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066U - 스마트폰 셀카 그립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셀카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066U
KR20190003066U KR2020180002446U KR20180002446U KR20190003066U KR 20190003066 U KR20190003066 U KR 20190003066U KR 2020180002446 U KR2020180002446 U KR 2020180002446U KR 20180002446 U KR20180002446 U KR 20180002446U KR 20190003066 U KR20190003066 U KR 201900030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martphone
selfie
rear lens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069Y1 (ko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수 filed Critical 박민수
Priority to KR2020180002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69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거울이 촬영자의 정면에 위치하게 손잡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함께 구비되고, 셀카 촬영시 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이 거의 없어 보다 안정적인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해 주고, 셔터를 갖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측에 프론트 몸체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고정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단면 구조로 프론트 몸체의 상단부에 슬라이드 고정홈을 형성한 케이스 장착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케이스 장착부의 프론트 몸체 사이를 연결함과 동시에 프론트 몸체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각도변환 조작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셀카 그립{Smartphone self camera grip}
본 고안은 스마트폰 셀카 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거울이 촬영자의 정면에 위치하게 손잡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함께 구비되고, 셀카 촬영시 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이 거의 없어 보다 안정적인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증가 되면서 셀카, 즉 셀프 카메라의 준말로, 자신이 (자기 스스로=Self) 자신의 사진을 찍는 것이 일반화되었고, 이에 부응해 셀카봉이 널리 시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 공개특허 제10-2016-0097175호(2016.08.17.공개.) "회전 셀카봉"이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다단으로 인,출입 되어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고 하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메인프레임(1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단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며 조절나사에 의해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 브래킷(20); 및 상기 연결 브래킷(20)의 상단에 중앙부가 면접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휴대단말기(100)가 장착되는 그립부재(30);가 포함되며, 상기 그립부재(30)는 상기 연결 브래킷(20) 상에서 90도 각도로 양방향 회전되고, 상기 연결 브래킷(20)의 정면 하측에는 액정이 설치된 휴대단말기(100)의 정면에 반대되는 휴대단말기(100)의 배면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하고자 할 때 피사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22)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동일선상에는 요홈(12)이 형성되어 그 상단에 설치된 상기 연결 브래킷(20)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을 축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회전 셀카봉은 스마트폰 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지 않은 전면 렌즈로 촬영하고, 전면 렌즈의 위치가 윗쪽에 위치해 있어 정면을 보고 촬영해도 다른 각도로 촬영되며, 셀카봉의 길이로 인해 셀카 촬영시 흔들림이 발생하여 촬영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각도 조절의 제한성으로 손으로 뻗었을 때 손목을 불편하게 구부려야만 되고, 단체 촬영이나 셀카 촬영시 별도로 삼각대를 휴대 및 구비하고 다녀야만 하므로 휴대 및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6-0097175호(2016.08.17.공개.) "회전 셀카봉"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거울이 촬영자의 정면에 위치하게 손잡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함께 구비되고, 셀카 촬영시 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이 거의 없어 보다 안정적인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를 주변 특정 물체에 고정하여 블루투스 리모콘을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의 한 형태는,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해 주고, 셔터를 갖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측에 프론트 몸체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고정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단면 구조로 프론트 몸체의 상단부에 슬라이드 고정홈을 형성한 케이스 장착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케이스 장착부의 프론트 몸체 사이를 연결함과 동시에 프론트 몸체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각도변환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부를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분리 형성하고,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사이는 전방측 힌지부로 연결하되, 힌지축 상에 토션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토션스프링이 힌지축의 전방측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상시 벌어진 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힌지축의 후방측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는 상시 맞물려진 상태가 되게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변환 조작부는 손잡이부의 선단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구형돌기와; 상기 구형돌기와 구면짝을 이루는 구형홈이 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형홈의 상부측에 수직의 제1 절개부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1 절개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형홈의 전방측에 제2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장착부의 프론트 몸체 후방측에 결합되는 조인트 몸체와; 상기 제1 절개부 및 제2 절개부에 의해 좌.우 탄성을 갖는 조인트 몸체를 측방향으로 관통 및 나선 결합되어 구형돌기에 대한 구형홈의 조임력을 조절하는 조임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장착부의 슬라이드 고정돌기와, 상기 슬라이드 고정돌기에 대응되게 프론트 몸체에 형성된 슬라이드 고정홈은 동일한 더브테일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는 전방측으로 개방되고 일측에 후면 렌즈공을 갖는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뒷면에 거울이 부착되며, 상기 거울은 셀카 촬영시 슬라이드 이동되어 케이스 몸체의 후면 렌즈공(100a)에 일치되는 렌즈 노출공을 포함하는 미러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좌.우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에 대응되게 미러 슬라이더의 내측면에 슬라이드 홈을 형성한 슬라이드 조립부(10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거울이 촬영자의 정면에 위치하게 손잡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함께 구비됨으로써 렌즈와 화상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로 정면의 거울을 보고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이는 그대로 같은 각도로 원하는 표정을 담을 수 있어 셀카 촬영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울이 미촬영시에는 후면 렌즈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필터 역할을 하여 외부 접촉에 의한 후면 렌즈의 손상은 물론 각종 먼지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셀카 촬영에 의한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의 길이가 짧아 셀카 촬영시 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이 거의 없어 보다 안정적인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셀카 촬영시 손을 뻗었을 때 손목을 불편하게 구부리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를 주변 특정 물체에 고정하여 블루투스 리모콘을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삼각대 없이 단체 사진 촬영도 가능해 휴대 및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 셀카봉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의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 및 2b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면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3b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전면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각도변환 조작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손잡이부 조작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8a는 조작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집게식으로 조작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100a)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100a)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102a)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100)와,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하부를 지지해 주고 셔터(114)를 갖는 손잡이부(110)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전방측으로 개방되고 일측에 후면 렌즈공(100a)을 갖는 케이스 몸체(101)로 구성되고, 케이스 몸체(101)에 미러 슬라이더(102)가 구비되며, 미러 슬라이더(102)는 뒷면에 거울(102a)이 부착되고, 상기 거울(102a)은 셀카 촬영시 슬라이드 이동되어 케이스 몸체(101)의 후면 렌즈공(100a)에 일치되는 렌즈 노출공(102b)을 포함한다.
또한, 미러 슬라이더(102)는 슬라이드 조립부(103)에 의해 케이스 몸체(101) 상에서 전.후 슬라이드 구비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드 조립부(103)는 케이스 몸체(101)의 좌.우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돌기(102a)가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102a)에 대응되게 미러 슬라이더(102)의 내측면에 슬라이드 홈(103b)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손잡이부()는 전방측에 프론트 몸체(121)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프론트 몸체(121)에 스마트폰 케이스(100)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스 장착부(120) 및, 상기 손잡이부(110)와 케이스 장착부(120)의 프론트 몸체(121) 사이를 연결함과 동시에 프론트 몸체(121)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각도변환 조작부(130)가 구비된다.
손잡이부(110)는 집게식으로 특정 물체에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로 분리 형성하고,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의 사이는 전방측 힌지부(113)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힌지부(113)의 힌지축(113a) 상에는 비틀림 스프링, 즉 토션스프링(113b)이 설치되어 토션스프링(113b)의 탄성력에 의해서 힌지부(113)의 전방측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는 상시 벌어진 상태가 되게 하고, 힌지부(113)의 후방측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는 상시 맞물려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진 힌지부(113)의 전방측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를 누르면, 맞물려져 있던 힌지부(113)의 후바측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가 힌지축(113a)을 중심으로 강제로 벌어지게 되고, 강제로 벌어진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를 이용해 집게식으로 특정 물체의 외측에 끼운 후, 누름을 해제하면 강제로 벌어진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가 다시 토션스프링(113b)의 복원력에 의해 특정 물체를 물어 손잡이부(110)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4는 방아쇠 형태의 셔터이다.
케이스 장착부(120)는 손잡이부(110)의 전방측에 조인트 몸체(132)를 구비하고, 케이스(100)의 측면부를 따라 슬라이드 고정돌기(122)를 형성하며, 조인트 몸체(132)의 상단부에는 케이스(100)의 슬라이드 고정돌기(122)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고정홈(123)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케이스(100)의 측면부를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 고정돌기(122)를 조인트 몸체(132)의 슬라이드 고정홈(123)에 측방향에서 삽입하거나 빼내게 됨으로써 조인트 몸체(132)에 대한 케이스(100)의 탈부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고정돌기(122)와 슬라이드 고정홈(123)은 더브테일, 즉 비둘기 꼬리 형태의 동일한 단면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슬라이드 고정홈(123)에 슬라이드 고정돌기(122)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슬라이드 고정돌기(122)가 상부측으로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각도변환 조작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버셜 조인트 형태로 케이스 장착부(120)의 프론트 몸체(121)와 손잡이부(110)의 사이를 연결 및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손잡이부(110)의 선단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구형돌기(131)가 일체로 형성되고, 케이스 장착부(120)의 프론트 몸체(121) 후방측에 선단이 결합되고 후방측에 구형돌기(131)와 구면짝을 이루는 구형홈(132a)을 갖는 조인트 몸체(132)가 구비된다.
이때, 구형홈(132a)에 대한 구형돌기(131)의 결합 및 조임력 조절을 위해 구형홈(132a)의 상부측에 수직의 제1 절개부(132b)가 형성됨과 동시에 제1 절개부(132b)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형홈(132a)의 전방측에 제2 절개부(132c)가 형성되어 조인트 몸체(132)가 좌.우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고, 제1 절개부(132b)를 중심으로 한 좌.우 조인트 몸체(132)는 조임나사(133)가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선 결합됨으로써 조임나사(133)를 이용해 구형돌기(131)에 대한 구형홈(132a)의 조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조인트 몸체(132)의 조임나사(133)를 풀어, 제1 절개부(132b)를 중심으로 조인트 몸체(132)가 좌.우 탄성을 갖도록 한 다음, 손잡이부(110)의 구형돌기(131)를 삽입함으로써 구형돌기(131)와 조인트 몸체(132)의 구형홈(132a)이 구면짝을 이루면서 조립된다.
그리고,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뒷쪽 거울(102a)이 촬영자의 정면에 위치하게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측면부를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 고정돌기(122)를 케이스 장착부(120)의 프론트 몸체(121) 상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고정홈(123)에 측방향으로 끼워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프론트 몸체(121)에 착탈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는 스마트폰이 결합되고, 케이스 몸체(101) 상에 구비된 미러 슬라이더(102)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면, 미러 슬라이더(102)에 형성된 렌즈 노출공(102b)이 케이스 몸체(101)의 후면 렌즈공(100a)에 일치하게 되어 후면 렌즈를 통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100)를 원하는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조임나사(133)를 약간 풀고 스마트폰 케이스(100)를 움직이게 되면 케이스 장착부(120)의 프론트 몸체(121) 및, 구형돌기(131)와 구면짝을 이루는 구형홈(132a)을 갖는 각도변환 조작부(130)의 조인트 몸체(132)가 구형돌기(131)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됨으로써 촬영자가 원하는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원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케이스(100)의 회전 각도가 결정되면, 제1 절개부(132b) 및 제2 절개부(132c)에 의해 좌.우 탄성을 갖는 조인트 몸체(132)의 측방향을 관통한 조임나사(133)를 다시 조여 구형돌기(131)를 구형홈(132a)이 압박하게 됨으로써 조절된 회전 각도의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 상태로 손잡이부(110)를 손으로 잡고 셀카 촬영을 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10)를 특정 물체에 집게식으로 고정하여 삼각대 없이 단체 촬영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특정 물체에 대한 상부 몸체(111) 및 하부 몸체(112)의 맞물림에 의한 고정력 향샹을 위해 상부 몸체(111) 및 하부 몸체(112) 각각의 대향면에 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같이 본 고안은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거울이 촬영자의 정면에 위치하게 손잡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함께 구비됨으로써 렌즈와 화상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로 정면의 거울을 보고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이는 그대로 같은 각도로 원하는 표정을 담을 수 있어 셀카 촬영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거울이 미촬영시에는 후면 렌즈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필터 역할을 하여 외부 접촉에 의한 후면 렌즈의 손상은 물론 각종 먼지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셀카 촬영에 의한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의 길이가 짧아 셀카 촬영시 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이 거의 없어 보다 안정적인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셀카 촬영시 손을 뻗었을 때 손목을 불편하게 구부리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를 주변 특정 물체에 고정하여 블루투스 리모콘을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삼각대 없이 단체 사진 촬영도 가능해 휴대 및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스마트폰 케이스
100a: 후면 렌즈공 101: 케이스 몸체
102a: 거울 102b: 렌즈 노출공
103: 슬라이드 조립부 103a: 슬라이드 돌기
103b: 슬라이드 홈
110: 손잡이부
111: 상부 몸체 112: 하부 몸체
113: 힌지부 113a: 힌지축
113b: 토션스프링
120: 케이스 장착부
121: 프론트 몸체 122: 슬라이드 고정돌기
123: 슬라이드 고정홈
130: 각도변환 조작부
131: 구형돌기 132: 조인트 몸체
132a: 구형홈 132b,132c: 제1,2 절개부

Claims (5)

  1. 전면 렌즈보다 화질이 좋은 후면 렌즈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면 렌즈공(100a)을 가지며, 뒷면에 후면 렌즈공(100a)의 보호필터 역할을 하는 거울(102a)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100)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하부를 지지해 주고, 셔터(114)를 갖는 손잡이부(110)와;
    상기 손잡이부(110)의 전방측에 프론트 몸체(121)를 구비하고,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고정돌기(122)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고정돌기(122)에 대응되는 단면 구조로 프론트 몸체(121)의 상단부에 슬라이드 고정홈(123)을 형성한 케이스 장착부(120)와;
    상기 손잡이부(110)와 케이스 장착부(120)의 프론트 몸체(121) 사이를 연결함과 동시에 프론트 몸체(121)의 회전 각도를 360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각도변환 조작부(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는, 손잡이부(110)를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로 분리 형성하고,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의 사이는 전방측 힌지부(113)로 연결하되, 힌지축(113a) 상에 토션스프링(113b)을 설치하여 상기 토션스프링(113b)이 힌지축(113a)의 전방측 상부 몸체(111)와 하부 몸체(112)를 상시 벌어진 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힌지축(113a)의 후방측 상부 몸체(111) 및 하부 몸체(112)는 상시 맞물려진 상태가 되게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
  3. 상기 각도변환 조작부(130)는 손잡이부(110)의 선단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구형돌기(131)와;
    상기 구형돌기(131)와 구면짝을 이루는 구형홈(132a)이 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형홈(132a)의 상부측에 수직의 제1 절개부(132b)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1 절개부(132b)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형홈(132a)의 전방측에 제2 절개부(132c)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장착부(120)의 프론트 몸체(121) 후방측에 결합되는 조인트 몸체(132)와;
    상기 제1 절개부(132b) 및 제2 절개부(132c)에 의해 좌.우 탄성을 갖는 조인트 몸체(132)를 측방향으로 관통 및 나선 결합되어 구형돌기(131)에 대한 구형홈(132a)의 조임력을 조절하는 조임나사(1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장착부(120)의 슬라이드 고정돌기(122)와, 상기 슬라이드 고정돌기(122)에 대응되게 프론트 몸체(121)에 형성된 슬라이드 고정홈(123)은 동일한 더브테일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전방측으로 개방되고 일측에 후면 렌즈공(100a)을 갖는 케이스 몸체(101)와;
    상기 케이스 몸체(1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뒷면에 거울(102a)이 부착되며, 상기 거울(102a)은 셀카 촬영시 슬라이드 이동되어 케이스 몸체(101)의 후면 렌즈공(100a)에 일치되는 렌즈 노출공(102b)을 포함하는 미러 슬라이더(102)와;
    상기 케이스 몸체(101)의 좌.우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돌기(102a)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102a)에 대응되게 미러 슬라이더(102)의 내측면에 슬라이드 홈(103b)을 형성한 슬라이드 조립부(10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 셀카 그립.



KR2020180002446U 2018-06-04 2018-06-04 스마트폰 셀카 그립 KR200492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46U KR200492069Y1 (ko) 2018-06-04 2018-06-04 스마트폰 셀카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46U KR200492069Y1 (ko) 2018-06-04 2018-06-04 스마트폰 셀카 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66U true KR20190003066U (ko) 2019-12-12
KR200492069Y1 KR200492069Y1 (ko) 2020-07-30

Family

ID=6883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446U KR200492069Y1 (ko) 2018-06-04 2018-06-04 스마트폰 셀카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291A (ko) 2020-09-09 2022-03-16 이창학 셀프카메라용 액세서리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715B1 (ko) 2020-09-21 2021-02-16 이선웅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01Y1 (ko) * 2015-11-09 2016-02-23 정주호 다용도 휴대폰 케이스
KR20160097175A (ko) 2016-08-02 2016-08-17 (주)성박 회전 셀카봉
KR20170002572U (ko) * 2016-01-07 2017-07-17 박민수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01Y1 (ko) * 2015-11-09 2016-02-23 정주호 다용도 휴대폰 케이스
KR20170002572U (ko) * 2016-01-07 2017-07-17 박민수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KR20160097175A (ko) 2016-08-02 2016-08-17 (주)성박 회전 셀카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291A (ko) 2020-09-09 2022-03-16 이창학 셀프카메라용 액세서리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069Y1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4436B2 (ja) カメラあるいはビデオカメラを固定するための肩装着型カメラ支持装置
US9720306B2 (en) Plate for camera equipment
US20200042037A1 (en) Wearable display device
KR20190003066U (ko) 스마트폰 셀카 그립
KR200482153Y1 (ko) 카메라 슈 연장장치
KR100743685B1 (ko) 접이식 카메라 거치대
KR200490786Y1 (ko) 스마트폰 셀카 그립
US6476963B1 (en) Photographic binocular
CN210771365U (zh) 一种拍摄设备及增稳装置
KR101806520B1 (ko)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
JPH0715243Y2 (ja) フアインダ−取付装置
KR200484029Y1 (ko)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KR101018317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버튼을 원격으로 작동시키는 디지털 카메라 지지 장치
WO2017117772A1 (zh) 便携式自拍杆
KR102445438B1 (ko) 미러를 이용한 촬영 보조장치
TWI565900B (zh) 夾持座以及包含有該夾持座之自拍器
KR101780060B1 (ko) 촬영이 용이한 캠코더식 휴대폰 거치대
JP6957248B2 (ja) 光学部品の保持装置、及び光学機器
KR100222462B1 (ko) 일회용카메라의 망원경 장착장치
JPS5836884B2 (ja) 接眼レンズの位置決め装置
JP2007101887A (ja) デジタルカメラ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60085711A (ko) 원격제어 촬영을 위한 카메라 액세서리
JP3200338U (ja) 撮影補助具用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の保持装置
TWM501513U (zh) 夾持座以及包含有該夾持座之自拍器
JP3163468U (ja) 撮影装置装着可能なゴーグ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