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572U -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572U
KR20170002572U KR2020160000103U KR20160000103U KR20170002572U KR 20170002572 U KR20170002572 U KR 20170002572U KR 2020160000103 U KR2020160000103 U KR 2020160000103U KR 20160000103 U KR20160000103 U KR 20160000103U KR 20170002572 U KR20170002572 U KR 201700025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martphone
case body
mirro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029Y1 (ko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수 filed Critical 박민수
Priority to KR2020160000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2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03B17/56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카메라보다 화질이 우수하고 실제 촬영 화각과 동일한 앵글로 액정 화면에 보여지는 후면카메라를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셀카 촬영을 할 때 스마트폰을 안정되고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셀카패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스마트폰의 후방측에 탈부착되고, 일측에 카메라 노출공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카메라 노출공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노출공 상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 성질을 가지면서 외측면은 미러 기능을 갖는 투과성 거울과; 상기 투과성 거울의 타측, 케이스 본체 상에 구비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 본체 상의 내측 및 외측으로 접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한 패드 손잡이;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셀카패드{The selfie pad for selfie smartphone}
본 고안은 스마트폰용 셀카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카메라보다 화질이 우수하고 실제 촬영 화각과 동일한 앵글로 액정 화면에 보여지는 후면카메라를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셀카 촬영을 할 때 스마트폰을 안정되고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셀카패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촬영은 촬영 모드에 따라 스마트폰에 내장된 후면카메라를 이용한 일반 촬영과 전면카메라를 이용한 셀카 촬영이 이루어지고, 후면카메라가 전면카메라보다 화질이 우수하다. 따라서, 후면카메라로 촬영한 사진과 전면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비교해보면 후면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이 더 선명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셀카 촬영은 모두 액정화면이 있는 전면카메라로 촬영하도록 되어 있어 화질 저하를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실정에 있다.
한편, 셀카 촬영을 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액정 부분이 사용자의 얼굴 쪽으로 향하게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손으로 잡고 팔을 뻗어 촬영하거나 셀카봉을 이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셀카봉의 일 례로는 공개특허 제2015-0028277호(2015.03.13.공개) "전동셀카봉"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전동셀카봉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 폴대부재(200), 관절부(300), 홀더부(400), 제1액츄에이터(510), 제2액츄에이터(520), 플래쉬모듈(550), 조작부(560)를 포함하고, 본체케이스(100)은 전방이 개방된 원형관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폴대부재(200)는 복수의 폴대(210,212,214,216,218)로 구성되어, 본체케이스(100) 내에 인입되거나, 본체케이스(10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도 3과 같이 길이가 신장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절부(300)는 고정부재(310)와 힌지부재(320)로 구성된다. 고정부재(310)는 폴대부재(200)의 끝단 즉, 폴대(210,212,214,216,218)들 중 최상단에 위치한 폴대(216)의 끝단에 고정설치되며, 힌지부재(320)는 고정부재(310)의 절개홈(316)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400)는 스마트폰과 같은 촬영수단(p)을 거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홀더부(400)는 "ㄷ"형태로 형성되어 본체판(410)의 양단에 형성된제1그립부(420) 및 제2그립부(430)가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제1그립부(420) 및 제2그립부(430) 사이에 촬영수단(p)이 가압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판(410)의 일단에는 제1그립부(4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제2그립부(430)는 슬라이딩바(435)를 구비하여, 이 슬라이딩바(435)가 본체판(41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본체판(410)의 내부에는 제2그립부(430)가 제1그립부(420)를 향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탄성수단(미도시)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일반 촬영의 경우 스마트폰의 뒤쪽 후면카메라에 의해 액정 화면 뒤쪽 피사체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액정 화면에 실제 촬영되는 화각과 동일한 앵글로 피사체가 보인다. 이에 반해 셀카 촬영의 경우는 스마트폰의 전면카메라에 의해 액정 화면 앞쪽 피사체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스마트폰의 액정 화면에 실제 촬영되는 화각과 다른 앵글로 피사체가 보이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 부위를 집중하여 셀카 촬영을 하면, 액정 화면에 얼굴과 눈동자가 정면으로 보이지 않고 틀어진 상태의 앵글로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손으로 잡고 팔을 뻗은 상태에서 손을 비틀어 화각을 맞출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함은 물론 손을 비틀어 화각을 맞추는게 어렵고, 비록 손을 비틀어 실제 촬영되는 화각의 정확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5-0028277호(2015.03.13.공개) "전동셀카봉"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면카메라보다 화질이 우수하고 실제 촬영 화각과 동일한 앵글로 액정 화면에 보여지는 후면카메라를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셀카 촬영을 할 때 스마트폰을 안정되고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셀카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드 손잡이를 내.외측으로 접고 펼칠 수 있게 하여 휴대 및 보관의 간편성을 확보함은 물론 거치대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물 시청의 편의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셀카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기존에 삼각대를 이용한 일반 카메라에 의한 셀프 촬영과 같이 스마트폰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고 리모콘을 이용한 무선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위한 부속품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스마트폰용 셀카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용 셀카패드의 한 형태는, 스마트폰의 후방측에 탈부착되고, 일측에 카메라 노출공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카메라 노출공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노출공 상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 성질을 가지면서 외측면은 미러 기능을 갖는 투과성 거울과; 상기 투과성 거울의 타측, 케이스 본체 상에 구비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 본체 상의 내측 및 외측으로 접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한 패드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는, 투과성 거울을 패드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케이스 본체 상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거울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울 이동수단은, 상기 투과성 거울의 상.하부를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 및 안내해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 상.하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상.하부 지지턱과; 상기 케이스 본체 상에 상측 중심이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패드 손잡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패드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의해 투과성 거울의 일측면과 접촉 운동을 하는 돌출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스마트폰의 후방측을 소정의 경사각으로 지지해줄 수 있는 거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 상측 중간에 수평의 횡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횡대의 양측에 받침판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패드 손잡이는, 집게 구조로 형성되어 특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고, 무선 리모콘을 내장할 수 있는 리모콘 수납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면카메라보다 화질이 우수하고 실제 촬영 화각과 동일한 앵글로 액정 화면에 보여지는 후면카메라를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패드 손잡이를 이용해 스마트폰을 안정되고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셀카 촬영의 정확성과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면카메라의 전방측에 구비된 투과성 거울에 의해 후면카메라의 렌즈가 외부의 각종 먼지 및 이물질로부터 보호됨으로써 사진을 보다 더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케이스 본체 상에 투과성 거울과 함께 구비된 패드 손잡이를 케이스 본체 상의 내측으로 접거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셀카 촬영하지 않을 때 손잡이가 돌출됨에 따른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거치수단에 의해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을 통한 영상물 시청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패드 손잡이가 집게 기능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패드 손잡이에 리모콘 수납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리모콘 수납공간부에 리모콘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카메라 삼각대와 같이 스마트폰을 특정 위치에 고정한 후 리모콘을 이용한 셀카 촬영이 가능해 사진 촬영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기존 셀카봉과 같은 부속품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패드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의해 투과성 거울의 일측면과 접촉 운동을 하는 돌출캠부를 포함하는 거울 이동수단에 의해서, 투과성 거울이 패드 손잡이를 펼칠 때 자동으로 카메라 노출공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도 확보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셀카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폴대부재가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패드 손잡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패드 손잡이를 수직 방향으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패드 손잡이를 수평 방향으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은 패드 손잡이를 수직 방향으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패드 손잡이를 수평 방향으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패드 손잡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패드 손잡이를 수직 방향으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패드 손잡이를 수평 방향으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마트폰(10)의 후방측에 탈부착되는 케이스 본체(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1)는 스마트폰(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의 후면카메라의 렌즈가 외부 노출될 수 있게 일측에 카메라 노출공(1a)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1)는 카메라 노출공(1a)의 전방측에 대략 직사각 형태의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투과성 거울(2)이 함께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투과성 거울(2)은 케이스 본체(1)의 카메라 노출공(1a) 상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 성질을 가지면서 외측면은 미러(2a)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스마트폰(10)의 후면카메라를 통해 투과성 거울(2)의 외부는 볼 수 있지만 투광성 거울(2)의 외부에서는 후면카메라가 보이지 않고 빛의 반사에 의해 사물의 모양만 비추어 보이는 미러(2a) 기능만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폰(10)에 케이스 본체(1)가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을 보다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상기 케이스 본체(1)에 패드 손잡이(3)가 함께 구비되고, 상기 패드 손잡이(3)는 투과성 거울(2)의 반대쪽 케이스 본체(1) 상에 구비되는데, 이때 패드 손잡이(3)는 축(31)을 중심으로 한 회전 조작에 의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펼치거나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 상의 내측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투과성 거울(2)은 케이스 본체(1)에 일체로 고정하지 않고 별도로 분리하여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고, 투과성 거울(2)이 케이스 본체(1)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케이스 본체(1)에 상.하부 지지턱()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셀카 촬영시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의 내측으로 접힌 패드 손잡이(3)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펼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펼쳐 손으로 잡는다. 그런 다음 투과성 거울(2)을 케이스 본체(1)의 카메라 노출공(1a)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좌측으로 밀어 위치를 이동시키면 투과성 거울(2)의 미러(2a)에 사용자의 얼굴이 정면으로 비추어 보이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패드 손잡이(3)를 잡고 있는 손의 손가락으로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에 나타난 카메라 셔터를 터치함으로써 셀카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스마트폰(10)의 액정화면을 통해 영화, 드라마 등과 같은 영상물을 시청할 때 스마트폰(10)의 후방측을 소정의 경사각으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거치수단(5)을 마련한 것에 있고, 상기 거치수단(5)은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 상측 중간에 수평의 횡대(5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횡대(51)의 양측에 받침판(52)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6의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을 뒤집어 액정화면이 정면으로 보이게 한 후 지면에 내려 놓으면 상기 거치수단(5)이 스마트폰(10)의 배면 하부 중간에 위치하면서 횡대(51)의 양측에 형성된 받침판(52)이 스마트폰(10)을 후방측을 지지해주게 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은 패드 손잡이를 수직 방향으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패드 손잡이를 수평 방향으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패드 손잡이(3)를 집게(32)로 형성하여 특정 위치에 패드 손잡이(3)를 이용해 스마트폰(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패드 손잡이(3)에 리모콘 수납공간부(33)를 형성하여 상기 리모콘 수납공간부(33)에 리모콘(미도시됨)을 수납 보관하고 있다가 셀카 촬영시 리모콘 수납공간부(33)에서 리모콘 꺼내고 집게(32)로 된 패드 손잡이(3)를 이용해 스마트폰(10)을 특정 위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리모콘을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거울 이동수단(4)에 의해서 패드 손잡이(3)를 펼칠 때 투과성 거울(2)이 자동으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집게(32)로 된 패드 손잡이(3)는 통상 카메라의 삼각대 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거울 이동수단(4)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투과성 거울(2)의 상.하부를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 및 안내해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 상.하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상.하부 지지턱(41a)(41b)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1) 상에 상측 중심이 축(3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패드 손잡이(3)의 일측에 패드 손잡이(3)의 회전 조작에 의해 투과성 거울(2)의 일측면과 접촉 운동을 하는 돌출캠부(42)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손잡이(3)를 수직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 펼치면, 상기 패드 손잡이(3)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캠부(42)가 투과성 거울(2)의 일측면에 접촉운동을 하면서 상기 투과성 거울(2)을 자동으로 좌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손잡이(3)를 케이스 본체(1)의 내측으로 접고 투과성 거울(2)을 우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투과성 거울(2)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투과성 거울(2)과 케이스 본체(1)의 사이에 스프링(미도시됨)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투과성 거울(2)이 좌측으로 밀릴 때 스프링이 강제로 늘어나고 패드 손잡이(3)가 접혀 투과성 거울(2)에 대한 돌출캠부(42)의 미는 힘이 해제되면 늘어났던 스프링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는 복원력에 의해 투과성 거울(2)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면카메라보다 화질이 우수하고 실제 촬영 화각과 동일한 앵글로 액정 화면에 보여지는 후면카메라를 이용해 셀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패드 손잡이를 이용해 스마트폰을 안정되고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셀카 촬영의 정확성과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면카메라의 전방측에 구비된 투과성 거울에 의해 후면카메라의 렌즈가 외부의 각종 먼지 및 이물질로부터 보호됨으로써 사진을 보다 더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케이스 본체 상에 투과성 거울과 함께 구비된 패드 손잡이를 케이스 본체 상의 내측으로 접거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셀카 촬영하지 않을 때 손잡이가 돌출됨에 따른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거치수단에 의해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을 통한 영상물 시청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패드 손잡이가 집게 기능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패드 손잡이에 리모콘 수납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리모콘 수납공간부에 리모콘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카메라 삼각대와 같이 스마트폰을 특정 위치에 고정한 후 리모콘을 이용한 셀카 촬영이 가능해 사진 촬영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기존 셀카봉과 같은 부속품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패드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의해 투과성 거울의 일측면과 접촉 운동을 하는 돌출캠부를 포함하는 거울 이동수단에 의해서, 투과성 거울이 패드 손잡이를 펼칠 때 자동으로 카메라 노출공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스마트폰용 셀카패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 진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 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케이스 본체 1a: 카메라 노출공
2: 투과성 거울 2a: 미러
3: 패드 손잡이
31: 축 32: 집게
33: 리모콘 수납공간부
4: 거울 이동수단
41a,41b: 상.하부 지지턱 42: 돌출캠부
5: 거치수단
51: 횡대 52: 받침판

Claims (6)

  1. 스마트폰(10)의 후방측에 탈부착되고, 일측에 카메라 노출공(1a)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1)와;
    상기 케이스 본체(1)의 카메라 노출공(1a)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노출공(1a) 상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 성질을 가지면서 외측면은 미러(2a) 기능을 갖는 투과성 거울(2)과;
    상기 투과성 거울(2)의 타측, 케이스 본체(1) 상에 구비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 본체(1) 상의 내측 및 외측으로 접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한 패드 손잡이(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는, 투과성 거울(2)을 패드 손잡이(3)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케이스 본체(1) 상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거울 이동수단(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 이동수단(4)은, 상기 투과성 거울(2)의 상.하부를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 및 안내해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 상.하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상.하부 지지턱(41a)(41b)과;
    상기 케이스 본체(1) 상에 상측 중심이 축(3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패드 손잡이(3)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패드 손잡이(3)의 회전 조작에 의해 투과성 거울(2)의 일측면과 접촉 운동을 하는 돌출캠부(4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는, 스마트폰(10)의 후방측을 소정의 경사각으로 지지해줄 수 있는 거치수단(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5)은,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 상측 중간에 수평의 횡대(5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횡대(51)의 양측에 받침판(52)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손잡이(3)는, 집게(32) 구조로 형성되어 특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고, 무선 리모콘을 내장할 수 있는 리모콘 수납공간부(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KR2020160000103U 2016-01-07 2016-01-07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KR200484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03U KR200484029Y1 (ko) 2016-01-07 2016-01-07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03U KR200484029Y1 (ko) 2016-01-07 2016-01-07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72U true KR20170002572U (ko) 2017-07-17
KR200484029Y1 KR200484029Y1 (ko) 2017-07-24

Family

ID=5939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03U KR200484029Y1 (ko) 2016-01-07 2016-01-07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066U (ko) * 2018-06-04 2019-12-12 박민수 스마트폰 셀카 그립
KR200490786Y1 (ko) * 2019-01-04 2020-01-02 박민수 스마트폰 셀카 그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284A (ko) * 2006-01-09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87793B1 (ko) * 2011-04-14 2012-10-02 한승훈 거울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JP3194225U (ja) * 2014-07-17 2014-11-13 陽斗子 是枝 携帯通信端末機器ケース
KR20140131641A (ko) * 2013-05-06 2014-11-14 이동빈 블루투스를 이용한 액션캠 마운트
KR20150028277A (ko)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전동셀카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5872A (en) * 1998-10-21 2000-08-01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soldier tai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284A (ko) * 2006-01-09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87793B1 (ko) * 2011-04-14 2012-10-02 한승훈 거울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140131641A (ko) * 2013-05-06 2014-11-14 이동빈 블루투스를 이용한 액션캠 마운트
JP3194225U (ja) * 2014-07-17 2014-11-13 陽斗子 是枝 携帯通信端末機器ケース
KR20150028277A (ko)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전동셀카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066U (ko) * 2018-06-04 2019-12-12 박민수 스마트폰 셀카 그립
KR200490786Y1 (ko) * 2019-01-04 2020-01-02 박민수 스마트폰 셀카 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029Y1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5993B2 (en) Selfie device
JP6692462B2 (ja) 手持式スタビライザー
CN106534701B (zh) 手持云台
CN105049691B (zh) 拍摄装置及终端
KR200475741Y1 (ko) 셀카 스틱
CN211046986U (zh) 云台
KR101840741B1 (ko)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KR20170099073A (ko) 3축 흔들림 보정장치가 구비된 영상촬영 짐벌기구
KR200484029Y1 (ko)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CN110325785A (zh) 连接夹具
US8508644B2 (en) Imaging apparatus with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 of an imaging subject
KR200462189Y1 (ko) 듀얼 카메라가 설치된 실물 화상기
KR101755249B1 (ko) 스마트폰용 삼각대
CN106331437B (zh) 摄像装置
WO2016017054A1 (ja) 撮像装置
KR20180085569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WO2022193214A1 (zh) 手持云台、拍摄装置、及可移动平台
JP3203438U (ja) 携帯情報端末用支持具
ES2766423T3 (es) Lupa de escritorio articulada
JP5953794B2 (ja) 撮像装置
KR20110006501U (ko) 휴대폰의 셀프동영상 기능을 보조하는 휴대폰거치대
JP6852760B2 (ja) 撮像装置
CN216976343U (zh) 支架及自拍装置
CN107592390B (zh) 自拍杆
CN212156473U (zh) 一种用于实现多角度拍摄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