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971U -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971U
KR20190000971U KR2020170005364U KR20170005364U KR20190000971U KR 20190000971 U KR20190000971 U KR 20190000971U KR 2020170005364 U KR2020170005364 U KR 2020170005364U KR 20170005364 U KR20170005364 U KR 20170005364U KR 20190000971 U KR20190000971 U KR 201900009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ressing
present
outle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주)월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월드코리아
Priority to KR2020170005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971U/ko
Publication of KR20190000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4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di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기 콘센트(Outlet)에 삽입된 플러그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야간에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된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식별기능이 뛰어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는 플러그 단자 핀(210)이 삽입되면 플러그 몸체(200)와 접하게 되는 가압판(141)이 가이드(143)에 의해 슬라이딩되게 구비되는 전방 케이스(140); 및 삽입된 플러그 몸체가 가압판(141)에 의해 밀려나가도록 가압판(141)을 밀어내는 뭉치 형상의 가압부(131)와, 가압부(131)와 걸림 결합되는 관 형상의 몸체 및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가압버튼(134)과 결합된 팔로 이루어진 회동부(136)로 이루어진 가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electrical outlet for plugging out with a lamp}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기 콘센트(Outlet)에 삽입된 플러그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야간에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된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램프가 구비되어식별기능이 뛰어난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며, 한 가지는 건축물을 시공할 때 건축물 벽에 매립되는 매립 콘센트 및 매립 콘센트에 삽입하여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보조콘센트(일명 멀티 탭)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구분되어 사용되는 콘센트들은 가령 일상생활에서 냉장고, 냉온수기, 팩시밀리 등과 같이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이 필요로 하는 제품의 플러그를 꽂아서 사용되는가 하면 텔레비전, 컴퓨터, 비디오, 믹서 등과 같이 사용할 때에만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제품들을 꽂아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제품의 경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콘센트로부터 제품의 플러그를 빼 놓아야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콘센트들의 경우 실내의 벽면 또는 쉽게 눈이 띄지 않는 곳에 놓고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제품에 전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플러그를 빼고자 할 경우, 콘센트의 위치로 가서 플러그를 잡아당겨 빼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사용상에 불편함과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제품에 대하여도 콘센트에서 제품의 플러그를 그대로 꽂아 놓은 상태에서 제품의 전원스위치만을 오프 시키면서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콘센트의 전원은 사용하지 않은 제품에 계속 공급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야간에 소등을 하였을 시에는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알 수 없어 밤새도록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41659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2307
상기 특허문헌 1에는 전기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한편, 플러그가 사용되는 해당 전기/전자기구에 대한 식별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플러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플러그의 경우 별도의 탈거 조작레버를 플러그에 결합하여야 되므로 전자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콘센트 일측에 구비되는 분리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콘센트의 단자홈으로부터 플러그의 단자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분리된 플러그의 몸체는 콘센트의 플러그 홈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는 관절형의 지렛대가 힌지결합되어 단자 핀을 플러그에서 이탈시키도록 구성되어 플러그의 단자핀을 밀어낼 시 많은 힘이 소요되며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내구성이 약하므로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 콘센트(Outlet)에 삽입된 플러그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야간에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된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램프가 구비되어 식별기능이 뛰어난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100)는
플러그 단자 핀(210)이 삽입되면 플러그 몸체(200)와 접하게 되는 가압판(141)이 가이드(143)에 의해 슬라이딩되게 구비되는 전방 케이스(140); 및 삽입된 플러그 몸체가 가압판(141)에 의해 밀려나가도록 가압판(141)을 밀어내는 뭉치 형상의 가압부(131)와, 가압부(131)와 걸림 결합되는 관 형상의 몸체 및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가압버튼(134)과 결합된 팔로 이루어진 회동부(136)로 이루어진 가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압버튼(134)에 눌리어 회동되는 팔에 의해 몸체가 가동부의 고정판(137) 홈 내에서 축회전하여 가압부(131)를 회동시키고, 회동된 가압부(131)에 의해 가압판(141)과 연접한 플러그 몸체(200)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41)은,
가압판(141)의 양측단에는 가이드 부재(14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42)는 전방 케이스(1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143)에 의해 가이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되 외측으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끝단부에는 돌기(144)가 형성되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단자 핀(210)이 삽입되도록 삽입공(145)이 형성되어 플러그 몸체(200)가 연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버튼(134) 후방에는단자핀(210)이 콘센트(100)에 삽입되면 전류가 흘러 발광되도록 하는 램프(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100)의 가압버튼(134)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에 의하면,
전기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가압버튼을 누르는 단순한 조작에 의해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야간에도 플러그의 콘센트 삽입 여부를 램프의 점등에 의해 먼 거리에서도 쉽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가압버튼을 눌러 플러그가 탈착되는 상태를 램프 소등에 의해 명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램프가 소등되면 사용자가 버튼을 더 누를 필요가 없어 적은 힘으로도 플러그를 탈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콘센트의 경우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되었지만, 그 외에 보조콘센트인 멀티 탭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콘센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콘센트의 가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콘센트에 플러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콘센트의 외측 하우징을 제거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6은 가압버튼을 가압하기 전의 도면, 도 7은 가압버튼의 가압력을 해제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콘센트의 경우 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외에 벽면으로부터 전선이 연장되는 형태인 멀티탭형 콘센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 콘센트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콘센트의 가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콘센트에 플러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콘센트의 외측 하우징을 제거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콘센트(100)는, 옥내 배선에 여러 가지 전기 기구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콘센트(100)에 관한 것으로서 대략적인 형상은 기존 콘센트와 그 형상이 유사하다. 다만 내부의 플러그를 제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성이 상이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고안의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100)는, 전방 케이스(140) 및 후방 케이스(150)로 분리 형성되며, 그 내측에 후술할 가동부(130) 및 플러그 몸체(200)가 삽입되었을 시 단자 핀(210)과 접촉되어 통전되는 통전부(170)가 가동부(13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내재된다. 또한, 전방 케이스(140)의 전면부에는 마감재의 역할을 하는 커버(160)가 결합된다. 여기서 통전부(170)는 종래의 콘센트에 적용되는 통전부의 형상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방 케이스(140)에는 가압판(141)이 결합되며, 가압판(141)의 양측단에는 가이드 부재(142)가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142)는 전방 케이스(1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143)에 의해 가이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되, 외측으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끝단부에는 돌기(144)가 형성된다.
게다가 가압판(141)은,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단자 핀(210)이 삽입되도록 삽입공(145)이 형성되며, 플러그 몸체(200) 전면부가 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한 가압판(141)의 형상은 플러그 몸체(200)의 전면부의 형상과 대략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되어 전방 케이스(140)의 후단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전방 케이스(140)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참고로, 후술하는 가동부(130)의 스프링 지지부(135) 및 복귀 스프링(132)에 의해 가압판(141)의 삽입공(145)는 단자 핀(21)이 삽입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폐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동부(130)은 삽입된 플러그 몸체가 가압판(141)에 의해 밀려나가도록 가압판(141)을 밀어내는 뭉치 형상의 가압부(131)와, 가압부(131)와 걸림 결합되는 관 형상의 몸체 및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가압버튼(134)과 결합된 팔로 이루어진 회동부(136)로 구성되어, 가압버튼(134)에 눌리어 회동되는 팔에 의해 몸체가 가동부의 고정판(137) 홈 내에서 축회전하여 가압부(131)를 회동시키고, 회동된 가압부(131)에 의해 가압판(141)과 연접한 플러그 몸체(200)를 밀어내는 식으로 작동한다.
단자 핀(21)이 삽입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가압판(141)의 삽입공(145)이 폐쇄될 수 있도록, 가동부(130)에는 타단은 가동부(130)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 지지부(135)와 이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는 복귀 스프링(13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버튼(134)의 후면과 상기 가압부재(131)의 후단부 사이에는 복원 스프링(133)이 개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압버튼(134)을 가압하고 난 뒤 플러그 몸체(200)가 콘센트(100)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면 사용자는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원상태로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버튼(134)의 후방에는 단자핀(210)이 콘센트(100)에 삽입되면 전류가 흘러 발광되도록 하는 램프(120)가 더 구비되며, 램프(120)는 비교적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엘이디(LED) 램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120)는 야간에 사용자가 콘센트에 플러그 몸체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러그 몸체(200)를 콘센트에 삽입하게 되면, 단자 핀(210)에 의해 전기가 램프(120)로 전달되어 발광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콘센트(100)의 가압버튼(134)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콘센트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6은 가압버튼을 가압하기 전의 도면, 도 7은 가압버튼의 가압력을 해제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각종 전기 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100)에 삽입하게 된다. 이후 사용이 끝난 플러그 몸체(200)를 콘센트(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버튼(134)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가압부(131)는 회동부(136)와 걸림 축결합이 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하게 되면서 가압부(131)의 끝단부 뭉치 부분이 가압판(141)을 가압함으로써 플러그 몸체(200)를 콘센트(100)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버튼(134)에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복원 스프링(133)에 의해 가압버튼(134)은 제자리로 돌아오며, 동시에 가압부재(131)도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종래의 관절형의 지렛대가 힌지결합된 콘센트는 단자 핀을 콘센트에서 이탈시키도록 구성되어 플러그의 단자핀을 밀어낼 시 전달되는 힘이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반복 작동시 내구성이 떨어지는 반면에, 본 고안의 경우 가압부(131)가 고정판(137) 홈 내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을 차지하며 내구성있게 축회전하면서 회동하므로 충분한 힘을 전달해주어 플러그를 가압하기 때문에 콘센트로부터 플러그 이탈 시 적은 힘으로도 쉽게 플러그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야간의 경우 실내 소등을 하게 되는데 이때 콘센트(100)에 플러그 몸체(200)가 삽입된 상태이면, 램프(120)는 발광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쉽게 육안으로 콘센트(100)에 플러그 몸체(200)가 삽입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야간에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을 시 편리하고, 플러그 탈착여부를 램프로 확인이 가능하며, 램프가 꺼져 있으면 플러그와 콘센트가 도통되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부러 가압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콘센트의 경우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되었지만, 그 외에 보조콘센트인 멀티 탭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삽입단자 각각에 가동부(130)를 설치함으로서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콘센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콘센트 120 : 램프
130 : 가동부 131 : 가압부
132 : 복귀 스프링 133 : 복원 스프링
134 : 가압버튼 135 : 스프링 지지부
136 : 회동부 137 : 고정판
140 : 전방 케이스 141 : 가압판
142 : 가이드 부재 143 : 가이드
144 : 돌기 145 : 삽입공
150 : 후방 케이스 160 : 커버
170 : 통전부 200 : 플러그 몸체
210 : 단자핀

Claims (4)

  1. 플러그 단자 핀(210)이 삽입되면 플러그 몸체(200)와 접하게 되는 가압판(141)이 가이드(143)에 의해 슬라이딩되게 구비되는 전방 케이스(140); 및
    삽입된 플러그 몸체가 가압판(141)에 의해 밀려나가도록 가압판(141)을 밀어내는 뭉치 형상의 가압부(131)와,
    가압부(131)와 걸림 결합되는 관 형상의 몸체 및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가압버튼(134)과 결합된 팔로 이루어진 회동부(136)로 이루어진 가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압버튼(134)에 눌리어 회동되는 팔에 의해 몸체가 가동부의 고정판(137) 홈 내에서 축회전하여 가압부(131)를 회동시키고, 회동된 가압부(131)에 의해 가압판(141)과 연접한 플러그 몸체(200)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2. 제1 항에 있어서,
    가압판(141)의 양측단에는 가이드 부재(14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42)는 전방 케이스(1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143)에 의해 가이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되 외측으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끝단부에는 돌기(144)가 형성되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단자 핀(210)이 삽입되도록 삽입공(145)이 형성되어 플러그 몸체(200)가 연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3. 제1 항에 있어서,
    단자핀(210)이 콘센트(100)에 삽입되면 전류가 흘러 발광되도록 하는 램프(120)를 가압버튼(134) 후방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4.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100)의 가압버튼(134)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KR2020170005364U 2017-10-17 2017-10-17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KR201900009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64U KR20190000971U (ko) 2017-10-17 2017-10-17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64U KR20190000971U (ko) 2017-10-17 2017-10-17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71U true KR20190000971U (ko) 2019-04-25

Family

ID=6624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364U KR20190000971U (ko) 2017-10-17 2017-10-17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9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769A (ko) *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전기에너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에너지 관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659A (ko) 2008-10-14 2010-04-22 김진만 탈거와 식별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200462307Y1 (ko) 2012-05-17 2012-09-10 김나영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659A (ko) 2008-10-14 2010-04-22 김진만 탈거와 식별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200462307Y1 (ko) 2012-05-17 2012-09-10 김나영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769A (ko) *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전기에너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에너지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1484B2 (en) Electrical outlet and removable power module
US10056721B2 (en) Pow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device
US7547219B2 (en) Electrical safety adaptor with replaceable head unit
US8790124B2 (en) Electrical plu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054464B1 (en) Pow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device
JP4903599B2 (ja) 電気的接続器具のロック構造
CA2329946A1 (en) Improved electrical socket and plug
US9853384B2 (en) Socket apparatus
US3958849A (en) Electrical plug
TW201104944A (en) Battery box and electronic toy using the same
WO2014081544A1 (en) Illuminated interface cable
US20100124832A1 (en) Wire Connector System with Lock Mechanism
KR20190000971U (ko) 램프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KR100733492B1 (ko) 스위치가 부설된 콘센트
CN114050079A (zh) 一种具有可更换的开关件组件的开关装置
CN218770386U (zh) 连接器
CN112234397A (zh) 一种端子线
KR101796200B1 (ko) 콘센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KR20070092568A (ko) 전원플러그
KR20100041659A (ko) 탈거와 식별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101598943B1 (ko) Ffc 커넥터
CN212412248U (zh) 对插式接线装置和带有对插式接线装置的灯具
CN210074356U (zh) 智能插座
CN220382364U (zh) 一种安全插座
KR20080000774U (ko) 멀티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