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568A - 전원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원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568A
KR20070092568A KR1020060047066A KR20060047066A KR20070092568A KR 20070092568 A KR20070092568 A KR 20070092568A KR 1020060047066 A KR1020060047066 A KR 1020060047066A KR 20060047066 A KR20060047066 A KR 20060047066A KR 20070092568 A KR20070092568 A KR 20070092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ower
protruding member
plug bod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희
Original Assignee
윤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희 filed Critical 윤준희
Priority to KR1020060047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2568A/ko
Publication of KR2007009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 측에 한 쌍의 전원 단자들이 돌출 형성된 플러그 몸체; 콘센트로부터 전원 단자들을 이탈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원 단자들 사이에서 수납된 상태로부터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돌출 부재; 및 돌출 부재를 돌출 및 수납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플러그 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이 된 회동부, 회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회동부와 돌출 부재 사이에서 이들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플러그 {Electric power plu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플러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에 도시된 전원플러그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전원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전원플러그의 전원선이 움직이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6는 도 1에 있어서, 전원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 플러그 몸체 111..전원 단자
120..돌출 부재 130..구동부
131..회동부 132..변환부
133..손잡이 134..탄성 부재
135..회전 부재 136..이탈방지돌기
140..전원선 200..콘센트
본 발명은 가전제품, 컴퓨터 및 산업기계 등의 전자기기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콘센트는 벽면 콘센트, 바닥 매립형 콘센트, 연장 콘센트, 2구 콘센트, 3구 콘센트, 멀티 콘센트 등의 다양한 형태로 옥내 배선용 기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전원플러그는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에 삽입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용도의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 시, 전원플러그의 돌출된 두개의 전원 단자가 콘센트에 있는 접속 홈 속으로 삽입되면서 일부가 절개되고 탄성력을 가진 파이프형상의 접속체로 쉽게 삽입되지만 반대로 빼낼 때는 접속체의 압착 탄성력에 의해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를 빼내기가 쉽지 않아 잡기가 쉬운 전선을 잡고 플러그를 분리하는 경우가 많아 종전에는 플러그의 손잡이에 원형 손가락 걸이를 함께 성형 사출하여 사용되었던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분리할 때 순간적으로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반복 사용 시 플러그 내의 전선이 늘어나거나 파손되어 단선 또는 누전의 문제점이 많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콘센트로부터 분리시 상하로 심하게 당기지 않고서 도 콘센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는, 일 측에 한 쌍의 전원 단자들이 돌출 형성된 플러그 몸체;
콘센트로부터 상기 전원 단자들을 이탈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원 단자들 사이에서 수납된 상태로부터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돌출 부재; 및 상기 돌출 부재를 돌출 및 수납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 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이 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회동부와 돌출 부재 사이에서 이들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원플러그(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원플러그(100)는 플러그 몸체(110)와, 돌출 부재(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플러그 몸체(110)는 절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전원선(140)이 연결된다. 또한, 플러그 몸체(110)에는 일 측에 전방을 향하도록 전원 단자(111)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전원 단자(111)는 벽면 콘센트, 바닥 매립형 콘센트, 연장 콘센트 등의 다양한 콘센트(200)에 결합하여 전자제품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돌출 부재(120)는 콘센트(200)로부터 전원 단자(111)들을 이탈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러그 몸체(110)에 설치된다. 상술하면, 돌출 부재(120)는 전원 단자(111)들 사이에서 플러그 몸체(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원 단자(111)들 사이로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전원 콘센트(200)로부터 본 발명의 전원플러그(100)가 손쉽게 이탈하게끔 한다. 여기서, 돌출 부재(120)은 전후방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상태로 플러그 몸체(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130)는 돌출 부재(120)를 플러그 몸체(110)로부터 돌출하게 하고 플러그 몸체에 수납되게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게 하는 것으로, 회동부(131)와, 변환부(132), 및 탄성 부재(134)를 포함한다.
회동부(131)는 전원선(140)이 삽입되는 플러그 몸체(110)의 일 측에 설치되며 플러그 몸체(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회동부(131)의 하측에는 사용자가 회전하는 힘을 전원플러그(100)에 가하기 위한 손잡이(133)가 구비되어있다. 손잡이(133)는 회동부(1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원선(14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플러그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전원선(140)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손잡이(133)는 전원선(140)의 전원 단자(111)가 마련된 측으로만 폐쇄되고 전원선(140)의 대응되는 면은 개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부(132)는 회동부(131)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환부(132)로는 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캠은 회동부(131)의 일 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캠은 돌출 부재(120)의 일단부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한편, 변환부(132)는 캠 이외에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변환부(132)는 돌출 부재(120)와 지속적으로 마찰하게 되면 돌출 부재(120)의 단부와 변환부(132)의 접촉면이 마모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돌출 부재(120)와 캠 사이에 회전 부재(135)가 더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 부재(135)는 롤러, 베어링 등의 부재와 부재간 접촉시 마찰을 감소시켜주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 부재(134)는 전술한 회동부(131)와 돌출 부재(120) 사이에서 이들을 탄성 지지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134)는 돌출 부재(120)의 외면을 둘러싸서 설치되게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탄성 부재(134)는 사용자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부(131)를 회동시키게 되면 압축력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가 회동부(131)를 회동시킨 상태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회동부(131)가 회동하기 전의 원래 상태로 복원되게 한다. 한편, 회동부(131)의 회전으로 변환부(132)가 전원플러그(100)의 전원 단자(111)쪽으로 이동하여 돌출 부재(120)가 돌출하는 과정에서 플러그 몸체(110) 내부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돌출 부재(120)가 내장되는 소정의 공간에는 이탈방지돌기(13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원플러그(100)에 있어서, 전원플러그(100)가 콘센트(200)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전원플러그(100)가 콘센트(2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전원플러그(100)를 콘센트(200)에 결합한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는 회동부(131)에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돌출 부재(120)는 탄성 부재(13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플러그 몸체(1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돌출 부재(120)가 위치한 상태에서 전원플러그(100)가 콘센트(200)에 결합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플러그(100)가 콘센트(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이동하거나 인접한 물체와 접촉하여 전원선(140)이 움직이더라도 회동부(131)의 손잡이는 전원선(140)과 독립적으로 움직이므로, 콘센트(200)로부터 전원플러그(100)가 이탈됨으로 인해 전자제품의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제품이 손상되거나 작동이 멈추게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렇게 전원플러그(100)가 콘센트(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플러그(100)를 콘센트(2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한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원플러그(100)의 손잡이(133)를 잡고 사용자 측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그러면 손잡이(133)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동부(131)가 회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변환부(132) 또한 회동부(13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변환부(132)는 돌출 부재(120)의 회전 부재(135)와 맞닿아 전원 단자(111) 측으로 돌출 부재(120)를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돌출 부재(120)는 플러그 몸체(110) 외면으로부터 슬라이드 돌출되어 콘센트(200)와 전원플러그(100)가 접촉된 면을 밀어냄으로써 사용자는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원플러그(100)를 콘센트(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에 의하면, 사용자가 큰 힘을 소모하지 않고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 측에 한 쌍의 전원 단자들이 돌출 형성된 플러그 몸체;
    콘센트로부터 상기 전원 단자들을 이탈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원 단자들 사이에서 수납된 상태로부터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돌출 부재; 및
    상기 돌출 부재를 돌출 및 수납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 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이 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회동부와 돌출 부재 사이에서 이들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 부재의 일단부에 접촉하게 형성된 캠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와 캠 사이의 접촉으로 상기 돌출 부재의 단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 부재와 캠 사이에 회전 부재가 더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KR1020060047066A 2006-05-25 2006-05-25 전원플러그 KR20070092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066A KR20070092568A (ko) 2006-05-25 2006-05-25 전원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066A KR20070092568A (ko) 2006-05-25 2006-05-25 전원플러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522U Division KR200417230Y1 (ko) 2006-03-10 2006-03-10 전원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568A true KR20070092568A (ko) 2007-09-13

Family

ID=3868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066A KR20070092568A (ko) 2006-05-25 2006-05-25 전원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25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364A1 (en) * 2008-05-22 2009-11-26 Choon Ja Kim Electric plug that is easy to be separated from the consent
KR100986197B1 (ko) * 2007-11-01 2010-10-07 김경환 탈거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CN102820588A (zh) * 2011-06-07 2012-12-12 株式会社伊连特 具有分离手段的插头
CN104009328A (zh) * 2014-06-09 2014-08-27 常州市武进翔宇电子元器件有限公司 插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97B1 (ko) * 2007-11-01 2010-10-07 김경환 탈거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WO2009142364A1 (en) * 2008-05-22 2009-11-26 Choon Ja Kim Electric plug that is easy to be separated from the consent
CN102820588A (zh) * 2011-06-07 2012-12-12 株式会社伊连特 具有分离手段的插头
KR101246660B1 (ko) * 2011-06-07 2013-03-25 주식회사 이랜텍 분리수단을 구비하는 플러그
CN104009328A (zh) * 2014-06-09 2014-08-27 常州市武进翔宇电子元器件有限公司 插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4894B2 (ja) 電磁電気接続装置の改良構造
TWI384704B (zh) 插入式連接器、接收式連接器及連接器單元
US6825427B2 (en) Electrical interrupt switch
US9054464B1 (en) Pow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device
US6884125B2 (en) Secured connector and using process thereof
KR20070092568A (ko) 전원플러그
US7972152B1 (en) Power socket device having rotation-operated switch function
CN104810650A (zh) 插座防触电方法及其防触电插座
KR200417230Y1 (ko) 전원플러그
WO2011102516A1 (ja) コネクタ装置及びコネクタ
KR20050109247A (ko) 스위치가 부설된 콘센트
KR200419477Y1 (ko) 플러그 분리수단을 구비한 멀티탭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CN205194982U (zh) 一种带有usb接口的插座
KR200487310Y1 (ko) 전기 플러그
KR20160104406A (ko) 누르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적 연결 및 해제가 가능한 콘센트
KR200183936Y1 (ko) 전기기구용 콘센트
CN210123831U (zh) 一种使用便捷的连接器
CN220042487U (zh) 一种接触式导轨插座
KR20190076501A (ko) 인출형 멀티 콘센트
CN104103976B (zh) 电子装置及电源适配器
CN110943346B (zh) 插座结构、电源接头及该电源接头的插拔连接方法
KR200354269Y1 (ko)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101479699B1 (ko) 4p 로커스위치를 이용한 단속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