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786Y1 - 스마트폰 셀카 그립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셀카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786Y1
KR200490786Y1 KR2020190000052U KR20190000052U KR200490786Y1 KR 200490786 Y1 KR200490786 Y1 KR 200490786Y1 KR 2020190000052 U KR2020190000052 U KR 2020190000052U KR 20190000052 U KR20190000052 U KR 20190000052U KR 200490786 Y1 KR200490786 Y1 KR 200490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martphone
rear lens
handle
self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수 filed Critical 박민수
Priority to KR2020190000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거울이 촬영자의 정면에 위치하게 손잡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함께 구비되고, 셀카 촬영시 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이 거의 없어 보다 안정적인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후방측 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스마트폰의 후면렌즈에 일치되게 케이스 몸체의 상부측에 후면 렌즈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 렌즈공의 전면부에 거울을 갖는 미러 슬라이더가 케이스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미러 슬라이더는 상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면 렌즈공에 일치하는 렌즈 노출공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와; 서로 대칭을 이루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의 전방측에 구비된 힌지부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축 상에는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상시 맞물려진 상태가 되게 탄력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고, 블루투스 셔터를 갖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가 착탈되는 케이스 장착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케이스 장착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 조절과 함께 360도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변환 조작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셀카 그립{Smartphone self camera grip}
본 고안은 스마트폰 셀카 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거울이 촬영자의 정면에 위치하게 손잡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함께 구비되고, 셀카 촬영시 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이 거의 없어 보다 안정적인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증가 되면서 셀카, 즉 셀프 카메라의 준말로, 자신이 (자기 스스로=Self) 자신의 사진을 찍는 것이 일반화되었고, 이에 부응해 셀카봉이 널리 시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 공개특허 제10-2016-0097175호(2016.08.17.공개.) "회전 셀카봉"이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다단으로 인,출입 되어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고 하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메인프레임(1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단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며 조절나사에 의해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 브래킷(20); 및 상기 연결 브래킷(20)의 상단에 중앙부가 면접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휴대단말기(100)가 장착되는 그립부재(30);가 포함되며, 상기 그립부재(30)는 상기 연결 브래킷(20) 상에서 90도 각도로 양방향 회전되고, 상기 연결 브래킷(20)의 정면 하측에는 액정이 설치된 휴대단말기(100)의 정면에 반대되는 휴대단말기(100)의 배면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하고자 할 때 피사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22)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동일선상에는 요홈(12)이 형성되어 그 상단에 설치된 상기 연결 브래킷(20)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을 축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회전 셀카봉은 스마트폰 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지 않은 전면 렌즈로 촬영하고, 전면 렌즈의 위치가 윗쪽에 위치해 있어 정면을 보고 촬영해도 다른 각도로 촬영되며, 셀카봉의 길이로 인해 셀카 촬영시 흔들림이 발생하여 촬영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각도 조절의 제한성으로 손으로 뻗었을 때 손목을 불편하게 구부려야만 되고, 단체 촬영이나 셀카 촬영시 별도로 삼각대를 휴대 및 구비하고 다녀야만 하므로 휴대 및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6-0097175호(2016.08.17.공개.) "회전 셀카봉"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거울이 촬영자의 정면에 위치하게 손잡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함께 구비되고, 셀카 촬영시 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이 거의 없어 보다 안정적인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를 주변 특정 물체에 고정하여 블루투스 리모콘을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의 한 형태는, 후방측 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스마트폰의 후면렌즈에 일치되게 케이스 몸체의 상부측에 후면 렌즈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 렌즈공의 전면부에 거울을 갖는 미러 슬라이더가 케이스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미러 슬라이더는 상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면 렌즈공에 일치하는 렌즈 노출공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와; 서로 대칭을 이루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의 전방측에 구비된 힌지부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축 상에는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상시 맞물려진 상태가 되게 탄력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고, 블루투스 셔터를 갖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가 착탈되는 케이스 장착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케이스 장착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 조절과 함께 360도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변환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좌.우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에 대응되게 미러 슬라이더의 내측면에 슬라이드 홈을 형성한 슬라이드 조립부에 의해 상기 미러 슬라이더가 케이스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및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장착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측에 프론트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 슬라이더의 하부측 케이스 몸체 양측면 및 하부면에 각각 슬라이드 고정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단면 구조로 프론트 몸체의 상단부에 슬라이드 고정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슬라이드 고정돌기와 슬라이드 고정홈은 더브테일의 동일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몸체는 전면부에 자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러 슬라이더의 하부측 케이스 몸체의 전면부에는 금속판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의 금속판이 상기 프론트 몸체의 자석에 탈부착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자석의 하부측 프론트 몸체의 전면부에는 케이스 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변환 조작부는, 상기 케이스 장착부의 후방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후방측으로 개방된 구면홈이 형성된 조인트 몸체와; 상기 조인트 몸체의 구면홈과 구면짝을 이루고,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형돌기 및, 다단의 지지축A,B와; 상기 조인트 몸체의 측방향으로 관통 및 나선 결합되어 구형돌기에 대한 조임력을 갖도록 하는 조임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거울이 촬영자의 정면에 위치하게 손잡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함께 구비됨으로써 렌즈와 화상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로 정면의 거울을 보고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이는 그대로 같은 각도로 원하는 표정을 담을 수 있어 셀카 촬영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울이 미촬영시에는 후면 렌즈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필터 역할을 하여 외부 접촉에 의한 후면 렌즈의 손상은 물론 각종 먼지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셀카 촬영에 의한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의 길이가 짧아 셀카 촬영시 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이 거의 없어 보다 안정적인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셀카 촬영시 손을 뻗었을 때 손목을 불편하게 구부리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를 주변 특정 물체에 고정하여 블루투스 리모콘을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삼각대 없이 단체 사진 촬영도 가능해 휴대 및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 셀카봉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의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 및 2b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3b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전면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가 그립의 케이스 장착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 및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은 스마트폰 케이스를 케이스 장착부의 상단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미러 슬라이더를 상부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케이스 장착부의 전면부 자석에 수직으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스마트폰 케이스를 케이스 장착부의 전면부 자석에 수평으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손잡이부를 길이를 늘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가 그립의 케이스 장착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집게식으로 형성된 손잡이부(110)의 선단에 거울(102a)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100)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360도 회전 각도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폰 케이스(100)에 부착된 거울(102a)을 보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에 삽입된 스마트폰의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으로 개방부를 갖는 케이스 몸체(101)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101)의 상부측에는 개방부를 통해 케이스 몸체(101)의 내부에 삽입된 스마트폰의 후면렌즈에 일치되는 후면 렌즈공(10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 렌즈공(100a)의 전면부에 거울(102a)을 갖는 미러 슬라이더(102)가 케이스 몸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미러 슬라이더(102)는 상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면 렌즈공(100a)에 일치하는 렌즈 노출공(102b)을 갖는다.
그리고, 미러 슬라이더(102)는 슬라이드 조립부(103)에 의해 케이스 몸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및 이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조립부(103)는 케이스 몸체(101)의 좌.우 외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드 돌기(102a)와, 상기 슬라이드 돌기(102a)에 대응되게 미러 슬라이더(102)의 내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03b)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는 이들 사이의 전방측에 구비된 힌지부(113)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부(113)는 힌지축(113a)과, 상기 힌지축(113a) 상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113b)으로 구성되고, 상기 토션스프링(113b)은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가 상시 맞물려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를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4는 블루투스 셔터이고, 115는 치형부이다.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케이스 장착부(120)에 의해서 손잡이부(110)의 선단부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 장착부(120)는 손잡이부(110)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프론트 몸체(121)와, 상기 프론트 몸체(121)의 상단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고정홈(123)와, 상기 슬라이드 고정홈(123)에 대응되는 단면 구조로 케이스 몸체(102) 양측면 및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 고정돌기(122)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드 고정돌기(122)와 슬라이드 고정홈(123)은 더브테일의 동일 단면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 장착부(120)는 프론트 몸체(121) 전면부에 부착된 자석(1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러 슬라이더(102)의 하부측 케이스 몸체(101)의 전면부에는 금속판(104)이 더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104)이 자석(134)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 몸체(101)를 프론트 몸체(121)의 전면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자석(134)의 하부측 프론트 몸체(121)의 전면부에 지지턱(135)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자석(134)에 부착된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하부가 지지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10)는 길이 조절과 함께 각도변환 조작부(130)에 의해 360도 회전 각도로 조절되는 것으로서, 상기 각도변환 조작부(130)는 케이스 장착부(120)의 후방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후방측으로 개방된 구면홈(132a)이 형성된 조인트 몸체(132)와, 상기 조인트 몸체(132)의 구면홈(132a)과 구면짝을 이루고, 상기 손잡이부(11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형돌기(131) 및 다단의 지지축A,B(131a)(131b)와, 상기 조인트 몸체(132)의 측방향으로 관통 및 나선 결합되어 구형돌기(131)에 대한 조임력을 갖도록 하는 조임나사(133)로 구성된다.(도 11 참조.)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후면렌즈가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후면 렌즈공(100a)에 일치되게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더브테일 형태의 슬라이드 고정돌기(122)를 프론트 몸체(121)의 슬라이드 고정홈(123)에 측방향으로 삽입 및 결합시킨다.
그 후, 미러 슬라이더(102)를 상부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미러 슬라이더(102)가 상부측으로 이동하면, 케이스 몸체(101)의 후면 렌즈공()과 미러 슬라이더(102)의 렌즈 노출공(102b)이 서로 일치하게 됨으로써 스마트폰의 후면렌즈가 상기 후면 렌즈공(100a) 및 렌즈 노출공(102b)을 통해 촬영자 측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촬영자는 조임나사(133)를 풀어 손잡이부(110)의 각도를 조절한 후 다시 조여 고정시키고, 상기 손잡이부(110)를 당기거나 밀어 지지축A,B(131a)(131b)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손잡이부(110)의 블루투스 셔터(114)를 누르게 됨으로써 셀카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단체 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집게 형태로 된 손잡이부(110)를 벌려 특정 물체에 고정함으로써 삼각대 없이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손잡이부(110)의 상부 몸체(111) 및 하부 몸체(112)는 맞물림에 의한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이같이 본 고안은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거울이 촬영자의 정면에 위치하게 손잡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함께 구비됨으로써 렌즈와 화상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로 정면의 거울을 보고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이는 그대로 같은 각도로 원하는 표정을 담을 수 있어 셀카 촬영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거울이 미촬영시에는 후면 렌즈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필터 역할을 하여 외부 접촉에 의한 후면 렌즈의 손상은 물론 각종 먼지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셀카 촬영에 의한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의 길이가 짧아 셀카 촬영시 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이 거의 없어 보다 안정적인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셀카 촬영시 손을 뻗었을 때 손목을 불편하게 구부리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를 주변 특정 물체에 고정하여 블루투스 리모콘을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삼각대 없이 단체 사진 촬영도 가능해 휴대 및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스마트폰 케이스
100a: 후면 렌즈공 101: 케이스 몸체
102a: 거울 102b: 렌즈 노출공
103: 슬라이드 조립부 103a: 슬라이드 돌기
103b: 슬라이드 홈
110: 손잡이부
111: 상부 몸체 112: 하부 몸체
113: 힌지부 113a: 힌지축
113b: 토션스프링
120: 케이스 장착부
121: 프론트 몸체 122: 슬라이드 고정돌기
123: 슬라이드 고정홈
130: 각도변환 조작부
131: 구형돌기 132: 조인트 몸체
132a: 구형홈 132b,132c: 제1,2 절개부

Claims (6)

  1. 후방측 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스마트폰의 후면렌즈에 일치되게 케이스 몸체(101)의 상부측에 후면 렌즈공(100a)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 렌즈공(100a)의 전면부에 거울(102a)을 갖는 미러 슬라이더(102)가 케이스 몸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미러 슬라이더(102)는 상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면 렌즈공(100a)에 일치하는 렌즈 노출공(102b)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100)와; 서로 대칭을 이루는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 사이의 전방측에 구비된 힌지부(113)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113)를 구성하는 힌지축(113a) 상에는 상기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가 상시 맞물려진 상태가 되게 탄력 지지하는 토션스프링(113b)이 설치되고, 블루투스 셔터(114)를 갖는 손잡이부(110)를 갖는 스마트폰 셀카 그립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의 전방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가 착탈되는 케이스 장착부(120)와;
    상기 손잡이부(110)와 케이스 장착부(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110)의 길이 조절과 함께 360도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변환 조작부(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장착부(120)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전방측에 프론트 몸체(121)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 슬라이더(102)의 하부측 케이스 몸체(102) 양측면 및 하부면에 각각 슬라이드 고정돌기(122)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고정돌기(122)에 대응되는 단면 구조로 프론트 몸체(121)의 상단부에 슬라이드 고정홈(1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고정돌기(122)와 슬라이드 고정홈(123)은 더브테일의 동일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몸체(121)는 전면부에 자석(134)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러 슬라이더(102)의 하부측 케이스 몸체(101)의 전면부에는 금속판(104)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101)의 금속판(104)이 상기 프론트 몸체(121)의 자석(134)에 탈부착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자석(134)의 하부측 프론트 몸체(121)의 전면부에는 케이스 몸체(101)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턱(135)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변환 조작부(130)는, 상기 케이스 장착부(120)의 후방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후방측으로 개방된 구면홈(132a)이 형성된 조인트 몸체(132)와;
    상기 조인트 몸체(132)의 구면홈(132a)과 구면짝을 이루고, 상기 손잡이부(11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형돌기(131) 및, 다단의 지지축A,B(131a)(131b)와;
    상기 조인트 몸체(132)의 측방향으로 관통 및 나선 결합되어 구형돌기(131)에 대한 조임력을 갖도록 하는 조임나사(1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
KR2020190000052U 2019-01-04 2019-01-04 스마트폰 셀카 그립 KR200490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52U KR200490786Y1 (ko) 2019-01-04 2019-01-04 스마트폰 셀카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52U KR200490786Y1 (ko) 2019-01-04 2019-01-04 스마트폰 셀카 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786Y1 true KR200490786Y1 (ko) 2020-01-02

Family

ID=6915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052U KR200490786Y1 (ko) 2019-01-04 2019-01-04 스마트폰 셀카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7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5328A (en) * 2020-04-10 2021-11-24 Henning Victor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4227A1 (en) * 2014-03-14 2016-02-11 Ashley Lynn Johnson Image capturing device support with remote controller
KR20160001285U (ko) * 2014-10-10 2016-04-20 주식회사 위드모바일 카메라 고정용 연결장치
KR20160097175A (ko) 2016-08-02 2016-08-17 (주)성박 회전 셀카봉
KR20170056162A (ko) * 2015-11-13 2017-05-23 이재호 모바일 단말기용 셀카봉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20170002572U (ko) * 2016-01-07 2017-07-17 박민수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4227A1 (en) * 2014-03-14 2016-02-11 Ashley Lynn Johnson Image capturing device support with remote controller
KR20160001285U (ko) * 2014-10-10 2016-04-20 주식회사 위드모바일 카메라 고정용 연결장치
KR20170056162A (ko) * 2015-11-13 2017-05-23 이재호 모바일 단말기용 셀카봉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20170002572U (ko) * 2016-01-07 2017-07-17 박민수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KR20160097175A (ko) 2016-08-02 2016-08-17 (주)성박 회전 셀카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5328A (en) * 2020-04-10 2021-11-24 Henning Victor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11278A1 (zh) 稳定器用机架组件及稳定器
US10866617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JP6692462B2 (ja) 手持式スタビライザー
KR101775871B1 (ko)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KR101718441B1 (ko)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KR20160097175A (ko) 회전 셀카봉
KR200490786Y1 (ko) 스마트폰 셀카 그립
JP2009033217A (ja) 撮像装置用保持装置
KR20190003066U (ko) 스마트폰 셀카 그립
US6476963B1 (en) Photographic binocular
CN210771365U (zh) 一种拍摄设备及增稳装置
CN210573139U (zh) 一种可自由调节的兔笼手柄
CN209430995U (zh) 一种云台拍摄架
JPH0715243Y2 (ja) フアインダ−取付装置
KR101018317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버튼을 원격으로 작동시키는 디지털 카메라 지지 장치
KR101711534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용 스틱
KR20170002572U (ko)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KR102445438B1 (ko)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CN215642188U (zh) 一种具有抗强光功能的相机
JP2002131828A (ja) 撮影補助具およびカメラ
JP4270417B2 (ja) レンズ支持装置
CN205208100U (zh) 一种防抖自拍杆
JPH0456918B2 (ko)
KR20160085711A (ko) 원격제어 촬영을 위한 카메라 액세서리
KR20170044368A (ko) 촬영이 용이한 캠코더식 휴대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