)에 의해 승강판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걸림 돌기(23-1)가 클러치(25-3)의 경사면과 접촉하면서 클러치형 안전셔터를 역회전하여 개방되었던 접속 홈을 막고 걸림 돌기(23-1)가 걸림 홈(25-1)에 걸려 맞물리게 된다.
상기의 제2 실시 및 제3 실시에서는 합선의 염려를 고려하여 가능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승강판의 오르내림으로 제2차 안전셔터를 개폐하도록 하였으나 승강판의 고장으로 승강판이 정상위치에 복귀하지 못할 경우 제2차 안전셔터가 열려있을 수 있어 다른 형태의 안전셔터를 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 및 설명도로 슬라이드형 안전셔터에 관한 것이다.
좌측 [A] 그림은 슬라이드형 안전셔터(25D)의 부품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통상 회전형 안전셔터는 회전반경이 커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2차 안전셔터를 평행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형으로 하여 두 개의 플러그 핀이 셔터 경사면에 위치할 경우 안전셔터가 평행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고 플러그 핀이 빠질 경우 압축스프링(26-1)에 의해 복귀하게 된다.
중앙 [B] 그림은 확대그림[c]과 같이 승강판 기둥 하부에 형성된 돌기(23-4)는 안전셔터(25D)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가 플러그를 꽂아 승강판이 하강하면 우측 그림 [C]와 같이 돌기도 하강하여 플러그 핀에 의해 안전셔터가 평행이동하여 접속 홈을 개방하게 된다.
만약 플러그 핀을 뽑았으나 승강판이 고장 나 원위치로 상승하지 못할 경우에도 제2차 슬라이드 안전셔터는 압축스프링(26-1)에 의해 복귀하여 접속 홈을 막게 되므로 더욱 안전하다 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에 관한 부품 구성도 및 설명도로 기둥형 안전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는 상기에 설명한 여러 실시 예와 반대로 구성한 것으로 좌측 [A] 그림은 기둥형 안전셔터의 구성도로 승강판 외면에 걸림 홈(23-5)을 형성하고 제2차 안전셔터(25E) 외곽에 상기 걸림 홈에 대응하는 걸림 돌기(25E-1)를 형성하여 그림 [B]와 같이 승강판이 올라간 상태에서는 걸림 홈과 걸림 돌기가 걸려있어 제2차 안전셔터가 회전하지 못하고 그림 [C]와 같이 승강판이 내려갈 경우 승강판의 걸림 홈이 안전셔터의 걸림 돌기로부터 빠져 제2차 안전셔터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승강판의 기둥에 형성된 걸림 돌기를 이용하여 승강판이 상승한 경우에는 제2차 안전셔터가 걸림 돌기에 걸려 접속 홈을 차단한 체로 움직이지 못하고, 승강판이 하강한 경우에는 제2차 안전셔터가 걸림 돌기로부터 빠져 접속 홈을 개방하는 구조의 보조 안전장치를 5가지 실시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는 이를 기초로 하여 얼마든지 변형 가능한 것으로 승강판의 하강에 따라 묶여 있던 제2차 안전셔터가 자유로워져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접속 홈을 개방하는 구조는 본 명세서의 변형 가능한 권리에 속하는 구조임을 미리 밝혀 둔다.
10: 플러그 10-1: 플러그 접속 핀 20: 승강판
21: 상측 승강판 덮개 22: 제1차 안전 셔터
23: 하측 승강판 덮개 24: 승강판 복원스프링
25: 제2차 안전셔터-보조 안전장치
(25A: 스프링형, 25B: 캠형, 25C: 클러치형, 25D: 슬라이드형 )
30: 콘센트 상측 하우징 30-1: 접속 홈 35: 고정부
40: 콘센트 하측 하우징 45: 접속단자

Claims (2)

  1. 콘센트의 접속 구에 제1차 안전셔터가 내장된 승강판(20)이 구성되어 플러그를 꽂을 경우 하강하고 복귀 스프링(24)에 의해 상승하는 승강판이 구비된 콘센트에 있어,
    승강판 기둥 하단에는 걸림 돌기(23-1)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가 형성된 지점 외곽에는 제2차 안전셔터가 구성되며,
    상기 제2차 안전셔터 내측에는 상기 걸림 돌기(23-1)와 대응하는 걸림 홈(25-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차 안전셔터는 상하측 하우징(30, 40) 사이에 구성되는 고정부(35)에 축 고정되어 승강판이 하강할 경우 걸림 돌기가 걸림 홈으로부터 빠져 제2차 안전셔터가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접속 홈을 개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특징인 승강판이 있는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
  2. 승강판(20)이 구성된 콘센트에 있어,
    승강판이 상승한 경우에는 제2차 안전셔터가 승강판의 일단에 구속되어 회전 또는 이동하지 못하여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접속 홈을 차단하고, 플러그를 꽂아 승강판이 하강한 경우에는 승강판으로부터 제2차 안전셔터의 걸림이 해제되어 제2차 안전셔터가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승강판이 하강할 경우 플러그 핀에 의해 제2차 안전셔터가 회전 또는 이동하여 접속 홈을 개방하는 것이 특징인 승강판이 있는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
KR1020170055979A 2016-09-20 2017-05-02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 KR101971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85 2016-09-20
KR20160119885 2016-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554A true KR20180031554A (ko) 2018-03-28
KR101971690B1 KR101971690B1 (ko) 2019-04-23

Family

ID=6190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979A KR101971690B1 (ko) 2016-09-20 2017-05-02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6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8033A (zh) * 2018-07-17 2018-12-18 科都电气有限公司 一种保护插座
CN109378622A (zh) * 2018-10-16 2019-02-22 万科链家(北京)装饰有限公司 电器接口及智能电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695A (ko) 2022-09-15 2024-03-22 주식회사 엘스아이 콘센트 안전셔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704A (ko) * 2007-07-04 2009-01-09 신헌수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704A (ko) * 2007-07-04 2009-01-09 신헌수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8033A (zh) * 2018-07-17 2018-12-18 科都电气有限公司 一种保护插座
CN109038033B (zh) * 2018-07-17 2023-09-12 科都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保护插座
CN109378622A (zh) * 2018-10-16 2019-02-22 万科链家(北京)装饰有限公司 电器接口及智能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690B1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5458B2 (ja) 安全コンセント
KR101971690B1 (ko) 콘센트의 보조 안전장치
DE102016121291B4 (de) Verbinderanordnung vom Typ mit Hebel
US9048559B2 (en) Power outlet with jack safety shield device
KR101390778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20084149A (ko) 콘센트
CA3026551C (en) Tamper resistant mechanism for electrical wiring devices
TWI482369B (zh) 電源插座及其安全門機構
KR101691718B1 (ko) 안전 콘센트
US8974239B2 (en) Tamper resistant shutter device for electrical receptacle outlets
US9520670B2 (en) Tamper resistant receptacle
US20190020144A1 (en) Power strip with two ends safely pluggable and a power strip assembly with plug
EP3830908B1 (de) Steckdose
KR20190079843A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180126680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KR20180126681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KR101929208B1 (ko) 콘센트용 안전커버 유닛
KR100727552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20180126679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KR102291956B1 (ko) 콘센트의 안전 소켓 모듈
CN209896324U (zh) 一种带保护门的插座
KR101039101B1 (ko) 플러그 인출이 용이한 콘센트
KR101723054B1 (ko) 레버커넥터
CN218896848U (zh) 用于插座的安全门装置及插座
KR20180126682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