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329B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7329B1 KR102187329B1 KR1020190014262A KR20190014262A KR102187329B1 KR 102187329 B1 KR102187329 B1 KR 102187329B1 KR 1020190014262 A KR1020190014262 A KR 1020190014262A KR 20190014262 A KR20190014262 A KR 20190014262A KR 102187329 B1 KR102187329 B1 KR 1021873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e
- mounting
- angle
- handle
- hin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부에 구비된 각도조절부를 이동시켜 휴대용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는 라인부의 일 측 단부를 상기 거치부와 연결 구성하고, 타 측 단부를 각도조절부와 연결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라인부를 선택적으로 당김 하여 거치부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단순히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는 라인부만을 이용함으로서 제조단가 절감 및 제품의 무게를 경량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잡이부에 구비된 각도조절부를 이동시켜 휴대용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카란, 영어의 한국식 표현인 셀프 카메라(self camera)를 줄여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신조어이다. 자신의 모습을 자신이 직접 촬영하는 행위로 셀피(selfie)라고도 표현된다.
셀카는 특히 고화질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면서 카메라 대신에 휴대용 기기가 주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셀프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보조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셀카봉’이라는 막대 형상의 보조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셀카봉은, 휴대용 기기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가 촬영자를 향하도록 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셀카봉은 늘어난 길이가 통상 사용자의 팔보다 길어 사용자가 셀카봉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휴대용 기기가 거치된 부분을 잡고 조절해야 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휴대용 기기로 확인하며 거치된 휴대용 기기의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배경을 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가 거치되는 부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셀카봉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번호 제 10-2017-0004925호(특)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1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제 1모터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2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2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 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어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제 2모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함께 발생시키는 제 1버튼 및 제 2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버튼 및 상기 제 2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면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가 복수 회 발생하고, 상기 복수 회 발생한 카메라 셔터 신호에 의해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평면 사진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제 1모터부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를 상,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휴대용 기기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제 1모터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배터리 등이 구비되어야 됨에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하여 제품의 단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는 것은 물론, 상기 제 1모터부 및 배터리 등으로 인해 제품의 무게가 무거워져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할 시, 피로감을 쉽게 느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는 라인부의 일 측 단부를 상기 거치부와 연결 구성하고, 타 측 단부를 각도조절부와 연결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라인부를 선택적으로 당김 하여 거치부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단순히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는 라인부만을 이용함으로서 제조단가 절감 및 제품의 무게를 경량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거치부가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의 일 측과 연결 구성되되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일 측에 구성되는 손잡이부; 로 구성되는 셀카봉에 있어서, 상기 셀카봉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되 일 측 단부가 상기 거치부와 연결 구성되고, 타 측 단부가 각도조절부와 연결 구성되는 라인부; 및 상기 라인부의 타 측 단부가 연결 구성되되 연결 구성된 라인부를 선택적으로 당김 하여 상기 거치부를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시켜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 측에 구성되는 각도조절부; 가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손잡이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라인부가 일 측으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토록 구성되되 내부에 상기 라인부를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라인부가 인출되지 않도록 라인부의 일 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구성되는 라인고정부로 구성되어, 상기 라인고정부로 라인부의 일 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몸체부를 손잡이부를 따라 일 측에서 타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라인부를 당김 하여 상기 거치부를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시켜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부에 회동이 가능토록 연결 구성되는 거치부는 상기 라인부가 몸체부에 자동으로 권취되는 힘에 의해 회동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에 의하면, 사용자가 본인의 휴대용 기기를 거치부에 거치하고 휴대용 기기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손잡이부의 일 측에 구성되는 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라인부를 당김 하여 휴대용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유지보수가 용이토록 하는 것은 물론, 제조단가 절감 및 제품의 무게를 경량화 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쉽게 피로해지지 않고 장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셀카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 ㅡ A')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셀카봉의 구성 중 라인부의 제 1라인부(a)와 제 2라인부(b)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 ㅡ A')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셀카봉의 구성 중 라인부의 제 1라인부(a)와 제 2라인부(b)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부에 구비된 각도조절부를 이동시켜 휴대용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100); 상기 거치부(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거치부(100)가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힌지부(200); 상기 힌지부(200)의 일 측과 연결 구성되되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샤프트부(300); 상기 샤프트부(300)의 일 측에 구성되는 손잡이부(400); 로 구성되는 셀카봉에 있어서, 상기 셀카봉(10)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되 일 측 단부가 상기 거치부(100)와 연결 구성되고, 타 측 단부가 각도조절부(600)와 연결 구성되는 라인부(500); 및 상기 라인부(500)의 타 측 단부가 연결 구성되되 연결 구성된 라인부(500)를 선택적으로 당김 하여 상기 거치부(100)를 힌지부(200)를 축으로 회동시켜 거치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400)의 일 측에 구성되는 각도조절부(600); 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먼저, 종래의 일반적인 셀카봉은 거치부(100), 힌지부(200), 샤프트부(300) 및 손잡이부(400)로 대분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100)는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통상 거치부(100)의 일부분이 탄성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거치부(100)의 내측에 휴대용 기기를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200)는 상기 거치부(100)의 일 측과 연결 구성되어 상기 거치부(100)가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거치부(100)의 일 측과 힌지부(200)의 일 측이 축 결합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축을 중심으로 거치부(100)를 회동시키며 거치부(10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부(300)는 상기 힌지부(200)의 일 측과 연결 구성되되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샤프트부(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휴대용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100)를 원하는 위치까지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400)는 상기 샤프트부(300)의 일 측에 구성되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한손으로 파지하여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400)에는 상기 거치부(100)에 거치되는 휴대용 기기와 연결되어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11)가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셀카봉은 휴대용 기기와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방식,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셀카봉에 있어서,
먼저,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면도상으로 눕혀진 셀카봉(10)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을 상측, 셀카봉(10)의 후면이 향하는 방향을 하측, 샤프트부(300)를 기준으로 거치부(100)가 구성되는 방향을 좌측, 손잡이부(400)가 구성되는 방향을 우측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셀카봉(10)에는 라인부(500) 및 각도조절부(6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먼저, 도 1,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인부(5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되 일 측 단부가 상기 거치부(100)와 연결 구성되고, 타 측 단부가 하기될 각도조절부(600)와 연결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100)와 연결 구성되는 라인부(500)의 일 측 단부는 상기 라인부(500)의 타 측 단부를 당김 할 시, 상기 거치부(100)가 힌지부(200)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거치부(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100)에는 상기 라인부(500)의 일 측 단부가 연결 구성될 수 있도록 관통홀(110) 및 걸림부재(1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110)은 상기 거치부(100)의 일 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120)는 상기 관통홀(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관통홀(110)을 통해 삽입되는 라인부(500)의 일 측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라인부(500)의 일 측 단부가 상기 관통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라인부(500)의 타 측 단부를 당김 할 시, 상기 라인부(500)의 일 측 단부가 상기 걸림부재(120)에 의해 상기 거치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상기 거치부(100)를 힌지부(200)를 축으로 하여 회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4,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부(300)는 내부가 관통된 다단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라인부(500)는, 일 측 단부가 상기 거치부(100)와 연결 구성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샤프트부(3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 1라인부(510)와, 일 측 단부가 상기 제 1라인부(510)와 연결 구성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샤프트부(300)의 내부를 거쳐 상기 각도조절부(600)와 연결 구성되는 제 2라인부(5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라인부(5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기타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라인부(500)가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라인부(510)와 제 2라인부(520)는 각각 상이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 1라인부(510) 및 샤프트부(300)의 내부를 거쳐 각도조절부(600)와 연결 구성되는 제 2라인부(520)를 각각의 역할에 적합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라인부(510)는 상기 관통홀(11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측단면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라인부(520)는 하기될 몸체부(610)의 내부에 권취될 시, 상호 권취되는 라인부(520)들끼리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측단면의 형상이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600)는 상기 라인부(500)의 타 측 단부가 연결 구성되되 연결 구성된 라인부(500)를 선택적으로 당김 하여 상기 거치부(100)를 힌지부(200)를 축으로 회동시켜 거치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400)의 일 측에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600)는 상기 손잡이부(400)의 외부 일 측 또는 내부 일 측에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도조절부(600)가 상기 손잡이부(400)의 내부 일 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즉, 상기 손잡이부(400)의 내부 일 측에 구성되는 각도조절부(600)를 사용자가 이동시키며 상기 라인부(500)를 당김 하여 상기 라인부(500)의 일 측 단부가 연결 구성된 거치부(100)를 힌지부(200)를 축으로 회동시켜 거치부(100)의 각도를 각도조절부(600)를 이용하여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부(600)는, 상기 손잡이부(400)의 내부에 손잡이부(400)를 따라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라인부(500)가 일 측으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토록 구성되되 내부에 상기 라인부(500)를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몸체부(610)와, 상기 몸체부(610)로부터 라인부(500)가 인출되지 않도록 라인부(500)의 일 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610)의 일 측에 구성되는 라인고정부(6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610)는 손잡이부(400)의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부(400)를 따라 일 측 방향(좌측)에서 타 측 방향(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일 측에 상기 라인부(500)가 인출 및 인입이 가능토록 구성되며, 상기 라인부(500)를 지속적으로 자동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라인고정부(62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한 번 누름 할 시, 하측 끝 단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라인부(500)인 제 2라인부(520)의 상부를 지속적으로 가압하고, 한 번 더 누름 할 시, 하측 끝 단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토글스위치가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각도조절부(600)는 상기 라인고정부(620)로 라인부(500)의 일 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몸체부(610)를 손잡이부(400)를 따라 일 측에서 타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라인부(500)를 당김 하여 상기 거치부(100)를 힌지부(200)를 축으로 회동시켜 거치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610)는 라인부(500)가 몸체부(610)에 자동으로 권취되는 힘에 의해 이동하며 손잡이부(400)의 일 측 끝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부(400)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는 다수의 삽입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600)에는, 상기 몸체부(610)를 손잡이부(400)를 따라 일 측에서 타 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몸체부(610)가 라인부(500)가 몸체부(610)에 자동으로 권취되는 힘에 의해 손잡이부(400)의 일 측 방향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삽입홈(410)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걸림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61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6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200)에 회동에 가능토록 연결 구성되는 거치부(100)는 상기 라인부(500)가 몸체부(610)에 자동으로 권취되는 힘에 의해 회동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각도조절부(600)의 라인고정부(620)를 이용하여 라인부(500)의 일 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몸체부(610)를 손잡이부(400)를 따라 일 측(좌측)에서 타 측(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시에만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거치부(100)가 사용자의 움직임 등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힘 등에 의해 쉽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고정부재(630)는 상기 라인부(500)가 몸체부(610)에 자동으로 권취되는 힘에 의해 손잡이부(400)의 일 측 끝 단부에 맞닿아 일 측 끝 단부에 위치 고정된 몸체부(610)를 사용자가 일 측(좌측)에서 타 측(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몸체부(610)가 라인부(500)가 몸체부(610)에 자동으로 권취되는 힘에 의해 손잡이부(400)의 일 측 방향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610)를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630)를 상기 다수의 삽입홈(410) 중 어느 하나의 삽입홈(410)에 삽입하여 상기 몸체부(61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61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610)를 일 측 방향(좌측)에서 타 측 방향(우측)으로 이동시킬 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당김 하며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부(6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610)의 일 측에는 상기 라인고정부(620)의 하측 끝 단부가 제 2라인부(520)의 상측을 가압할 시, 상기 제 2라인부(520)가 손잡이부(400)의 내측 하면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인고정부(620)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라인고정부(620)에 의해 가압되는 제 2라인부(520)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부재(6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셀카봉(10)에는 상기 라인부(500)를 각도조절부(600)를 이용하여 당김 할 시, 상기 라인부(500)를 보다 원활하면서도 세밀하게 조절하며 당김 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인부(500)의 일 측과 맞닿으며 라인부(50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롤러(7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롤러(700)는 상기 힌지부(2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상기 거치부(100)에 연결 구성되는 제 1라인부(5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일 측이 상기 제 1라인부(51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감싸지는 제 1가이드롤러(710)와, 상기 제 1가이드롤러(71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제 1라인부(5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일 측이 상기 제 1라인부(51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감싸지는 제 2가이드롤러(7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에 의하면, 사용자가 본인의 휴대용 기기를 거치부에 거치하고 휴대용 기기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손잡이부의 일 측에 구성되는 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라인부를 당김 하여 휴대용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유지보수가 용이토록 하는 것은 물론, 제조단가 절감 및 제품의 무게를 경량화 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가 쉽게 피로해지지 않고 장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셀카봉
11 : 버튼부
100 : 거치부
110 : 관통홀
120 : 걸림부재
200 : 힌지부
300 : 샤프트부
400 : 손잡이부
410 : 삽입홈
500 : 라인부
510 : 제 1라인부 520 : 제 2라인부
600 : 각도조절부
610 : 몸체부
620 : 라인고정부
630 : 고정부재
640 : 미끄럼방지부
650 : 받침부재
700 : 가이드롤러
710 : 제 1가이드롤러
720 : 제 2가이드롤러
11 : 버튼부
100 : 거치부
110 : 관통홀
120 : 걸림부재
200 : 힌지부
300 : 샤프트부
400 : 손잡이부
410 : 삽입홈
500 : 라인부
510 : 제 1라인부 520 : 제 2라인부
600 : 각도조절부
610 : 몸체부
620 : 라인고정부
630 : 고정부재
640 : 미끄럼방지부
650 : 받침부재
700 : 가이드롤러
710 : 제 1가이드롤러
720 : 제 2가이드롤러
Claims (4)
-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100); 상기 거치부(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거치부(100)가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힌지부(200); 상기 힌지부(200)의 일 측과 연결 구성되되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샤프트부(300); 상기 샤프트부(300)의 일 측에 구성되는 손잡이부(400); 로 구성되는 셀카봉(10)에 있어서,
상기 셀카봉(10)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되 일 측 단부가 상기 거치부(100)와 연결 구성되고, 타 측 단부가 각도조절부(600)와 연결 구성되는 라인부(500); 및
상기 라인부(500)의 타 측 단부가 연결 구성되되 연결 구성된 라인부(500)를 선택적으로 당김 하여 상기 거치부(100)를 힌지부(200)를 축으로 회동시켜 거치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400)의 일 측에 구성되는 각도조절부(600); 가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각도조절부(600)는,
상기 손잡이부(400)의 내부에 손잡이부(400)를 따라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라인부(500)가 일 측으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토록 구성되되 내부에 상기 라인부(500)를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몸체부(610)와, 상기 몸체부(610)로부터 라인부(500)가 인출되지 않도록 라인부(500)의 일 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610)의 일 측에 구성되는 라인고정부(620)로 구성되어,
상기 라인고정부(620)로 라인부(500)의 일 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몸체부(610)를 손잡이부(400)를 따라 일 측에서 타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라인부(500)를 당김 하여 상기 거치부(100)를 힌지부(200)를 축으로 회동시켜 거치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부(200)에 회동이 가능토록 연결 구성되는 거치부(100)는 상기 라인부(500)가 몸체부(610)에 자동으로 권취되는 힘에 의해 회동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300)는 내부가 관통된 다단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라인부(500)는,
일 측 단부가 상기 거치부(100)와 연결 구성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샤프트부(3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 1라인부(510)와, 일 측 단부가 상기 제 1라인부(510)와 연결 구성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샤프트부(300)의 내부를 거쳐 상기 각도조절부(600)와 연결 구성되는 제 2라인부(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610)는 라인부(500)가 몸체부(610)에 자동으로 권취되는 힘에 의해 이동하며 손잡이부(400)의 일 측 끝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부(400)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는 다수의 삽입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600)에는,
상기 몸체부(610)를 손잡이부(400)를 따라 일 측에서 타 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몸체부(610)가 라인부(500)가 몸체부(610)에 자동으로 권취되는 힘에 의해 손잡이부(400)의 일 측 방향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삽입홈(410)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걸림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61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63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4262A KR102187329B1 (ko) | 2019-02-07 | 2019-02-07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4262A KR102187329B1 (ko) | 2019-02-07 | 2019-02-07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7028A KR20200097028A (ko) | 2020-08-18 |
KR102187329B1 true KR102187329B1 (ko) | 2020-12-04 |
Family
ID=7226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4262A KR102187329B1 (ko) | 2019-02-07 | 2019-02-07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73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90920A (zh) * | 2021-10-09 | 2022-01-04 | 深圳市宇文发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户外用手机连接器 |
GB2619540A (en) * | 2022-06-09 | 2023-12-13 | Njc Design And Innovation Ltd | A tripod with telescopic leg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5621B1 (ko) * | 2002-07-03 | 2003-06-02 | 유병섭 | 샤프트의 길이와 헤드의 로프트각이 동시에 조절되는아이언클럽 |
US20070053680A1 (en) | 2005-05-10 | 2007-03-08 | Fromm Wayne G |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and method for using the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76978A (en) * | 1998-08-07 | 2000-06-20 | Mcilvenna; Kevin Lee | Remote photography device |
US10849483B2 (en) * | 2014-09-15 | 2020-12-01 | Vivid Medical, Inc. | Single-use, port deployable articulating endoscope |
KR20160130553A (ko) * | 2015-05-04 | 2016-11-14 | 정한상 | 상하한 검출기능이 구비된 자동 길이조절식 셀카봉 |
-
2019
- 2019-02-07 KR KR1020190014262A patent/KR1021873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5621B1 (ko) * | 2002-07-03 | 2003-06-02 | 유병섭 | 샤프트의 길이와 헤드의 로프트각이 동시에 조절되는아이언클럽 |
US20070053680A1 (en) | 2005-05-10 | 2007-03-08 | Fromm Wayne G |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and method for using the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7028A (ko) | 2020-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7329B1 (ko)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 | |
KR101786021B1 (ko) | 풀 로드 타입 디지털카메라 | |
CN104541224B (zh) | 柔性构件面板支架 | |
JPS59228641A (ja) | カメラの引込み自在二脚付き握り | |
DE69912948T2 (de) | Einstellmechanismus für eine lendenstütze | |
KR20160099437A (ko) | 전동셀카봉 | |
US5884859A (en) | Coil winder for use in large umbrellas | |
DE69826815T2 (de) | Positionverstellbare Handgriffhalterung für Laufbildkamera | |
ITPD20120387A1 (it) | Testa di supporto per apparecchiature video-fotografiche | |
KR101512752B1 (ko) | 3차원 영상을 위한 카메라 위치 제어장치 | |
JP6637799B2 (ja) | カッティングプロッタおよびカッティングプロッタの刃出し量制御方法 | |
KR200350266Y1 (ko) | 각도조절용 카메라 지지장치 | |
KR101907895B1 (ko) | 셀프 촬영용 스틱 | |
JP3194940U (ja) | ドアストッパー | |
CN114822247B (zh) | 电子设备 | |
JP2012242403A (ja) | 自己撮影用カメラ器具 | |
KR200490786Y1 (ko) | 스마트폰 셀카 그립 | |
FR2511633A1 (fr) | Dispositif pour couper les cheveux | |
CN212474394U (zh) | 一种摄影用摄像机收纳箱 | |
KR101842990B1 (ko) | 볼링용 손목보호대 | |
CN207050855U (zh) | 便携式红外成像仪 | |
KR200486471Y1 (ko) | 볼링용 손목보호대 | |
CN216462472U (zh) | 一种可调节打标位置的便携式光纤激光打标机 | |
KR101403278B1 (ko) | 볼 헤드 | |
DE2704738A1 (de) | Photokameragehae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