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118B1 -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 Google Patents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118B1
KR102101118B1 KR1020190072289A KR20190072289A KR102101118B1 KR 102101118 B1 KR102101118 B1 KR 102101118B1 KR 1020190072289 A KR1020190072289 A KR 1020190072289A KR 20190072289 A KR20190072289 A KR 20190072289A KR 102101118 B1 KR102101118 B1 KR 102101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camera
endoscope
detection
sn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림
Original Assignee
김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림 filed Critical 김해림
Priority to KR102019007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은, 전문 탐지사가 정기적으로 몰래카메라 탐지기를 활용해서 점검서비스를 제공하고 안전구역을 확보하며 고객들이 몰래카메라 범죄에 노출되는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하여 몰래카메라 안전구역을 만들어가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은,
전파탐지기를 이용하여,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 지역의 전파를 탐지하고, 유무선으로 전송되는 주파수를 파악하면 해당 주파수를 스캔하며, 해당 주파수로 전송중인 영상을 포착하여 액정모니터에 나타내고, 상기 영상을 보면서 어느 위치에서 몰래카메라 촬영이 되는지 파악하는 탐지 제1단계;
내시경탐지기를 이용하여, 내시경탐지기의 카메라장착부에 내시경카메라를 장착하고 전원부와 전원케이블을 연결하며, 내시경탐지기의 전원을 켜고 내시경카메라를 구동시키며, 플래쉬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적색의 아크릴판을 제1조인트 전면에 거치하고,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지역에 접근되도록 탐지봉조종부를 조종하여 탐지봉을 확장시키고, 설치 의심지역에 맞게 제2조인트의 상하각도를 조절하고 플래쉬 불빛이 비춰지게 하며, 이어서 제1조인트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내시경 카메라가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지역을 향하게 하고, 내시경카메라가 탐지하는 영상이 탐지사의 스마트폰에 시현되는 것을 관찰하며, 몰래카메라가 은닉된 정확한 지점을 찾는 탐지 제2단계;
내시경카메라의 촬영영상을 통해 몰래카메라 장치를 발견하고, 내시경카메라와 연동된 스마트폰의 촬영장치를 구동시켜 몰래카메라의 모습을 촬영하며, 스마트폰에 몰래카메라 영상이 동영상과 정지영상으로 구분 저장되고 촬영위치, 시간, 업소명, 탐지사 정보가 함께 저장되도록 하는 탐지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Hidden Camera}
본 발명은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불법적으로 설치되어 불법촬영하는 장치를 정밀 탐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은, 점차 소형화되고 고성능화되어 종래의 탐지기술로는 발견되지 않는 몰래카메라를 탐지할 수 있는 고가의 정밀 탐지장치를 이용하여 전문 탐지사가 지속적으로 숙박시설, 위락시설, 사무실, 공중위생시설 등을 점검함으로써 사생활 침해, 보안정책 유출, 범죄 노출 등을 차단하기 위한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및 광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카메라의 성능은 향상되고 그 크기는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이를 악용하여 범죄에 이용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초소형 카메라와 마이크로폰 및 고성능의 소형 무선송신기를 결합한 몰래 카메라를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장소에 설치한 후 그 내부 상황을 엿보거나 녹취 및 녹화하는 행태가 급증하고 있다.
2000년 이후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는 전자 문명은 각종 디바이스들을 자동화시켜 현대인들의 생활을 더욱 윤택하고 편리하게 향상시키고 있는 반면에, 타인의 비밀을 쉽게 탐지해낼 수 있는 전자 장치까지도 발전되어 현대인들의 비밀 정보가 정보 관계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노출될 위험이 있다.
특히 초소형 카메라와 고성능의 소형 무선 송신기가 결합된 몰래 카메라(도촬기)를 공중 목욕탕, 화장실, 탈의실, 호텔, 집무실, 사무실 등과 같은 장소에 은밀하게 설치해 놓고 내부 상황을 엿보고 이를 녹화하여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의류 판매장의 탈의실, 워터파크 등의 위락시설, 각종 판매장의 화장실 및 숙박업소와 같이 신체노출이 불가피하여 사생활 보호가 지켜져야 하는 업소를 대상으로 몰래카메라가 빈번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몰래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유출되어 범죄의 대상이 된 피해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한편, 몰래카메라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탐지기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해야 하는데, 개인이 고가의 탐지기를 일일이 구비하거나 탐지실력을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으며 대부분의 업소에는 탐지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몰래 카메라가 설치되더라도 이를 전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숙박업소 등 공중위생업소의 경우 최근 점차 강화되는 개정된 법령에 따라 몰래카메라 설치 사실이 적발되면 적발횟수에 따라 영업장 폐쇄 등의 강경한 조치가 시행되는 바 업주의 입장에서도 정확도가 높은 면밀하고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시민들은 대중 및 공용시설(카페, 식당, 숙박시설, 화장실, 탈의실 등)에서의 몰래카메라로 인 대해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고, 몰래카메라의 피해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기존에 정부에서 시행하는 단속기간은 지속성이 부족하고, 기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보안업체의 출장서비스는 고가인데다가 실효성이 떨어지는 등 질적인 대처방안이 부족하여 항시 불안감을 감수하며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85995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높은 수준의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와 방법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바늘구멍만한 렌즈의 몰래카메라, 무선촬영전송 몰래카메라 등의 기술이 매우 발전했고, 일반인도 손쉽게 구매가 가능하여 몰래카메라의 불법촬영 범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카페, 식당, 목욕탕, 탈의실 등 개인사업자가 운영하는 업체들은 기존 점검 방식은 비용이나 실효성 문제로 지속적 점검이 어려운 상황이며,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몰래카메라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전문 탐지사가 정기적으로 몰래카메라 탐지기를 활용해서 점검서비스를 제공하고 안전구역을 확보하며 고객들이 몰래카메라 범죄에 노출되는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하여 몰래카메라 안전구역을 만들어가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은,
전파탐지기를 이용하여,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 지역의 전파를 탐지하고, 유무선으로 전송되는 주파수를 파악하면 해당 주파수를 스캔하며, 해당 주파수로 전송중인 영상을 포착하여 액정모니터에 나타내고, 상기 영상을 보면서 어느 위치에서 몰래카메라 촬영이 되는지 파악하는 탐지 제1단계;
내시경탐지기를 이용하여, 내시경탐지기의 카메라장착부에 내시경카메라를 장착하고 전원부와 전원케이블을 연결하며, 내시경탐지기의 전원을 켜고 내시경카메라를 구동시키며, 플래쉬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적색의 아크릴판을 제1조인트 전면에 거치하고,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지역에 접근되도록 탐지봉조종부를 조종하여 탐지봉을 확장시키고, 설치 의심지역에 맞게 제2조인트의 상하각도를 조절하고 플래쉬 불빛이 비춰지게 하며, 이어서 제1조인트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내시경 카메라가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지역을 향하게 하고, 내시경카메라가 탐지하는 영상이 탐지사의 스마트폰에 시현되는 것을 관찰하며, 몰래카메라가 은닉된 정확한 지점을 찾는 탐지 제2단계;
내시경카메라의 촬영영상을 통해 몰래카메라 장치를 발견하고, 내시경카메라와 연동된 스마트폰의 촬영장치를 구동시켜 몰래카메라의 모습을 촬영하며, 스마트폰에 몰래카메라 영상이 동영상과 정지영상으로 구분 저장되고 촬영위치, 시간, 업소명, 탐지사 정보가 함께 저장되도록 하는 탐지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탐지 제3단계는, 탐지사가 몰래카메라 발견 촬영 영상을 서비스업체 서버, 서비스 이용 가입업체의 사전 등록된 통신매체 및 불법촬영물 단속 관계기관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는,
몰래카메라에서 발생하는 전파를 탐지하고, 몰래카메라가 전송중인 불법 촬영영상을 무선으로 포착해서 액정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전파탐지기;
전파탐지기가 탐지한 불법 촬영영상을 토대로 몰래카메라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지점을 역추적하여 내시경카메라로 근접하여 조사하는 내시경탐지기;
탐지사의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목걸이 형상으로 구비되며, 전파탐지기와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목거치대;를 포함하되,
내시경탐지기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의 봉 형태로 된 손잡이와, 손잡이의 일단의 하단방향으로 지지대가 연장되고, 손잡이의 타단에서도 하단방향으로 지지대가 둥근 각을 지니면서 연장되며, 일단의 지지대와 타단의 지지대가 손잡이의 길이방향으로 다시 각을 바꿔 연장되어 상호 만나는 구조로 형성되는 손잡이부;
일단은 손잡이부의 전면부에 매립된 형상으로 부착되고, 타단은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안테나형으로써, 높거나 좁은 지역에 확장되어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탐지봉;
탐지봉의 타단 상부에 구비되어 내시경카메라가 결합 고정되는 카메라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장착부는,
탐지봉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조인트;
제2조인트의 길이방향의 종단에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1조인트; 및
제1조인트의 상단에 고정되어 위치하고, 원통형의 내시경카메라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의 조임 방식으로 구비되는 내시경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제1조인트 및 제2조인트는 수동으로 각도 조절되는 수동방식과, 자동으로 각도 조절되는 자동방식으로 모두 구현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거치대는,
탐지사의 목에 착용되며 마그네슘 합금 등의 재질로써 금속성이면서 가볍고 형태변환이 용이한 긴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라인부;
라인부 중 탐지사의 목을 감싸는 부위에 목 보호를 위해 쿠션이 있는 재질로 라인부의 외부를 두껍게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만곡형의 목지지부재;
내부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라인부가 목지지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탐지사의 가슴 부근에서 합쳐지는 결합부재로 구비되는 라인결합부재;를 포함하되,
라인결합부재의 일면에는 스마트폰거치대결합부재에 의해 스마트폰거치대가 결합되어 구비되고, 라인결합부재의 타면에는 탐지기거치대결합부재에 의해 탐지기거치대가 결합되어 구비되며, 스마트폰거치대 및 탐지기거치대에 스마트폰과 전파탐지기를 각각 거치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무선탐지기의 주파수 탐색을 통해 무선몰래카메라를 탐지 가능하며, 유선 탐지기 탐지 시 직접 눈으로 탐지 하지 않고 유선으로 연결된 탐지 카메라를 이용하여 높고 낮은 곳도 쉽게 화면을 통해 탐지가 가능하다.
둘째, 탐지사의 편의성과 복합적 탐지 능력을 갖추어 탐지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유무선탐지기를 접목시켜 원가를 낮추어 가격 대비 효율성이 좋다.
셋째, 몰래카메라가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 탐지사가 시야 확보가 어렵거나 좁은 틈새여서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경우, 가령 장롱 위, 가구 뒤편 또는 아래, 매립형 에어콘 내부, 천장 내부, 손이 닿지 않는 특정 구조물의 뒤에 숨겨진 몰래카메라도 내시경카메라와 복수의 관절로 이루어진 탐지봉을 이용하여 탐지해낼 수 있다.
넷째, 유무선탐지기를 통해 몰래카메라가 설치된 부근을 특정짓고, 내시경카메라로 해당 지역을 집중 조사함으로써 탐지 확률은 대폭 증가하고 탐지시간은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자체 개발한 기술과 방법으로 전문탐지사에 의해 탐지하여 탐지 성공확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를 탐지사가 착용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전파탐지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전파탐지기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내시경탐지기를 측면 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내시경탐지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내시경탐지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내시경탐지기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내시경탐지기를 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목거치대를 측면 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목거치대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하우징과 연결된 라인결합부재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를 탐지사가 착용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전파탐지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전파탐지기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내시경탐지기를 측면 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내시경탐지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내시경탐지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내시경탐지기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내시경탐지기를 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목거치대를 측면 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목거치대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하우징과 연결된 라인결합부재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장치는 몰래카메라에서 발생하는 전류와 전파를 탐지하고 영상을 포착하는 전파탐지기(100), 몰래카메라의 설치가 의심되는 지역에 내시경카메라(234)로 정밀하게 탐지하여 몰래카메라의 존재를 파악해내는 내시경탐지기(200), 그리고 내시경카메라(234)가 탐색하는 부분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기기가 거치되는 목걸이 타입의 목거치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파탐지기(100)는 전파탐지부(110),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시경탐지기(200)는 손잡이부(210), 탐지봉(220), 카메라장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부(210)는 전원부(211)를 포함하고, 탐지봉(220)은 탐지봉조종부(221)를 포함하며, 카메라장착부(230)는 제1조인트(231), 제2조인트(232), 내시경고정부재(233), 내시경카메라(234), 플래쉬를 포함할 수 있다.
목거치대(300)는 라인부(310), 하우징(340), 스마트폰거치대(320), 탐지기거치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라인부(310)는 목지지부재(311), 라인결합부재(312), 내시경홀(313), 내시경홀캡(314), 탐지기홀(315), 탐지기홀캡(316)을 포함한다.
하우징(340)은 내시경코드(350), 내시경코드릴(351), 내시경커넥터(352), 탐지기코드(360), 탐지기코드릴(361), 탐지기커넥터(362), 중심축(341), 무선통신부(370), 포트부(371)를 포함한다.
스마트폰거치대(320)는 스마트폰거치대결합부재(321)를 포함하고, 탐지기거치대(330)는 탐지기거치대결합부재(3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파탐지기(100)는 전파탐지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파탐지기(100)는 전파탐지부(110)에서 몰래카메라 등 불법적으로 설치된 영상촬영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류와 전파를 탐지하고 해당 몰래카메라가 전송중인 불법 촬영영상을 무선으로 포착해서 액정모니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보여준다.
탐지사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시연되는 전송중인 영상을 확인하면서 몰래카메라가 설치된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을 검출하고, 해당 영상을 포착하는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면 된다.
내시경탐지기(200)는 손잡이부(210), 탐지봉(220), 카메라장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손잡이부(210)의 전면부에 탐지봉(220)이 부착되고 탐지봉(220)의 전면에 카메라장착부(230)가 부착된 형상을 가진다.
내시경탐지기(200)는 전파탐지기(100)가 탐지한 불법 설치된 촬영장치의 것으로 의심되는 영상신호가 발생하는 구역에 대해 내시경카메라(234)로 정밀 조사하는 기능을 한다.
손잡이부(21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의 봉 형태로 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단의 하단방향으로 지지대가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서도 하단방향으로 지지대가 둥근 각을 지니면서 연장되며, 상기 일단의 지지대와 타단의 지지대가 상기 손잡이의 길이방향으로 다시 각을 바꿔 연장되어 상호 만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손잡이부(210)는 봉 형의 손잡이를 기준으로 측면에서 목측 시 사각형의 형태를 지니되, 테두리로만 구성되어 사각형의 중앙부가 비어있는 형상을 지닌다.
이때 손잡이부(210) 후면 방향과 하단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는 파지와 견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각진 모서리와 둥근 모서리로 형태 보완이 될 수 있다.
손잡이부(210)의 길이방향 하단의 지지대에는 전원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211)는 USB포트, 전원커넥터 등 복수의 전기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내부에 충전지 또는 배터리 등을 내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211)는 내시경카메라(234)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플래쉬와 같이 내시경탐지기(200)에 구비되어 전원을 요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11)는 내시경카메라(234) 뿐 아니라 전파탐지기(100), 스마트폰 등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여타 전자기기에도 USB 케이블, 전원케이블 등 충전기능이 있는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전원부(211)는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전면부에 위치한 내시경카메라(234), 플래쉬 등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보조배터리를 교환 장착하며 사용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탐지봉(220)은 좁은 공간에 숨겨진 몰래카메라를 내시경을 이용한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길이가 조절되는 안테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탐지봉(220)의 일단은 손잡이부(210)의 전면부에 매립된 형상으로 부착이 되며, 타단으로는 손잡이부(2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2에서는 탐지봉(220)의 길이가 조절되는 유형의 내시경탐지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탐지봉(220)의 길이의 조절은 탐지봉조종부(221)에서 이뤄지며 수동과 자동방식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탐지봉(220)의 수동 길이 조절 방식은 탐지봉조종부(221)가 손잡이부(210)와 탐지봉(220)이 결합되는 부위를 원형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된 조절레버의 형태로써 구현될 수 있다.
탐지봉조종부(221)의 수동 조절레버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탐지봉(220)이 길이방향으로 길어지고, 타방향으로 돌리면 손잡이부(210)를 향해 접혀 들어오며 짧아지는 방식이 될 수 있다.
탐지봉(220)의 자동 길이 조절 방식은 탐지봉조종부(221)가 손잡이부(210)와 탐지봉(220)이 결합되는 부위 또는 인접한 위치에 버튼식 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형태로 구비되어 조정간의 조절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탐지봉조종부(221)의 자동 길이 조절 방식은 상기 전원부(211)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지봉(220)의 길이가 일정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길이 조절이 안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탐지봉(220)의 길이 조절 방식과 대비하여 탐지봉조종부(221)가 생략되므로 무게가 가벼워지고, 전원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및 전기적 장치가 간소화 되므로 장기간 사용 시 기계적 및 전기적 오류로 인한 제품 하자의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한편, 탐지봉(220)의 타단에는 카메라장착부(230)가 구비된다.
카메라장착부(230)는 탐지봉(220)의 타단에 구비되며, 제1조인트(231), 제2조인트(232), 내시경고정부재(233), 플래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조인트(231) 및 제2조인트(232)는 몰래카메라가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 탐지사의 시야 확보가 어렵거나 좁은 틈새여서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경우를 위해 구비된다.
가령 장롱 위, 가구 뒤 또는 아래, 매립형 에어콘 내부, 천장 내부, 손이 닿지 않는 특정 구조물의 뒤편 등을 탐지하는 경우, 탐지봉(220)으로 길이는 맞출 수 있으되 내시경카메라(234)와 플래쉬를 비추지 못하면 탐지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탐지봉(220)의 타단에서 2단계로 꺾일 수 있는 조인트부재가 구비되어야 모든 사각지역에 접근할 수 있다.
제2조인트(232)는 탐지봉(220)의 타단에 부착되어 상하의 각도로 300도 수준의 회전이 가능하며, 제1조인트(231)는 제2조인트(232)의 종단에 결합되어 좌우 각도로 300도 수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조인트(231)는 제2조인트(232) 대비 수직한 방향을 대상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조인트(231) 및 제2조인트(232)는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고, 탐지봉조종부(221)의 자동길이조정 장치에 연동되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내시경고정부재(233)는 제1조인트(231)의 상단에 고정되어 위치하고, 원통형의 내시경카메라(234)를 감싸는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조임 방식으로 구비된다.
내시경카메라(234)는 내시경고정부재(233)에 장착되고 조임을 통해 제1조인트(231)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제1조인트(231)의 각도조절에 따라 동일한 곳을 응시하며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내시경고정부재(233)에 장착된 내시경카메라(234)에는 전원케이블이 손잡이부(210)의 전원부(21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조인트(231)의 하단에는 플래쉬와 적색의 아크릴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몰래카메라에서 반사되는 적외선 불빛을 시각적으로 포착해낼 수 있다.
이때 플래쉬는 내장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전원부(211)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시경탐지기(200)의 동작 원리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탐지사는 전파탐지기(100)에서 특정 의심신호를 포착하게 되면, 해당 지역을 내시경탐지기(200)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다.
탐지사는 카메라장착부(230)의 내시경고정부재(233)에 내시경카메라(234)를 설치하고, 전원케이블을 손잡이부(210)의 전원부(211)와 연결한다.
탐지사는 가령 옷장 위 천장과 틈새가 있는 곳이 의심된다면, 탐지봉조종부(221)를 조종하여 탐지봉(220)을 천장높이까지 확장시킨다.
이후 제2조인트(232)를 옷장 위 틈새를 향하여 꺾이도록 상하 각도를 조절하고, 플래쉬를 작동시켜 어두운 곳에 빛을 비춘다.
이어서, 제1조인트(231)를 좌우로 각도로 조절하면 제1조인트(231)의 각도에 연동되어 내시경카메라(234)가 움직이고, 내시경카메라(234)가 바라보는 영역의 영상이 탐지사의 스마트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탐지사는 내시경카메라(234)가 생성하는 실시간 영상을 보면서, 플래쉬와 적색의 아크릴판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 불빛, 즉 몰래카메라 렌즈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내시경카메라(234) 및 카메라장착부(230), 탐지봉(220)은 좁은 공간을 침투하고 각도를 변환할 수 있도록 가능한 최소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내시경탐지기(200)의 손잡이부(210)와 탐지봉(220) 및 카메라장착부(230)는 각각 탈착과 부착이 자유로운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목거치대(300)는 라인부(310), 하우징(340), 스마트폰거치대(320), 탐지기거치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목걸이 형태를 가지며, 목에 걸어 착용 시 탐지사의 가슴 부분의 위치에 전파탐지기(100)와 스마트기기를 휴대할 수 있는 거치대가 부착된 형태로 구성된다.
라인부(310)는 목거치대(300)에서 목걸이 부분에 해당된다.
라인부(310)는 마그네슘 합금 등 금속의 합금을 성분으로 하여 금속성이면서도 비중이 낮고 가벼워 형태 변환과 착용에 적합하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형태 고정이 되는 단단한 특성의 재질로 구성된다.
라인부(310)의 내부는 파이프와 같이 비어있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가볍고 형태의 변환이 쉬운 특성을 지닌다.
라인부(310) 중 탐지사의 목을 감싸는 부위에는 만곡형의 목지지부재(311)가 포함될 수 있다.
목지지부재(311)는 목 보호를 위해 고무 등 쿠션이 있는 재질로 구비되며, 라인부(310)의 겉을 감싸는 두꺼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라인부(310)의 양 끝단은 목지지부재(311)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탐지사의 가슴 부근에서 모이며 라인결합부재(312)에 의해 결합된다.
라인결합부재(312)는 라인부(310)의 양쪽 끝이 합쳐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결합부재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상형의 구조물에 라인부(310)를 수용할 수 있는 파이프형의 라인부(310) 수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지닐 수 있다.
다만, 라인결합부재(312)는 사용 용도와 형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육면체, 구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라인결합부재(312)의 일면에는 스마트폰거치대(320)가 구비되며 스마트폰거치대결합부재(32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스마트폰거치대(320)에는 스마트폰 및 여타 소형 스마트기기가 고정된다.
스마트폰거치대결합부재(321)는 볼 조인트 방식으로 라인결합부재(312)와 스마트폰거치대(320)를 연결하여, 스마트폰거치대(320)가 라인결합부재(312)로부터 각도 조절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폰거치대(320)는 양단이 절곡되어 ㄷ자형을 이루는 판형으로써, 절곡된 양단이 벽과 같은 형상으로 스마트폰을 감싸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마트폰거치대(320)의 일단은 고정된 형태이고 타단은 거치대의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로 설치되며 일단의 방향으로 바이어싱 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스마트폰을 가압하며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마트폰거치대(320)의 내측면, 즉 스마트폰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쿠션부재가 구비되어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라인결합부재(312)의 타면에는 탐지기거치대결합부재(331)가 구비될 수 있다.
탐지기거치대결합부재(331)는 스트랩의 형상으로 조임부 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라인결합부재(312)와 탐지기거치대(33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탐지기거치대(330)는 전파탐지기(100)를 수용하고 목거치대(300)에 결합되어 탐지사의 전파탐지기(100) 휴대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탐지기거치대(330)는, 일측면과 상단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에 전파탐지기(100)를 수용하고, 타측면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전파탐지기(100)의 길이 수준의 원형 스틱이 구비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탐지기거치대(330)는 상기 원형 스틱 형상의 부분이 목거치대(300)의 탐지기거치대결합부재(331)의 스트랩에 삽입되고, 조임부 나사에 의해 스트랩이 조여지면서 고정 결합된다.
스마트폰거치대결합부재(321)와 탐지기거치대결합부재(331)는 라인결합부재(312)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소정의 고정장치를 수반하여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거치대결합부재(321)와 탐지기거치대결합부재(331)는 라인결합부재(312)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고, 라인결합부재(312)의 전면부에 이단으로 나란히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거치대결합부재(321)와 탐지기거치대결합부재(331)가 일체형으로 하나의 결합부재가 되어 라인결합부재(312)에 구비되고, 스마트폰거치대(320)와 탐지기거치대(3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별 특징을 토대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14에 도시된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몰래카메라 탐지장치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에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탐지 제1단계로써 전파탐지기(100)를 이용하여 몰래카메라가 설치된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우선 본 발명의 탐지사는 전파탐지기(100)의 전원을 켜고 탐지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설정한다.(S100)
이후 전파탐지기(100)를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의심되는 지역에 대해 순서대로 천천히 접근 및 이동시키며 전파를 탐지한다.(S110)
이때 탐지사는 전파탐지기(100)를 목거치대(300)에 결합된 탐지기거치대(330)에 장착한 채 탐지할 수도 있고, 목거치대(300) 없이 전파탐지기(100)만을 휴대한 채 탐지를 할 수도 있다.
전파탐지기(100)는 저주파와 고주파 영역으로 나누어 탐지할 수 있다.
전파탐지기(10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되는 주파수를 파악하면 해당 주파수를 스캔하고, 해당 주파수로 전송중인 영상을 포착하여 디스플레이부(120)의 액정모니터에 보여준다.(S120)
탐지사는 전파탐지기(100)에 보여지는 영상을 보면서 어느 위치 부근에서 영상이 촬영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S130)
탐지 제1단계에서 몰래카메라가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위치의 파악이 완료되면, 탐지 제2단계에서 정밀 탐지절차가 진행된다.
탐지 제2단계는 내시경탐지기(200)를 이용하여 몰래카메라가 은닉된 정확한 지점을 찾는 과정이다.
탐지사는 내시경탐지기(200)의 카메라장착부(230)에 구비된 내시경고정부재(233)에 내시경카메라(234)를 장착하고 전원부(211)와 전원케이블을 연결한다.(S200)
이후 내시경탐지기(200)의 전원을 켜고 내시경카메라(234)를 구동시키며, 플래쉬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적색의 아크릴판을 제1조인트(231) 전면에 거치한다.(S210)
탐지사는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지역에 접근되도록 탐지봉조종부(221)를 조종하여 탐지봉(220)을 확장시킨다.(S220)
이후 설치 의심지역에 맞게 제2조인트(232)의 상하각도를 조절하고 플래쉬 불빛이 비춰지게 한다.(S230)
이어서 제1조인트(231)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내시경 카메라가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지역을 바라보게 한다.(S240)
내시경카메라(234)가 바라보는 영역의 영상이 탐지사의 스마트폰에 시현되는 것을 관찰한다.(S250)
탐지 제3단계는 내시경카메라(234)의 촬영영상을 스마트폰을 통해서 보면서 몰래카메라를 특정하는 과정이다.
탐지사는 내시경카메라(234)의 촬영영상을 통해 몰래카메라 장치를 발견하거나, 몰래카메라의 렌즈에서 발현되는 적외선 불빛이 반사되는 것을 발견한다.(S300)
내시경카메라(234)와 연동된 스마트폰의 촬영장치를 구동시켜 몰래카메라의 모습 또는 적외선 불빛이 나타나는 해당 영상을 촬영한다.(S310)
스마트폰에 몰래카메라 영상이 동영상과 정지영상으로 구분 저장되고 촬영위치, 시간, 업소명, 탐지사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S320)
필요시 탐지사는 몰래카메라 발견 영상을 본 발명의 서비스업체 서버,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 가입업체의 사전 등록된 통신매체 및 불법촬영물 관리 관계기관에 전송한다.(S330)
이상의 3단계로 몰래카메라 탐지방법 과정이 완료된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탐지방법은 상술한 단계와 세부절차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이고 응용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확장의 취지는 몰래카메라 등 불법 촬영장치의 확산을 억제하고 근절시켜 반인권적 범죄를 차단하고자 하는 모든 윤리적 의도에 부합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수한 일 실시예에 따라, 목거치대(300)에 소형의 전파탐지장치와 내시경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전파탐지기(100) 및 내시경탐지기(200)가 구비되지 않았을 경우 대체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전파탐지기(100) 및 내시경탐지기(200)를 사용하기 어려운 협소한 공간이나 모든 장치를 준비할 여력이 없는 긴박한 순간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목거치대(300)의 목지지부재(311)에는 사각 형태의 하우징(340)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40)은 내부에 내시경코드(350), 내시경코드릴(351), 내시경커넥터(352), 탐지기코드(360), 탐지기코드릴(361), 탐지기커넥터(362), 자동감김코일(342), 중심축(341), 무선통신부(370), 포트부(37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시경코드(350)는 내시경탐지기(200)에 상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내시경 탐지장치로써, 하우징(340)의 중심을 기점으로 라인부(310) 내부통로를 통해 라인부(310) 일단으로 확장된다.
내시경코드(350)의 일단에는 내시경커넥터(352)가 구비되어 소형의 내시경카메라(234)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탐지기코드(360)는 전파탐지기(100)에 상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전파 탐지장치로써, 하우징(340)의 중심을 기점으로 라인부(310) 내부통로를 통해 라인부(310) 타단으로 확장된다.
탐지기코드(360)의 끝에는 탐지기커넥터(362)가 구비되어 소형의 전류전파 탐지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내시경코드(350)의 타단은 내시경코드릴(351)이 구비되어 자동감김코일(342)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내시경코드(350)의 타단은 하우징(340)의 중앙에 위치한 자동감김코일(342)에 감겨져 있는 형태로 구비되고, 자동감김코일(342)은 하우징(340)의 중심축(341)에 의해 고정된다.
내시경코드(350)의 일단을 잡아당기면 내시경코드릴(351)이 풀리면서 내시경코드(350)의 길이가 확장되고, 내시경코드(350)의 일단을 놓으면 자동감김코일(342)에 연결된 내시경코드릴(351)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감겨지면서 내시경코드(350)가 원위치 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탐지기코드(360)의 타단은 탐지기코드릴(361)이 구비되고 자동감김코일(342)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시경코드(350)의 길이 확장 및 원위치 원리와 동일하게 작동을 한다.
내시경코드(350)의 일단은 라인부(310)의 일단의 외부로 노출되고, 탐지기코드(360)의 일단은 라인부(310)의 타단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라인부(310)의 일단과 타단에는 내시경홀(313)과 탐지기홀(315)이 구비된다.
내시경홀(313)과 탐지기홀(315)은 내시경코드(350)와 탐지기코드(360)의 굵기에 대응되는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때 내시경코드(350)가 라인부(310)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시경코드(350)의 일단에는 내시경홀(313)보다 큰 사이즈로 내시경커넥터(352)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써 내시경코드(350)는 내시경커넥터(352)가 내시경홀(313)에 걸려 라인부(310) 내측으로 숨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동일한 이유와 방식으로 탐지기코드(360)의 일단의 탐지기커넥터(362)는 탐지기홀(315)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내시경커넥터(352)와 탐지기커넥터(362)의 보호를 위해 내시경홀캡(314)과 탐지기홀캡(316)이 내시경홀(313)과 탐지기홀(315)에 덮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탐지사는 평소에는 내시경홀캡(314)과 탐지기홀캡(316)을 닫아놓고 보관하다가, 본 발명의 특수한 일 실시예에 따라 내시경홀캡(314)과 탐지기홀캡(316)을 열어 내시경카메라(234)와 전파탐지기(10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340)에는 무선통신부(370)가 구비되어 근거리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70)는 내시경코드(350)의 타단과 연결되어 내시경코드(350)의 일단에 연결된 내시경카메라(234)가 촬영하는 영상을 탐지사의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하우징(340)의 표면에는 포트부(371)가 구비되어 상기 무선통신부(370)의 통신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트부(371)는 유에스비(USB), 마이크로핀, 씨타입(C-type) 등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복수의 포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내시경카메라(234)가 촬영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특수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하우징(340)이 라인결합부재(312)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하우징(340)이 라인결합부재(312)에 위치하는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340)이 목지지부재(311)에 위치하는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다만, 라인부(310) 내부에 매립되는 내시경코드(350) 및 탐지기코드(360)의 부분이 적어지므로 상대적으로 하우징(34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 부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과 하우징(340)의 거리가 가까워 유선 연결이 용이하여 무선통신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원활한 통신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를 토대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15에 도시된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4에서 설명한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에 근거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에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에 따른 몰래카메라 탐지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탐지 제1단계로써,
탐지사는 탐지기홀캡(316)을 열고, 탐지기커넥터(362)에 임시로 사용 가능한 소형 전류전파 탐지장치를 연결한다.(S410)
전류전파 탐지장치를 잡아당기면 탐지기코드(360)가 하우징(340)의 탐지기코드릴(361)이 풀어지며 원하는 길이만큼 연장된다.(S411)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지역을 중심으로 전류전파 탐지장치를 근접 탐지한다.(S412)
전류전파 탐지장치가 불법 설치물이 의심되는 전류전파를 감지하면 신호음 또는 진동을 발생시킨다.(S413)
탐지 제2단계로써,
내시경홀캡(314)을 열고, 내시경커넥터(352)에 내시경카메라(234)를 연결한다.(S420)
내시경카메라(234)를 잡아당기면 내시경코드(350)는 하우징(340)의 내시경코드릴(351)이 풀어지며 원하는 길이만큼 연장된다.(S421)
몰래카메라 전류전파가 감지된 지역을 내시경카메라(234)로 스캔하며, 스마트폰에 시현되는 영상을 관찰한다.(S422)
탐지 제3단계로써,
몰래카메라를 발견하면 스마트폰에서 해당 영상을 촬영한다.(S430)
스마트폰에 몰래카메라 발견 영상이 동영상과 정지영상으로 구분 저장되고 촬영위치, 시간, 업소명, 탐지사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S431)
필요시 탐지사는 몰래카메라 발견 영상을 본 발명의 서비스업체 서버,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업체에 사전 등록된 통신매체 및 불법촬영물 관리 관계기관에 전송한다.(S432)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100 : 전파탐지기
110 : 전파탐지부
120 : 디스플레이부
200 : 내시경탐지기
210 : 손잡이부
211 : 전원부
220 : 탐지봉
221 : 탐지봉조종부
230 : 카메라장착부
231 : 제1조인트
232 : 제2조인트
233 : 내시경고정부재
234 : 내시경카메라
300 : 목거치대
310 : 라인부
311 : 목지지부재
312 : 라인결합부재
313 : 내시경홀
314 : 내시경홀캡
315 : 탐지기홀
316 : 탐지기홀캡
320 : 스마트폰거치대
321 : 스마트폰거치대결합부재
330 : 탐지기거치대
331 : 탐지기거치대결합부재
340 : 하우징
341 : 중심축
342 : 자동감김코일
350 : 내시경코드
351 : 내시경코드릴
352 : 내시경커넥터
360 : 탐지기코드
361 : 탐지기코드릴
362 : 탐지기커넥터
370 : 무선통신부
371 : 포트부

Claims (5)

  1. 전파탐지기를 이용하여,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 지역의 전파를 탐지하고, 유무선으로 전송되는 주파수를 파악하면 해당 주파수를 스캔하며, 해당 주파수로 전송중인 영상을 포착하여 액정모니터에 나타내고, 상기 영상을 보면서 어느 위치에서 몰래카메라 촬영이 되는지 파악하는 탐지 제1단계;
    내시경탐지기를 이용하여, 내시경탐지기의 카메라장착부에 내시경카메라를 장착하고 전원부와 전원케이블을 연결하며, 내시경탐지기의 전원을 켜고 내시경카메라를 구동시키며, 플래쉬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적색의 아크릴판을 제1조인트 전면에 거치하고,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지역에 접근되도록 탐지봉조종부를 조종하여 탐지봉을 확장시키고, 설치 의심지역에 맞게 제2조인트의 상하각도를 조절하고 플래쉬 불빛이 비춰지게 하며, 이어서 제1조인트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내시경 카메라가 몰래카메라 설치 의심지역을 향하게 하고, 내시경카메라가 탐지하는 영상이 탐지사의 스마트폰에 시현되는 것을 관찰하며, 몰래카메라가 은닉된 정확한 지점을 찾는 탐지 제2단계;
    내시경카메라의 촬영영상을 통해 몰래카메라 장치를 발견하고, 내시경카메라와 연동된 스마트폰의 촬영장치를 구동시켜 몰래카메라의 모습을 촬영하며, 스마트폰에 몰래카메라 영상이 동영상과 정지영상으로 구분 저장되고 촬영위치, 시간, 업소명, 탐지사 정보가 함께 저장되도록 하는 탐지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카메라 탐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탐지 제3단계는, 탐지사가 몰래카메라 발견 촬영 영상을 서비스업체 서버, 서비스 이용 가입업체의 사전 등록된 통신매체 및 불법촬영물 단속 관계기관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카메라 탐지방법.
  3. 몰래카메라에서 발생하는 전파를 탐지하고, 상기 몰래카메라가 전송중인 불법 촬영영상을 무선으로 포착해서 액정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전파탐지기;
    상기 전파탐지기가 탐지한 불법 촬영영상을 토대로 상기 몰래카메라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지점을 역추적하여 내시경카메라로 근접하여 조사하는 내시경탐지기;
    탐지사의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목걸이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전파탐지기와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목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내시경탐지기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의 봉 형태로 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단의 하단방향으로 지지대가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서도 하단방향으로 지지대가 둥근 각을 지니면서 연장되며, 상기 일단의 지지대와 타단의 지지대가 상기 손잡이의 길이방향으로 다시 각을 바꿔 연장되어 상호 만나는 구조로 형성되는 손잡이부;
    일단은 손잡이부의 전면부에 매립된 형상으로 부착되고, 타단은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안테나형으로써, 높거나 좁은 지역에 확장되어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탐지봉;
    상기 탐지봉의 타단 상부에 구비되어 내시경카메라가 결합 고정되는 카메라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착부는,
    상기 탐지봉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조인트;
    상기 제2조인트의 길이방향의 종단에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1조인트; 및
    상기 제1조인트의 상단에 고정되어 위치하고, 원통형의 내시경카메라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의 조임 방식으로 구비되는 내시경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조인트 및 제2조인트는 수동으로 각도 조절되는 수동방식과, 자동으로 각도 조절되는 자동방식으로 모두 구현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목거치대는,
    탐지사의 목에 착용되며 마그네슘 합금 등의 재질로써 금속성이면서 가볍고 형태변환이 용이한 긴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라인부;
    상기 라인부 중 탐지사의 목을 감싸는 부위에 목 보호를 위해 쿠션이 있는 재질로 라인부의 외부를 두껍게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만곡형의 목지지부재;
    내부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라인부가 상기 목지지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탐지사의 가슴 부근에서 합쳐지는 결합부재로 구비되는 라인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라인결합부재의 일면에는 스마트폰거치대결합부재에 의해 스마트폰거치대가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라인결합부재의 타면에는 탐지기거치대결합부재에 의해 탐지기거치대가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폰거치대 및 탐지기거치대에 스마트폰과 전파탐지기를 각각 거치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KR1020190072289A 2019-06-18 2019-06-18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KR102101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89A KR102101118B1 (ko) 2019-06-18 2019-06-18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89A KR102101118B1 (ko) 2019-06-18 2019-06-18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118B1 true KR102101118B1 (ko) 2020-04-14

Family

ID=7029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289A KR102101118B1 (ko) 2019-06-18 2019-06-18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1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342B1 (ko) 2020-04-21 2021-01-19 (주)넷비젼텔레콤 무선 ip 카메라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3340A (ko) * 2020-11-26 2022-06-03 장성수 통합형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CN114911150A (zh) * 2022-04-26 2022-08-16 鄢立恒 一种红外物体探测器
CN115589481A (zh) * 2022-10-10 2023-01-10 北京智信天一科技有限公司 一种WiFi针孔摄像头探测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506136B1 (ko) * 2021-08-27 2023-03-06 주식회사 이지스랩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2347A (ko) * 2007-02-02 2008-08-06 주식회사 지이에스 휴대형 도청/도촬 감지장치
KR100885995B1 (ko) 2006-11-13 2009-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KR101718441B1 (ko) * 2014-10-10 2017-03-21 (주)아이토브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KR20170118522A (ko) * 2016-04-15 2017-10-25 백금현 휴대폰 카메라 장치
KR20170129557A (ko) * 2016-05-17 2017-11-27 엠투브이 주식회사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995B1 (ko) 2006-11-13 2009-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KR20080072347A (ko) * 2007-02-02 2008-08-06 주식회사 지이에스 휴대형 도청/도촬 감지장치
KR101718441B1 (ko) * 2014-10-10 2017-03-21 (주)아이토브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KR20170118522A (ko) * 2016-04-15 2017-10-25 백금현 휴대폰 카메라 장치
KR20170129557A (ko) * 2016-05-17 2017-11-27 엠투브이 주식회사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342B1 (ko) 2020-04-21 2021-01-19 (주)넷비젼텔레콤 무선 ip 카메라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3340A (ko) * 2020-11-26 2022-06-03 장성수 통합형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KR102488811B1 (ko) * 2020-11-26 2023-01-13 장성수 통합형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KR102506136B1 (ko) * 2021-08-27 2023-03-06 주식회사 이지스랩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CN114911150A (zh) * 2022-04-26 2022-08-16 鄢立恒 一种红外物体探测器
CN115589481A (zh) * 2022-10-10 2023-01-10 北京智信天一科技有限公司 一种WiFi针孔摄像头探测装置及其工作方法
CN115589481B (zh) * 2022-10-10 2024-04-02 北京智信天一科技有限公司 一种WiFi针孔摄像头探测装置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118B1 (ko)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US6633231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communication
US7710457B2 (en) Motion detector camera having a flash
CN104469127B (zh) 拍摄方法和装置
KR20090101378A (ko) 헤드 장착 단안용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27896A1 (zh) 头盔式热像装置
US20110254955A1 (en) Detachable Universal Electronic Door Viewer
KR102216694B1 (ko)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CN210690977U (zh) 警用执法记录眼镜以及实时在线取证系统
KR20130071419A (ko) 통신 아이웨어 어셈블리
KR20130019236A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CN205657757U (zh) 无线安防摄像头
KR10142559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JP4625121B2 (ja) 制御装置
JP2004236020A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73483A (ja) 制御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KR102234391B1 (ko) 몰래 카메라 검출장치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KR20100092075A (ko) 뒷모습을 보여주도록 카메라센서와 화면표시수단을 구비한 거울
CN210836450U (zh) 一种建筑监控防盗报警装置
KR102071516B1 (ko) 자석락 개폐구조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Roessler How to find hidden cameras
JP2021056511A (ja) 防犯カメラ装置
JP3147066U (ja) 監視カメラ
CN212163350U (zh) 一种方便携带的防监听设备
CN210899292U (zh) 隐私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