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44084A1 -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44084A1
WO2018044084A1 PCT/KR2017/009519 KR2017009519W WO2018044084A1 WO 2018044084 A1 WO2018044084 A1 WO 2018044084A1 KR 2017009519 W KR2017009519 W KR 2017009519W WO 2018044084 A1 WO2018044084 A1 WO 20180440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mera
motor
point
pictur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95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연수
현의섭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버스 filed Critical (주)아이티버스
Publication of WO20180440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440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202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for rolling, i.e.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shot stick, specifically, when performing self-shooting using a portable device, the self-shooting stick that can easily control the camera function included in the portable device as well as adjusting the angle of the portable device. It is about.
  • a selfie is a coined word made in Korea that reduces the self-camera, the Korean expression of English, and refers to the act of photographing one's own self. This is to photograph yourself as a subject with the lens of the phone camera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means such as a camera owned by a photographer or a portable terminal facing the self, which is called selfie in English expression, and the selfie is an English dictionary. It was named the word of the year 2013 by Oxford University Press.
  • Self-sticking stick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the mounting portion for receiv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the driving unit including a first motor for rotating the mounting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A stick part of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part; And a handle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ick part, wherein the handle part has an input part for allowing a user to operate the camera and the driving part.
  • the stick part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riving part and the handle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part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one side of the handle part.
  • the drive un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vertical angle adjusting unit for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 the vertical angle adjustment unit is preferably formed of a hinge so as to manually rotate the mount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vertical angle adjustment unit preferably includes a second motor for rotating the mount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aid support part is removable from the said handle part.
  • the handle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n input unit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a photographing signal of a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motor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motor.
  •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put unit are connected by wire through a wire, and a connec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and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 the portable terminal has an earphone connection groove.
  • the connector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n earphone connect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earphone connecting groove, and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connecting groov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put unit are connected by wire.
  •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t least three sticks, and the stick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handle portion.
  • the stick is fastened to the handle portion so that it can be rotated up and d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andle portion to accommodate the stick when the stick is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 An inlet groove is formed inside the handle part, and the stick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handle part so that the inlet groove can be drawn in.
  • the handle part may include an input part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a photographing signal of a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motor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motor, wherein the input part includes a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a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motor driving signal.
  • the remote controller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the input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by wire, and the input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ly.
  • the handle part includes an input part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a photographing signal of a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motor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motor, and when the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the motor driving signal
  • the first motor rotates the mounting portion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and the camera takes a first picture taken at the first point and a second picture taken at the second point, and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obtain one picture by synthesizing the first picture and the second picture.
  • the rotation angl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is preferably set such that there is an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first picture and the second picture.
  • a first picture is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picture and the second picture based on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first picture and the second picture.
  • the synthesis of the first picture and the second picture is not performed.
  • the handle part includes an input part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a photographing signal of a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motor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motor, and when the first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the motor driv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motor driving signal.
  • the camera takes a plurality of pictures based on a plurality of shooting signals while the first motor rotates the holder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nd the holder rotates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 at least one of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motor driving signal and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photographing signal may be set based on whether there is an overlapping part between the plurality of pictures.
  • the generation of the motor driving signal is stopped at the overlapping part of the plurality of pictures, and the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generation of the motor driving signal is stopped to take a picture, and then the motor driving signal is generated agai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otor rotates the mounting portion.
  •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motor driving signal is preferably set such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by the first motor driving is smaller than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first motor, wherein the handle part controls generation of a photographing signal of a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motor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motor.
  • the input unit controls the first motor and the camera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and when the remote control moves from the third point to the fourth point, the remote control is a position change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put unit, and the input unit generates a motor driving signal for rotating the mounting unit so that the camera faces the fourth point.
  •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amera application, and the camera application controls the driving of the camera and the first motor based on a user input input to the input unit.
  • the camera application controls the first motor such that the holder rotates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nd controls the camera to take a first picture and a second picture at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respectively. Then,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one picture by synthesizing the first picture and the second picture.
  • the rotation angl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is preferably set such that there is an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first picture and the second picture.
  • the camera application When there is no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first picture and the second picture, the camera application preferably does not perform the synthesis of the first picture and the second picture.
  • the camera application controls the first motor so that the holder rotates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nd control the camera such that a plurality of pictures are taken while the holder rotates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wherein the camera application is based on the overlapping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ictures.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mera.
  • the camera application detects an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pictures, stops driving the first motor in the overlapping area, and then takes the picture to take a picture in a state in which driving of the first motor is stopped. After controlling,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first motor to rotate the mounting portion again.
  • the camera application preferably controls the first motor in consideration of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 Self-shooting stick control metho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for receiv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the first motor for rotating the mounting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A driving part, a stick part of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part, and a handle part of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ick part, and the handle part includes a self having an input part so that a user can operate the camera and the driving part.
  • a method of controlling a stick for photographing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amera application, and the camera application controls the driving of the camera and the first motor based on a user input input to the input unit.
  • the camera application controlling the first motor to position the mounting portion as a first point;
  • the camera application controlling the camera to take a first picture at the first point;
  • the camera application controlling the first motor to rotate the holder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 the camera application controlling the camera to take a second picture at the second point;
  •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is preferably set such that there is an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first picture and the second picture.
  • Self-sticking stick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amera application inside the portable device as well as to adjust the angle of the portable device mounted on the stick for self-taking using the input unit, the user preferably Even if you do not operate directly, there is an effect that you can easily and reliably shoot a number of functions.
  • FIG. 1 to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tick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ing unit of a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ndle part of a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ynthesizing a plurality of pictures using a stick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 to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ing unit of a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ndle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elf-sticking stick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unting portion 100, the driving unit 200, the handle portion 300 and the support portion 500 as shown in Figs.
  • Mounting unit 100 is a configuration that is equipped with a portable terminal 10 that can implement a camera function,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easily mounted, it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after mounting.
  • the mounting part 100 may be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1 and 3, and may be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 the mounting portion 100 is a rear portion 110 for supporting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s shown in Figure 4, the lower portion 120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 While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surface portion 130 formed to be movable up and down to accommodate the portable terminal 10 of various sizes.
  • protective parts 140 and 150 made of a material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mounting portion 1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160 for fixing the upper surface portion 130 and the coupling with the driv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100,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he mounting unit 100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the first motor unit 210, the vertical angle adjusting unit 220, the connecting unit 230, and the first coupling unit 240 as shown in FIG. 5.
  • the connecting portion 230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100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first motor portion 210, by rotating together when the first motor portion 210 rotates the mounting portion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rotated.
  • the up and down angle adjustment unit 220 is configured to enable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0, as shown in Figure 5 may be formed as a hinge to rotate the mounting portion 100 up and down manually.
  • the mounting unit 100 may be rotated up and down by including a second motor to rotate up and down by an electrical input.
  • first coupling part 24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the handle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specifically, the first motor part 210 and the second motor which have described the electrical signal or power from the handle part 300. It should be configured to be delivered to the unit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it will be possible to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such as three poles, four poles, as shown in FIG.
  • the handle 3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unit 200 described above.
  • the handle part 300 may include an input part 310 and a second coupling part 330.
  • the input unit 3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generation of a photographing signal of a camera included in a later terminal and a motor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motor, and when the above-described second motor is provided, the second motor
  • the generation of the drive signal of may also serve to control.
  • the input unit 310 may be formed to include four buttons, as shown in FIG. 6, and each of the buttons may have a left side rotating button, a right side rotating button, a panoramic photographing button, and a wide self-shot. It can be configured as a button.
  • the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210 and the shooting signal of the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should be generated together. .
  • the second coupling part 330 is configured to couple with the above-described driving part 200, and should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part 240 included in the driving part 200, and the first coupling part 240 may be formed.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30 should be formed so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240 can be inserted.
  • the handle 300 may accommodate some components of the self-stick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ttery to be provided for supplying power 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10. 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 the handle 300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groove 3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3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upport part 50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300 to support the handle part 300.
  • the support part 5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andle part 300, so that the self-sticking stick may be utilized as a tripod when attached to the handle part 300. That is, it can be used as a selfie stick.
  • the support 50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three sticks,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stick is fastened to the handle portion 300 to be rotated up and down, the stick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case of rotation by the holder 300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stick in the receiving groove 320 formed on the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0.
  • an inlet groove is formed inside the handle part 300, and a stick may be fastened to the handle part 300 so that the stick can be inserted into the inlet groove.
  •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ick part 400 as shown in FIG. 3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 the stick part 400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unit 200 and one side of the handle 300, respectively.
  • the stick portion 400 of various lengths may be provided, and the stick portion 400 itself may be formed to enable length adjustment.
  • Self-stick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by using the input unit 310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300 of the self-sticking stick by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
  • the camera application is provided.
  • mutual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the input unit 31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communicate by wire.
  • the wire is connected via a separate wire (Wire), the wire (Wire) is a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00 via the handle portion 300 and the drive unit 200 including the input unit 310 ( 10) will be connected.
  • a connector connected to one end of a wir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200, and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10, so that the input unit 31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are connected by wire.
  •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may be rotated together when the first motor 210 rotates.
  • the connector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earphone connection groov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hat is, the three-pole, four-pol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in which case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connection groove
  •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input unit 310 can be connected by wire.
  • the self-shot stick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first motor (210).
  •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 the remote controller may include the button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input unit 310, and when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motor 21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is generated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ler may be provided in the handle part 300.
  • the communication unit 340 may control the first motor 21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 the input unit 310 receives a photographing signal and a motor driving signal of a camera from a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it to the portable terminal 10.
  • a camera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 the camera application can control the first motor 210 and the camera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310.
  • the remote control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310, the input unit 310 is wired to the first motor 210.
  • the input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by wire or wirelessly, so that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a remote controller can control the first motor 21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input unit 310. Will be.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ynthesizing a plurality of pictures using a stick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includes a panorama photographing mode and a wide self photographing mode.
  • the camera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has a fixed angle of view, for taking a panorama or wide self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photographs are taken after the plurality of photographs are taken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By synthesizing the single panorama picture or the wide self picture can be obtained.
  • Self-shoot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above-mentioned panoramic or wide self-shooting, by using a motor to stably rotate the portable terminal 10 at the same time by transmitting a shooting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panorama shooting and wide self shooting by the operation of.
  • the self-shooting stick drives the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first motor 210 to the handle 300 as described above, but the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the first motor 210 rotates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mmodated in the holder 100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ccording to the motor driving signal, and the camera captures the photographed at the first point.
  • the first photograph and the second photograph taken at the second point are taken,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acquires one photograph by synthesizing the first photograph and the second photograph.
  • the portable terminal 10a at the first point when a user presses a wide self-photographing button or a panorama-taking button provided in the input unit 310 of the handle part 300, the portable terminal 10a at the first point.
  • the first picture (a) is taken first
  • the portable terminal 10b is rotated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y the first motor 210
  • the portable terminal 10b at the second point is second
  • the portable terminal 10 synthesizes the first picture (a) and the second picture (b), thereby obtaining a panoramic picture or a wide self picture.
  • continuous panorama photo or a wide self photo may be obtained only when there is an overlapping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hotos.
  • the overlapping area (c) between the first picture (a) and the second picture (b) It should be set so that, in the synthesis of the first photo (a) and the second photo (b), by synthesizing the first photo (a) and the second photo (b) based on the overlapping area (c)
  • One continuous panorama picture or a wide self picture can be obtained.
  • the portable terminal 10 determines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210 or that there is another erro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nd carried out the synthesis of the first photograph (a) and the second photograph (b).
  • the first shooting signal is generated, and then the first motor is driven by the motor driving signal. 210 to rotate the mounting portion 100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 the camera takes a plurality of pictures based on the plurality of shooting signals, and the plurality of taken pictures are synthesized into one picture as described above. do.
  • At least one of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motor driving signal and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plurality of photographing signals is set based on whether there is an overlapping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ictures.
  • the generation cycle is set so that the generation of the motor driving signal is stopped at the portion overlapping the mountains of the plurality of pictures, and the shooting signal is generated while the generation of the motor driving signal is stopped to take a picture and then again.
  • a motor driving signal is generated to cause the first motor to rotate the holder 100.
  •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motor driving signal is set based on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motor driving signal should be set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by driving the first motor 210 is smaller than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 the self-stick stick directly controls the first motor 210 in the input unit, the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310 to the camera Although it may be controlled, the camera application may control both the first motor 210 and the camera.
  • the camera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holder 100 to extend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 the first motor is controlled to rotate, and after controlling the camera to take a first picture (a) and a second picture (b) at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respectively, the first picture (a). And a second photograph (b) to synthesize one photograph.
  • the rotation angl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should be set such that there is an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first picture (a) and the second picture (b), and the first picture (a) and the second picture (b).
  • the first picture a and the second picture b are synthesized based on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pictures b so that a single picture is obtained.
  • the camera application determines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210, or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other error, The synthesis of the first photograph (a) and the second photograph (b) should not be performed.
  • the step of the camera application to control the first motor 210 to position the mounting portion 100 to the first point is in progress, the camera application controls the camera to the first point at the first point
  • One step of taking a picture (a) is performed.
  • the camera application controls the first motor 210 to rotate the mounting part 100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and the camera application controls the camera to the second point.
  • the camera application After the photographing of the second photo (b) in, the camera application finally performs a step of synthesizing the first photo (a) and the second photo (b) to produce a single photo. .
  • the camera application also includes the first motor 210 and the camera. By controlling together.
  • the camera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nfigured by the holder 100 from the first point.
  • the first motor 210 is controlled to rotate to two points, and the camera is controlled to take a plurality of pictures while the holder 100 rotates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 An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210 and the camera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overlapping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ictures.
  • the performance or state or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100 is controlled. 1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motor 210 may affect the result of one synthesized picture.
  • Self-sticking stick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first motor 210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input unit 310 is a remote control On the basis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motor 210 and the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controls the shooting, when the remote control moves from the third point to the fourth point, the remote control generates a position change signal
  • the input unit may generate a motor driving signal for rotating the mounting unit 100 so that the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faces the fourth point.
  • Generation of the position change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motor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is preferably so that the user is automatically implemented without a separate button in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이 상기 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틱부; 및 일측이 상기 스틱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셀프 촬영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휴대용 기기의 각도 조절은 물론 휴대용 기기에 포함된 카메라 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카란 영어의 한국식 표현인 셀프 카메라(self camera)를 줄여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신조어로서, 자신이 직접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촬영자 자신이 소지한 카메라나 휴대용 단말기 등의 촬영수단에 구비된 폰 카메라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하여 자신을 피사체로 촬영하는 것으로, 영어 표현으로는 셀피(selfie)라고 하고, 셀피는 영어사전으로 유명한 옥스포드 대학 출판사에 의해 2013년 올해의 단어로 선정된 바 있다.
셀카는 특히 고화질 폰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면서 카메라 대신에 스마트폰을 통하여 쉽게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일이 일상화되었고, 연예인은 물론이고 일반인들까지 셀카로 찍은 사진을 블로그나 SNS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면서 널리 유행하고 있다.
종래에 셀카를 찍는 방법은 촬영수단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든 채 팔을 앞으로 뻗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였으나 촬영자가 촬영될 자신의 모습을 미리 볼 수가 없어 촬영이 불편하였다. 최근에는 셀카 촬영 기능을 갖는 카메라나 휴대용 단말기가 보급되어 촬영자가 촬영될 자신의 모습을 미리 보면서 셀카를 찍을 수 있다. 그러나, 촬영자가 촬영수단을 직접 들고 셀카를 찍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촬영자의 머리나 상반신만 크게 나오고 뒷 배경은 거의 나오지 않으며, 여러 명이 함께 셀카를 찍는 경우 서로 억지로 붙어 있어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셀카용 스틱이 개발되어 시판중이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셀프 촬영용 스틱에 모터 및 모터를 제어하는 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셀프 촬영용 스틱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입력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아니라 와이드 셀프 촬영 또는 파노라마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이 상기 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틱부; 및 일측이 상기 스틱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및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입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틱부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 각도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각도 조절부는 수동으로 상기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힌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각도 조절부는 상기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입력부는 와이어를 통하여 유선으로 연결되되,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어폰 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어폰 연결홈과 대응되는 이어폰 연결 단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이어폰 연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입력부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3개의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스틱은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틱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고, 상기 스틱을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스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측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틱은 상기 인입홈에 인입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1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모컨은 상기 입력부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모터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모터가 상기 거치부를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지점에서 촬영된 제1 사진 및 상기 제2 지점에서 촬영된 제2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사진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점에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1 사진 및 상기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이 합성되어 하나의 사진이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없는 경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의 합성이 실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최초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모터가 상기 거치부를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는 복수 개의 촬영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 및 상기 촬영 신호의 발생 주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사진들 간에 중첩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 구동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사진들 간에 중첩되는 부분에서 그 발생이 중단되고, 상기 촬영 신호는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된 상태에서 발생하여 사진을 촬영한 후, 다시 모터 구동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제1 모터가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는 상기 제1 모터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가 상기 카메라의 화각보다 작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1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리모컨이 제3 지점에서 제4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리모컨은 위치 변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입력부로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4 지점을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모컨의 위치 변화 신호 및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은 자동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파노라마 촬영 모드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할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거치부가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되,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각각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한 후,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사진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점에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없는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의 합성을 실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파노라마 촬영 모드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할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거치부가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는 동안 복수 개의 사진이 촬영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되,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 개의 사진들 간의 중첩되는 부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 개의 사진들 간에 중첩되는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중단시킨 후,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한 후, 다시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메라의 화각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은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거치부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일측이 상기 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틱부 및 일측이 상기 스틱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및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입력부를 구비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사용자의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거치부를 제1 지점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제1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거치부를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제2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사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점에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입력부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용 스틱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의 각도 조절은 물론 휴대용 기기 내부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가급적 휴대용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여러 기능의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성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 구동부(200), 손잡이부(300) 및 지지부(5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거치부(100)는 카메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10)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가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되, 장착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100)는 휴대용 단말기(10)가 도 1 및 도 3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거치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거치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휴대용 단말기(10)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부(110), 휴대용 단말기(10)의 아래 부분을 지지하는 하면부(120) 및 휴대용 단말기(10)의 윗 부분을 지지하되, 다양한 크기의 휴대용 단말기(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면부(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면부(120)의 상측 및 상면부(130)의 하측에는 휴대용 기기(10)와 접촉할 경우 휴대용 기기(10)의 외면에 스크레치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재질 또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부(140, 15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거치부(100)에는 후술할 구동부(200)와의 결합 및 상면부(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60) 또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200)는 일측이 거치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거치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부(210), 상하 각도 조절부(220), 연결부(230) 및 제1 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상술한 거치부(10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1 모터부(210)와 결합되어, 제1 모터부(2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함으로써 거치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하 각도 조절부(220)는 거치부(100)의 상하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거치부(100)를 상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힌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전기적 입력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모터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부(100)를 상하 회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결합부(240)는 후술할 손잡이부(300)와 결합되는 구성이며, 구체적으로 손잡이부(3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 또는 전원을 상술한 제1 모터부(210), 제2 모터부 및 휴대용 단말기(1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극, 4극 등의 이어폰 연결 단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손잡이부(300)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손잡이부(300)는 일측이 상술한 구동부(200)의 타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손잡이부(300)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310) 및 제2 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후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아울러 상술한 제2 모터가 구비될 경우, 제2 모터의 구동 신호의 발생 또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버튼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버튼들은 각각 거치부 좌측 회전 버튼, 거치부 우측 회전 버튼, 파노라마 촬영 버튼 및 와이드 셀프 촬영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파노라마(Panorama) 촬영 버튼 또는 와이드 셀프(Wide Self) 촬영 버튼을 동작시킬 경우, 제1 모터(210)의 구동 신호 및 휴대용 단말기(10)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가 함께 발생되어야 할 것이다.
제2 결합부(330)는 상술한 구동부(200)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구동부(200)에 포함된 제1 결합부(240)와 상응하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제1 결합부(240)가 이어폰 단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제2 결합부(330)는 제1 결합부(2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부(3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일부 구성들 및 휴대용 단말기(10)에 전원의 공급 또는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위하여 구비되어야 하는 배터리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손잡이부(300)에는 수용홈(320) 및 통신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지지부(500)는 손잡이부(300)를 지지하기 위하여 손잡이부(30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지지부(500)는 손잡이부(3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손잡이부(300)에 부착될 경우 셀프 촬영용 스틱은 삼각대로 활용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300)에서 탈락될 경우 셀프 카메라 스틱, 즉 셀카봉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지부(5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의 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틱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손잡이부(300)에 체결되되, 스틱을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손잡이부(300)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홈(320)에 스틱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손잡이부(300)의 내측에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스틱이 상기 인입홈에 인입 가능하도록 손잡이부(300)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틱부(400)는 일측 및 타측이 각각 구동부(200)의 타측 및 손잡이부(300)의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스틱부(4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스틱부(400) 자체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서의 각 구성들간의 상호 신호 전달을 위한 연결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휴대용 단말기(1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셀프 촬영용 스틱의 손잡이부(300)에 구비된 입력부(310)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 내에 구비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310) 및 휴대용 단말기(10)가 무선으로 통신할 경우,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이 수행될 수 있으며, 유선으로 통신할 경우 입력부(310)와 휴대용 단말기(10)는 별도의 와이어(Wire)를 통하여 유선으로 연결되되, 이러한 와이어(Wire)는 입력부(310)를 포함하는 손잡이부(300) 및 구동부(200)를 경유하여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0)와 연결될 것이다.
이 경우, 구동부(200)의 일측에는 와이어(Wire)의 일단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형성되고, 이러한 커넥터는 휴대용 단말기(10)에 삽입됨으로써, 입력부(310)와 휴대용 단말기(10)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터(210)가 회전하는 경우, 와이어(Wire)가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커넥터는 제1 모터(2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이어폰 연결홈과 대응되는 이어폰 연결 단자, 즉 3극, 4극 등의 이어폰 연결 단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넥터가 이어폰 연결홈에 삽입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와 입력부(310)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휴대용 단말기(10) 및 제1 모터(210)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리모컨(Remote Controller)를 구비할 수 있다.
리모컨에는 상술한 입력부(310)에 포함된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리모컨을 이용하여 제1 모터(210) 및 휴대용 단말기(10)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손잡이부(300)에 구비된 통신부(340)가 리모컨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모터(210) 및 휴대용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310)는 리모컨으로부터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모터 구동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휴대용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 내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입력부(3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모터(210) 및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리모컨, 휴대용 단말기(10)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입력부(310)와의 통신에 대하여 정리해보면, 리모컨은 입력부(310)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입력부(310)는 제1 모터(21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입력부(310)는 휴대용 단말기(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됨으로써, 리모컨에서 발생한 제어 신호가 입력부(310)를 통하여 제1 모터(210) 및 휴대용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촬영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용 단말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 및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10)에 구비된 카메라는 고정된 화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파노라마 촬영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을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한 후,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함으로써 하나의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상술한 파노라마 촬영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시, 모터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에 촬영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한번의 조작으로 파노라마 촬영 및 와이드 셀프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에 휴대용 단말기(10)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제1 모터(210)를 구동하되,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하여 제1 모터(210)가 거치부(100)에 수용된 휴대용 단말기(10)를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고, 카메라는 제1 지점에서 촬영된 제1 사진 및 제2 지점에서 촬영된 제2 사진을 촬영하고,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사진을 획득하게 된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부(300)의 입력부(310)에 구비된 와이드 셀프 촬영 버튼 또는 파노라마 촬영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1 지점에서의 휴대용 단말기(10a)가 제1 사진(a)을 먼저 촬영하고, 제1 모터(210)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10b)는 제1 지점에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한 후 제2 지점에서의 휴대용 단말기(10b)가 제2 사진(b)을 촬영한 후, 휴대용 단말기(10)가 제1 사진(a) 및 제 2사진(b)을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의 획득시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복수 개의 사진 간의 중첩되는 부분이 있어야만 연속적인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의 획득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제1 지점에서부터 제2 지점까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함에 있어서,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 간의 중첩되는 영역(c)이 있도록 설정하여야 할 것이며, 제 1사진(a) 및 제2 사진(b)의 합성에 있어서, 중첩되는 영역(c)을 기준으로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을 합성함으로써, 하나의 연속적인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없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 모터(210)의 구동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거나, 그 밖의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의 합성을 수행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지점에서 촬영한 2개의 사진의 합성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지점에서 촬영한 사진들의 합성을 통하여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의 획득 또한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부(300)의 입력부(310)에 구비된 와이드 셀프 촬영 버튼 또는 파노라마 촬영 버튼을 누르게 되면, 최초 촬영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후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해서 제1 모터(210)가 거치부(100)를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거치부(100)가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는 동안 카메라는 복수 개의 촬영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진으로 합성된다.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 및 복수 개의 촬영 신호의 발생 주기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사진들 간에 중첩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모터 구동 신호는 복수 개의 사진들 산에 중첩되는 부분에서 그 발생이 중단되도록 발생 주기가 설정되고, 촬영 신호는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된 상태에서 발생하여 사진을 촬영한 후, 다시 모터 구동 신호가 발생하여 제1 모터가 거치부(100)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는 카메라의 화각에 기초하여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는 상기 제1 모터(210)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100)의 회전 각도가 상기 카메라의 화각보다 작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앞에서는 제1 모터(210)의 구동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한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상하 각도 조절부(220)가 제2 모터로 형성될 경우, 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한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의 획득 시에도 상술한 내용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입력부에서 제1 모터(210)를 직접 제어하고, 휴대용 단말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입력부(3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제1 모터(210) 및 카메라를 모두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31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파노라마 촬영 모드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할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거치부(100)가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되,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각각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한 후, 상기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을 합성하여 하나의 사진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제1 지점에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있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며, 상기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 간의 중첩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이 합성되어 하나의 사진이 획득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없는 경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제1 모터(210)의 구동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거나, 그 밖의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의 합성을 수행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내용을 시계열적인 단계로 구성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모터(210)를 제어하여 상기 거치부(100)를 제1 지점으로 위치시키는 단계가 진행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제1 사진(a)을 촬영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후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모터(210)를 제어하여 상기 거치부(100)를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시키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제2 사진(b)을 촬영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 마지막으로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을 합성하여 하나의 사진을 산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지점에서 촬영한 2개의 사진의 합성뿐만 아니라 더 많은 지점에서 촬영한 사진들의 합성을 통한 파노라마 사진 및 와이드 셀프 사진의 획득 또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제1 모터(210) 및 카메라를 함께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31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파노라마 촬영 모드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할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거치부(100)가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모터(210)를 제어하고, 상기 거치부(100)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는 동안 복수 개의 사진이 촬영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 개의 사진들 간의 중첩되는 부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터(210) 및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노라마 촬영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시 입력부(310)가 제1 모터(210)를 제어하고,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를 제어하는 경우, 거치부(100)에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성능 또는 상태나 제1 모터(210)의 상태에 따라서 하나의 합성된 사진의 결과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제1 모터 및 카메라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10)의 성능 또는 상태나 제1 모터(210)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일한 합성 사진의 획득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 및 제1 모터(21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입력부(310)는 리모컨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모터(210) 및 휴대용 단말기(10)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하는데, 리모컨이 제3 지점에서 제4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 리모컨은 위치 변화 신호를 발생시켜 입력부로 전송하고, 입력부는 휴대용 단말기(10)에 포함된 카메라가 제4 지점을 향하도록 거치부(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지지대(500)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용 스틱을 고정 설치할 경우, 리모컨의 이동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를 리모컨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리모컨의 위치 변화 신호 및 제1 모터의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은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 입력 없이 자동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이 상기 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틱부; 및
    일측이 상기 스틱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및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입력부를 구비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파노라마 촬영 모드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할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거치부가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되,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각각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한 후,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사진을 산출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에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있도록 설정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이 합성되어 하나의 사진이 획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없는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의 합성을 실행하지 않는 셀프 촬영용 스틱.
  7.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파노라마 촬영 모드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할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거치부가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는 동안 복수 개의 사진이 촬영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되,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 개의 사진들 간의 중첩되는 부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 개의 사진들 간에 중첩되는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중단시킨 후,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한 후, 다시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메라의 화각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1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이 제3 지점에서 제4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리모컨은 위치 변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4 지점을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셀프 촬영용 스틱.
  13.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거치부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일측이 상기 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틱부 및 일측이 상기 스틱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및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입력부를 구비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거치부를 제1 지점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제1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거치부를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제2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사진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에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있도록 설정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PCT/KR2017/009519 2016-08-31 2017-08-31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804408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546A KR20180024752A (ko) 2016-08-31 2016-08-31 셀프 촬영용 스틱
KR10-2016-0111546 2016-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084A1 true WO2018044084A1 (ko) 2018-03-08

Family

ID=6130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9519 WO2018044084A1 (ko) 2016-08-31 2017-08-31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24752A (ko)
WO (1) WO2018044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605865U (zh) * 2018-07-09 2019-03-15 单景华 一种转接适配装置及摄像稳定器
CN209638742U (zh) * 2019-01-08 2019-11-15 源德盛塑胶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自拍装置
KR102154710B1 (ko) * 2019-01-31 2020-09-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제어 가능한 트라이포드
KR102359465B1 (ko) * 2019-03-11 2022-02-07 김동영 휴대전화를 이용한 피사체 추적장치
KR102155958B1 (ko) * 2019-04-05 2020-09-14 김성현 스마트 지지 장치
KR102227565B1 (ko) * 2019-04-23 2021-03-12 김제훈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CN112097058A (zh) * 2019-06-18 2020-12-18 深圳市马小路科技有限公司 一种三脚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439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그리고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어하는 방법
KR20160000408U (ko) * 2014-07-25 2016-02-03 허홍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KR20160019481A (ko) * 2016-02-01 2016-02-19 이기영 서보모터(servo motor)를 가지는 스마트폰 셀카봉
KR101622782B1 (ko) * 2015-12-10 2016-05-19 주식회사 엠아이티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KR20160099437A (ko) * 2015-02-12 2016-08-22 김용표 전동셀카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439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그리고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어하는 방법
KR20160000408U (ko) * 2014-07-25 2016-02-03 허홍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KR20160099437A (ko) * 2015-02-12 2016-08-22 김용표 전동셀카봉
KR101622782B1 (ko) * 2015-12-10 2016-05-19 주식회사 엠아이티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KR20160019481A (ko) * 2016-02-01 2016-02-19 이기영 서보모터(servo motor)를 가지는 스마트폰 셀카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752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4084A1 (ko)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7213339A1 (ko) 수평 자세 유지 장치 및 자세 유지 장치 구동 방법
WO2017086694A1 (ko)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WO2020204433A1 (ko) 스마트 지지 장치,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
EP2461568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image-capturing device, program, and image-capturing system
WO2017119575A1 (ko)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JP2007158609A (ja) カメラシステム
WO2015158284A1 (zh) 具有动态追拍功能的移动终端及其动态追拍方法
WO2016190674A1 (ko) 셀프 촬영용 스틱
WO2017185372A1 (zh) 拍摄装置、拍摄设备及便携式电子设备
WO2018092926A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외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US20050128347A1 (en) Tripod of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JPH10313452A (ja) 携帯無線通信機
WO2014175616A1 (ko)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 장치 및 방법
WO2017195940A1 (ko) 이동식 영상 촬영장치, 정보 공유 단말, 이동식 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는 정보 공유 시스템
WO2014171743A1 (ko)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모듈
JP2002335434A (ja) 携帯端末
WO2020209444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WO2022092363A1 (ko) 광학 장치 및 상기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JP4065740B2 (ja) クレードル装置
US20220321751A1 (en) Camera viewfinder system
WO2022244920A1 (ko) 휴대 단말기 및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WO2016137054A1 (ko) 탈착이 가능한 플렉시블 카메라 장치
JP2007142695A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ヘッドアダプタ
WO2021006397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470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470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