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86694A1 -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86694A1
WO2017086694A1 PCT/KR2016/013213 KR2016013213W WO2017086694A1 WO 2017086694 A1 WO2017086694 A1 WO 2017086694A1 KR 2016013213 W KR2016013213 W KR 2016013213W WO 2017086694 A1 WO2017086694 A1 WO 201708669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self
shooting
signal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32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버스 filed Critical (주)아이티버스
Publication of WO201708669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866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Definitions

  • a selfie is a coined word made in Korea that reduces the self-camera, the Korean expression of English, and refers to the act of photographing one's own self. This is to photograph yourself as a subject with the lens of the phone camera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means such as a camera owned by a photographer or a portable terminal facing the self, which is called selfie in English expression, and the selfie is an English dictionary. It was named the word of the year 2013 by Oxford University Press.
  • Self-sticking stick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the user can easily use the input unit, and to provide a self-shooting stick that can perform wide self-shooting or panorama shoot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photographing stick capable of performing wide self-capture and panoramic photographs without direct contact of a portable devic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 Self-sticking stick is a cradle mounted to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camera function; A first motor part rotating the mounting part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 stick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part and a handle part formed at the other side; A control unit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rst motor unit; And an input unit formed in the handle unit,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the first motor unit, and a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by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device.
  • the controller controls driving of the first motor unit or controls a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based on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 the portable device includes a front camera module and a rear camera module disposed at the front and the rear, respectively, and the camera applic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hooting modes,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one of the plurality of shooting modes based on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It is preferable to set at least one shooting mode.
  • the plurality of photographing modes may include a front photographing mode that photographs using the front camera module; A rear photographing mode photographing using the rear camera module; A wide self photographing mode for photographing using the front camera module and the first motor unit; And a panorama photographing mode photographing using the rear camera module and the first motor unit.
  •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first button configured to generate a performance signal of the wide self photographing mode; A second button for generating a performance signal of the panoramic photographing mode; And a third button for generating at least one performance signal of the front photographing mode and the rear photographing mode.
  • the photographing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wide self photographing mode or the panorama photographing mode, and photographing is performed.
  • the camera operating in the portable device is switched from the rear camera to the front camera, and the first camera is switched to the front camera. It is preferable to press again to perform wide self shooting.
  • the camera operating in the portable device is switched from the front camera to the rear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is changed to the rear camera after the active camera is switched to the rear camera.
  • panorama shooting is preferably performed.
  • the front shooting mode is performed.
  • the shooting mode is the panoramic shooting mode
  • pressing the third button performs the rear shooting mode.
  • a photo gallery mode for searching a picture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is performed, and when the third button is pressed again in the gallery mode, It is preferable to return to the shooting mode.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ortable device such that the photographing mode of the camera application is set to the wide self photographing mode, and controls the first motor unit to rotate the mounting unit.
  • the first motor unit rotates the mounting unit by a first angle preset in one direction from an initial position based on the driving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and then rotates the second motor by a second preset angle in the other direction.
  • the controller preferably controls the first motor unit to return the holder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drive signal and a wide self-shoot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to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portable device, respectively, and the wide self-capturing signal is generated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unit. desirable.
  • the first wide self-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at the time when the holder rotates by the first angle in one direction and then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first wide self-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is preferably detected by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or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driving signals of the first motor unit.
  •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wide self photographing end signal for terminating wide self photographing to the portable device, and the wide self photographing end signal is at least one of a detection signal of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and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based on one.
  • the wide self-photographing end signal is driven when the gyro sensor detects a preset rotation angle after the other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ortable device, or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mounting portion to the first motor unit so that the mounting unit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It is preferably generated when the generation of the signal is stopped.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ortable device such that the photographing mode of the camera application is set to the panorama photographing mode, and controls the first motor unit to rotate the holder.
  • the first motor unit rotates the mounting unit in one direction from an initial position based on the driving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 the controller transmits a driving signal and a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 to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portable device, respectively, and the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unit. .
  • the first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at a time when the holder rotates in one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first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is preferably detected by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or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driving signals of the first motor unit.
  • the controller transmits a panorama shooting end signal for ending panorama shooting to the portable device, and the panorama shooting end signal is based on at least one of a detection signal of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and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It is preferably generated by.
  • the panoramic photographing end signal may include the first motor unit when the gyro sensor detects a movement reaching a preset angle after rotation of the portable device in one direction, or the controller rotates the mounting unit in on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be generated when the generation of the drive signal to deliver to.
  • the panoramic photographing end signal may be generated while the generation of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motor unit is stopped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again.
  •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button for synthesizing the first image photographed by the front camera module and the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module and outputting the synthesized image to a display of the portable device. .
  • the plurality of capturing modes may include a video capturing mode and a photo capturing mode, and the controller sets one of the video capturing mode and the photo capturing mode based on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 the input unit includes a fifth button for selecting entry of a video photographing mode and a photographing mode of the camera application.
  •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sixth button for transmitting a picture or a video taken by the camera application to a predetermined SNS application.
  • the inpu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pressed in a power-off state, power is turned on and the camera application is driven, and the plurality of buttons are in a power-on state. When at least one button is pressed, the power is turned off and the driving of the camera application is terminated.
  • the mounting portion, the first motor portion, the stick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re separable.
  • Self-sticking control metho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mounted, a first motor portion for rotating the mounting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portion and the other side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rst motor part.
  • Setting a shooting mode of a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Generating a photographing signal of a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device and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photographing mode; Operating the camera application and the first motor unit based on a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and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hotographing based on the photographing mode is completed, generating a photographing end signal.
  • the operation of the camera application and the first motor unit may include rotating the mounting unit by a predetermined first angle from the initial position in one direction based on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Doing; And rotating the mounting portion by a second angle preset in the other direction based on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wherein the camera application includes a time when the mounting portion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n the other direction.
  • photograph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for at least one of the times of rotation.
  • the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is preferably generated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 the first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mounting unit rotates in one direction by the first angle and then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first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is preferably detected by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or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driving signals of the first motor unit.
  • the photographing end signal may be detected by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or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driving signals of the first motor unit.
  • the photographing end signal may be a driving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motor unit by the gyro sensor when the gyro sensor detects a preset rotation angle after the other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ortable device, or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mounting part to the other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when generation stops.
  • control unit preferably controls the first motor unit to return the mounting unit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operation of the camera application and the first motor unit may include photographing the camera while the mounting unit rotat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one side based on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 the camera application performs a shooting based on the signal.
  • the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is preferably generated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 the first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mounting unit rotates in one direction.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first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is preferably detected by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or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driving signals of the first motor unit.
  • the photographing end signal may be detected by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or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driving signals of the first motor unit.
  • the photographing end signal may be generated when the gyro sensor detects a movement reaching a preset angle after rotation of the portable device in one direction, or the controller rotates in one direction of the mounting part. It is preferably generated when the generation of the driving signal to be delivered is stopped.
  • the photographing end signal is preferably generated while the generation of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motor unit is stopped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again.
  • Self-sticking stick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amera application inside the portable device as well as to adjust the angle of the portable device mounted on the stick for self-taking using the input unit, the user preferably Even if you do not operate directly, there is an effect that you can easily and reliably shoot a number of function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ck for self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ssion path of a control signal in a stick for self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in detail the handle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tick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wide self-shooting mode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elf-stick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ime series.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in the case of the wide self-photographing mode in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ime series.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in a time-series sequence in the self-shooting stick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 to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shot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ransmission path of the control signal in the self-stick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in detail the handle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elf-sticking stick is composed of a mounting portion 100, the first motor portion 300, the handle portion 400, the stick portion 500 and the control unit as shown in FIG.
  • Mounting unit 100 is a configuration that is equipped with a portable device 10 that can implement a camera function, the portable device 10 can be easily mounted, it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after mounting.
  •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ortable device 10, provided with a separate fixing portion formed to be stretchable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the portable device (10) After seating on the lower surface, it may be formed to fix the portable device 10 with a fixing portion.
  • the mounting portion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prevent the damage, such as scratch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 when in contact with the portable device 10.
  • the first motor unit 300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100, and rotates the mounting unit 100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that is, rotates a fan.
  • the second motor portion 200 for rotating the mounting portion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tilt (Tilt), such a second motor portion
  • the 2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motor unit 300 and the mounting unit 100,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tor unit 300 and the stick unit 500. It would also be possible.
  • Stick portion 500 is configur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tor unit 300, it is possible to be formed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this length can be adjusted manually, i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input unit It would also be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motor for length adjustment.
  • Handle portion 4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 it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with the stick portion (300). 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handle part 400 includes an input part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10, the first motor part 200, and the second motor part 300. do.
  • the controller 600 is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10 and the first motor unit 300.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2, the controller 600 communicates with the portable device 10 to perform a portable device ( 10)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first motor unit 300 and the portable device (10).
  • the control unit 600 may be disposed in the handle 400 together with the input unit, and may receive the signal generat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to control the first motor unit 300 and the portable device 10, and vice versa.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motor unit 30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ortable device 10.
  • the mounting portion 100, the first motor portion 300, the stick portion 500 and the handle portion 400 constituting the self-shot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removable.
  • the mounting portion 100, the first motor portion 300, the stick portion 500 and the handle portion 400 constituting the self-shot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removable.
  • the portable device 10 includes a front camera module 11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portable device 10, that is, a surface on which a display is formed, and a rear camera module dispos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is formed.
  • the front camera module 11 is generally a camera for a self-shooting function
  • the rear camera module is a camera for a general shooting function such as a landscape.
  • the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modes.
  • the controller 600 may set at least one photographing mode among the plurality of photographing modes based on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 the plurality of capturing modes may specifically include a front photographing mode, a rear photographing mode, a wide self photographing mode, and a panorama photographing mode.
  • the front shooting mode and the rear shooting mode are modes for performing shooting using the front camera and the rear camera, respectively.
  • Wide self-shooting mode is a kind of self-shooting, in order to take a wider angle of view range than the fixed angle of view of the front camera to rotate the portable device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relative to the subject to take a plurality of images,
  • a shooting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self-photographed images may be acquired b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finally shot images.
  • the self-photographing stick by stably rotating the portable device 10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using the first motor portion 300, It is possible to stably acquire a plurality of images without shaking, and thu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apture a wide self-photograph.
  • the panorama shooting mode is performed by using the front camera module of the portable device 10, while the portable device 10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100 rotates on the basis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motor unit 300, It is a mode that allows 360-degree surroundings around the portable device 10 to be expressed on a two-dimensional plane by photographing two images and synthesizing them.
  • the self-shot stick by stably rotating the portable device 10 as in the above-described wide self-shooting mode, it is possible to stably obtain a plurality of images without shakin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ecise panorama picture.
  • the input unit of the self-sticking stick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Self-stick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rection button unit 411 and the shooting button unit 412 as shown in FIG.
  • the direction button unit 411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controlling and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unit 300 or the second motor unit 200. Specifically, when the direction button portion 411 is pushed in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the mounting portion 100 is rotat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portion 200, the direction button portion 411 is left Alternatively, when pushing the right side, the mounting unit 100 is rotated to the left or the right by the driving of the twenty-first motor unit 300. Furthermore,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is generated only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rection button part 411,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gener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is stopped and the first motor part 300 or the second motor part is stopped. Driving of the 200 is stopped.
  • the first motor unit 300 and the second motor unit 200 are driven at the same time, thereb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unting the mounting unit 100. You can also move in the direction at the same time.
  • the shooting button unit 412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10 mounted on the holder 100, that is,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a camera shooting appli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Accordingly, when the photographing button unit 412 is pressed while the camera photographing appli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is executed, a shutter signal is generated to complete the camera photographing.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execute the camera photographing appli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by using the photographing button unit 412.
  • the above-described direction button unit 411 and the shooting button unit 412 is a push button by applying the push type signal input device 400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25949 registered and applied by the applica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various signals by the combination of push buttons.
  • the input unit may include an input button capable of directl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shooting modes. Specifically, the input unit may generate a performance signal of the wide self-shooting mode. It may include a first button 420, a second button 430 for generating a performance signal of the panoramic photographing mode, and a third button 440 for generating at least one performance signal of the front photographing mode and the rear photographing mode. .
  • the shooting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wide self shooting mode or the panoramic shooting mode so that shooting is performed and the current shooting mode is the panoramic shooting mode.
  • the camera operating in the portable device 10 is switched from the rear camera to the front camera, and when the first button 420 is pressed again after the switching, wide self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 the current shooting mode is the wide self shooting mode
  • the second button 430 is pressed, the camera operating in the portable device 10 is switched from the front camera to the rear camera, and after switching, the second button Pressing 430 again may cause the panorama to be photographed.
  • the third button 440 when the third button 440 is pressed in the shooting mode is a wide self-shooting mode, the front shooting mode is performed, and when the third button 440 is pressed in the panoramic shooting mode, the rear shooting mode is performed.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easily switch from the wide self shooting mode or the panorama shooting mode to the front shooting mode or the rear shooting mode.
  • the third device 440 may be used to control the portable device 10 to perform a photo gallery mode that can query the photo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 a photo gallery mode for searching the photo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is performed. Press the third button to return to the shooting mode.
  • FIGS.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wide self-shooting mode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 refers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of the portable device 10 is installed
  • "R” refers to the rear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 a point whe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otted lines O cross each other indicates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motor unit 300, that is, a rotation axis of the mounting unit 100 and the portable device 10.
  • Self-sticking stick when pressing the first button 420 in the situation that the mounting portion 100 formed so that the portable device 10 can be placed as shown in FIG.
  • the shooting mode of the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device 10 is set to the wide self-shooting mode.
  • the control unit 600 may control the first motor unit 300 so that the mounting unit 100 can rotate. Generate a drive signal.
  • the first motor unit 300 rotates the mounting unit 100 by a predetermined first angle a from the initial position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driving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600. . Thereafter, the mounting part 100 is rotated by the second angle b preset in the other direction.
  • the second angle (b) is preferably set larger than the first angle (a), more preferably, the second angle (b) may be set to be about twice the first angle (a).
  •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0 can be set to vary based on the number of continuous input of the first button 420.
  • the first angle a and the second angle b are set to 20 degrees and 40 degrees, respectively, and when the first button 420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The first angle (a) and the second angle (b) may be set to 30 degrees and 60 degrees, respectively.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set the shooting range at the time of wide self-shooting.
  • the control unit 600 rotates the mounting unit 100 b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first motor unit 300, and generates a wide self-shooting signal so that a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10 performs the shooting. It transmits to the portable device 10.
  • the wide self-shooting signal may be generated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For example, the wide self-shooting signal may be generated whenever the mounting portion 100 rotates by three degrees. Each time the device rotates by one degree, a wide self-photography signal can be generated.
  • the first wide self-shooting signal generated among the wide self-shooting signal should be generated when the mounting portion 100 rotates in one direction after the first angle (a)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wide self-shooting signal is first generated may be detected by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10 or by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100. That is, when the gyro sensor detects rotation in one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and detects rotation in the other direction, the portable device 10 controls the camera application to transmit the first wide self-photographing signal.
  • the control unit 600 first starts based on the confirmation of the change in the applied power.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a wide self-shooting signal of the transmission to the portable device (10).
  • the control unit 600 transmits a wide self shooting end signal for terminating the wide self shooting to the portable device 10, and the wide self shooting end signal is also detected by the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10, and It may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riving signals of the first motor unit 300.
  • a gyro sensor detects a preset rotation angle after rotation of the portable device in the other direction, or a driving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600 to the first motor unit 300 so that the mounting unit 100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 the controller 600 may generate a wide self-photographing end signal.
  • the camera application synthesizes the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and stores them in a memory included in the portable device 10 and outputs them through the display. At the same time, it may be desirable to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first motor unit 300 so that the mounting unit 10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shooting mode of the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10 is the panorama shooting mode
  • the control unit 600 generates a driv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motor unit 300 so that the mounting unit 100 can rotate.
  • the first motor unit 300 rotates the mounting unit 100 in one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based on the driving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600.
  •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0 can be set to vary based on the number of continuous input of the second button 430. For example, when the second button 430 is pressed once, the holder 100 can be set to rotate 180 degrees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when the second button 430 is pressed twice consecutively, the holder 100 is pressed. Can be set to rotate 360 degre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set the shooting range during the panorama shooting.
  • the control unit 600 rotates the mounting unit 100 b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first motor unit 300,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 so that a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10 performs the photographing.
  • the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 may be generated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holder 100, and for example, the panorama photographing signal may be generated every time the holder 100 is rotated by three degrees. Each time it rotates, a panoramic signal can be generated.
  • the first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 generated among the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s should be generated at the time when the holder 100 rotates in one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 is first generated may be detected by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10 or by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100. That is, when the gyro sensor detects rotation in one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the portable device 10 may control the camera application to transmit the first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 1
  • the controller 600 When the motor unit 300 rotates the mounting unit 100 in one direction, the controller 600 generates the first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 based on the confirmation of the change in the applied power and transmits the first panoramic photographing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10. It is also possible.
  • the control unit 600 transmits a panoramic shooting end signal for ending the panorama shooting to the portable device 10, the panorama shooting end signal is also detected by the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10 and the first motor It may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riving signals of the unit 300. Specifically, the gyro sensor detects a movement reaching a preset angle after the rotation of the portable device in one direction, or the controller 600 transmits the mounting unit 100 to the first motor unit 300 to rotate in one direction. When generation of the driving signal is stopped, the control unit 600 may generate a panorama shooting end signal. In addition, when the panorama shooting end signal is pressed again the second button 430 may be generated while the generation of the drive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motor unit 300 is stopped.
  • the camera application synthesizes the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and stores the synthesized images in a memory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10 and outputs them through the display. At the same time, it may be desirable to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first motor unit 300 so that the mounting unit 10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input unit synthesizes the first image photographed by the front camera module and the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module to synthesize the portable device 10. It may include a fourth button 450 to be output to the display.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fourth button 450, the controller 600 activates both the front camera module and the rear camera module of the portable device 10, and applies a shooting signal to the front camera module and the rear camera module, respectively.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obtained.
  • the background of the self-photographed image is synthesized b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Can be replaced with a landscape image captured by the rear camera.
  • the input unit of the self-shooting stick may include a fifth button 460 functioning to enable easy switching of the video / photo shooting mode.
  • the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10 generally includes a video recording mode and a photo shooting mode. When the user presses the fifth button 460, the user does not directly touch the portable device 10 and the camera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to enter the video shooting mode and the photo shooting mode.
  • the input unit of the self-shooting stick transmits a photo or video taken by a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10 to a predetermin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pplication or to a predetermined mail account.
  •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 It may include a sixth button 470 for transmitting.
  • the plurality of pictures or videos taken by the camera applica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portable device 10. In this case, the pictures or videos that need to be transmitted among the plurality of pictures may be stored through the direction button unit 411 described above. If the sixth button 470 is pressed after the selection is completed, it can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et SNS application or mail account.
  •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such as the first button 420 to the sixth button 470,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provided when the self-photographing stick is turned off. Pressing one may turn on the power and allow the camera application to be drive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lf-photographing stick is press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n the power-on state, the power may be turned off and the driving of the camera application may be terminated.
  •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eventh button (not shown) for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irst button 420 to the sixth button 470.
  • the above-mentioned power on / off function of the self-shooting stick is executed by simultaneously pressing a part of the plurality of buttons, or when press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pressed for less than a preset time. It can be set in various ways such as to be executed if there is one.
  • the control method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shooting mode as shown in FIG. S100), generating a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and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300 (S200), operating the camera application and the first motor unit 300 (S300), and generating a photographing end signal.
  • Step S400 is included.
  • the controller 600 controls the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10, and specifically, a plurality of photographings included in the camera application.
  • One of the shooting modes is set.
  • step S100 After setting the photographing mode (S100), the controller 600 generates a photographing signal of a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device 10 and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300 based on the set photographing mode ( S200) is performed. Thereafter, the step S300 of operating the camera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portable device 10 and the first motor unit 300 based on the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generated in the previous step and the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300 proceeds. do. Fin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hooting based on the set shooting mode is completed, step S400 of generating a shooting end signal is performed.
  • the controller 600 when the shooting mode is set to the wide self-shooting mode (S100), the controller 600 generates a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and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300 to perform the wide self-shooting mode (S200). ).
  • the camera application and the first motor unit 300 operate based on the photographing signal and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in the previous step S200 (S300).
  • the photographing mode is the wide self photographing mode
  • the mounting unit 100 is provided. It can be subdivided into the step (S310) to rotate in one direction and the step (S320) to perform the shooting while rotating the mounting portion in the other direction.
  • the mounting unit 100 is rotated by a first angle a set in one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in one direction (S310), Subsequently, the mounting unit 100 is rotated by the second angle b preset in the other direction based on the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300, and at the same time, the camera application takes a picture based on the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It is performed (S320).
  • the shooting mode is the wide self-shooting mode.
  • the camera application allows both the holder to rotate in one direction and while the holder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It may be possible to set to perform shooting based on the shooting signal of the camera.
  • the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is generated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cradle 100, the first of the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600, the shooting signal of the camera is the cradle 100 ) Should be generated when the first angle a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n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first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may be detected by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10 or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driving signals of the first motor unit 300. Detailed description is the same as already described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self-stick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 the controller 600 Afte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rotation and photographing of the mounting unit 100 in the other direction (S320), the controller 600 generates a shooting end signal, and the shooting end signal is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10. It may be detected by or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rive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300. Specifically, when the gyro sensor detects a preset rotation angle after rot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in the other direction, or of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motor unit 300 so that the mounting part 100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when generation stops.
  • the step S500 of returning the holder 100 to the initial position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after the photographing end signal generating step S40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first motor unit 300 to return the mounting unit 100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controller 600 When the first shooting mode is set to the panorama shooting mode (S100), the controller 600 generates a camera signal and a driving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300 to perform the panorama shooting mode (S200).
  • the camera application and the first motor unit 300 operate based on the photographing signal and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in the previous step (S200).
  • the photographing mode is the panorama photographing mode
  • the mounting unit 100 is specifically described.
  • the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is generated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based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cradle 100, the first of the photographing signal of the camera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600, the shooting signal of the camera is the cradle 100 ) Should occur at the time of rotation in one direction.
  • the time point at which the first photographing signal is generated may be detected by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10 or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driving signals of the first motor unit 300. Detailed description is the same as already described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self-stick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 the controller 600 Afte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rotation and photographing of the mounting unit 100 in the other direction (S320), the controller 600 generates a shooting end signal, and the shooting end signal is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10. It may be detected by or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rive signal of the first motor unit 300. Specifically, when the gyro sensor detects a movement reaching a preset angle after rotating in one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or transmitted to the first motor part 300 so that the mounting part 100 rotates in one direction. It is preferably generated when the generation of the drive signal is stopped. In addition, when the panorama shooting end signal is pressed again, the generation of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motor unit 300 may be stopped.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1모터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 상기 휴대용 기기 및 상기 제 1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휴대용 기기,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휴대용 기기의 각도 조절은 물론 휴대용 기기에 포함된 카메라 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카란 영어의 한국식 표현인 셀프 카메라(self camera)를 줄여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신조어로서, 자신이 직접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촬영자 자신이 소지한 카메라나 휴대용 단말기 등의 촬영수단에 구비된 폰 카메라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하여 자신을 피사체로 촬영하는 것으로, 영어 표현으로는 셀피(selfie)라고 하고, 셀피는 영어사전으로 유명한 옥스포드 대학 출판사에 의해 2013년 올해의 단어로 선정된 바 있다.
셀카는 특히 고화질 폰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면서 카메라 대신에 스마트폰을 통하여 쉽게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일이 일상화되었고, 연예인은 물론이고 일반인들까지 셀카로 찍은 사진을 블로그나 SNS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면서 널리 유행하고 있다.
종래에 셀카를 찍는 방법은 촬영수단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든 채 팔을 앞으로 뻗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였으나 촬영자가 촬영될 자신의 모습을 미리 볼 수가 없어 촬영이 불편하였다. 최근에는 셀카 촬영 기능을 갖는 카메라나 휴대용 단말기가 보급되어 촬영자가 촬영될 자신의 모습을 미리 보면서 셀카를 찍을 수 있다. 그러나, 촬영자가 촬영수단을 직접 들고 셀카를 찍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촬영자의 머리나 상반신만 크게 나오고 뒷 배경은 거의 나오지 않으며, 여러 명이 함께 셀카를 찍는 경우 서로 억지로 붙어 있어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셀카용 스틱이 개발되어 시판중이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셀프 촬영용 스틱에 모터 및 모터를 제어하는 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셀프 촬영용 스틱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입력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와이드 셀프 촬영 또는 파노라마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거치부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와이드 셀프 촬영 및 파노라마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1모터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 상기 휴대용 기기 및 상기 제 1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휴대용 기기,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기기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된 전면 카메라 모듈 및 후면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복수 개의 촬영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는, 상기 전면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전면 촬영 모드; 상기 후면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후면 촬영 모드; 상기 전면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 1모터부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 및 상기 후면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 1모터부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의 수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버튼; 상기 파노라마 촬영 모드의 수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버튼; 및 상기 전면 촬영 모드 및 상기 후면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3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버튼 또는 상기 제 2버튼을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촬영 모드가 상기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 또는 상기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촬영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상기 제 1버튼을 누르면 상기 휴대용 기기에서 작동 중인 카메라는 상기 후면 카메라에서 상기 전면 카메라로 전환되고, 작동 중인 카메라가 상기 전면 카메라로 전환된 후 상기 제 1버튼을 다시 누르면 와이드 셀프 촬영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상기 제 2버튼을 누르면 상기 휴대용 기기에서 작동 중인 카메라는 상기 전면 카메라에서 상기 후면 카메라로 전환되고, 작동 중인 카메라가 상기 후면 카메라로 전환된 후 상기 제 2버튼을 다시 누르면 파노라마 촬영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상기 제 3버튼을 누르면 상기 전면 촬영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상기 제 3버튼을 누르면 상기 후면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거나 또는 적어도 2회 이상 연속적으로 누르는 경우, 상기 휴대용 기기에 저장된 사진을 조회할 수 있는 사진 갤러리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갤러리 모드 상에서 다시 상기 제 3버튼을 누르면 촬영 모드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되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거치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모터부가 상기 거치부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1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타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2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가 미리 설정된 제 2각도만큼 회전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 1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및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를 각각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가 일측 방향으로 상기 제 1각도만큼 회전한 후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최초의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초의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를 위한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의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자이로센서가 상기 휴대용 기기의 타측 방향 회전 후 미리 설정된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치부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모터부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설정되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거치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모터부가 상기 거치부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및 파노라마 촬영 신호를 각각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파노라마 촬영 신호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최초의 파노라마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초의 파노라마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파노라마 촬영 종료를 위한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의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자이로센서가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 후 미리 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는 움직임을 검출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치부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모터부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제 2버튼을 다시 눌렀을 때 상기 제 1모터부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면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영상 및 상기 후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영상이 합성되어 상기 휴대용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 4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는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사진 촬영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상기 사진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사진 촬영 모드의 진입을 선택하는 제 5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는, 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미리 설정된 SNS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제 6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면 전원이 온(on) 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전원 온(on)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면 전원이 오프(off)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종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 제 1모터부, 스틱부 및 손잡이부는 각각 분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은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모터부와, 일측이 상기 제 1모터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와, 상기 휴대용 기기 및 상기 제 1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 정된 상기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기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1모터부가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모드에 기초한 촬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촬영 종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1모터부가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거치부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1각도만큼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거치부가 타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2각도만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거치부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간 및 상기 거치부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동안 상기 카메라의 촬영신호에 기초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의 촬영신호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가 일측 방향으로 상기 제 1각도만큼 회전한 후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최초의 촬영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초의 촬영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자이로센서가 상기 휴대용 기기의 타측 방향 회전 후 미리 설정된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치부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모터부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종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치부를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 1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1모터부가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거치부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의 촬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의 촬영신호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최초의 촬영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초의 촬영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자이로센서가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 후 미리 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는 움직임을 검출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치부의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모터부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제 2버튼을 다시 눌렀을 때 상기 제 1모터부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면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입력부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용 스틱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의 각도 조절은 물론 휴대용 기기 내부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가급적 휴대용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여러 기능의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휴대용 기기의 별도 조작 없이 셀프 촬영용 스틱에 포함된 입력부만의 조작을 통해서, 자동으로 와이드 셀프 촬영 및 파노라마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서 제어 신호의 전달 경로를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성 중 손잡이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서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경우의 제어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서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경우의 제어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서 제어 신호의 전달 경로를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성 중 손잡이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 제 1모터부(300), 손잡이부(400), 스틱부(500)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거치부(100)는 카메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10)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써, 휴대용 기기(10)가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되, 장착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및 측면은 상기 휴대용 기기(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된 별도의 고정부를 구비하여, 휴대용 기기(10)를 하면에 안착시킨 후, 고정부로 휴대용 기기(10)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거치부(100)는 휴대용 기기(10)와 접촉할 경우 휴대용 기기(10)의 외면에 스크레치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 1모터부(300)는 일측이 거치부(100)와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써, 거치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 즉 팬(Pan) 회전을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 1모터부(300) 이외에 거치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즉 틸트(Tilt) 회전을 시키는 제 2모터부(200)를 추가로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제 2모터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모터부(300) 및 거치부(100) 사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 1모터부(300)와 스틱부(50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스틱부(500)는 일측이 제 1모터부(300)의 타측과 연결되는 구성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길이 조절은 수동으로 할 수도 있으며, 입력부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용 모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손잡이부(4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틱부(300)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00)에는 휴대용 기기(10), 제 1모터부(200) 및 제 2모터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제어부(600)는 휴대용 기기(10) 및 제 1모터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10)와 통신을 수행하여 휴대용 기기(10), 제 1모터부(300) 및 휴대용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입력부와 함께 손잡이부(40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한 신호를 전달받아 제 1모터부(300) 및 휴대용 기기(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반대로 휴대용 기기(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제 1모터부(30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을 구성하는 거치부(100), 제 1모터부(300), 스틱부(500) 및 손잡이부(400)는 각각 분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구성들 중 일부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셀프 촬영용 스틱 전체를 교환하거나 재구입할 필요 없이, 문제가 발생한 구성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 비용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휴대용 기기(10)는 휴대용 기기(10)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면에 배치된 전면 카메라 모듈(11) 및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면과 대향되는 면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전면 카메라 모듈(11)은 일반적으로 셀프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이고, 후면 카메라 모듈은 풍경 등의 일반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이다. 또한, 휴대용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복수 개의 촬영 모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어부(600)가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수 개의 촬영 모드는 구체적으로, 전면 촬영 모드, 후면 촬영 모드, 와이드 셀프(Wide Self) 촬영 모드 및 파노라마(Panorama) 촬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촬영 모드 및 후면 촬영 모드는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각각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는 셀프 촬영의 일종으로써, 전면 카메라의 고정된 화각보다 넓은 화각 범위를 촬영하기 위하여 휴대용 기기(10)를 피상체를 기준으로 좌, 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복수 개의 영상을 촬영하고, 최종적으로 촬영된 복수 개의 영상을 합성하여 넓은 범위의 셀프 사진의 획득할 수 있는 촬영 모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경우,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10)를 제 1모터부(300)를 이용하여 좌, 우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흔들림없이 복수 개의 영상을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하여 정밀한 와이드 셀프 사진의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파노라마 촬영 모드는 휴대용 기기(10)의 전면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하되, 제 1모터부(300)의 회전축을 기초로 거치부(100)에 안착된 휴대용 기기(10)가 회전하면서 복수 개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들을 합성함으로써, 휴대용 기기(10)를 중심으로 한 360도의 주변 환경을 2차원 평면상에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경우, 상술한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와 같이 안정적으로 휴대용 기기(10)를 회동시킴으로써, 흔들림없이 복수 개의 영상을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하여 정밀한 파노라마 사진의 획득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촬영 모드의 수행 및 기타 여러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입력부는 복수 개의 입력 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버튼부(411) 및 촬영 버튼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버튼부(411)는 제 1모터부(300) 또는 제 2모터부(2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방향 버튼부(411)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미는 경우, 제 2모터부(200)의 구동에 의해 거치부(1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방향 버튼부(411)를 좌측 또는 우측을 미는 경우, 제 21모터부(300)의 구동에 의해 거치부(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나아가 방향 버튼부(411)에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만 이러한 회전 방향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외력의 인가를 해제할 경우 회전 방향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어 제 1모터부(300) 또는 제 2모터부(200)의 구동은 중단되게 된다. 또한, 방향 버튼부(411)를 좌상, 좌하, 우상 또는 우하 방향으로 미는 경우에는 제 1모터부(300) 및 제 2모터부(200)가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거치부(100)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촬영 버튼부(412)는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즉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촬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는 동안 상기 촬영 버튼부(412)를 누르게 되면 셔터 신호가 발생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촬영 버튼부(412)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방향 버튼부(411) 및 촬영 버튼부(412)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10-142594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400)를 적용함으로써 누름버튼 및 밀기버튼의 조합에 의하여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에는 방향 버튼부(411) 및 촬영 버튼부(412) 이외에도 상술한 각 촬영 모드를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입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의 수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버튼(420), 파노라마 촬영 모드의 수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버튼(430), 전면 촬영 모드 및 후면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3버튼(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버튼(420) 또는 제 2버튼(430)을 동작시키는 경우,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 또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촬영이 수행되게 되고, 현재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제 1버튼(420)을 누르게 되면 휴대용 기기(10)에서 작동 중인 카메라가 후면 카메라에서 전면 카메라로 전환되게 되고, 전환 이후 제 1버튼(420)을 다시 누르면 와이드 셀프 촬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의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제 2버튼(430)을 누르게 되면, 휴대용 기기(10)에서 작동중인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에서 후면 카메라로 전환되게 되고, 전환 이후 제 2버튼(430)을 다시 누르게 되면 파노라마의 촬영이 수행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촬영 모드 미수행중인 경우 제 1버튼(420) 또는 제 2버튼(430)을 누르게 되는 경우는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 또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의 수행이 바로 일어날 수 있으며,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 또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 수행 중, 다른 모드의 입력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모드의 촬영을 위한 동작 카메라의 전환이 먼저 일어난 후, 추가 입력을 통하여 해당 모드의 촬영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각 촬영 모드 간의 자유로운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제 3버튼(440)을 누르게 되면 전면 촬영 모드가 수행되고,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제 3버튼(440)을 누르게 되면 후면 촬영 모드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 또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에서 전면 촬영 모드 또는 후면 촬영 모드로 용이하게 전환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제 3버튼(440)을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에 저장된 사진을 조회할 수 있는 사진 갤러리 모드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1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버튼(440)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거나 또는 적어도 2회 이상 연속적으로 누르는 경우, 상기 휴대용 기기에 저장된 사진을 조회할 수 있는 사진 갤러리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갤러리 모드 상에서 다시 상기 제 3버튼을 누르면 촬영 모드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F"는 휴대용 기기(10)의 전면 방향, 즉 휴대용 기기(10)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방향을 의미하고, "R"은 휴대용 기기(10)의 후면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가로 및 세로 점선(O)이 교차하는 점은 제 1모터부(300)의 회전축, 즉 거치부(100)와 휴대용 기기(10)의 회전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도 4와 같이 휴대용 기기(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거치부(100)가 초기위치에 있는 상황에서 제 1버튼(420)을 누르게 되면, 휴대용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제어부(600)는 거치부(1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제 1모터부(300)를 제어할 수 있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1모터부(300)는 제어부(600)로부터 입력 받은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1각도(a)만큼 회전시킨다. 이후 다시 거치부(100)를 타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2각도(b)만큼 회전시킨다. 이때 제 2각도(b)는 제 1각도(a)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2각도(b)는 제 1각도(a)의 두 배 정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거치부(100)의 회전량은 제 1버튼(420)의 연속적인 입력 횟수에 기초하여 가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버튼(420)을 한번 누를 경우에는 제 1각도(a) 및 제 2각도(b)는 각각 20도 및 40도로 설정되고, 제 1버튼(420)을 두 번 연속 누를 경우에는 제 1각도(a) 및 제 2각도(b)는 각각 30도 및 60도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와이드 셀프 촬영시의 촬영 범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600)는 제 1모터부(30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거치부(100)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휴대용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을 수행하도록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를 발생시킨 후 휴대용 기기(10)에 송신한다. 이러한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는 거치부(10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예를 들면 거치부(100)가 3도 회전할 때마다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1도 회전할 때마다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 중 최초로 발생되는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는 거치부(100)가 일측 방향으로 제 1각도(a)만큼 회전한 후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발생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가 최초로 발생하는 시점은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제 1모터부(100)의 구동 신호에 의해 검출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자이로센서가 휴대용 기기(10)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을 감지하다가, 타측 방향으로의 회전을 감지하게 되면, 휴대용 기기(10)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최초의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제 1모터부(300)가 거치부(10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와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인가되는 전원의 변화의 확인에 기초하여 제어부(600)가 최초의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기기(1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600)는 휴대용 기기(10)에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를 위한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이러한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 신호 또한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의 검출 신호 및 제 1모터부(300)의 구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이로센서가 휴대용 기기의 타측 방향 회전 후 미리 설정된 회전 각도를 검출하거나 또는 제어부(600)가 상기 거치부(100)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 1모터부(300)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제어부(600)는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600)가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촬영된 복수 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한편,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동시에, 거치부(10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 1모터부(30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파노라마 촬영 모드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거치부(100)가 초기위치에 있는 상황에서 제 2버튼(430)을 누르게 되면, 휴대용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설정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제어부(600)는 거치부(1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제 1모터부(300)를 제어할 수 있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1모터부(300)는 제어부(600)로부터 입력 받은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거치부(100)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이러한 거치부(100)의 회전량은 제 2버튼(430)의 연속적인 입력 횟수에 기초하여 가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버튼(430)을 한번 누를 경우에는 상기 거치부(100)가 초기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제 2버튼(430)을 두 번 연속 누를 경우에는 거치부(100)가 초기 위치로부터 360도 회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파노라마 촬영시의 촬영 범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600)는 제 1모터부(30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거치부(100)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휴대용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을 수행하도록 파노라마 촬영 신호를 발생시킨 후 휴대용 기기(10)에 송신한다. 이러한 파노라마 촬영 신호는 거치부(10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예를 들면 거치부(100)가 3도 회전할 때마다 파노라마 촬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1도 회전할 때마다 파노라마 촬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파노라마 촬영 신호 중 최초로 발생되는 파노라마 촬영 신호는 거치부(100)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발생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파노라마 촬영 신호가 최초로 발생하는 시점은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제 1모터부(100)의 구동 신호에 의해 검출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자이로센서가 휴대용 기기(10)의 초기 위치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을 감지하게 되면, 휴대용 기기(10)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최초의 파노라마 촬영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제 1모터부(300)가 거치부(10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인가되는 전원의 변화의 확인에 기초하여 제어부(600)가 최초의 파노라마 촬영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기기(1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600)는 휴대용 기기(10)에 파노라마 촬영 종료를 위한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이러한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 또한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의 검출 신호 및 제 1모터부(300)의 구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이로센서가 휴대용 기기의 일측 방향 회전 후 미리 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는 움직임을 검출하거나 또는 제어부(600)가 상기 거치부(10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 1모터부(300)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제어부(600)는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는 제 2버튼(430)을 다시 눌렀을 때 제 1모터부(300)에 전달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면서 발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600)가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촬영된 복수 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한편,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동시에, 거치부(10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 1모터부(30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다른 구현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에는 상술한 제 1버튼 내지 제 3버튼 이외에, 전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영상 및 후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영상이 합성되어 휴대용 기기(1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 4버튼(4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 4버튼(450)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600)는 휴대용 기기(10)의 전면 카메라 모듈 및 후면 카메라 모듈을 모두 활성화시키고, 전면 카메라 모듈 및 후면 카메라 모듈에 각각 촬영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제 1영상 및 제 2영상을 획득한다. 일반적으로 제 1영상은 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셀프 촬영 이미지이고, 제 2영상은 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주변 풍경 이미지이므로, 이러한 제 1영상 및 제 2영상을 합성함으로써 셀프 촬영 이미지의 배경을 후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풍경 이미지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입력부에는 동영상/사진 촬영 모드의 용이한 전환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제 5버튼(460)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사진 촬영 모드를 포함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제 5버튼(460)을 누를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10)를 직접 터치하지 않고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사진 촬영 모드의 진입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입력부에는 휴대용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미리 설정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거나 미리 설정된 메일 계정으로 전송하는 제 6버튼(47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 또는 동영상은 휴대용 기기(10)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 개의 사진 중 전송이 필요한 사진 또는 동영상은 상술한 방향 버튼부(411)를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이 완료된 이후 제 6버튼(470)을 누르게 되면 자동적으로 설정된 SNS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일 계정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는 제 1버튼(420) 내지 제 6버튼(470)과 같이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셀프 촬영용 스틱이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면 전원이 온(on) 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셀프 촬영용 스틱이 전원 온(on)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면 전원이 오프(off)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종료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입력부는 제 1버튼(420) 내지 제 6버튼(470) 이외에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제 7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술한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전원 온(on)/오프(off) 기능은 상기 복수 개의 버튼 중 일부를 동시에 누름으로써 실행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고 있을 경우 실행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 누르고 있을 경우 실행되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부분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 대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S100),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제 1모터부(300)의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S200),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제 1모터부(300)를 동작시키는 단계(S300) 및 촬영 종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S100)는 손잡이부(400)에 형성된 입력부를 조작하면, 제어부(600)가 휴대용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데, 구체적으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S100) 이후에는 설정된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제어부(600)가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제 1모터부(300)의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S200)가 수행된다. 이후 휴대용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제 1모터부(300)가 전 단계에서 생성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제 1모터부(300)의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단계(S300)가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설정된 촬영 모드에 기초한 촬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촬영 종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400)가 진행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중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를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촬영 모드를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하게 되면(S100), 이후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의 수행을 위하여 제어부(600)는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제 1모터부(300)의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S200).
이후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제 1모터부(300)는 전 단계(S200)에서 생성된 촬영 신호 및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게 되는데(S300),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거치부(10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310) 및 거치부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S320)로 세분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에서 생성된 제 1모터부(300)의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거치부(100)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1각도(a)만큼 회전하게 되고(S310), 이후 제 1모터부(300)의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거치부(100)가 타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2각도(b)만큼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카메라의 촬영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S320).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경우의 다른 구현 예를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거치부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및 상기 거치부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모두 상기 카메라의 촬영신호에 기초하여 촬영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카메라의 촬영신호는 거치부(10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되고, 제어부(600)에 의해 생성되는 카메라의 촬영신호 중 최초로 발생하는 카메라의 촬영신호는 거치부(100)가 일측 방향으로 제 1각도(a)만큼 회전한 후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발생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최초의 촬영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제 1모터부(300)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상술한 거치부(100)의 타측 방향 회전 및 촬영하는 단계(S320)의 수행 이후, 제어부(600)는 촬영 종료 신호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촬영 종료 신호는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제 1모터부(300)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이로센서가 휴대용 기기(10)의 타측 방향 회전 후 미리 설정된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경우, 또는 거치부(100)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 1모터부(300)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경우, 상술한 촬영 종료 신호 발생 단계(S400) 이후 거치부(100)를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단계(S500)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600)가 거치부(100)를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 1모터부(300)를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중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를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촬영 모드를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설정하게 되면(S100), 이후 파노라마 촬영 모드의 수행을 위하여 제어부(600)는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제 1모터부(300)의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S200).
이후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제 1모터부(300)는 전 단계(S200)에서 생성된 촬영 신호 및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게 되는데(S300),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거치부(100)는 제 1모터부(300)의 구동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거치부(100)가 회전하는 동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촬영 신호에 기초하여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S300).
한편, 카메라의 촬영신호는 거치부(10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되고, 제어부(600)에 의해 생성되는 카메라의 촬영신호 중 최초로 발생하는 카메라의 촬영신호는 거치부(10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발생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최초의 촬영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제 1모터부(300)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상술한 거치부(100)의 타측 방향 회전 및 촬영하는 단계(S320)의 수행 이후, 제어부(600)는 촬영 종료 신호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촬영 종료 신호는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제 1모터부(300)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이로센서가 휴대용 기기(10)의 일측 방향 회전 후 미리 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는 움직임을 검출하는 경우, 또는 거치부(10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 1모터부(300)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는 제 2버튼(430)을 다시 눌렀을 때 제 1모터부(300)에 전달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면서 발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7)

  1.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1모터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
    상기 휴대용 기기 및 상기 제 1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휴대용 기기,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된 전면 카메라 모듈 및 후면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복수 개의 촬영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는,
    상기 전면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전면 촬영 모드;
    상기 후면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후면 촬영 모드;
    상기 전면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 1모터부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 및
    상기 후면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 1모터부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
    를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의 수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버튼;
    상기 파노라마 촬영 모드의 수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버튼; 및
    상기 전면 촬영 모드 및 상기 후면 촬영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3버튼;
    을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버튼 또는 상기 제 2버튼을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촬영 모드가 상기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 또는 상기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촬영이 수행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상기 제 1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상기 휴대용 기기에서 작동 중인 카메라는 상기 후면 카메라에서 상기 전면 카메라로 전환되고,
    작동 중인 카메라가 상기 전면 카메라로 전환된 후 상기 제 1버튼을 다시 누르면 와이드 셀프 촬영이 수행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상기 제 2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상기 휴대용 기기에서 작동 중인 카메라는 상기 전면 카메라에서 상기 후면 카메라로 전환되고,
    작동 중인 카메라가 상기 전면 카메라로 전환된 후 상기 제 2버튼을 다시 누르면 파노라마 촬영이 수행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상기 제 3버튼을 누르면 상기 전면 촬영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상황에서 상기 제 3버튼을 누르면 상기 후면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거나 또는 적어도 2회 이상 연속적으로 누르는 경우, 상기 휴대용 기기에 저장된 사진을 조회할 수 있는 사진 갤러리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갤러리 모드 상에서 다시 상기 제 3버튼을 누르면 촬영 모드로 복귀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되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거치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모터부를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모터부가 상기 거치부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1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타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2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셀프 촬영용 스틱.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미리 설정된 제 2각도만큼 회전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제 1모터부를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및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를 각각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일측 방향으로 상기 제 1각도만큼 회전한 후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최초의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와이드 셀프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를 위한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의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 셀프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자이로센서가 상기 휴대용 기기의 타측 방향 회전 후 미리 설정된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치부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모터부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로 설정되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거치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모터부를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모터부가 상기 거치부를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셀프 촬영용 스틱.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및 파노라마 촬영 신호를 각각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파노라마 촬영 신호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최초의 파노라마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파노라마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파노라마 촬영 종료를 위한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의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자이로센서가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 후 미리 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는 움직임을 검출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치부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모터부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파노라마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제 2버튼을 다시 눌렀을 때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면서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1영상 및 상기 후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 2영상이 합성되어 상기 휴대용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 4버튼;
    을 더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촬영 모드는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사진 촬영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상기 사진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사진 촬영 모드의 진입을 선택하는 제 5버튼;
    을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3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미리 설정된 SNS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제 6버튼;
    을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3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면 전원이 온(on) 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전원 온(on)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면 전원이 오프(off)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종료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제 1모터부, 스틱부 및 손잡이부는 각각 분리 가능한 셀프 촬영용 스틱.
  33.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모터부와, 일측이 상기 제 1모터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와, 상기 휴대용 기기 및 상기 제 1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
    설정된 상기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1모터부가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모드에 기초한 촬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촬영 종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1모터부가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거치부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1각도만큼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거치부가 타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 2각도만큼 회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거치부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간 및 상기 거치부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동안 상기 카메라의 촬영신호에 기초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신호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일측 방향으로 상기 제 1각도만큼 회전한 후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최초의 촬영신호가 발생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촬영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3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자이로센서가 상기 휴대용 기기의 타측 방향 회전 후 미리 설정된 각도를 검출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치부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모터부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40.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종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치부를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 1모터부를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41.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1모터부가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거치부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의 촬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
    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신호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43.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에서 최초의 촬영신호가 발생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촬영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45.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자이로센서가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 후 미리 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는 검출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거치부의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모터부에 전달하는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47.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종료 신호는,
    상기 제 2버튼을 다시 눌렀을 때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면서 발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PCT/KR2016/013213 2015-11-17 2016-11-16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WO201708669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866A KR101867928B1 (ko) 2015-11-17 2015-11-17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KR10-2015-0160866 2015-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6694A1 true WO2017086694A1 (ko) 2017-05-26

Family

ID=5871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3213 WO2017086694A1 (ko) 2015-11-17 2016-11-16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7928B1 (ko)
WO (1) WO20170866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0733A (zh) * 2019-05-31 2021-08-31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自拍控制器及其控制方法
CN113890920A (zh) * 2021-10-09 2022-01-04 深圳市宇文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户外用手机连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142B1 (ko) 2017-08-09 2022-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태빌라이져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101948607B1 (ko) 2018-08-29 2019-04-02 고운택 자유회전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기구
CN210266648U (zh) * 2019-03-27 2020-04-07 源德盛塑胶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夹持机构及手持云台
CN110274140B (zh) * 2019-04-25 2020-10-16 磐安鬼谷子文化策划有限公司 一种可以调节的自拍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9777A1 (en) * 2013-01-25 2014-07-31 Informericials, Inc. Trigger actuated clamp for smart phone camera
KR20150028277A (ko) *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전동셀카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348A (ko) * 2003-07-23 200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나침반을 이용한 파노라마식 자동 촬영 장치 및 방법
US7684694B2 (en) * 2005-05-10 2010-03-23 Fromm Wayne G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and method for using the apparatus
KR101723642B1 (ko) * 2011-01-31 2017-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KR20150000421U (ko) 2014-12-04 2015-01-27 백동호 셀프카메라용 보조 기구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9777A1 (en) * 2013-01-25 2014-07-31 Informericials, Inc. Trigger actuated clamp for smart phone camera
KR20150028277A (ko) *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전동셀카봉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norama Und Selfie - Passt Das Zusammen?", WWW.ROLLEI.DE, 24 September 2015 (2015-09-24), XP055383609,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www.rollei.de/blog/panorama-und-selfie> *
HAETSALBARAM: "Durable Selfie Rod Recommendation, Sysan Selfiepod & Bluetooth Remote control", 13 November 2014 (2014-11-13),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blog.naver.com/lotusmsl2/220180665561> *
LIVEREX: "Wefie Robostick Selfie Rod, Review", 1 November 2015 (2015-11-01),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liverex.net/376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0733A (zh) * 2019-05-31 2021-08-31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自拍控制器及其控制方法
CN113890920A (zh) * 2021-10-09 2022-01-04 深圳市宇文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户外用手机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928B1 (ko) 2018-07-23
KR20170057574A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86694A1 (ko)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US7983557B2 (en) Camera and lens unit
US9426379B2 (en) Photographing unit, cooperative photograph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US9609227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image pickup and observation apparatus, image comparison and display method, image comparison and display system, and recording medium
WO2018044084A1 (ko)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TWM546639U (zh) 環景影像捕捉裝置
JP5088077B2 (ja) カメラ付携帯通信端末
WO2020204433A1 (ko) 스마트 지지 장치,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스마트 지지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방법
WO2017119575A1 (ko)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WO2016190674A1 (ko) 셀프 촬영용 스틱
JP2002062578A (ja) カメラ撮影用ホルダ
JP200223276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3333403A (ja) 電子カメラ
JP2000092358A (ja) カメラ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H0239790A (ja) テレビ電話機
CN109889751B (zh) 基于光学变焦的演讲内容便携式拍摄记录装置
JP2011109453A (ja) 撮影機器システム、外部機器、およびアダプタ
KR20080041007A (ko) 외장카메라들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의 모드 전환방법
KR100261598B1 (ko) 화상표시장치분리형디지탈스틸카메라
JP2009094797A (ja) 撮像装置
JP200420110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3987951B2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4065740B2 (ja) クレードル装置
US20220321751A1 (en) Camera viewfinder system
JP2005229538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66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666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