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557A -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557A
KR20170129557A KR1020160060406A KR20160060406A KR20170129557A KR 20170129557 A KR20170129557 A KR 20170129557A KR 1020160060406 A KR1020160060406 A KR 1020160060406A KR 20160060406 A KR20160060406 A KR 20160060406A KR 20170129557 A KR20170129557 A KR 20170129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photographing
portable terminal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선
Original Assignee
엠투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투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투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9557A/ko
Publication of KR2017012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16M11/123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the axis of rotation intersecting in a single point, e.g. by using gimb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0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 G02B15/1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by adding a part, e.g. close-up attachment
    • G02B15/1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by adding a part, e.g. close-up attachment by adding telescopic attach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카메라부,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손잡이부, 그리고 일단은 상기 카메라부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스마트폰을 통해 크게 확인하면서 원하는 촬영 각도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Portable Camera and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의 카메라 성능 향상 및 그 편의성으로 인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한 사진 촬영은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셀프 촬영시, 많은 주변 배경을 사진에 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의 물리적 거리를 최대한 확보할 필요가 있게 되고, 이를 위하여 최대한 팔을 뻗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세는 손 떨림으로 인하여 사진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또한 원하는 만큼의 줌-아웃(zoom-out) 효과를 얻을 수 없어 주변 배경을 사진에 충분히 담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봉 형태의 도구를 이용하여 촬영자로부터 스마트폰이 일정한 거리가 이격되도록 팔을 뻗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셀카봉이라는 것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종종 고가의 스마트폰이 거치대에서 이탈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사용자로부터 멀리 이격된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카메라 촬영 영상을 보면서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화면이 작을 경우에 사용자가 촬영되는 화면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스마트폰을 통해 크게 확인하면서 원하는 촬영 각도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장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손잡이부, 그리고 일단은 상기 카메라부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카메라 통신부,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카메라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사용자의 신체나 물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고정될 수 있는 클립 형태로 형성되는 클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지지대에서 분리되어 상기 클립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나 물건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입력 모듈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 통신부로 무선 전송하는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통신부는, 상기 휴대 단말 또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상기 촬영부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상기 카메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통신부와 상기 휴대 단말이 통신 연결되면,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 기준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 또는 상기 손잡이 통신부로부터 녹화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 기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부의 케이스와 상기 손잡이부의 케이스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촬영 대상인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와 초점 방향이 나란하게 상기 카메라부의 케이스에 설치되는 거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된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지그비 채널을 통해 전송받으면, 상기 휴대 단말에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되는 촬영 서비스 어플에 설정된 SSID 및 비밀 번호를 상기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 전송받으며, 상기 SSID 및 비밀번호가 설정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여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와이파이 채널로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은,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손잡이부, 그리고 일단은 상기 카메라부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된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지그비 채널을 통해 전송받으면, 상기 휴대 단말에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되는 촬영 서비스 어플에 설정된 SSID 및 비밀 번호를 상기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 전송받으며, 상기 SSID 및 비밀번호가 설정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여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와이파이 채널로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 제어 방법은,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 모듈을 구비한 손잡이부를 무선 통신을 위해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와 휴대 단말을 무선 통신을 위해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 촬영 동작을 온 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동작을 온 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일정 기준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프리뷰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녹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일정 기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동영상으로 처리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저장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의 일단은 상기 카메라부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 제어 방법은,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와이파이 채널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에 설치된 촬영 서비스 어플에서 SSID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에 지지대를 통해 연결되는 손잡이부에서 지그비 채널로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상기 카메라부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블루투스 채널로 상기 휴대 단말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로 설정된 SSID 및 비밀 번호를 블루투스 채널로 상기 카메라부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SSID 및 비밀번호가 설정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여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와이파이 채널로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스마트폰을 통해 크게 확인하면서 원하는 촬영 각도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손잡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부와 손잡이부가 끼움 결합된 모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부와 지지대가 틸팅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의 영상 촬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의 영상 촬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의 통신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스마트폰을 사용한 종래의 촬영 모습을 나타낸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은 휴대용 촬영 장치(1)와 휴대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촬영 장치(1)에서 촬영된 영상은 무선으로 휴대 단말(400)에 전송될 수 있다.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저주파, 적외선,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무선 통신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휴대 단말(4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400)은 영상 촬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영상 촬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하 '촬영 서비스 어플'이라 함)은 휴대용 촬영 장치(1)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영상 촬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촬영 장치(1)는 카메라부(100), 지지대(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00)는 촬영 대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휴대 단말(400)에 전송할 수 있다.
지지대(200)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방식은 관 내부에 또 다른 관이 내장되어 이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겹치게 해서 전체 길이를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지지대(200)의 일단에는 카메라부(100)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대(200)의 타단에는 손잡이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300)는 카메라부(10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31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손잡이부(300)를 손으로 파지하고 지지대(200)의 일단에 결합된 카메라부(100)의 위치 및 촬영 방향 등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촬영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입력 모듈(310)은 누름 버튼 방식이나 터치 버튼 방식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나 터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300)는 내부에 지지대(2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대(200)를 최소 길이가 되도록 줄이면, 지지대(200)는 손잡이부(300)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100)는 지지대(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카메라부(100)를 지지대(200)에서 분리하여 사용자의 신체, 의복이나 물건 등에 별도로 거치되고, 사용자는 손으로 손잡이부(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입력 모듈(310)을 조작하거나 휴대 단말(400)을 조작하여 카메라부(100)에서 영상 촬영 및 전송 등의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카메라부(100)는 촬영부(110), 카메라 제어부(120), 카메라 배터리부(130), 카메라 통신부(140), 스피커부(151), 마이크부(153), 발광부(155), 입출력 포트부(157) 및 메모리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촬영 대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촬영부(110)는 렌즈부(111)와 이미지 센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11)는 촬영 대상인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미지 센서부(113)는 렌즈부(111)에서 수광된 반사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카메라부(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며,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의 해상도로 처리하여 메모리부(160)에 저장하거나 휴대 단말(400)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촬영 명령에 따라 촬영부(110)를 제어하여 스냅샷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생성된 동영상을 카메라 통신부(140)를 통해 휴대 단말(400)에 무선으로 스트리밍 할 수 있으며, 스냅샷 영상으로 전송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부(100)와 휴대 단말(400)이 통신 연결되면, 카메라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 기준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휴대 단말(400)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촬영 명령 전에는 일정 기준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는 프리뷰(preview) 영상을 무선으로 휴대 단말(400)에 전송하게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부(1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휴대 단말(400)의 화면을 통해 보면서 촬영 위치 및 촬영 방향 등을 조정한 후에 촬영 명령을 입력하면, 카메라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 기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휴대 단말(400)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명령이 스냅샷 촬영 명령이면, 카메라 제어부(120)는 촬영부(110)를 제어하여 일정한 해상도를 가지는 스냅샷 영상을 획득하여 휴대 단말(40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촬영 명령이 동영상 촬영 명령이면, 카메라 제어부(120)는 촬영부(110)를 제어하여 일정한 해상도를 가지는 동영상을 획득하여 휴대 단말(40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카메라 배터리부(130)는 카메라부(1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 배터리부(130)는 입출력 포트부(157)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될 수도 있다.
입출력 포트부(157)는 마이크로 USB 포트 등과 같은 신호/전원 입출력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 통신부(140)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저주파, 적외선, 지그비(Zig-Bee) 또는 애드혹(Ad-hoc)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 통신부(140)는 휴대 단말(400) 및 손잡이부(300)와 모두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복수 개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예시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중 복수 개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통신부(140)는 블루투스 모듈 및/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서는 휴대 단말(40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지그비 모듈로는 손잡이부(3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통신부(140)는 휴대 단말(400) 또는 손잡이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촬영부(11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을 수 있으며, 휴대 단말(400)에 영상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통신부(140)는 지그비 통신 채널을 통해 손잡이부(300)로부터 제어 명령이나 장치 상태 정보 등과 같은 비교적 소량의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카메라 통신부(140)는 휴대 단말(400)과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통해서는 제어 명령이나 장치 상태 정보 등과 같은 비교적 소량의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하고, 영상 전송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은 와이파이 채널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피커부(151) 및 발광부(155)는 카메라부(100)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소리 또는 빛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제어부(120)는 휴대 단말(400)과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소리 또는 빛의 형태로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카메라 제어부(120)는 휴대 단말(400)과 통신이 연결되면, 통신이 지속적으로 연결되는지 판단하여 통신 연결이 해제될 경우, 스피커부(151) 및 발광부(155)를 통해 소리 또는 빛을 출력하여 통신 연결 해제를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20)는 촬영의 시작 또는 종료 등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소리 또는 빛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카메라부(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부(153)는 카메라부(100)에서 동영상 촬영 등이 수행할 때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카메라 제어부(120)에 전달하여 녹음되게 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카메라부(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냅샷 영상이나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영상은 입출력 포트부(157)를 통해 유선으로 외부 기기에 제공되거나, 카메라 통신부(140)를 통해 휴대 단말(400)을 포함하여 외부 기기에 무선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부(100)는 스피커부(151) 및 발광부(15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도 2에서 예시한 다른 구성 요소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손잡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손잡이부(300)는 입력 모듈(310), 제어 모듈(330), 통신 모듈(350) 및 배터리 모듈(37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310)은 누름 버튼 방식이나 터치 버튼 방식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나 터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입력 모듈(310)을 4초 동안 누르고 있으면, 손잡이부(300)의 통신 모듈(350)과 카메라부(100)의 카메라 통신부(140)가 지그비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 모듈(310)을 2초 동안 누르면, 카메라부(100)의 촬영부(110)의 촬영 동작을 온 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촬영부(110)의 촬영 동작이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 모듈(310)을 1초 동안 누르면, 촬영부(110)가 스냅샷 촬영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촬영부(110)의 촬영 동작이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 모듈(310)을 2초 동안 누르면, 카메라부(100)의 촬영부(110)의 촬영 동작을 종료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입력 모듈(310)의 버튼 누름이나 버튼 터치 동작을 통한 사용자 명령 입력 방법은 예시이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입력 모듈(3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카메라부(10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통신 모듈(350)을 통해 카메라부(100)의 카메라 통신부(14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350)은 카메라 통신부(115)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 모듈(370)은 손잡이부(30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코인 배터리와 같이 소형의 중량이 작은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370)은 배터리 용량이 소진되면 새로 교체될 수 있다. 물론 배터리 모듈(370)을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부와 손잡이부가 끼움 결합된 모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지지대(200)가 손잡이부(300)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카메라부(100)의 케이스와 손잡이부(300)의 케이스가 도 4에 예시한 것과 같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4의 (a)는 휴대용 촬영 장치(1)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휴대용 촬영 장치(1)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를 나타낸 것이다.
카메라부(100)의 케이스는 사용자의 신체나 물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고정될 수 있는 클립 형태로 형성되는 클립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손잡이부(300)의 케이스에 클립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부(100)의 케이스에는 마이크 구멍(153h), 렌즈부(110), 발광부(155) 및 거울(180) 등이 형성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 구멍(153h)을 통해 외부 소리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마이크부(153)에 전달될 수 있다.
거울(180)과 렌즈부(110)는 초점 방향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 얼굴 정면이 거울(180)에 보이면, 카메라부(100)의 현재 위치 및 방향에서 사용자의 얼굴 정면이 촬영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손잡이부(300)의 케이스에는 배터리 커버 케이스(300')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손잡이부(300)의 케이스로부터 배터리 커버 케이스(300')를 분리하고 안에 수용되어 있는 배터리를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할 수 있다.
도 4에 예시한 것과 같이 카메라부(100)와 손잡이부(300)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부(100)와 손잡이부(300)를 양손으로 각각 잡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에 예시한 것과 같이 지지대(200)가 연장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부와 지지대가 틸팅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카메라부(100)의 케이스 하단에는 틸팅 결합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틸팅 결합부(190)에는 샤프트(210)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200)의 상단(205)에도 샤프트(210)가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틸팅 결합부(190)와 지지대(200)의 상단(205)에 각각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샤프트(210)를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220)를 샤프트(21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카메라부(100)를 지지대(200)의 상단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대(200)를 기준으로 카메라부(100)를 일정 각도 틸팅시킴으로써 원하는 촬영 각도를 얻을 수 있다.
틸팅 결합부(190), 지지대(200)의 상단(205), 샤프트(210) 및 너트(220)의 형상 및 구조는 틸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면, 도 5에서 예시한 것과 다르게 변형하여 실시해도 무방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샤프트(210) 및 너트(220)의 체결을 해제하고, 카메라부(100)를 지지대(200)의 상단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카메라부(100)와 손잡이부(300)를 분리시킬 수 있다다.
카메라부(100)와 손잡이부(300)가 분리된 상태에서, 가령 사용자는 카메라부(100)를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이나 사용자의 다른 물건 등에 거치하고, 손으로는 손잡이부(300)를 거치한 상태에서 카메라부(100)의 촬영, 영상 저장 및 영상 전송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휴대 단말(4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서도 카메라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손잡이부(300)의 케이스 상단 내부에는 틸팅 결합부(190), 샤프트(210) 및 너트(22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카메라부(100)의 케이스 하단에는 손잡이부(300)의 케이스와 끼움 결합을 위한 볼록부(19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볼록부(1191)의 외경을 손잡이부(300)의 케이스 상단에 형성된 수용 공간의 내경과 일치하게 형성함으로써 도 4에 예시한 것과 같이 카메라부(100)의 케이스와 손잡이부(300)의 케이스는 끼움 결합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의 영상 촬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부(300)에 구비된 입력 모듈(310)을 조작하여 카메라부(100)의 카메라 통신부(140)와 손잡이부(300)의 통신 모듈(350)을 페어링(paring) 시킬 수 있다(S605).
이후 손잡이부(300)에 구비된 입력 모듈(310)을 통해 촬영부(110)의 촬영 동작을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610-Y), 손잡이부(300)의 제어 모듈(330)은 촬영 동작 온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350)을 통해 카메라 통신부(14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S615).
카메라 제어부(120)는 촬영 동작 온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부(11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촬영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S620).
카메라 제어부(120)는 손잡이부(300)로부터 스냅샷 촬영 명령이 전송되면(S625-Y), 촬영부(110)를 제어하여 스냅샷을 촬영하여(S630), 메모리부(117)에 스냅샷 영상을 저장되게 할 수 있다(S635).
단계(S620)에서 촬영 동작이 개시되면 카메라 제어부(120)는 촬영된 영상을 동영상으로 메모리부(160)에 녹화되게 하거나, 손잡이부(300)로부터 별도로 녹화 명령을 수신하면 그 때부터 촬영부(1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메모리부(160)에 녹화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서는 휴대 단말(400)과 연동하지 않고 휴대용 촬영 장치(1) 만으로 영상 촬영 및 녹화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의 영상 촬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부(300)에 구비된 입력 모듈(310)을 조작하여 카메라부(100)의 카메라 통신부(140)와 손잡이부(300)의 통신 모듈(350)을 페어링 시킬 수 있다(S705).
한편 사용자는 휴대 단말(400)에 설치된 영상 촬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휴대 단말(400)과 카메라부(100)의 카메라 통신부(140)를 페어링 시킬 수 있다(S710).
카메라 통신부(140)와 손잡이부(300)의 통신 모듈(350)은 지그비 페어링을 시키고, 휴대 단말(400)과 카메라부(100)의 카메라 통신부(140)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시킬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기기간 통신 연결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
이후 손잡이부(300)에 구비된 입력 모듈(310)을 통해 촬영부(110)의 촬영 동작을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715-Y), 손잡이부(300)의 제어 모듈(330)은 촬영 동작 온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350)을 통해 카메라 통신부(14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S720).
카메라 제어부(120)는 촬영 동작 온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부(11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촬영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S725).
실시예에 따라 단계(S725) 이후에 휴대 단말(400)과 카메라부(100)의 카메라 통신부(140)의 페어링이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소정의 기준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는 프리뷰 영상으로 처리하여 휴대 단말(400)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S730).
휴대 단말(400)은 프리뷰 영상을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735).
그러면 사용자는 단계(S735)에서 휴대 단말(400)에 표시되는 프리뷰 영상을 확인하면서 카메라부(100)의 위치 및 촬영 방향 등을 원하는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카메라 제어부(120)는 손잡이부(300) 또는 휴대 단말(400)로부터 스냅샷 촬영 명령이 전송되면(S740-Y), 촬영부(110)를 제어하여 스냅샷을 촬영하고745), 일정 기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스냅샷 영상으로 처리하여 휴대 단말(400)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S750).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 제어부(120)는 메모리부(160)에도 스냅샷 영상을 저장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 제어부(120)는 손잡이부(300) 또는 휴대 단말(400)로부터 동영상 녹화 명령이 전송되면(S755-Y), 촬영부(1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일정 기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동영상으로 처리하여(S760), 휴대 단말(400)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저장되게 할 수 있다(S765).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시스템의 통신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가 휴대 단말(400)에서 촬영 서비스 어플을 실행하고, 촬영 서비스 어플의 와이파이 접속 정보 설정 메뉴 화면 상에서 SSID 및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S805). 카메라부(100)는 단계(S805)에서 설정된 SS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네트워크 상에서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손잡이부(300)에서 사용자가 어플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S810), 손잡이부(300)는 지그비 채널로 카메라부(100)에 어플 실행 명령을 무선 전송할 수 있다(S815).
그러면 카메라부(100)는 휴대 단말(400)에 블루투스 채널로 어플 실행 명령을 무선 전송할 수 있다(S820).
단계(815) 및 단계(S820)에서 지그비 채널 연결과 블루투스 채널 연결은 사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휴대 단말(400)은 카메라부(100)로부터 어플 실행 명령을 수신하면 촬영 서비스 어플을 자동 실행시킨다(S823). 물론 휴대 단말(400) 상에서 이미 촬영 서비스 어플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823)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400)은 단계(S805)에서 설정된 SSID 및 비밀번호를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 카메라부(100)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S825).
그러면 카메라부(100)는 카메라 통신부(140)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활성화하고, 단계(S825)에서 전송된 SS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네트워크 상에서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S830).
다음으로 휴대 단말(400)은 단계(S835)에 설정된 SS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00)와 와이파이 접속을 수행한다(S835).
이후 카메라부(100)는 촬영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 와이파이 채널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840).
이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통해서는 제어 명령이나 장치 상태 정보 등과 같은 비교적 소량의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하고, 영상 전송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은 와이파이 채널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휴대용 촬영 시스템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손잡이부, 그리고
    일단은 상기 카메라부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카메라부는,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카메라 통신부,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카메라 배터리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3. 제 2 항에서,
    상기 카메라부는,
    사용자의 신체나 물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고정될 수 있는 클립 형태로 형성되는 클립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4. 제 2 항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입력 모듈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 통신부로 무선 전송하는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5. 제 4 항에서,
    상기 카메라 통신부는,
    상기 휴대 단말 또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상기 촬영부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상기 카메라 제어부에 전달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6. 제 4 항에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통신부와 상기 휴대 단말이 통신 연결되면,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 기준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 또는 상기 손잡이 통신부로부터 녹화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소정 기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7. 제 6 항에서,
    상기 지지대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부의 케이스와 상기 손잡이부의 케이스가 끼움 결합되는 휴대용 촬영 장치.
  8. 제 2 항에서,
    상기 촬영부는 촬영 대상인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와 초점 방향이 나란하게 상기 카메라부의 케이스에 설치되는 거울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9. 제 2 항에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된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지그비 채널을 통해 전송받으면, 상기 휴대 단말에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되는 촬영 서비스 어플에 설정된 SSID 및 비밀 번호를 상기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 전송받으며, 상기 SSID 및 비밀번호가 설정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여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와이파이 채널로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10.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손잡이부, 그리고 일단은 상기 카메라부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된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지그비 채널을 통해 전송받으면, 상기 휴대 단말에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되는 촬영 서비스 어플에 설정된 SSID 및 비밀 번호를 상기 블루투스 채널을 통해 전송받으며, 상기 SSID 및 비밀번호가 설정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여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와이파이 채널로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휴대용 촬영 시스템.
  11.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 모듈을 구비한 손잡이부를 무선 통신을 위해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와 휴대 단말을 무선 통신을 위해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 촬영 동작을 온 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동작을 온 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일정 기준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프리뷰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녹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일정 기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동영상으로 처리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저장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의 일단은 상기 카메라부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휴대용 촬영 시스템 제어 방법.
  12.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와이파이 채널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에 설치된 촬영 서비스 어플에서 SSID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에 지지대를 통해 연결되는 손잡이부에서 지그비 채널로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상기 카메라부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 서비스 어플 실행 명령을 블루투스 채널로 상기 휴대 단말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로 설정된 SSID 및 비밀 번호를 블루투스 채널로 상기 카메라부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SSID 및 비밀번호가 설정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여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와이파이 채널로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60060406A 2016-05-17 2016-05-17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 KR20170129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406A KR20170129557A (ko) 2016-05-17 2016-05-17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406A KR20170129557A (ko) 2016-05-17 2016-05-17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557A true KR20170129557A (ko) 2017-11-27

Family

ID=6081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406A KR20170129557A (ko) 2016-05-17 2016-05-17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95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118B1 (ko) * 2019-06-18 2020-04-14 김해림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WO2022040699A1 (en) * 2020-08-20 2022-02-24 Healy Patrick Bruce Camera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118B1 (ko) * 2019-06-18 2020-04-14 김해림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WO2022040699A1 (en) * 2020-08-20 2022-02-24 Healy Patrick Bruce Camera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542B1 (ko) 촬영 장치,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촬영 시스템 및 그 촬영 방법
US9007464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ing method, and program stored in non-transitory medium in photographing apparatus
US933836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capturing a subject to be recorded with intended timing
US9609227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image pickup and observation apparatus, image comparison and display method, image comparison and display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9924087B2 (e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information suppor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support program
KR102661185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이미지 촬영 방법
CN108063859B (zh) 一种自动拍照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JP6029292B2 (ja) 通信機器、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2918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maging system
KR20170129557A (ko)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
JP5499754B2 (ja) 撮像装置
JP5392141B2 (ja) 電子機器
JP5446976B2 (ja) 電子機器
KR20140010805A (ko) 촬영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6220261A (ja) 電子機器
JP2015162822A (ja) 電子機器、撮像装置及び通信装置
JP2015012550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5754500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用プログラム
JP6590605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携帯表示機器、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携帯表示機器の制御方法、及びウエアラブル表示機器
JP6246296B2 (ja) 通信機器、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40240B2 (ja) 電子機器
JP5448913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用プログラム
TWI581193B (zh) Image tracking device and method
JP5644976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用プログラム
JP5614487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