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438B1 -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438B1
KR102445438B1 KR1020210160373A KR20210160373A KR102445438B1 KR 102445438 B1 KR102445438 B1 KR 102445438B1 KR 1020210160373 A KR1020210160373 A KR 1020210160373A KR 20210160373 A KR20210160373 A KR 20210160373A KR 102445438 B1 KR102445438 B1 KR 102445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mirror
lens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욱 filed Critical 정성욱
Priority to KR102021016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가 개시된다.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는, 촬영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카메라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승강 마운트부와, 승강 마운트부에 설치되며 카메라의 렌즈가 거치되는 렌즈 거치부와, 렌즈 거치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카메라 방향의 제1 면은 투시면이 형성되고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는 반사면이 형성된 미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SHOOTING ASSISTANT DEVICE USING MIRROR}
본 발명은 반사면과 투시면이 형성된 하프 미러를 이용하여 촬영의 보조가 가능한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관에서 촬영을 하는 경우, 촬영 대상자는 촬영자의 카메라를 보며 촬영자가 의도하는 표즈와 표정으로 촬영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는 촬영의 경우 자신의 포즈와 표정이 어떤 모습인지 즉각적인 확인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어색한 표정과 자세가 연출될 수 있으며 만족스러운 결과물이 나오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벗어나기 위해 카메라 옆, 뒤쪽에 일반 거울을 설치하거나 옆에 카메라와 연결된 모니터를 설치해 촬영후에, 그 결과물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여유 있는 장소가 필요하며 거울 및 모니터, 모니터 거치대, 삼각대, 케이블등과 같은 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설치를 한 후 촬영을 하더라도 설치되는 위치가 카메라 렌즈의 앞의 공간이 아닌 좌우공간이나 뒤쪽 공간에 설치가 되는 바, 모습을 확인하려면 고개나 몸의 방향을 틀었다가 다시 카메라를 보아야만 하는 것에서 발생하는 시선이 불일치되는 단점이 생긴다.
공개특허공보 10-2020-014099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촬영 대상자 방향의 제1 면에는 반사면이 형성되고 촬영자 방향의 제2 면에는 투시면이 형성된 미러를 설치하여, 촬영 대상자는 미러부의 반사면 부분을 이용하여 자신의 표정과 자세를 확인하고, 촬영자는 투시면을 통해 촬영 대상자의 주시가 가능하여 원활한 촬영이 가능한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촬영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카메라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승강 마운트부와, 승강 마운트부에 설치되며 카메라의 렌즈가 거치되는 렌즈 거치부와, 렌즈 거치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카메라 방향의 제1 면은 투시면이 형성되고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는 반사면이 형성된 미러부를 포함한다.
승강 마운트부는,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손잡이부가 돌출된 제1 승강 프레임과, 제1 승강 프레임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손잡이부가 돌출된 제2 승강 프레임과, 제1 승강 프레임과 제2 승강 프레임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부에는 카메라 본체가 마운팅되는 마운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거치부는, 승강 마운트부에 결합되는 거치 플레이트와,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되며 렌즈가 삽입 거치되며 미러부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삽입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와 승강 마운트부의 사이에는 렌즈가 관통 삽입되는 타공홀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면과 투시면 원리를 이용하는 하프미러 형태의 미러를 설치하여, 촬영 대상자의 시선을 반사면인 거울로 차단해 촬영자를 보지 못하게 하여, 촬영 대상자는 처음 만나보는 촬영자와의 낯설음이라는 부담감에서 벗어나면서 편안하고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대상자는 미러부의 반사면 부분을 이용하여 자신의 표정과 자세를 확인하고 자신이 원하는 자연스러운 표정 및 포즈를 연출해 촬영의 진행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촬영 진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자는 미러부의 투시면을 이용하여 촬영하면서, 촬영 대상자와 상호 의사소통을 통해 촬영 대상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카메라 조작을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촬영 대상자가 원하는 최상의 표정으로 촬영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촬영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100)는, 촬영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대(10)와, 지지대(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카메라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승강 마운트부(20)와, 승강 마운트부(20)에 설치되며 카메라의 렌즈가 거치되는 렌즈 거치부(30)와, 렌즈 거치부(30)의 전면에 설치되며 카메라 방향의 제1 면은 투시면(51)이 형성되고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는 반사면(53)이 형성된 미러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번호 11은 케이스를 말한다.
지지대(10)는 촬영 공간의 상하 방향으로 긴 길이로 설치되는 것으로, 카메라를 촬영 공간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0)에는 승강 마운트부(2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승강 마운트부(20)는 카메라를 설치한 상태로 지지대(1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 마운트부(20)는, 지지대(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손잡이부(21a)가 돌출된 제1 승강 프레임(21)과, 제1 승강 프레임(21)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대(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손잡이부(23a)가 돌출된 제2 승강 프레임(23)과, 제1 승강 프레임(21)과 제2 승강 프레임(23)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부에는 카메라 본체가 마운팅되는 마운트 프레임(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강 프레임(21)과 제2 승강 프레임(23)은 마운트 프레임(25)에 서로간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대(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승강 프레임(21)은 한 쌍의 지지대(10)의 어느 하나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승강 프레임(21)은 원통형의 지지대(10)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승강 프레임(21)의 전면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제1 손잡이부(21a)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승강 프레임(23)은 한 쌍의 지지대(10)의 다른 하나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승강 프레임(23)은 원통형의 지지대(10)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승강 프레임(23)의 전면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제2 손잡이부(23a)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승강 프레임(21)과 제2 승강 프레임(23)의 사이에는 마운트 프레임(25)이 설치되어, 제1 승강 프레임(21)과 제2 승강 프레임(23)이 서로간에 연동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마운트 프레임(25)은 일단은 제1 승강 프레임(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승강 프레임(23)에 연결되며, 양단의 사이에는 카메라 본체가 마운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마운트부(20)에는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1 손잡이부(21a)와 제2 손잡이부(23a)가 돌출되는 바, 카메라의 설치 높이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승강 마운트부(20)의 전면 위치에는 렌즈 거치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렌즈 거치부(30)는 승강 마운트부(20)에 카메라 본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렌즈를 거치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렌즈 거치부(30)는, 승강 마운트부(20)에 결합되는 거치 플레이트(31)와, 거치 플레이트(31)의 일측에 돌출되며 렌즈가 삽입 거치되며, 미러부(50) 방향으로 관통홀(33a)이 형성된 삽입 돌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 플레이트(31)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 마운트부(2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렌즈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렌즈를 안정적으로 거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거치 플레이트(31)에서 미러부(50)에 대면하는 표면은 검은색상으로 형성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미러부(50)에서 반사면(53)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자의 모습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거치 플레이트(31)에는 렌즈의 거치를 위한 삽입 돌부(33)가 설치될 수 있다.
삽입 돌부(33)는 거치 플레이트(31)의 후면에 렌즈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렌즈 촬영을 위한 관통홀(33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거치 플레이트(31)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어 삽입 돌부(33)의 승강 상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부(32)가 돌출될 수 있다.
삽입 돌부(33)는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가 거치 플레이트(31)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 렌즈를 거치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가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상하 촬영 위치의 안정적인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거치 플레이트(31)와 승강 마운트부(20)의 사이에는 타공 플레이트(40)가 설치될 수 있다.
타공 플레이트(40)는 거치 플레이트(31)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와 형상으로 거치 플레이트(31)와 승강 마운트부(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직사각의 평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타공 플레이트(40)의 대량 중앙 위치에는 렌즈가 통과하여, 렌즈 거치부(30)의 거치 플레이트(31)에 형성된 삽입 돌부(33)에 거치 가능하도록 타공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공 플레이트(40)가 거치 플레이트(31)와 승강 마운트부(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바, 더욱 견고하게 렌즈의 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렌즈 거치부(30)의 전면 위치에는 미러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미러부(50)는, 렌즈 거치부(30)의 전면에 설치되며, 카메라 방향의 제1 면은 투시면(51)이 형성되고,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는 반사면(53)이 형성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러부(50)가 설치되는 것은 촬영자는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투시면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인 촬영 대상자를 확인하면서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 대상자는 미러부(50)의 반사면(53)을 주시하면서 본인의 자세 표정 등을 확인하면서 최상의 표정 및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하기 위함이다.
즉, 본 실시예는 미러부(50)의 반사면(53)과 투시면(51)의 원리를 이용하는 하프미러 형태로 설치되는 바, 촬영 대상자의 시선을 반사면(53)인 거울로 차단해 촬영자를 보지 못하게 하여, 촬영 대상자는 처음 만나보는 촬영자와의 낯설음이라는 부담감에서 벗어나면서 편안하고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 대상자는 미러부(50)의 반사면(53) 부분을 이용하여 자신의 표정과 자세를 확인하고 자신이 원하는 자연스러운 표정 및 포즈를 연출해 촬영의 진행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촬영 진행이 가능하다.
아울러, 촬영자는 미러부(50)의 투시면(51)을 이용하여 촬영하면서, 촬영 대상자와 상호 의사소통을 통해 촬영 대상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카메라 조작을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촬영 대상자가 원하는 최상의 표정으로 촬영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촬영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지지대 11...케이스
20...승강 마운트부 21...제1 승강 프레임
21a..제1 손잡이부 23...제2 승강 프레임
23a..제2 손잡이부 25...마운트 프레임
30...렌즈 거치부 31...거치 플레이트
33...삽입 돌부 33a..관통홀
40...타공 플레이트 41...타공홀
50...미러부 51...투시면
53...반사면

Claims (4)

  1. 촬영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카메라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승강 마운트부;
    상기 승강 마운트부에 설치되며, 카메라의 렌즈가 거치되는 렌즈 거치부; 및
    상기 렌즈 거치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방향의 제1 면은 투시면이 형성되고,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는 반사면이 형성된 미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마운트부는,
    상기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손잡이부가 돌출된 제1 승강 프레임;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손잡이부가 돌출된 제2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제1 승강 프레임과 상기 제2 승강 프레임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부에는 카메라 본체가 마운팅되는 마운트 프레임;
    을 포함하는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거치부는,
    상기 승강 마운트부에 결합되는 거치 플레이트; 및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렌즈가 삽입 거치되며, 상기 미러부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삽입 돌부;
    를 포하하고,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돌부가 돌출되고,
    상기 삽입 돌부는, 대향하는 양측 가장가리가 상기 가이드 돌부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마운트부의 사이에는 상기 렌즈가 관통 삽입되는 타공홀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KR1020210160373A 2021-11-19 2021-11-19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KR102445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373A KR102445438B1 (ko) 2021-11-19 2021-11-19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373A KR102445438B1 (ko) 2021-11-19 2021-11-19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438B1 true KR102445438B1 (ko) 2022-09-20

Family

ID=8344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373A KR102445438B1 (ko) 2021-11-19 2021-11-19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4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1431A (ja) * 2001-05-17 2002-11-27 Hirotaro Onitsuka 鏡付き自動撮影装置
KR20180132235A (ko)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포토클램인터내셔날 렌즈 지지 장치
KR102071948B1 (ko) * 2018-10-12 2020-01-31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KR20200140995A (ko) 2019-06-06 2020-12-17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KR20210023789A (ko) * 2019-08-22 2021-03-04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1431A (ja) * 2001-05-17 2002-11-27 Hirotaro Onitsuka 鏡付き自動撮影装置
KR20180132235A (ko)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포토클램인터내셔날 렌즈 지지 장치
KR102071948B1 (ko) * 2018-10-12 2020-01-31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KR20200140995A (ko) 2019-06-06 2020-12-17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KR20210023789A (ko) * 2019-08-22 2021-03-04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4701B (zh) 手持云台
KR20160042541A (ko)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KR102445438B1 (ko)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US10073323B2 (en) Holder for a mobile device to capture images
KR20180085569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WO2016017054A1 (ja) 撮像装置
KR200484029Y1 (ko)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KR20190003066U (ko) 스마트폰 셀카 그립
KR200490786Y1 (ko) 스마트폰 셀카 그립
CN209943890U (zh) 一种相机伸缩三角架
GB2240445A (en) Video camera including detachable view-finder
JPH0715243Y2 (ja) フアインダ−取付装置
JPH03198806A (ja) カメラ
CN105763694B (zh) 一种能消除抖动具有图像反射功能的自拍装置
CN211127856U (zh) 手机壳及手机组件
JP6852760B2 (ja) 撮像装置
CN212156473U (zh) 一种用于实现多角度拍摄的装置
CN113623519B (zh) 一种组合立体式摄影器材用支架结构
CN209876464U (zh) 一种可调节式摄影辅助头盔
CN113099020B (zh) 一种手机稳定器
KR20180069218A (ko) 어깨걸이형 전자확대 장치
ES2235673B1 (es) Espejo captador de imagenes.
KR20220040625A (ko) 망원렌즈 서포트 플레이트
JP4010553B2 (ja) スコープ型多用途電子めがね
KR100257264B1 (ko) 조이스틱형 캠코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