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789A -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 Google Patents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789A
KR20210023789A KR1020207003060A KR20207003060A KR20210023789A KR 20210023789 A KR20210023789 A KR 20210023789A KR 1020207003060 A KR1020207003060 A KR 1020207003060A KR 20207003060 A KR20207003060 A KR 20207003060A KR 20210023789 A KR20210023789 A KR 20210023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f mirror
mirror
self
user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이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재 filed Critical 이상재
Publication of KR2021002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38Releasing-devices separate from shutte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Multimedia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촬영 공간 내에 설치된 하프 미러, 하프 미러가 거울로 보이게 되는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과 하프 미러가 투명 유리로 보이게 되는 하프 미러의 제2측 공간 중에서 제2측 공간에 설치되는 촬영 장치, 및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에 설치되며, 촬영 장치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하프 미러를 통해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를 확인한 상태에서 셀프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프 미러를 통해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과 카메라 렌즈를 바라보는 시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본 발명은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하프 미러를 통해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를 확인한 상태에서 셀프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프 미러를 통해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과 카메라 렌즈를 바라보는 시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자신의 셀프 사진을 통해 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치유 프로그램 참여 및 심리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관에서 사진 촬영을 하는 사용자는 사진 촬영사에 의해 계산된 어색하고 낯선 포즈나 표정을 요구받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진 촬영시 사용자는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의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고 촬영하게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릴리즈를 이용한 셀프 촬영을 하는 사진관의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를 확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옆 또는 뒤쪽에 일반 거울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카메라와 거울의 위치가 다름으로 인해 사용자의 시선이 카메라 렌즈를 바라보지 않고 거울을 바라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촬영 순간 사용자의 시선이 카메라 렌즈를 바라보게 된다면 사용자는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를 보지 못한 상황에서 촬영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하프 미러를 통해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를 확인한 상태에서 셀프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프 미러를 통해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과 카메라 렌즈를 바라보는 시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자신의 셀프 사진을 통해 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치유 프로그램 참여 및 심리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은, 촬영 공간 내에 설치된 하프 미러; 상기 하프 미러가 거울로 보이게 되는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과 상기 하프 미러가 투명 유리로 보이게 되는 상기 하프 미러의 제2측 공간 중에서 상기 제2측 공간에 설치되는 촬영 장치; 및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프 미러의 상기 제2측에서의 상기 하프 미러의 배면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가 상기 제1측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보이게 되며, 상기 이미지는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촬영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은, (a) 관리 서버가, 촬영 공간 내에 설치된 하프 미러, 상기 하프 미러가 거울로 보이게 되는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과 상기 하프 미러가 투명 유리로 보이게 되는 상기 하프 미러의 제2측 공간 중에서 상기 제2측 공간에 설치되는 촬영 장치, 및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셀프 사진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셀프 사진을 상담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상담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셀프 사진에 기초한 상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상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하프 미러를 통해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를 확인한 상태에서 셀프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프 미러를 통해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과 카메라 렌즈를 바라보는 시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셀프 사진을 통해 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치유 프로그램 참여 및 심리 상담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100)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은 하프 미러(100)(Half Mirror), 촬영 장치(200), 제어 장치(300), 표시 장치(400), 및 조명 장치(500)를 포함한다.
하프 미러(100)는 유리 표면에 금속 산화물을 구워 붙여 거울면 효과를 갖게 한 판유리로 일측에서는 거울로 보이지만, 타측에서는 유리로 보이는 특수 거울로 영화의 취조실 장면에서 볼 수 있는 특수 거울 또는 특수 유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하프 미러(100)는 원웨이미러(One-way Mirror), 일방 투명경, 반투명경, 매직미러(Magic Mirror), 매직글래스,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 스마트미러(Smart Mirror), 스마트거울, 스마트룸미러 등의 명칭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일반 유리에 하프 미러(100)의 효과를 나타내는 필름을 부착하는 방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도 1에서와 같이 하프 미러(100)는 사용자와 촬영 장치(200)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는 하프 미러(100)를 통해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본 상태에서 셀프 사진 촬영을 진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촬영 공간 내에 설치된 하프 미러(100)로 인해 촬영 공간은 하프 미러(100)를 기준으로 하프 미러(100)의 전면(前面) 방향의 공간인 제1측 공간(Ⅰ)과 하프 미러(100)의 배면(背面) 방향의 공간인 제2측 공간(Ⅱ)으로 구분되게 된다.
한편, 제1측 공간(Ⅰ)에서는 하프 미러(100)가 거울로 보이게 되며, 제2측 공간(Ⅱ)에서는 하프 미러(100)가 투명 유리로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2측 공간(Ⅱ)에는 하프 미러(100)와 촬영 장치(200)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암막 커튼 또는 암막 룸을 설치함으로써 제2측 공간(Ⅱ)을 어둡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제2측 공간(Ⅱ)에 하프 미러(100)와 촬영 장치(200)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암막 커튼 또는 암막 룸을 설치함에 따라, 제1측 공간(Ⅰ)에 있는 사용자는 하프 미러(100)를 완벽한 거울과 동일하게 인식하게 되며, 제1측 공간(Ⅰ)에 있는 사용자는 촬영 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는 제2측 공간(Ⅱ)의 내부를 전혀 볼 수 없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1측 공간(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별도의 조명 장치(500)를 사용자를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하프 미러(100)로 인해 촬영 조도가 낮아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측 공간(Ⅰ)은 조명 장치(500)를 통해 밝은 영역으로 만들어 거울 반사면이 잘 보이도록 하고, 제2측 공간(Ⅱ)은 암막 커튼 또는 암막 룸을 통해 어두운 영역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는 하프 미러(100)가 거울로 보이게 되는 하프 미러(100)의 제1측 공간(Ⅰ)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프 미러(100)가 투명 유리로 보이게 되는 하프 미러(100)의 제2측 공간(Ⅱ)에 설치되어 있는 촬영 장치(200)를 이용하여 자신의 자화상 사진인 셀프 사진 촬영을 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촬영 장치(20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셀프 사진 촬영을 진행하게 되며, 하프 미러(100)의 거울면에 비친 자신의 현재 표정이나 포즈를 인지한 상태에서 스스로 원하는 시점에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하프미러(100)의 거울면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며 제2측 공간(Ⅱ)에 설치된 촬영 장치(200)를 통해 동영상을 촬영하고 동영상이 촬영되고 있는 사이 원하는 시점에 촬영 장치(20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를 통해 셀프 사진을 추가적으로 촬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 장치(300)에는 촬영 시점을 결정한 사용자가 손으로 누름으로써 촬영 장치(20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촬영 개시 버튼(3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제어 장치(3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방식을 통해 촬영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제어 장치(300)를 이용하여 유선 릴리즈 또는 무선 릴리즈 방식으로 촬영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촬영 장치(200)와 연결되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 또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제어 장치(300)로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촬영 장치(200)에 음성 인식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김치', '치즈', '스마일' 등의 사용자의 음성 제어 명령을 통해 촬영 장치(200)가 작동하거나, 촬영 장치(200)의 표정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웃는 얼굴을 촬영 장치(200)가 인식함으로써 촬영 장치(200)가 작동하는 방식이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촬영 장치(200)에 일정 간격으로 카메라 셔터가 작동하는 장치를 부착하거나 촬영 장치(200)에서의 인터벌 촬영 설정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하프 미러(100)의 제2측 공간(Ⅱ)에서의 하프 미러(100)의 배면에는 태블릿 PC, 모니터, TV, 빔프로젝터 등의 표시 장치(400)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프 미러(100)의 배면에 설치된 표시 장치(400)로부터 출력되는 빛은 하프 미러(100)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게 되며, 그 결과 사용자는 표시 장치(400)로부터 출력되는 텍스트 정보, 시간 정보, 각종 도형 정보, 사진, 영상 등의 다양한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제공받으면서 셀프 촬영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 장치(300)에 구비된 촬영 개시 버튼(350)을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촬영된 셀프 사진이 촬영 장치(200)로부터 표시 장치(400)로 송신되고, 그 결과 셀프 사진이 표시 장치(400)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촬영 모습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셀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하프 미러(100)를 통해 촬영된 사진의 컬러 이미지는 하프 미러(10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된 일반 사진의 컬러 이미지와는 일부 상이한 색상값을 가지게 되므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하프 미러(100)를 통해 촬영된 사진의 이미지의 색상을 보정하는 색상 보정 장치를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300)에 구비된 촬영 개시 버튼(350)을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촬영된 셀프 사진이 촬영 장치(200)로부터 색상 보정 장치로 자동 송신되고, 이후 색상 보정 장치에 의해 색상 보정된 사진 이미지가 표시 장치(400)로 송신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색상 보정 장치는 사진 이미지의 색상 보정 및 편집용 상용 소프트웨어인 '캡쳐원(Capture One)'이 설치된 관리자의 PC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하프 미러(100)의 배면(背面) 공간인 제2측 공간(Ⅱ)에 설치되어 있는 촬영 장치(200)의 배면(背面) 공간에 거울(또는 하프 미러(100))를 설치함으로써 셀프 사진 촬영시 무한한 공간감을 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1측 공간(Ⅰ)에 하프 미러(100)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촬영의 배경이 되는 제1측 공간(Ⅰ)에서의 벽, 천, 배경지 등에 촬영 장치(200)의 촬영 렌즈 크기의 구멍을 뚫어 사용자의 후방에 촬영 장치(200)를 추가 설치한 상태에서, 제어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의 전방에 설치된 촬영 장치(200)와 사용자의 후방에 촬영 장치(200)에 의해 사진 또는 동영상이 동시에 촬영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앞모습과 뒷모습을 같은 순간에 촬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 장치(300)에 구비된 촬영 개시 버튼(350)을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에 제어 장치(300)로부터 조명 장치(500)가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조명 장치(500)가 일시적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촬영 개시 버튼(350)을 통해 촬영 장치(200)가 제어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카메라 셔터가 작동함과 동시에, 촬영 장치(200)에 장착된 조명 제어 장치 무선 동조기를 통해 제어 신호가 조명 장치(500)로 송신되며, 무선 동조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조명 장치(500)는 사전에 설정된 값에 따라 순간 강한 빛을 발광함으로써, 사진 촬영에 필요한 적정 노출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진 촬영사에 의해 계산되고 요구되는 어색하고 낯선 포즈나 표정없이 사용자는 하프 미러(100)를 통해 자신의 표정과 포즈를 관찰하며, 제어 장치(300)를 이용하여 셀프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프 미러(100)를 통해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과 카메라 렌즈를 바라보는 시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하프 미러(100)가 설치된 바닥면 또는 하프 미러(100)가 설치된 천장면에 이동식 레일을 설치하고, 하프 미러(100)가 이동식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관리자가 하프 미러(100)를 이동식 레일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제1측 공간(Ⅰ)과 제2측 공간(Ⅱ)이 선택적으로 상호 개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측 공간(Ⅰ)과 제2측 공간(Ⅱ)을 상호 개방한 상태에서 제1측 공간(Ⅰ)에 있는 관리자는 제2측 공간(Ⅱ)으로 이동하여 촬영 장치(200), 암막 커튼 또는 암막 룸의 설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하프 미러(100)를 이동식 레일 상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설치하고, 사용자는 제어 장치(300)에 구비된 하프 미러(100)의 설치 위치 조절 버튼을 통해 구동 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하프 미러(100)를 이동식 레일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하프 미러(100)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하프 미러(100)를 이동식 레일로부터 제거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촬영 장치(200)가 설치된 바닥면에 일자형, 격자형, 스파이럴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연속 배치된 이동식 레일을 설치하고, 촬영 장치(200)를 이동식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이동식 레일 상에서 촬영 장치(200)를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장치(300)에 구비된 촬영 장치(200)의 설치 위치 조절 버튼을 통해 구동 모터를 제어함에 따라, 촬영 장치(200)가 이동식 레일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촬영 장치(200)의 설치 위치 및 촬영 장치(200)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촬영 장치(200)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지지대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제어 장치(300)에 구비된 촬영 장치(200)의 높이 조절 버튼을 통해 전동식 지지대를 제어함에 따라, 촬영 장치(200)의 설치 높이를, 사용자의 신장 및 서거나 앉는 자세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자의 시선의 높이와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를 위해서 제1측 공간(Ⅰ)에 있는 사용자가 하프 미러(100)를 통해 제2측 공간(Ⅱ)에 있는 촬영 장치(200)의 설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촬영 장치(200)의 특정 부위(예를 들면, 촬영 렌즈의 주변 테두리)에 엘이디 등의 조명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어 장치(300)에 구비된 조명 장치의 온/오프 제어 버튼을 통해 조명 장치를 점등시킴으로써, 하프 미러(100)를 투과하는 조명 장치의 광을 통해 촬영 장치(200)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제어 장치(300)에 구비된 촬영 장치(200)의 높이 조절 버튼을 통해 촬영 장치(200)의 설치 높이를 자신의 시선의 높이와 동일하게 조절한 후, 조명 장치의 온/오프 제어 버튼을 통해 조명 장치를 소등함으로써 셀프 촬영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측 공간(Ⅰ)에 사용자의 신장을 자동 측정하는 적외선 조사 방식 등의 신장 측정기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신장 측정기에는 측정된 개별 신장 측정값에 대응되는 전동식 지지대의 제어 신호 정보가 맵핑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신장 측정기는 측정된 사용자의 신장 측정값에 대응되는 전동식 지지대의 설치 높이 제어 신호를 기 저장되어 있는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동식 지지대로 송신하게 된다.
이에 전동식 지지대에 구비된 구동 모터는 신장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됨에 따라 전동식 지지대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촬영 장치(200)의 설치 높이를 사용자의 신장 및 자세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자의 시선의 높이와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하프 미러(100)를 제1측 공간(Ⅰ)과 제2측 공간(Ⅱ)을 분리하는 회전문의 구조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관리자는 필요시 하프 미러(100)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문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측 공간(Ⅰ)과 제2측 공간(Ⅱ)이 선택적으로 상호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측 공간(Ⅰ)과 제2측 공간(Ⅱ)을 상호 개방한 상태에서 제1측 공간(Ⅰ)에 있는 관리자는 제2측 공간(Ⅱ)으로 이동하여 촬영 장치(200), 암막 커튼 또는 암막 룸의 설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촬영 공간을 운영하는 운영자는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프 미러(100)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통해 촬영된 사진에 대한 리터치 작업 등의 소정의 처리 작업을 완료한 후, 사용자의 셀프 사진을 PC 등의 운영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PC, 스마트 폰 등의 통신 단말기인 사용자 단말기(700)로 송신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700)를 통해 수신한 셀프 사진을 자신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SNS 서비스 또는 촬영 공간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관리하는 커뮤니티 사이트 등에 셀프 인터뷰 형식의 텍스트와 함께 게시함으로써 심리치유 프로그램 참여 의사를 촬영 공간 운영자에게 알리고 심리 상담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하프 미러(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100)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700), 관리 서버(800), 및 상담자 단말기(9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7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PC, 스마트 폰 등의 통신 단말기이며, 관리 서버(800)는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SNS 서비스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설치 및 운영하는 서버이다.
관리 서버(800)는 사용자의 셀프 사진을 사용자 단말기(700)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셀프 사진을 사용자의 계정에 등록 및 게시하며, 사용자의 셀프 사진을 상담자 단말기(900)로 송신한다.
상담자 단말기(900)는 셀프 사진을 이용한 온라인 심리 상담을 진행하는 상담자가 소지하고 있는 PC, 스마트 폰 등의 통신 단말기로서, 상담자는 사용자의 셀프 사진과 셀프 인터뷰 형식의 텍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를 위한 상담 메시지를 상담자 단말기(900)에 입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800)의 구조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800)는 수신부(810), 저장부(830), 판단부(850), 및 송신부(870)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800)의 수신부(810)는 사용자 단말기(700)로부터 사용자의 셀프 사진을 포함하는 상담 요청을 수신하고, 상담자 단말기(900)로부터 상담 메시지를 수신하며, 사용자 단말기(700)로부터 상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한편, 관리 서버(800)의 저장부(830)에는 사용자의 셀프 사진을 포함하는 상담 요청, 해당 셀프 사진에 대한 상담자의 상담 메시지, 상담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가 사용자의 SNS 계정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에 저장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저장부(830)에는 심리 상태의 유형별(슬픔, 기쁨, 외로움, 분노) 전문 상담자의 정보로서, 상담자의 아이디 정보, 상담자 단말기(900)의 고유 번호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관리 서버(800)의 판단부(850)는 사용자의 상담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셀프 사진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와 셀프 인터뷰 형식의 텍스트에 대한 키워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1차적으로 분석하며, 분석된 심리 상태 유형(슬픔, 기쁨, 외로움, 분노 등)에 따라 적합한 심리치유 프로그램 및 심리 상담자를 선정한다.
한편, 관리 서버(800)의 송신부(870)는 선정된 심리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기(900)로 사용자의 셀프 사진을 송신하고, 상담자의 상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700)로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100)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의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하여 촬영한 셀프 사진을 촬영 공간의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700)를 통해 관리 서버(8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담을 받고자 하는 셀프 사진을 포함한 상담 요청을 관리 서버(800)로 송신한다(S600).
이에 관리 서버(800)의 수신부(810)는 사용자 단말기(700)로부터 상담 요청을 수신하며, 관리 서버(800)는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상담 요청을 등록하고, 상담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셀프 사진을 사용자의 SNS 계정 또는 촬영 공간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관리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에 등록 및 게시한다.
한편, 관리 서버(800)의 판단부(850)는 셀프 사진에 대한 1차 이미지 분석과 셀프 인터뷰 형식의 텍스트 키워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800)의 저장부(830)에는 슬픔, 기쁨, 외로움, 분노 등의 사람의 다양한 심리 상태에 따른 얼굴 표정 이미지 및 다양한 심리 상태를 대표하는 관련 키워드가 분류 저장되어 있으며, 관리 서버(800)의 판단부(850)는 사용자의 셀프 사진과 저장부(83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심리 상태의 얼굴 표정 이미지의 패턴 비교 및 심리 관련 키워드의 일치율을 기초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한다.
사용자의 심리 상태 분석이 완료된 경우에 관리 서버(800)의 판단부(850)는 심리 상태 분석 결과(슬픔, 기쁨, 외로움, 분노 등)와 동일한 카테고리로서 저장부(830)에 저장되어 있는 심리 상태의 유형별(슬픔, 기쁨, 외로움, 분노)로 대응되는 심리치유 프로그램과 전문 상담자를 선정한다(S610).
그에 따라, 관리 서버(800)의 송신부(870)는 전술한 S610 단계에서 선정된 심리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기(900)로 전술한 S600 단계에서의 상담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셀프 사진과 셀프 인터뷰 텍스트 정보를 송신한다(S620).
이에 상담자 단말기(900)를 통해 사용자의 셀프 사진 및 셀프 인터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상담자는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상담 메시지를 상담자 단말기(900)에 입력한다.
상담자 단말기(900)에 입력된 상담 메시지는 상담자 단말기(900)로부터 관리 서버(800)로 송신되며(S630), 관리 서버(800)는 상담자 단말기(900)로부터 수신된 상담 메시지를 사용자의 SNS 계정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에 등록 및 게시되어 있는 셀프 사진에 대한 댓글의 형태로서 연관 게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SNS 서비스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에 로그인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700)가 관리 서버(800)에 접속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700)는 상담 메시지를 댓글 형태로 관리 서버(8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S64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담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그에 대한 응답을 셀프 사진에 대한 추가 댓글의 형태로서 관리 서버(800)에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온라인 상의 심리 상담 진행 과정에 따라 심리 상태의 변화를 갖게 된 사용자는 다시 도 1에서의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하여 추가의 셀프 사진을 촬영할 수 있을 것이며, 추가 촬영된 셀프 사진을 사용자 단말기(700)를 통해 관리 서버(800)에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S650).
이에 전술한 S600 단계에서의 상담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셀프 사진을 사용자의 계정에 1차 셀프 사진으로 등록한 관리 서버(800)는 전술한 S650 단계에서 수신한 셀프 사진을 사용자의 2차 셀프 사진으로 연계하여 등록한다.
또한, 관리 서버(800)는 전술한 S650 단계에서 수신한 셀프 사진을 사용자의 2차 셀프 사진으로 상담자 단말기(900)로 송신한다(S660).
이에 상담자 단말기(900)를 통해 사용자의 2차 셀프 사진을 수신한 상담자는 2차 셀프 사진으로부터 사용자의 변화된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2차 상담 메시지를 상담자 단말기(900)에 입력한다.
상담자 단말기(900)에 입력된 2차 상담 메시지는 상담자 단말기(900)로부터 관리 서버(800)로 송신되며(S630), 관리 서버(800)는 상담자 단말기(900)로부터 수신된 2차 상담 메시지를 사용자의 SNS 계정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에 등록 및 게시되어 있는 2차 셀프 사진에 대한 댓글의 형태로서 연관 게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SNS 서비스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에 로그인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700)가 관리 서버(800)에 접속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700)는 2차 상담 메시지를 댓글 형태로 관리 서버(8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S64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2차 상담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2차 셀프 사진에 대한 추가 댓글의 형태로서 사용자 단말기(700)를 통해 관리 서버(800)에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S69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사진을 이용한 심리 상담 서비스를 통해서, 사용자는 하프 미러(100)를 통해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봄으로써, 자아 존중감을 높일 수 있게 되며, 셀프 사진 촬영 과정에서의 감정 표출을 통한 정화 및 자기 인식을 통해 심리적인 치유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관리 서버(800)를 이용하여 전술한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셀프 인터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의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하여 촬영한 셀프 사진을 촬영 공간의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700)를 통해 관리 서버(8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셀프 인터뷰를 진행하고자 하는 셀프 사진을 관리 서버(8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관리 서버(800)는 해당 셀프 사진을 사용자의 SNS 계정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에 등록 및 게시한다.
이후 SNS 서비스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에 로그인함으로써 자신이 게시한 셀프 사진을 확인한 사용자는 해당 게시물에 대한 댓글의 형태로서 자신에게 대한 질문 메시지를 등록하고, 자신이 등록한 질문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등록하는 방식으로 셀프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리 서버(800)는 사용자 단말기(700)로부터 수신된 질문 메시지와 답변 메시지를 사용자의 계정에 등록 및 게시되어 있는 셀프 사진에 대한 댓글의 형태로서 연관 게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하프 미러(100)를 통해 바라본 자신의 모습과 사진을 보고 자신의 SNS 계정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질문하고, 스스로 답을 하는 셀프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심리 치유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관리 서버(800)에 자신의 셀프 사진을 등록함에 있어서, 해시태그(#)와 함께 촬영 공간의 장소명(예를 들어, 사진온실 등)을 입력함으로써 도 1에서의 촬영 공간에 대한 온라인 홍보를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관리 서버(800)는 저장부(830)에 저장되어 있는 홍보 대상체(예를 들면, 사진온실 등)를 운영하는 운영자 단말기의 고유 번호 또는 SNS 다이렉트 메시지를 통해 해당 홍보 대상체에 대한 홍보 게시물이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운영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운영자 단말기가 관리 서버(800)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700)의 고유 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700)로 소정의 전자 쿠폰(예를 들면, 오프라인 심리치유 프로그램 초대권)을 운영자 단말기를 X통해 송신함으로써, 사용자의 홍보에 대한 보상을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진 촬영 관련 산업 분야에서의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인정된다.

Claims (4)

  1. 촬영 공간 내에 설치된 하프 미러;
    상기 하프 미러가 거울로 보이게 되는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과 상기 하프 미러가 투명 유리로 보이게 되는 상기 하프 미러의 제2측 공간 중에서 상기 제2측 공간에 설치되는 촬영 장치; 및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의 상기 제2측에서의 상기 하프 미러의 배면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가 상기 제1측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보이게 되며, 상기 이미지는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촬영 이미지인 것인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4. (a) 관리 서버가, 촬영 공간 내에 설치된 하프 미러, 상기 하프 미러가 거울로 보이게 되는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과 상기 하프 미러가 투명 유리로 보이게 되는 상기 하프 미러의 제2측 공간 중에서 상기 제2측 공간에 설치되는 촬영 장치, 및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프 미러의 제1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셀프 사진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셀프 사진을 상담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상담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셀프 사진에 기초한 상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상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KR1020207003060A 2019-08-22 2019-08-22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KR202100237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0685 WO2021033811A1 (ko) 2019-08-22 2019-08-22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789A true KR20210023789A (ko) 2021-03-04

Family

ID=7466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060A KR20210023789A (ko) 2019-08-22 2019-08-22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23789A (ko)
WO (1) WO20210338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438B1 (ko) * 2021-11-19 2022-09-20 정성욱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940A (ko) * 2005-05-12 2006-11-16 한국과학기술원 하프미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그의 구동방법
KR20160120606A (ko) * 2015-04-08 2016-10-18 김성운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70005975A (ko) *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티플러스 디지털 거울
KR101943585B1 (ko) * 2016-12-23 2019-01-30 이광순 가상현실 환경구성을 이용한 심리 진단 시스템
KR102002154B1 (ko) * 2017-03-23 2019-07-19 박귀현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KR102071948B1 (ko) * 2018-10-12 2020-01-31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438B1 (ko) * 2021-11-19 2022-09-20 정성욱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3811A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948B1 (ko)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EP2963921A1 (en) Multi-terminal conference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208459748U (zh) 一种摄影棚
US10979666B2 (en) Asymmetric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US9706107B2 (en) Camera view control using unique nametags and gestures
KR101171491B1 (ko) 빔 프로젝터의 자동 화면 조정 장치
KR20210023789A (ko)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AU2005276866B2 (en) Dissecting sample sharing system
CN106331459A (zh) 拍摄系统及移动终端
US976285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700351B2 (en) Virtual eye contact in video interaction
CN210225556U (zh) 一种拍照装置、多功能业务自助办理终端以及办理系统
JP2020005088A (ja) 放送用調整装置及び放送用調整システム
Green et al. The interview box: Notes on a prototype system for video-recording remote interviews
KR101431651B1 (ko) 시각 장애인용 모바일 사진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17102154A (ja) 講義確認システム
KR101580268B1 (ko)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US20100283826A1 (en) Audiovisual terminal
US20230099005A1 (en)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WO2024116289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18137513A (ja) 写真撮影装置、写真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156136A (zh) 投影仪设置方法、设备和存储介质
KR20240076180A (ko) 포토 키오스크
JP653177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44071A (ja) 位置制御装置、プログラ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