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520B1 -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520B1
KR101806520B1 KR1020160038941A KR20160038941A KR101806520B1 KR 101806520 B1 KR101806520 B1 KR 101806520B1 KR 1020160038941 A KR1020160038941 A KR 1020160038941A KR 20160038941 A KR20160038941 A KR 20160038941A KR 101806520 B1 KR101806520 B1 KR 101806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connecting means
support
smart devic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209A (ko
Inventor
차진섭
정원희
함성보
임준호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8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52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 F16M2200/063Parallelogram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거치 수단; 상기 거치 수단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 수단; 길이 또는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가변적 구조의 지지 수단; 및 상기 지지 수단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과 상호 결합하는 제2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셀카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A SELFIE STICK FOR SMART DEVICE}
본 발명은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적 구조의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성 및 편의성이 우수한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는 전화 및 메시지 등의 기본 기능을 제외한, 그 외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일상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카메라 기능은 사용 편의성에도 불구하고 사진의 화질이 카메라와 동등한 수준이며, 사진 촬영 및 인화가 가능하고, 특히, SNS의 사용이 활발한 사용자나 나홀로 여행족에게 유용하다.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는 전면 및 후면에 탑재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전면 카메라의 사용시 손을 뻗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이렇게 촬영된 사진은 셀프 카메라(self camera)라고 하며, 이를 줄여 셀카 또는 영어식 표현으로 셀피(selfie)라고 한다.
그러나, 이 같은 촬영 기법은 스마트 기기를 손에 든 상태에서 팔을 최대한 이격시켜 촬영해야 하는데, 개인의 신체에 따라 상이하나 대략 30~60㎝ 정도의 거리밖에 이격시킬 수 없어 자신의 모습이나 원하는 배경을 촬영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셀카봉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셀카봉은 종래 카메라용 모노포드를 차용하여 개발된 도구로서, 일반적으로 스마트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 수단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봉 형태의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셀카봉을 이용할 때 약 1m 내외의 거리를 더 확보할 수 있어 원하는 배경 및 자연스러운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셀카봉은 길이 조절을 위해 지지 수단을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거치 수단만을 이용하여 촬영 각도를 조절해야 하므로 사용성이 미흡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거치 수단만을 이용하는 경우 촬영 각도가 일정 범위로 제한되어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촬영 각도의 조절이 용이한 차세대 셀카봉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편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모든 각도로 촬영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마트 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거치 수단; 상기 거치 수단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 수단; 길이 또는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가변적 구조의 지지 수단; 및 상기 지지 수단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과 상호 결합하는 제2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셀카봉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X'자 형으로 교차 연결된 2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의 길이가 10 내지 150cm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상기 제1 연결 수단과 상호 결합하는 제2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수단 및 제2 연결 수단은 나사 방식, 또는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3 이상의 지지대, 및 상기 각 지지대 일 측 말단에 형성되는 관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가 틸트(tilt) 및 로테이션(rotation)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2 이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내부에 인입된 스프링, 상기 제2 연결 수단의 타 측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수단의 길이 또는 형상을 조절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압축된 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개방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셀카봉의 일 구성인 지지 수단을 다양한 형태를 적용하여 지지 수단의 연장이 용이하므로, 상기 셀카봉의 사용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수단에 회전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여 촬영 각도의 설정이 자유로워,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 및 구도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바라형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셀카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셀카봉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셀카봉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받침대(11) 및 상기 받침대(11)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13, 14)를 포함하는 거치 수단(10); 상기 거치 수단(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 수단(20); 길이 또는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가변적 구조의 지지 수단(301, 302, 303); 및 상기 지지 수단(301, 302, 303)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20)과 상호 결합하는 제2 연결 수단(40);을 포함하는 셀카봉을 제공한다.
상기 거치 수단(10)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장치를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 수단(10)은 받침대(11) 및 고정부(13, 14)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받침대(11)가 스마트 기기의 배면을 받치고, 상기 고정부(13, 14)가 스마트 기기의 양단을 조임으로써 스마트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거치 수단(10)은 필요에 따라 상기 탄성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고정부(13, 14)가 스마트 기기에 보다 강한 압착력을 부여하므로, 상기 고정부(13, 14)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수단(301, 302, 303)은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거치 수단(10)과 연결되어 완전한 셀카봉의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 수단(10)의 하단에 제1 연결 수단(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수단(301, 302, 303) 상에 제2 연결 수단(40)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수단(20, 40)에 의해 상기 거치 수단(10) 및 지지 수단(301, 302, 303)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수단(301, 302, 303)은 길이 또는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가변적 구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자바라형, 회전형, 또는 원터치형일 수 있다. 상기 자바라형, 회전형, 원터치형 구조는 순차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바라형 지지 수단(301)을 포함하는 셀카봉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수단(301)이 힌지(31)를 중심으로 'X'자 형으로 교차 연결된 2 이상의 지지대(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의 힌지(31)를 중심으로 제1 지지대(32a) 및 제2 지지대(32b)가 교차 연결된 기본 구조는 'X'자 형으로서, 하나 이상의 'X'자형 구조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격자 형태의 자바라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2)가 상기 힌지(31)를 중심으로 연장 또는 축소됨에 따라 상기 지지 수단(301)의 길이가 10 내지 150cm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수단(301)의 길이가 10 cm 미만이면 사용자 및 스마트 기기 간의 거리가 충분치 않아 원하는 사진 촬영이 어려울 수 있고, 150cm 초과이면 기본 구조의 연결이 필요 이상으로 늘어나 상기 지지 수단(301)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자바라형 구조의 지지 수단(301)은 스마트 기기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축소될 수 있다. 최소 길이로 조절된 지지 수단(301)은 스마트 기기와 결합된 상태에서도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진 촬영 시 상기 지지 수단(301)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 및 휴대성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31)가 상기 제1 연결 수단(20)과 상호 결합하는 제2 연결 수단(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수단(301)은 상기 힌지(31)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힌지(31)를 제2 연결 수단(40)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거치 수단(10)과 상호 결합 시에도 상기 지지 수단(301)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 수단(20) 및 제2 연결 수단(40)은 나사 방식, 또는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나사 방식은 외부에 나사선을 포함하는 수나사와 내부에 나사선을 포함하는 암나사에 의한 결합을 의미한다. 또한, 나사의 종류는 나사산의 모양에 따라 삼각나사, 사각나사, 사다리꼴나사, 톱니나사, 및 둥근나사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연결 수단(20)이 수나사일 수 있고, 제2 연결 수단(40)이 암나사일 수 있으나, 상기 연결 수단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연결 수단의 종류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끼움 방식은 일반적으로 홈에 결합하고자 하는 부재를 끼워넣어 결합하는 방식으로, 상기 끼움 방식은 헐거운 끼움결합, 중간 끼움결합, 및 억지 끼움결합일 수 있다. 상기 헐거운 끼움결합은 두 부재 간의 상대운동이 가능하면서도 부품 사이가 정밀하게 유지되며, 손의 힘만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결합 방식이다. 상기 중간 끼움결합은 손의 힘만으로는 불가능하여 해머로 때리거나, 프레스로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조립 및 분해가 불가능한 결합 방식이다. 상기 억지 끼움결합은 홈에 열을 가하여 팽창시긴 후 도구를 이용하여 때려박아 조립함으로써 전혀 분해가 불가능한 결합 방식이다.
이 때, 상기 끼움 방식은 하나 이상의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마찰력에 의해 결합 구조가 유지될 수 있으면 끼움 구조 또는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 수단(10) 및 지지 수단(301)은 필요 시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거치 수단(10) 및 지지 수단(301) 간의 상대 운동이 용이한 헐거운 끼움결합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지지 수단(302)을 포함하는 셀카봉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수단(302)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3 이상의 지지대(32), 및 상기 각 지지대(32) 일 측 말단에 형성되는 관절부(50)를 포함하는 회전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관절부(50)는 고정부재와 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지지대(32)의 일 측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절개홈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고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32)가 상기 관절부(50)에 의해 틸트(tilt) 또는 로테이션(rotation)을 할 수 있다. 특히, 순차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일 측 말단에 관절부(50)를 각각 포함하여 지지 수단(302)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지대(32a), 제2 지지대(32b), 제3 지지대(32c)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지지 수단(302)이 형성될 때, 제1 및 제3 지지대(32a, 32c)는 일 측 말단에 관절부(5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지지대(32b)는 양 측 말단에 각각 관절부(50a, 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3 지지대(32a, 32c)는 일정 각도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대(32b)는 양 측 말단의 관절부(50a, 50b)에 의해 360°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지지 수단(303)을 포함하는 셀카봉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수단(303)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2 이상의 지지대(32), 상기 지지대(32) 내부에 인입된 스프링(33), 상기 제2 연결 수단(40)의 타 측에 형성된 손잡이(60), 및 상기 손잡이(60) 상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수단(303)의 길이 또는 형상을 조절하는 조작부(61)를 포함하는 원터치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지지 수단(303)은 일반적으로 안테나, 지시봉과 같은 다단 절첩식이고, 상기 순차적으로 연결된 2 이상의 지지대(32)는 점진적으로 지름이 줄어드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최하단의 지지대(32a) 즉, 상기 손잡이(60) 상단에 연결된 지지대(32a)의 지름이 가장 크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지지대가 그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0) 상에 형성된 조작부(61)는 압축된 스프링(33)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개방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압축된 스프링(33)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도록 고정력을 부여하므로, 모든 지지대가 상기 가장 큰 지름의 지지대(32a)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지지 수단(303)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33)이 탄성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지 아니한 본래의 길이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수단(303)의 길이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연장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33)은 상기 각 지지대(32)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 수 있다.
상기 조작부(61)의 조작에 의해 상기 결합된 스프링(33), 구체적으로 스프링(33)의 상단이 개방될 수 있고, 고정력이 제거된 상기 스프링(33)에 의해 인입된 지지대(32)가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 수단(303)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거치 수단
11 : 받침대
12 : 탄성밴드
13 : 제1 고정부
14 : 제2 고정부
20 : 제1 연결 수단
301, 302, 303 : 지지 수단
31 : 힌지
32 : 지지대
33 : 스프링
40 : 제2 연결 수단
50 : 관절부
60 : 손잡이
61 : 조작부
62 : 지지부재

Claims (9)

  1. 스마트 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거치 수단;
    상기 거치 수단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 수단;
    길이 또는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가변적 구조의 지지 수단; 및
    상기 지지 수단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과 상호 결합하는 제2 연결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수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X'자 형으로 교차 연결된 2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셀카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의 길이가 10 내지 150cm로 조절되는, 셀카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상기 제1 연결 수단과 상호 결합하는 제2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셀카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수단 및 제2 연결 수단은 나사 방식, 또는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하는, 셀카봉.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38941A 2016-03-31 2016-03-31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 KR101806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941A KR101806520B1 (ko) 2016-03-31 2016-03-31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941A KR101806520B1 (ko) 2016-03-31 2016-03-31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209A KR20170112209A (ko) 2017-10-12
KR101806520B1 true KR101806520B1 (ko) 2017-12-07

Family

ID=6014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941A KR101806520B1 (ko) 2016-03-31 2016-03-31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8843A (zh) * 2018-11-19 2019-03-19 单景华 一种自拍装置
KR102082169B1 (ko) * 2018-11-30 2020-02-27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905A (ja) * 2002-04-26 2003-11-14 Hiroshi Igarashi 折畳み椅子付きのカメラやその他の用途に用いる三脚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905A (ja) * 2002-04-26 2003-11-14 Hiroshi Igarashi 折畳み椅子付きのカメラやその他の用途に用いる三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209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2170B1 (en) Telescoping extension
EP3139587B1 (en) Integrated self-photographing apparatus
CN106878499B (zh) 用于手持数码装置的整合范围扩展器及机械式保护器系统
JP6695444B2 (ja) 携帯端末用スタンド兼用ホルダー
KR101806520B1 (ko)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
CN207720213U (zh) 手机自拍杆
JP2020140189A (ja) ブレ防止自撮り棒
JP7411816B2 (ja) サブハンドル付きの撮影機器ブラケット
JP2017113561A (ja) 折り畳み式椅子
KR20190121471A (ko)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JP5353264B2 (ja) 書画カメラ
KR20180001704U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셀카봉
KR101423474B1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WO2015139226A1 (zh) 具有可延展显示屏的笔记本电脑
CN105114781A (zh) 多功能自拍杆
US1125227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case
WO2020075772A1 (ja) 携帯通信端末機器ケース
KR200362415Y1 (ko) 카메라폰 거치대
KR20190003066U (ko) 스마트폰 셀카 그립
CN209991187U (zh) 自拍杆
CN211583808U (zh) 一款可折叠的按摩眼罩
KR20180130902A (ko)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EP3259636B1 (en) Articulated desktop magnifier
CN214535604U (zh) 一种自拍杆
JP3232606U (ja) 自立式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