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752A - 셀프 촬영용 스틱 - Google Patents
셀프 촬영용 스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4752A KR20180024752A KR1020160111546A KR20160111546A KR20180024752A KR 20180024752 A KR20180024752 A KR 20180024752A KR 1020160111546 A KR1020160111546 A KR 1020160111546A KR 20160111546 A KR20160111546 A KR 20160111546A KR 20180024752 A KR20180024752 A KR 201800247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photograph
- signal
- portable terminal
- photograph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202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for rolling, i.e.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 G03B17/568—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 H04N5/232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이 상기 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틱부; 및 일측이 상기 스틱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셀프 촬영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휴대용 기기의 각도 조절은 물론 휴대용 기기에 포함된 카메라 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카란 영어의 한국식 표현인 셀프 카메라(self camera)를 줄여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신조어로서, 자신이 직접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하는 행위를 말한다.이는 촬영자 자신이 소지한 카메라나 휴대용 단말기 등의 촬영수단에 구비된 폰 카메라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하여 자신을 피사체로 촬영하는 것으로, 영어 표현으로는 셀피(selfie)라고 하고, 셀피는 영어사전으로 유명한 옥스포드 대학 출판사에 의해 2013년 올해의 단어로 선정된 바 있다.
셀카는 특히 고화질 폰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면서 카메라 대신에 스마트폰을 통하여 쉽게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일이 일상화되었고, 연예인은 물론이고 일반인들까지 셀카로 찍은 사진을 블로그나 SNS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면서 널리 유행하고 있다.
종래에 셀카를 찍는 방법은 촬영수단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든 채 팔을 앞으로 뻗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였으나 촬영자가 촬영될 자신의 모습을 미리 볼 수가 없어 촬영이 불편하였다. 최근에는 셀카 촬영 기능을 갖는 카메라나 휴대용 단말기가 보급되어 촬영자가 촬영될 자신의 모습을 미리 보면서 셀카를 찍을 수 있다. 그러나, 촬영자가 촬영수단을 직접 들고 셀카를 찍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촬영자의 머리나 상반신만 크게 나오고 뒷 배경은 거의 나오지 않으며, 여러 명이 함께 셀카를 찍는 경우 서로 억지로 붙어 있어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셀카용 스틱이 개발되어 시판중이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 선행문헌은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스마트기기로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촬영에 의해 전력 손실이 있더라도 안심하고 스마트기기로 촬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셀프 촬영용 스틱에 모터 및 모터를 제어하는 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셀프 촬영용 스틱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입력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아니라 와이드 셀프 촬영 또는 파노라마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이 상기 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틱부; 및 일측이 상기 스틱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틱부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 각도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각도 조절부는 수동으로 상기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힌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각도 조절부는 상기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입력부는 와이어를 통하여 유선으로 연결되되,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어폰 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어폰 연결홈과 대응되는 이어폰 연결 단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이어폰 연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입력부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3개의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스틱은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틱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고, 상기 스틱을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스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측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틱은 상기 인입홈에 인입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1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모컨은 상기 입력부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모터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모터가 상기 거치부를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지점에서 촬영된 제1 사진 및 상기 제2 지점에서 촬영된 제2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사진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점에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1 사진 및 상기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이 합성되어 하나의 사진이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없는 경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의 합성이 실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최초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모터가 상기 거치부를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는 복수 개의 촬영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 및 상기 촬영 신호의 발생 주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사진들 간에 중첩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 구동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사진들 간에 중첩되는 부분에서 그 발생이 중단되고, 상기 촬영 신호는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된 상태에서 발생하여 사진을 촬영한 후, 다시 모터 구동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제1 모터가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는 상기 제1 모터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가 상기 카메라의 화각보다 작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1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리모컨이 제3 지점에서 제4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리모컨은 위치 변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입력부로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4 지점을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모컨의 위치 변화 신호 및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은 자동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입력부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용 스틱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의 각도 조절은 물론 휴대용 기기 내부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가급적 휴대용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여러 기능의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성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 구동부(200), 손잡이부(300) 및 지지부(5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거치부(100)는 카메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10)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가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되, 장착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100)는 휴대용 단말기(10)가 도 1 및 도 3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거치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거치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휴대용 단말기(10)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부(110), 휴대용 단말기(10)의 아래 부분을 지지하는 하면부(120) 및 휴대용 단말기(10)의 윗 부분을 지지하되, 다양한 크기의 휴대용 단말기(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면부(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면부(120)의 상측 및 상면부(130)의 하측에는 휴대용 기기(10)와 접촉할 경우 휴대용 기기(10)의 외면에 스크레치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재질 또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부(140, 15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거치부(100)에는 후술할 구동부(200)와의 결합 및 상면부(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60) 또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200)는 일측이 거치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거치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부(210), 상하 각도 조절부(220), 연결부(230) 및 제1 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상술한 거치부(10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1 모터부(210)와 결합되어, 제1 모터부(2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함으로써 거치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하 각도 조절부(220)는 거치부(100)의 상하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거치부(100)를 상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힌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전기적 입력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모터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부(100)를 상하 회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결합부(240)는 후술할 손잡이부(300)와 결합되는 구성이며, 구체적으로 손잡이부(3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 또는 전원을 상술한 제1 모터부(210), 제2 모터부 및 휴대용 단말기(1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극, 4극 등의 이어폰 연결 단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손잡이부(300)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손잡이부(300)는 일측이 상술한 구동부(200)의 타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손잡이부(300)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310) 및 제2 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후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아울러 상술한 제2 모터가 구비될 경우, 제2 모터의 구동 신호의 발생 또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버튼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버튼들은 각각 거치부 좌측 회전 버튼, 거치부 우측 회전 버튼, 파노라마 촬영 버튼 및 와이드 셀프 촬영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파노라마(Panorama) 촬영 버튼 또는 와이드 셀프(Wide Self) 촬영 버튼을 동작시킬 경우, 제1 모터(210)의 구동 신호 및 휴대용 단말기(10)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가 함께 발생되어야 할 것이다.
제2 결합부(330)는 상술한 구동부(200)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구동부(200)에 포함된 제1 결합부(240)와 상응하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제1 결합부(240)가 이어폰 단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제2 결합부(330)는 제1 결합부(2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부(3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일부 구성들 및 휴대용 단말기(10)에 전원의 공급 또는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위하여 구비되어야 하는 배터리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손잡이부(300)에는 수용홈(320) 및 통신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지지부(500)는 손잡이부(300)를 지지하기 위하여 손잡이부(30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지지부(500)는 손잡이부(3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손잡이부(300)에 부착될 경우 셀프 촬영용 스틱은 삼각대로 활용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300)에서 탈락될 경우 셀프 카메라 스틱, 즉 셀카봉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지부(5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의 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틱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손잡이부(300)에 체결되되, 스틱을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손잡이부(300)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홈(320)에 스틱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손잡이부(300)의 내측에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스틱이 상기 인입홈에 인입 가능하도록 손잡이부(300)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틱부(400)는 일측 및 타측이 각각 구동부(200)의 타측 및 손잡이부(300)의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스틱부(4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스틱부(400) 자체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서의 각 구성들간의 상호 신호 전달을 위한 연결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휴대용 단말기(1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셀프 촬영용 스틱의 손잡이부(300)에 구비된 입력부(310)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 내에 구비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310) 및 휴대용 단말기(10)가 무선으로 통신할 경우,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이 수행될 수 있으며, 유선으로 통신할 경우 입력부(310)와 휴대용 단말기(10)는 별도의 와이어(Wire)를 통하여 유선으로 연결되되, 이러한 와이어(Wire)는 입력부(310)를 포함하는 손잡이부(300) 및 구동부(200)를 경유하여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0)와 연결될 것이다.
이 경우, 구동부(200)의 일측에는 와이어(Wire)의 일단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형성되고, 이러한 커넥터는 휴대용 단말기(10)에 삽입됨으로써, 입력부(310)와 휴대용 단말기(10)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터(210)가 회전하는 경우, 와이어(Wire)가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커넥터는 제1 모터(2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이어폰 연결홈과 대응되는 이어폰 연결 단자, 즉 3극, 4극 등의 이어폰 연결 단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넥터가 이어폰 연결홈에 삽입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와 입력부(310)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휴대용 단말기(10) 및 제1 모터(210)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리모컨(Remote Controller)를 구비할 수 있다.
리모컨에는 상술한 입력부(310)에 포함된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리모컨을 이용하여 제1 모터(210) 및 휴대용 단말기(10)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손잡이부(300)에 구비된 통신부(340)가 리모컨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모터(210) 및 휴대용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310)는 리모컨으로부터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모터 구동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휴대용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 내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입력부(3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모터(210) 및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리모컨, 휴대용 단말기(10)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입력부(310)와의 통신에 대하여 정리해보면, 리모컨은 입력부(310)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입력부(310)는 제1 모터(21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입력부(310)는 휴대용 단말기(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됨으로써, 리모컨에서 발생한 제어 신호가 입력부(310)를 통하여 제1 모터(210) 및 휴대용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촬영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용 단말기(10)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 및 와이드 셀프 촬영 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10)에 구비된 카메라는 고정된 화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파노라마 촬영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을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한 후,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함으로써 하나의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상술한 파노라마 촬영 또는 와이드 셀프 촬영시, 모터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에 촬영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한번의 조작으로 파노라마 촬영 및 와이드 셀프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에 휴대용 단말기(10)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제1 모터(210)를 구동하되,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하여 제1 모터(210)가 거치부(100)에 수용된 휴대용 단말기(10)를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고, 카메라는 제1 지점에서 촬영된 제1 사진 및 제2 지점에서 촬영된 제2 사진을 촬영하고,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사진을 획득하게 된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부(300)의 입력부(310)에 구비된 와이드 셀프 촬영 버튼 또는 파노라마 촬영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1 지점에서의 휴대용 단말기(10a)가 제1 사진(a)을 먼저 촬영하고, 제1 모터(210)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10b)는 제1 지점에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한 후 제2 지점에서의 휴대용 단말기(10b)가 제2 사진(b)을 촬영한 후, 휴대용 단말기(10)가 제1 사진(a) 및 제 2사진(b)을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의 획득시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복수 개의 사진 간의 중첩되는 부분이 있어야만 연속적인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의 획득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제1 지점에서부터 제2 지점까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함에 있어서,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 간의 중첩되는 영역(c)이 있도록 설정하여야 할 것이며, 제 1사진(a) 및 제2 사진(b)의 합성에 있어서, 중첩되는 영역(c)을 기준으로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을 합성함으로써, 하나의 연속적인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없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 모터(210)의 구동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거나, 그 밖의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제1 사진(a) 및 제2 사진(b)의 합성을 수행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지점에서 촬영한 2개의 사진의 합성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지점에서 촬영한 사진들의 합성을 통하여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의 획득 또한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부(300)의 입력부(310)에 구비된 와이드 셀프 촬영 버튼 또는 파노라마 촬영 버튼을 누르게 되면, 최초 촬영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후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해서 제1 모터(210)가 거치부(100)를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거치부(100)가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는 동안 카메라는 복수 개의 촬영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진으로 합성된다.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 및 복수 개의 촬영 신호의 발생 주기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사진들 간에 중첩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모터 구동 신호는 복수 개의 사진들 산에 중첩되는 부분에서 그 발생이 중단되도록 발생 주기가 설정되고, 촬영 신호는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된 상태에서 발생하여 사진을 촬영한 후, 다시 모터 구동 신호가 발생하여 제1 모터가 거치부(100)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는 카메라의 화각에 기초하여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는 상기 제1 모터(210)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100)의 회전 각도가 상기 카메라의 화각보다 작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앞에서는 제1 모터(210)의 구동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한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상하 각도 조절부(220)가 제2 모터로 형성될 경우, 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한 파노라마 사진 또는 와이드 셀프 사진의 획득 시에도 상술한 내용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 및 제1 모터(21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입력부(310)는 리모컨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모터(210) 및 휴대용 단말기(10)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하는데, 리모컨이 제3 지점에서 제4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 리모컨은 위치 변화 신호를 발생시켜 입력부로 전송하고, 입력부는 휴대용 단말기(10)에 포함된 카메라가 제4 지점을 향하도록 거치부(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지지대(500)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용 스틱을 고정 설치할 경우, 리모컨의 이동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를 리모컨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리모컨의 위치 변화 신호 및 제1 모터의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은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 입력 없이 자동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휴대용 단말기
100: 거치부
200: 구동부
300: 손잡이부
400: 스틱부
500: 지지부
100: 거치부
200: 구동부
300: 손잡이부
400: 스틱부
500: 지지부
Claims (25)
-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이 상기 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스틱부; 및
일측이 상기 스틱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타측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 각도 조절부가 구비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각도 조절부는 수동으로 상기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힌지로 형성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각도 조절부는 상기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입력부는 와이어를 통하여 유선으로 연결되되,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어폰 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어폰 연결홈과 대응되는 이어폰 연결 단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이어폰 연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입력부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3개의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스틱은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고,
상기 스틱을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스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측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틱은 상기 인입홈에 인입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1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컨;
을 더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상기 입력부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모터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모터가 상기 거치부를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지점에서 촬영된 제1 사진 및 상기 제2 지점에서 촬영된 제2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사진을 획득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에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1 사진 및 상기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있도록 설정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이 합성되어 하나의 사진이 획득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진 및 제2 사진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없는 경우, 제1 사진 및 제2 사진의 합성이 실행되지 않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최초 촬영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모터가 상기 거치부를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는 복수 개의 촬영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촬영 신호의 발생 주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사진들 간에 중첩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사진들 간에 중첩되는 부분에서 그 발생이 중단되고,
상기 촬영 신호는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이 중단된 상태에서 발생하여 사진을 촬영한 후, 다시 모터 구동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제1 모터가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 주기는 상기 제1 모터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가 상기 카메라의 화각보다 작도록 설정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1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 신호 및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리모컨이 제3 지점에서 제4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리모컨은 위치 변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입력부로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4 지점을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셀프 촬영용 스틱.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의 위치 변화 신호 및 상기 모터 구동 신호의 발생은 자동으로 구현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1546A KR20180024752A (ko) | 2016-08-31 | 2016-08-31 | 셀프 촬영용 스틱 |
PCT/KR2017/009519 WO2018044084A1 (ko) | 2016-08-31 | 2017-08-31 |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이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1546A KR20180024752A (ko) | 2016-08-31 | 2016-08-31 | 셀프 촬영용 스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4752A true KR20180024752A (ko) | 2018-03-08 |
Family
ID=6130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1546A KR20180024752A (ko) | 2016-08-31 | 2016-08-31 | 셀프 촬영용 스틱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24752A (ko) |
WO (1) | WO2018044084A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2600A (ko) * | 2019-06-18 | 2019-10-30 | 썬전 마시아오루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삼각대 |
KR20200005990A (ko) * | 2018-07-09 | 2020-01-17 | 징화 산 | 스위칭 어댑터 장치 및 촬영 안정화 장치 |
KR20200086612A (ko) * | 2019-01-08 | 2020-07-17 | 징화 산 | 셀프 촬영 장치 |
KR20200094989A (ko) * | 2019-01-31 | 2020-08-10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격 제어 가능한 트라이포드 |
KR102155958B1 (ko) * | 2019-04-05 | 2020-09-14 | 김성현 | 스마트 지지 장치 |
KR20200108692A (ko) * | 2019-03-11 | 2020-09-21 | 김동영 | 휴대전화를 이용한 피사체 추적장치 |
KR20200124119A (ko) * | 2019-04-23 | 2020-11-02 | 김제훈 |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2439A (ko) * | 2013-11-29 | 2015-06-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그리고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어하는 방법 |
KR20160000408U (ko) * | 2014-07-25 | 2016-02-03 | 허홍 |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
KR20150028277A (ko) * | 2015-02-12 | 2015-03-13 |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 전동셀카봉 |
KR101622782B1 (ko) * | 2015-12-10 | 2016-05-19 | 주식회사 엠아이티 | 스마트기기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셀카봉 |
KR20160019481A (ko) * | 2016-02-01 | 2016-02-19 | 이기영 | 서보모터(servo motor)를 가지는 스마트폰 셀카봉 |
-
2016
- 2016-08-31 KR KR1020160111546A patent/KR201800247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
- 2017-08-31 WO PCT/KR2017/009519 patent/WO201804408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5990A (ko) * | 2018-07-09 | 2020-01-17 | 징화 산 | 스위칭 어댑터 장치 및 촬영 안정화 장치 |
KR20200086612A (ko) * | 2019-01-08 | 2020-07-17 | 징화 산 | 셀프 촬영 장치 |
KR20200094989A (ko) * | 2019-01-31 | 2020-08-10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격 제어 가능한 트라이포드 |
KR20200108692A (ko) * | 2019-03-11 | 2020-09-21 | 김동영 | 휴대전화를 이용한 피사체 추적장치 |
KR102155958B1 (ko) * | 2019-04-05 | 2020-09-14 | 김성현 | 스마트 지지 장치 |
KR20200124119A (ko) * | 2019-04-23 | 2020-11-02 | 김제훈 |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
KR20190122600A (ko) * | 2019-06-18 | 2019-10-30 | 썬전 마시아오루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삼각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44084A1 (ko) | 2018-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24752A (ko) | 셀프 촬영용 스틱 | |
JP6692462B2 (ja) | 手持式スタビライザー | |
CN210041911U (zh) | 手持装置及拍摄设备 | |
KR101667394B1 (ko) |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 |
CN204420520U (zh) | 一种手持自稳拍照云台 | |
KR101867928B1 (ko) |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 |
KR101718441B1 (ko) |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 |
TW201503681A (zh) | 智慧型手機的附加式相機 | |
CN105120170A (zh) | 一种自拍装置和自拍方法 | |
WO2018000122A1 (zh) | 自拍装置 | |
CN110326286B (zh) | 便携式手柄 | |
KR101082798B1 (ko) |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 |
JP2016017993A (ja) | 撮像装置 | |
KR101907895B1 (ko) | 셀프 촬영용 스틱 | |
KR20130124422A (ko) | 팬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용 무선 제어 시스템 | |
JP2008288920A (ja) |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 |
KR20050059578A (ko) | 영상신호 촬상장치의 받침대 | |
KR101712724B1 (ko) | 전자기기 거치대 | |
WO2015159565A1 (ja) | 撮像装置および把持部材 | |
KR101633865B1 (ko) | 스마트폰용 셀프 카메라 촬영장치 | |
KR20190143076A (ko) |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 |
KR20160019481A (ko) | 서보모터(servo motor)를 가지는 스마트폰 셀카봉 | |
KR20170129557A (ko) |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 | |
CN109495627A (zh) | 一种自拍杆 | |
CN206626370U (zh) | 一种可组合式稳定云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