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505B1 -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 Google Patents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505B1
KR101933505B1 KR1020180052389A KR20180052389A KR101933505B1 KR 101933505 B1 KR101933505 B1 KR 101933505B1 KR 1020180052389 A KR1020180052389 A KR 1020180052389A KR 20180052389 A KR20180052389 A KR 20180052389A KR 101933505 B1 KR101933505 B1 KR 10193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ocket
plug
pressing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홍
Original Assignee
(주)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 filed Critical (주)대성
Priority to KR1020180052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가 끼워지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일측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누름공을 구비한 하우징;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되는 끼움홀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에서 승하강하게 결합되는 분리판; 및 상기 누름공에서 내외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의 일측으로 연결된 누름부, 상기 축부의 타측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분리판 하부에 배열되는 가압부로 구성되어, 시소 운동을 통해 하강된 분리판을 상승시켜 소켓에서 플러그를 분리시키되,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공과 대응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져, 플러그 삽입으로 인한 상기 분리판의 하강 시,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공에 수용되는 분리 레버;를 포함하여, 협소한 공간에서 멀티탭 콘센트에 끼워진 플러그의 분리를 쉽게 하면서, 분리 레버의 파손 방지 및 작동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MULTI-TAP CONCENT}
본 발명은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가 끼워지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일측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누름공을 구비한 하우징;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되는 끼움홀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에서 승하강하게 결합되는 분리판; 및 상기 누름공에서 내외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의 일측으로 연결된 누름부, 상기 축부의 타측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분리판 하부에 배열되는 가압부로 구성되어, 시소 운동을 통해 하강된 분리판을 상승시켜 소켓에서 플러그를 분리시키되,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공과 대응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져, 플러그 삽입으로 인한 상기 분리판의 하강 시,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공에 수용되는 분리 레버;를 포함하여, 협소한 공간에서 멀티탭 콘센트에 끼워진 플러그의 분리를 쉽게 하면서, 분리 레버의 파손 방지 및 작동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각종 전기제품이나 전자기기 등의 플러그를 꽂아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멀티탭 콘센트는 리드선에 의해 이동 가능하여 일정 위치에서 다수의 플러그를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벽체 매립형 콘센트는 건물의 벽면에 매립되어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중, 멀티탭 콘센트는 사용 시, 전기 사용량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선,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고,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플러그를 끼우는 것이 좋으나, 현실적으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플러그를 끼웠다 빼는 것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선,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플러그를 끼워둔 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플러그의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1-0096208호가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바닥면에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단자공이 형성되고 플러그 삽입 시 하강하는 플러그 접속대와, 콘센트 외부에서 승하강하는 분리버튼 및 상기 분리버튼의 하강 시 시소운동을 하여 상기 플러그 접속대를 상승시키는 지렛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분리버튼을 사용해 플러그가 쉽게 빠지도록 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분리버튼과 지렛대의 이원화로 장기간 반복 사용 시 부품의 파손 내지 고장이 발생할 위험성이 많고, 특히 플러그 삽입 시 지렛대의 상호 작용으로 분리버튼이 콘센트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승하는 바,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분리버튼이 눌려져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의도치 않게 빠져 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플러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분리 레버를 하나의 부품으로 단일화하여 부품의 파손 내지 고장 발생의 위험성을 줄이고, 특히 플러그 삽입 시 분리 레버가 하우징에서 돌출되지 않고 하우징의 형상을 그래도 유지하여 실수로 플러그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러그 삽입 시 지렛대 원리로 분리 레버의 누름부가 상향 회동하여 하우징의 누름공으로 수용되는 멀티탭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플러그를 지지하면서 플러그를 분리시키는 분리판이 소켓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분리판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소켓의 바닥부 저면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이탈방지편이 구비되어 있는 멀티탭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 레버의 조립이 쉬우면서 안정적인 고정 및 회동이 가능하며, 분리 레버의 회동 거리를 줄여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분리 레버의 누름부 양 측부에서 가압부들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면서 각 가압부의 내측면에 축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부 하우징의 저면 및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각각 축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을 구비한 상부 내벽과 끼움홈에 끼워진 축부를 지지하는 하부 내벽이 돌설되어 있는 멀티탭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분리 레버를 이용한 플러그 분리 시 적은 힘으로 플러그를 빼낼 수 있도록, 분리 레버의 누름부를 하향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멀티탭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는,
플러그가 끼워지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일측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누름공을 구비한 하우징;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되는 끼움홀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에서 승하강하게 결합되는 분리판; 및
상기 누름공에서 내외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의 일측으로 연결된 누름부, 상기 축부의 타측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분리판 하부에 배열되는 가압부로 구성되어, 시소 운동을 통해 하강된 분리판을 상승시켜 소켓에서 플러그를 분리시키되,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공과 대응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져, 플러그 삽입으로 인한 상기 분리판의 하강 시,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공에 수용되는 분리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에서,
상기 소켓은 바닥부와 측벽부의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가 회동하는 승강슬릿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판은 저면에서 돌출 연결되어 상기 승강슬릿에 끼워지고, 분리판의 상승 완료 시 상기 소켓의 바닥부 저면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에서,
상기 분리 레버는 상기 누름부의 양 측부에서 각각의 가압부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각 가압부의 내측면에 축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의 저면에서 돌출 연결되며 각 축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을 구비한 상부 내벽과,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서 돌출 연결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축부를 지지하는 하부 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에서,
상기 분리 레버는 상기 누름부를 하향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는,
단일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 레버를 통해 분리판의 상승 작동이 이루어져, 장기간 반복 사용하더라도 고장 발생의 위험이 없고,
플러그 삽입 시 분리 레버의 누름부가 하우징의 누름공 내부로 수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분리 레버가 작동하여 플러그가 의도치 않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분리판 역시 소켓의 바닥면에 걸림 구조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소켓에서 분리판이 분리, 이탈될 위험성이 없고,
2개의 가압부를 이용한 분리판의 지지 구조를 통해, 분리판의 상승 작동이 안정적이고,
각 가압부의 내측면에 축부가 돌출되어 상부 내벽의 끼움홈에 삽입된 축부를 하부 내벽으로 지지하여, 분리 레버의 조립이 쉬우면서 분리 레버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분리 레버의 누름부가 하향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되므로, 플러그 분리 시 분리 레버를 적은 힘으로 가압하면 분리 레버가 자동으로 회동하면서 분리판을 상승시켜 플러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레버와 분리판의 작동별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및 분리 레버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수단을 도시한 요부 조립 사시도 및 작동 상태별 평면도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수단의 분해 사시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는,
플러그가 끼워지는 소켓(11)과, 상기 소켓(11)의 일측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누름공(12)을 구비한 하우징(10);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되는 끼움홀(21)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11)에서 승하강하게 결합되는 분리판(20); 및
상기 누름공(12)에서 내외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축부(31), 상기 축부(31)의 일측으로 연결된 누름부(32), 상기 축부(31)의 타측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분리판(20) 하부에 배열되는 가압부(33)로 구성되어, 시소 운동을 통해 하강된 분리판(20)을 상승시켜 소켓(11)에서 플러그를 분리시키되, 상기 누름부(32)가 상기 누름공(12)과 대응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져, 플러그 삽입으로 인한 상기 분리판(20)의 하강 시, 상기 누름부(32)가 상기 누름공(12)에 수용되는 분리 레버(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모양 및 상기 소켓(11)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면에서는 4구형 소켓(11)이 일렬 배열된 멀티탭 콘센트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소켓(11)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10A)과, 상부 하우징(10A) 하측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0B)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켓(11)은 바닥부에 구비되어 플러그의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공(11a), 측면부의 내측면에서 상하로 구비된 가이드홈(11b), 소켓(11)의 바닥부와 측면부 일부가 절개되어 양면이 관통하여 형성된 승강슬릿(11c) 및 노출구(11d)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홈(11b)에는 분리판(20)의 가이드돌기(22)가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승강슬릿(11c)에는 분리 레버(30)의 가압부(33)가 끼워져 상하 회동하며, 상기 노출구(11d)로는 접지핀(41)이 끼워져 소켓(11) 내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하우징(10)에는 전원 케이블(13a)이 연결된 메인 스위치(13)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스위치(13)는 플러그의 단자가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홀(14a)을 구비한 한 쌍의 전원핀(13)이 내부 몸체(40) 저면 및 하부 하우징(10B)에 끼움 결합되어 내장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은 상부 하우징(10A)의 저면에서 돌출 연결되며 각 축부(31)가 끼워지는 끼움홈(17a)을 구비한 상부 내벽(17)과, 하부 하우징(10B)의 상면에서 돌출 연결되어 상기 끼움홈(17a)에 끼워진 축부(31)를 지지하는 하부 내벽(18)을 포함한다.
상기 상, 하부 내벽(17)(18)은 상기 소켓(11)의 일측, 분리 레버(30) 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설되어 상하로 서로 접하는 것으로, 상부 내벽(17)에는 상기 축부(31)가 끼워지는 끼움홈(17a)이 구비된다.
상기 끼움홈(17a)은 하면이 개구된 'U'자 형으로 상, 하부 하우징(10A)(10B)의 조립 시 하부 내벽(18)이 끼움홈(17a)의 하측 개구부를 밀폐시켜, 상기 끼움홈(17a)에 끼워진 축부(31)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내벽(17)은 상기 끼움홈(17a)의 일측에 토션 스프링(34)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17b)이 구비된다.
아울러 각 소켓(11)의 바닥부 저면에는 후술하는 차폐수단(B)의 고정을 위한 결합돌기(11e)가 돌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가이드홈(11b)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돌기(22)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소켓(11) 내에서의 승하강이 안내된다.
이러한 분리판(20)은 플러그의 삽입으로 인해 하강한 상태에서, 소켓(11)에 끼워지는 플러그를 지지하고, 분리 레버(30) 작동 시 분리판(20)이 상승하면서 소켓(11)에서 플러그를 분리시킨다.
또한 상기 분리판(20)은 저면에서 돌출 연결되어 상기 승강슬릿(11c)에 끼워지고, 분리판(20)의 상승 완료 시 상기 소켓(11)의 바닥부 저면에 걸리는 걸림돌기(23a)를 구비한 이탈방지편(23)을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편(23)은 분리판(20)의 상승 시 단자공(11a)에서 플러그의 단자가 완전하게 빠질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되며, 이탈방지편(23)의 끝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23a)가 구비되어, 분리 레버(30)의 작동으로 분리판(20)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걸림돌기(23a)가 소켓(11)의 바닥부 저면에 걸려 분리판(2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분리판(20)은 끼움홀(21)들과 직교되는 방향의 양측 테두리에 관통홈(24)이 구비되어, 접지핀(41)이 관통홈(24)을 통해 소켓(11)의 노출구(11d)에 끼워진다.
이어서 상기 분리 레버(30)는 지렛대 작동을 통해 상기 분리판(20)의 상승, 즉 플러그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누름부(32)의 양 측부에서 각각의 가압부(33)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각 가압부(33)의 내측면에 축부(31)가 돌출되어 있다.
특히 상기 분리 레버(30)는 각 가압부(33)의 끝단부 일부가 내측으로 만곡지게 연결된 받침부(33a)를 구비하여, 가압부(33)가 승강슬릿(11c)에 끼워진 상태에서 받침부(33a)가 분리판(20)의 테두리 내측 저면을 지지하여 누름부(32)의 하향 회동에 따른 가압부(33)의 상향 회동 시 분리판(20)의 상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분리 레버(30)는 상기 누름부(32)를 하향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는 그 종류 및 누름부(32)를 탄성 지지하는 구조 내지 위치가 다양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탄성체로써 토션 스프링(34)을 도입하여 분리 레버(30)가 보다 적은 힘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34)은 각각 외측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양측 단부가 꼬임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상기 분리 레버(30)는 일측 축부(31)의 둘레를 따라 가압부(33)의 내측면에 안착홈(33b)이 구비되고, 안착홈(33b)의 일측단에 가압부(33)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홈(33c)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 스프링(34)의 꼬임부가 축부(31) 둘레에 끼워져 안착홈(33b)에 고정된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34)의 일단부는 상기 걸림홈(33c)에 끼워져 고정되고, 토션 스프링(34)의 타단부는 상기 상부 내벽(17)의 고정홈(17b)에 끼워져 고정되어, 누름부(32)가 하향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소켓(11)에 플러그를 끼우면, 분리판(20)이 하강하면서 가압부(33)가 하강 회동하여 지렛대 원리로 누름부(32)가 상향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토션스프링이 압축되며, 플러그 삽입이 완료되면 단자가 접속홀(14a)에 억지 끼움되면서 고정되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분리 레버(30)가 개방되지 않고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소켓(11)에서 플러그를 빼낼 때,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누름부(32)를 외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토션 스프링(34)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분리 레버(30)가 쉽게 개방되고, 이에 하향 회동하는 누름부(32)에 의한 지렛대 원리로 가압부(33)가 상향 회동하면서 분리판(2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승하는 분리판(20)이 소켓(11) 내의 플러그를 분리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지렛대 원리로 작동하는 분리 레버(30)가 단일 부품으로 구성되어 부품의 파손 내지 고장 발생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플러그 삽입 시 분리 레버(30)의 누름부(32)가 누름공(12)에 수용되므로 누름부(32)가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실수로 분리 레버(30)를 건드려 플러그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소켓(11)의 하부에 구비되는 내부 몸체(40)는 접속홀(14a)의 고정 및 차폐수단(B)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소켓(11)의 결합돌기(11e)가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부재(50) 하부에 끼움 결합되며,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단자공(11a)과 접속홀(14a) 사이를 개폐하는 차폐수단(B)이 상면에 장착되고, 조립돌기(44)와 고정돌기(45)가 저면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 몸체(40)는 상기 단자공(11a)에 대응하는 관통홀(46)이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있으며, 관통홀(46) 둘레로 고정돌기(45)가 하향 돌출되어, 조립돌기(44)에 끼워져 고정된 전원핀(14)의 접속홀(14a)이 고정돌기(4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단자공(11a)으로 끼워지는 플러그 단자가 관통홀(46) 하부에 고정된 접속홀(14a)로 삽입되면서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또한 내부 몸체(40)의 상면에는 관통홀(46)들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된 장착홈(42)이 오목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홈(42)에 접지핀(41)이 수용되어 결합되며, 접지핀(41)의 양 끝단부는 노출구(11d)를 통해 소켓(11)의 내측면으로 노출되어 플러그와 접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지핀(41)은 각 소켓(11)마다 구비되며, 접지 공유핀(41A)으로 접지핀(41)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지 공유핀(41A)은 상기 장착홈(42)의 일측으로 돌출된 받침단(48)에 의해 지지 및 고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접속홀(14a)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내부 몸체(40)에 구비되는 차폐수단(B)을 설명한다.
상기 차폐수단(B)은 상기 내부 몸체(40)의 상면에 장착되어,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단자공(11a)과 관통홀(46) 사이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 몸체(40) 상면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공간부(51)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51)의 바닥부에 관통 형성된 통과공(52)을 구비한 가이드부재(50)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51)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단자공(11a)과 통과공(52) 사이를 차폐하는 차폐부(61)와, 단자공(11a)과 통과공(52) 사이를 연통시키는 개방부(62)를 구비한 보호캡(60) 및
상기 보호캡(60)을 차폐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50)는 상부가 개구된 바스켓 형상의 부재로써, 측벽으로 둘러싸인 슬라이딩 공간부(51) 양측에, 단자공(11a)과 관통홀(46)에 대응하는 통과공(5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어, 단자공(11a)으로 끼워지는 플러그 단자가 통과공(52)을 통과하여 관통홀(46)로 삽입되면서 접속홀(14a)에 접속된다.
또한 가이드부재(50)의 측벽에는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후크홈(53)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몸체(40)의 상면에는 상기 후크홈(53)과 대응하는 위치에 후크돌기(47)가 상향 돌출되어,
후크돌기(47)가 후크홈(53)에 걸림 결합하여 내부 몸체(40)와 가이드부재(50)가 서로 결합된다.
아울러 가이드부재(50)의 양 통과공(52) 사이에는 체결돌기(54)가 상향 돌출되어, 보호캡(60)의 가이드홀(63)에 체결돌기(54)가 후크 결합 형태로 끼워져, 가이드부재(50)와 보호캡(60)이 서로 결합되며, 이때 체결돌기(54)는 보호캡(6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보호캡(60)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51)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여, 단자공(11a)과 관통홀(46)(보다 엄밀하게는 통과공(52)) 사이를 개폐하는 것으로,
차폐부(61)들은 보호캡(60)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어 있고, 이 차폐부(61)들 사이에 보호캡(60)의 좌우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63)이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가이드홀(63)의 일측에 통과공(52)과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 형성된 개방부(62)가 구비된다.
그리고 차폐부(61)의 상면에는 보호캡(60)의 폐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61a)이 구비되어 있으며,
보호캡(60)의 저면에는 슬라이딩 공간부(51)의 바닥부 상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돌기(65)가 하향 돌출되어,
플러그 단자가 상기 경사면(61a)에 접촉하여 보호캡(60)을 슬라이딩 공간부(51)의 일측으로 밀면, 지지돌기(65)에 의해 보호캡(60)이 좌우 균형을 맞춘 상태로 이동하면서 보호캡(60)과 가이드부재(50)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보호캡(6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보호캡(60)의 가이드홀(63)에, 가이드부재(50)의 체결돌기(54)가 끼워져, 보호캡(60)이 슬라이딩 공간부(51)에 안착되면,
도 6의 [B]와 같이 보호캡(60)이 좌측으로 폐쇄 이동한 상태에서는 차폐부(61)가 단자공(11a)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호캡(60) 자체가 통과공(52)을 폐쇄시켜, 단자공(11a)을 통해 이물질이 관통홀(46) 하측의 접속홀(14a)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플러그 단자를 단자공(11a)에 끼우면, 플러그 단자가 차폐부(61)의 경사면(61a)을 가압하여, 도 6의 [C]와 같이 보호캡(60)이 우측으로 개방 이동되면서 통과공(52)을 개방시켜, 단자공(11a)으로 끼워지는 플러그 단자는 개방부(62)와 통과공(52)을 지나 관통홀(46)에 진입하여, 접속홀(1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보호캡(60)은 개방 시 일측(도면 상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형태이므로, 1개의 개방부(62)만이 보호캡(60)이 개방되는 방향에 구비된 차폐부(61)의 타측에 배치되어,
보호캡(60)이 개방 이동하였을 때, 2개의 플러그 단자 중 하나는 개방부(62)로, 다른 하나는 보호캡(60)이 이동하여 형성된 빈 공간으로 통과하여 관통홀(46)에 끼워진다.
상기 압축스프링은 압축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보호캡(60)을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콘센트에서 플러그 단자를 빼냈을 때, 압축스프링에 의해 보호캡(60)을 폐쇄 위치로 자동 복귀시켜, 단자공(11a)의 차폐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축스프링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슬라이딩 공간부(51)의 일측 측벽부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보조 공간부를 형성하고,
보조 공간부에 배치된 보호캡(60)의 일측 외측면에 제1 끼움돌기(64)를 돌출 형성하고,
제1 끼움돌기(64)에 대응하여, 제1 끼움돌기(64)의 반대편, 보조 공간부의 타측 내측면에 제2 끼움돌기(55)를 돌출 형성하여,
제1, 제2 끼움돌기(64)(55)들 사이에 압축스프링을 결합함으로써,
보호캡(60)이 슬라이딩 공간부(51)의 타측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플러그 단자의 제거 시, 보호캡(60)의 자동 복귀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11 : 소켓
11a : 단자공 11b : 가이드홈
11c : 승강슬릿 11d : 노출구
11e : 결합돌기 12 : 누름공
13 : 메인 스위치 13a : 전원 케이블
14 : 전원핀 14a : 접속홀
17 : 상부 내벽 17a : 끼움홈
17b : 고정홈 18 : 하부 내벽
20 : 분리판 21 : 끼움홀
22 : 가이드돌기 23 : 이탈방지편
23a : 걸림돌기 24 : 관통홈
30 : 분리 레버 31 : 축부
32 : 누름부 33 : 가압부
33a : 받침부 33b : 안착홈
33c : 걸림홈 34 : 토션스프링
B : 차폐수단 40 : 내부 몸체
41 : 접지핀 42 : 장착부
44 : 상부 조립돌기 45 : 상부 고정돌기
46 : 관통홀 47 : 후크돌기
50 : 가이드부재 51 : 슬라이딩 공간부
52 : 통과공 53 : 후크홈
54 : 체결돌기 55 : 제2 끼움돌기
60 : 보호캡 61 : 차폐부
61a : 경사면 62 : 개방부
63 : 가이드홀 64 : 제1 끼움돌기
65 : 지지돌기

Claims (4)

  1. 플러그가 끼워지는 소켓(11)과, 상기 소켓(11)의 일측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누름공(12)을 구비한 하우징(10);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되는 끼움홀(17a)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11)에서 승하강하게 결합되는 분리판(20); 및
    상기 누름공(12)에서 내외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축부(31), 상기 축부(31)의 일측으로 연결된 누름부(32), 상기 축부(31)의 타측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분리판(20) 하부에 배열되는 가압부(33), 상기 누름부(32)를 하향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34)을 포함하여, 시소 운동을 통해 하강된 분리판(20)을 상승시켜 소켓(11)에서 플러그를 분리시키되, 상기 누름부(32)가 상기 누름공(12)과 대응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진 분리 레버(3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은 상부 하우징(10A)의 저면에서 돌출 연결되며 각 축부(31)가 끼워지는 끼움홈(17a)과 상기 끼움홈(17a)의 일측에 토션 스프링(34)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17b)을 구비한 상부 내벽(17)과, 하부 하우징(10B)의 상면에서 돌출 연결되어 상기 끼움홈(17a)에 끼워진 축부(31)를 지지하는 하부 내벽(18)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레버(30)는 상기 누름부(32)의 양 측부에서 각각의 가압부(33)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각 가압부(33)의 내측면에 축부(31)가 돌출되어 있고, 일측 축부(31)의 둘레를 따라 가압부(33)의 내측면에 안착홈(33b)이 구비되고, 안착홈(33b)의 일측단에 가압부(33)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홈(33c)이 구비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34)은 각각 외측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양측 단부가 꼬임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토션 스프링(34)의 꼬임부가 축부(31) 둘레에 끼워져 안착홈(33b)에 고정된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34)의 일단부는 상기 걸림홈(33c)에 끼워져 고정되고, 토션 스프링(34)의 타단부는 상기 상부 내벽(17)의 고정홈(17b)에 끼워져 고정되어, 누름부(32)가 하향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함으로써,
    소켓(11)에 플러그를 끼우면, 분리판(20)이 하강하면서 가압부(33)가 하강 회동하여 지렛대 원리로 누름부(32)가 상향 회동하여, 상기 누름부(32)가 상기 누름공(12)에 수용되면서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소켓(11)에서 플러그를 빼내기 위해 누름부(32)를 외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토션 스프링(34)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분리 레버(30)가 개방되어, 하향 회동하는 누름부(32)에 의한 지렛대 원리로 가압부(33)가 상향 회동하면서 분리판(2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승하는 분리판(20)이 소켓(11) 내의 플러그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1)은 바닥부와 측벽부의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33)가 회동하는 승강슬릿(11c)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판(20)은 저면에서 돌출 연결되어 상기 승강슬릿(11c)에 끼워지고, 분리판(20)의 상승 완료 시 상기 소켓(11)의 바닥부 저면에 걸리는 걸림돌기(23a)를 구비한 이탈방지편(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1)의 하부에 구비되는 내부 몸체(40)는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단자공(11a)과 접속홀(14a) 사이를 개폐하는 차폐수단(B)이 구비되되,
    상기 차폐수단(B)은
    상기 내부 몸체(40) 상면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공간부(51)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51)의 바닥부에 관통 형성된 통과공(52)을 구비한 가이드부재(50)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51)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단자공(11a)과 통과공(52) 사이를 차폐하는 차폐부(61)와, 단자공(11a)과 통과공(52) 사이를 연통시키는 개방부(62)를 구비한 보호캡(60) 및
    상기 보호캡(60)을 차폐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양 통과공(52) 사이에는 체결돌기(54)가 상향 돌출되고,
    상기 보호캡(60)은 차폐부(61)들 사이에 보호캡(60)의 좌우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63)이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상기 보호캡(60)의 가이드홀(63)에 체결돌기(54)가 후크 결합 형태로 끼워져, 가이드부재(50)와 보호캡(60)의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체결돌기(54)가 보호캡(6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콘센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레버(30)는 각 가압부(33)의 끝단부 일부가 내측으로 만곡지게 연결된 받침부(33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콘센트.
KR1020180052389A 2018-05-08 2018-05-08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10193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389A KR101933505B1 (ko) 2018-05-08 2018-05-08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389A KR101933505B1 (ko) 2018-05-08 2018-05-08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505B1 true KR101933505B1 (ko) 2018-12-31

Family

ID=6495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389A KR101933505B1 (ko) 2018-05-08 2018-05-08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5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780B1 (ko) * 2020-02-03 2020-07-30 디에스이엘씨 주식회사(Dselc) 노출형 스크류타입 콘센트
KR102276443B1 (ko) * 2021-03-11 2021-07-12 상지이앤씨(주) 통신장비 보호기능을 갖는 멀티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780B1 (ko) * 2020-02-03 2020-07-30 디에스이엘씨 주식회사(Dselc) 노출형 스크류타입 콘센트
KR102276443B1 (ko) * 2021-03-11 2021-07-12 상지이앤씨(주) 통신장비 보호기능을 갖는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8559B2 (en) Power outlet with jack safety shield device
CN107611678B (zh) 安全插座及其应用
KR100917871B1 (ko)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EP2385588B1 (en) Safe electrical outlet
CN101697390B (zh) 一种带锁扣保护门的电气插座
KR101933505B1 (ko)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20130122594A (ko) 콘센트 안전장치
EP0246154A2 (en) Cordless computer assembly
CN101697391A (zh) 一种带锁扣保护门的电气插座
JP2012527732A (ja) 接続可能な電気装置間のインターフェース
KR101573487B1 (ko) 플러그 단자의 이물질 제거 및 보호캡의 자동 복귀가 가능한 콘센트
US9025320B2 (en) Housing for computer system as well as computer system with such a housing
CN110289532B (zh) 一种转换接头
US20050282425A1 (en) Selectively releaseable connector module assembly
KR102001669B1 (ko) 멀티 락킹 안전소켓유닛 및 이를 구비한 콘센트
CN212089216U (zh) 烹饪器具
KR20180126680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KR101239222B1 (ko)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573492B1 (ko) 콘센트의 이물질 유입 및 감전 방지를 위한 보호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CN219553983U (zh) 一种插座
KR200443562Y1 (ko) 반도체 테스트용 소켓하우징
CN211508067U (zh) 插座单元及具有其的排插
CN220066181U (zh) 插座
CN213691925U (zh) 断路器电压隔离结构
CN218939476U (zh) 一种微动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