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136B1 -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136B1
KR102506136B1 KR1020210113999A KR20210113999A KR102506136B1 KR 102506136 B1 KR102506136 B1 KR 102506136B1 KR 1020210113999 A KR1020210113999 A KR 1020210113999A KR 20210113999 A KR20210113999 A KR 20210113999A KR 102506136 B1 KR102506136 B1 KR 102506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egal
jamming signal
jamming
detector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한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스랩
Priority to KR1020210113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5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jamm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7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using characteristics of target signal or of transmission, e.g.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or fast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10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04K2203/14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for the transfer of light or images, e.g. for video-surveillance, for television or from a computer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위치의 공간에서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촬영장치에서 방출하는 이상 주파수가 감지되거나 설사 감지되지 않더라도 특정 방향의 공간을 스캔하고, 스캔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재밍 범위를 커버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재밍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불법촬영장치의 영상 데이터가 외부로 송신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최소한의 전력량을 소모하는 불법촬영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DEVICE FOR BLOCK ILLEGAL SHOOTING USING JAMMING SIGNALS}
본 발명은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위치의 공간에서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촬영장치에서 방출하는 이상 주파수가 감지되거나 설사 감지되지 않더라도 특정 방향의 공간을 스캔하고, 스캔 정보에 의해 결정된 재밍 범위를 커버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재밍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불법촬영장치의 영상 데이터가 외부로 송신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최소한의 전력량을 소모하는 불법촬영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는 주요 사회 이슈이며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촬영으로 인한 각종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기존에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는 방식인 전파 감지 방식, 열화상 감지 방식, 반사광 감지 방식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법촬영장치가 전보다 훨씬 소형화되고 저렴해지고 있어 어느 장소에나 용이하게 불법설치가 가능하지는 바람에 이러한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으며, 불법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몰래 전송하여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등 심각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불법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중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재밍(Jamming)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재밍(Jamming)은 레이더 신호를 감추기 위해 또는 변형시키기 위해 레이더의 수신 대역 내의 주파수로 송신되는 방해 신호로서, 전형적인 것으로는 잡음적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 방해 전술(ECM)의 일종이다.
그러나, 재밍 신호를 발신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큰 전력이 소모되므로 이동형 재머의 경우 배터리 용량에 한계가 있고, 무분별한 재밍 신호 발신으로 인해 혹여 재밍 대역과 중복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변의 있는 다른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기기)의 사용자들에게 의도치 않은 민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주변에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사용자들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불법촬영장치에서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재밍할 수 있는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다른 하나는 무분별한 재밍 신호 발신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는, 불법촬영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을 교란하는 재밍 신호를 송출하는 재머; 조사된 광의 반사광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공간(located space)을 스캔하는 광 스캐너; 및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광 스캐너의 스캔 정보로부터 탐지 범위를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탐지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재밍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현재 위치의 공간에서 불법촬영장치가 방출하는 이상 주파수를 탐지하는 RF탐지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RF탐지기에 이상 주파수가 탐지되면, 상기 광 스캐너가 자동으로 탐지 방향의 스캔을 수행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스캔 정보에 따라 재밍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트리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현재 위치의 공간에서 불법촬영장치가 방출하는 이상 주파수를 탐지하는 RF탐지기 및; 재밍 개시를 입력 받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RF탐지기에 미리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가 탐지되고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광 스캐너가 자동으로 탐지 방향의 스캔을 수행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스캔 정보에 따라 재밍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트리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배터리의 잔여량과 상기 결정된 재밍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재밍 유지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은, 적어도 둘 이상의 스캔 거리 중 가장 먼 거리, 가장 가까운 거리, 측정된 스캔 거리들의 평균 거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 스캐너는, 레이저 및 적외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스캔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재머에서 송출하는 재밍 신호의 세기가 광 스캐너에서 스캔한 현재 위치의 공간을 벗어나지 않는 레벨로 자동 설정됨에 따라, 주변에 있는 다른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방해하지 않고 불법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할 때의 영상 신호만 재밍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재 위치의 공간에서 불법촬영장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경우 조작부를 작동시켜 재밍 신호를 송출하는 형태로써 선택적으로 재머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잔여량과 광 스캐너의 스캔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재밍 신호 세기를 기초로 산출된 재밍 유지 시간을 차단 장치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또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불법촬영 차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광 스캐너 및 재머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재머 및 RF탐지기의 안테나 구조를 각 실시예 별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은 실시예 2에 따른 불법촬영 차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불법촬영 차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불법촬영 차단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불법촬영 차단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1차적으로 RF 탐지를 통해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해 보고, 불법촬영장치가 탐지된 경우 2차적으로 재머(10)를 통해 재밍 신호를 방출하되, 재밍 신호를 얼마의 세기로 설정하여 송출할 지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불법촬영 차단장치(1)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불법촬영 차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광 스캐너 및 재머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1)는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촬영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을 교란하는 재밍 신호를 송출하는 재머(10), 조사된 광의 반사광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공간(located space)을 스캔하는 광 스캐너(20),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광 스캐너(20)의 스캔 정보로부터 탐지 범위를 정의하고, 정의된 탐지 범위에 기초하여 재밍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컨트롤러(30), 현재 위치의 공간에서 불법촬영장치가 방출하는 이상 주파수를 탐지하는 RF탐지기(40)를 포함한다.
재머(10)는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재밍신호 생성회로(11)와, 생성된 재밍 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12)로 구성된다.
광 스캐너(20)는 발광부 및 수광부로 구성되며, 일례로 레이저 또는 적외선 광을 이용해 현재 위치의 공간을 스캔 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또는 적외선은 점등, 소등 및 점멸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패턴으로 조사되며, 조도 및 출력 세기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거나, 사용자의 입력과 상관없이 주변 환경에 맞게 조사 패턴, 조도 및 출력 세기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30)는 재머(10)에서 송출하는 재밍 신호의 세기가 결정되면, 결정된 재밍 신호가 불법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할 때의 신호를 교란시키도록 제어하는 트리거(31) 장치를 포함한다.
RF탐지기(40)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41)와, 수신된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 하는 신호처리회로(42)로 구성된다.
수신안테나(41)는 불법촬영장치에서 방출되는 저대역 및 고대역 RF신호를 탐지할 수 있고, 예로서 저대역 안테나와 고대역 안테나로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저대역부터 고대역 RF신호를 탐지하는 광대역 안테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신호처리회로(42)는 수신된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필터링 하는 필터로서, 전자파 필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정 대역에 대한 주파수 필터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RF탐지기(40)에 이상 주파수가 탐지되면, 사용자의 별도 입력이나 지시가 없더라도 광 스캐너(20)가 자동으로 이상 주파수가 탐지된 방향으로 레이저 광(L) 또는 적외선 광(L)을 송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광 스캔을 수행한다.
이상 주파수라 함은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촬영장치에서 방출하는 주파수로서 몰래카메라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인 50MHz 내지 6GHz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 및 불법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할 때의 영상 신호의 주파수를 의미하나, 전술한 50MHz 내지 6GHz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불법촬영장치에서 방출 가능한 어떠한 주파수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기준은 적어도 둘 이상의 스캔 거리 중 가장 먼 거리, 가장 가까운 거리, 측정된 스캔 거리들의 평균 거리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광 스캐너(20)는 현재 위치의 공간으로 송출된 광과, 송출된 광이 스캔 방향의 벽체나 기물 등에 반사되어 돌아온 광을 이용하여 스캔 거리를 측정하고, 컨트롤러(30)는 광 스캐너(20)에서 측정된 스캔 거리에 기초하여 재밍 범위를 계산한다. 재밍 범위는 단순히 스캔 거리일 수도 있고, 스캔 거리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가 적용된 가중 스캔 거리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재밍 범위는 다른 말로 스캔 정보로도 부를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계산된 재밍 범위 또는 스캔 정보에 따라 재머(10)에서 송출하는 재밍 신호(J)의 세기를 결정한다.
재머(10)에서 송출하는 재밍 신호의 세기는 광 스캐너(20)에서 스캔한 현재 위치의 공간을 벗어나지 않는 레벨로 자동 설정됨에 따라, 주변에 있는 다른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방해하지 않고 불법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할 때의 영상 신호만 재밍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트롤러(30)에서 계산된 재밍 범위 또는 재밍 범위로 인해 결정된 재밍 신호의 세기가 미리 입력된 현재 위치의 공간 크기를 벗어나면 미리 설정된 제한 범위의 재밍 신호 세기, 즉 예로서 주변 1m ⅹ 1m ⅹ 1m로만 동작하도록 자동으로 제한될 수도 있다.
도 3은 재머 및 RF탐지기의 안테나 구조를 각 실시예 별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A)는 재머(10)와 RF탐지기(40)가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형태로써, 단일의 안테나(A)를 통해 재밍 신호를 송출하거나, 주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주파수 신호 및 전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테나(A)는 전자기파를 공간 내로 전달하거나 받기 위한 변환장치로서 모든 방향으로 에너지를 방사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에너지를 방사하는 형태이며, 이는 안테나(A)의 구조, 물질,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진다.
다시 말해,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촬영장치가 방출하는 이상 주파수를 탐지하는 RF탐지기(40)의 수신안테나(41)와 재밍 신호를 송출하는 재머(10)의 안테나(12)는 각각 다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므로 단일의 안테나(A)가 아닌 분리된 형태의 안테나 구조로도 마련될 수 있으며, RF탐지기(40)의 수신안테나(41)는 특정 방향으로 에너지를 방사하는 지향성 안테나로, 재머(10)의 안테나(12)는 모든 방향으로 에너지를 방사하는 무지향성 안테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머(10)의 안테나(12)와 RF탐지기(40)의 수신안테나(41)는 차단 장치(1) 상에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일례로, 재머(10)에서 송출되는 재밍 신호 세기를 2단계로 가변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계에 해당하는 재밍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각각의 안테나(12a, 12b)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재머(10)의 안테나(12)는 재밍 신호 세기의 가변 단계에 따라 다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1차적으로 RF 탐지를 통해 불법촬영장치를 탐색하되, 불법촬영장치는 탐지되지 않았으나 RF탐지기(40)의 지향 방향에 특이 전자 기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미확인 주파수가 탐지되는 경우, 미확인 주파수를 의심 주파수로 간주하고 2차적으로 재머(10)를 통해 재밍 신호를 방출하되, 재밍 신호를 얼마의 세기로 설정하여 송출할 지를 사용자의 조작부(110) 입력에 의한 지시가 있을 때 결정하는 불법촬영 차단장치(1)에 관한 것이다.
도 4은 실시예 2에 따른 불법촬영 차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불법촬영 차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듯, 실시예 2의 불법촬영 차단 장치(100)는 재머(110), 광 스캐너(210), 컨트롤러(310) 및 RF탐지기(410) 및 조작부(6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의 블록도에서 재머(110) 및 RF탐지기(410)는 실시예 1에서 전술한 재머(10) 및 RF탐지기(4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310)는 RF탐지기(410)에 이상 주파수가 감지되지 않고, RF탐지기(410)의 지향 방향에 특이 전자 기기가 발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미확인 주파수가 탐지되는 경우 미확인 주파수를 의심 주파수로 간주하고, 사용자의 조작부(610) 입력에 의한 지시가 있을 때 광 스캐너(21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61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는 것으로, 예로서 터치 디스플레이, 키패드, 버튼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차단 장치(1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광 스캐너(210)는 의심 주파수가 탐지된 방향으로 광을 송출하고, 송출된 광이 반사되어 돌아온 광을 이용하여 스캔 거리를 측정하며, 컨트롤러(310)는 측정된 스캔 거리에 기초하여 재밍 범위를 계산한 후 재머(110)에서 재밍 신호를 송출한다.
이 경우, RF탐지기(410)에 의해 이상 주파수가 아닌 특정 대역의 주파수가 감지되면, 잠정적으로 주변에 몰래카메라와 같은 불법촬영장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정 하에 조작부(610)를 작동시켜 광 스캐너(210)가 특정 대역 주파수가 감지된 방향의 스캔을 수행하며, 재머(110)를 통해 재밍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재머(110)에서 재밍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 큰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현재 위치의 공간에서 불법촬영장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경우 조작부(610)를 작동시켜 재밍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재머(110)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불법촬영 차단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불법촬영 차단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310)는 차단 장치(100)의 배터리 잔여량과 결정된 재밍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재밍 유지 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배터리는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단 장치(100)에는 재밍 유지 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510)가 장착될 수 있다.
차단 장치(100)를 동작시켜 RF감지기(410)에서 현재 위치 공간에서 불법촬영장치가 방출하는 이상 주파수를 탐지하면, 광 스캐너(210)가 자동으로 탐지 방향의 스캔을 수행하고, 컨트롤러(310)는 차단 장치(100)의 배터리 잔여량과 광 스캐너(210)의 스캔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재밍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재밍 유지 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510) 상에 출력함으로써 재밍 유지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재밍 신호를 현재 위치 공간에서 더 이상 송출하지 않아도 될 경우 수동으로 차단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단 장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M) 간에 통신망(710)이 연결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 상에 재밍 유지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M)는 스마트폰, 랩톱, 데스크톱, 태플릿 PC, 핸드헬드 PC 등 개인용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시스템으로 마련될 수 있다.
차단 장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M)는 통신망(710)에 의해 연동되는 것으로, 예로서 통신망(710)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을 포함하나, 전술한 통신망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방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00: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10, 110: 재머 11. 110: 재밍신호 생성회로
12, 112: 안테나 20, 210: 광 스캐너
30, 310: 컨트롤러 40, 410: RF탐지기
41, 411: 수신안테나 42, 412: 신호처리회로
510: 디스플레이 610: 조작부
710: 통신망

Claims (6)

  1. 불법촬영장치의 영상 데이터 전송을 교란하는 재밍 신호를 송출하는 재머;
    상기 불법촬영장치가 방출하는 이상 주파수를 탐지하는 RF탐지기;
    조사된 광의 반사광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스캔 거리를 측정하는 광 스캐너; 및
    상기 측정된 스캔 거리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이용하여 불법촬영장치를 탐지할 탐지 범위를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탐지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재밍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재밍 신호의 세기와 배터리 잔여량에 기초하여 재밍 유지 시간을 산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RF탐지기에서 이상 주파수가 탐지된 경우, 탐지 방향을 향해 자동으로 스캔 거리의 측정을 시작하도록 상기 광 스캐너를 제어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위치의 공간에서 불법촬영장치가 방출하는 이상 주파수를 탐지하는 RF탐지기; 및
    재밍 개시를 입력 받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RF탐지기에 미리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가 탐지되고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광 스캐너가 자동으로 탐지 방향의 스캔을 수행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스캔 정보에 따라 재밍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은, 적어도 둘 이상의 스캔 거리 중 가장 먼 거리, 가장 가까운 거리, 측정된 스캔 거리들의 평균 거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스캐너는, 레이저 및 적외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스캔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KR1020210113999A 2021-08-27 2021-08-27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KR102506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999A KR102506136B1 (ko) 2021-08-27 2021-08-27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999A KR102506136B1 (ko) 2021-08-27 2021-08-27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136B1 true KR102506136B1 (ko) 2023-03-06

Family

ID=8551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999A KR102506136B1 (ko) 2021-08-27 2021-08-27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1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626B1 (ko) * 2014-03-24 2015-04-13 주식회사 포드림 프라이버시 영역에 대한 임의촬영 차단 시스템
KR20190108292A (ko) * 2018-03-14 2019-09-24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전력 연산 장치 및 방법
KR102101118B1 (ko) * 2019-06-18 2020-04-14 김해림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KR102237521B1 (ko) * 2020-05-04 2021-04-07 남형종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갖는 보안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구비된 단말 및 이와 연동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626B1 (ko) * 2014-03-24 2015-04-13 주식회사 포드림 프라이버시 영역에 대한 임의촬영 차단 시스템
KR20190108292A (ko) * 2018-03-14 2019-09-24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전력 연산 장치 및 방법
KR102101118B1 (ko) * 2019-06-18 2020-04-14 김해림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KR102237521B1 (ko) * 2020-05-04 2021-04-07 남형종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갖는 보안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구비된 단말 및 이와 연동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34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control proximity location
US78433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RF environment to prevent airborne radar false alarms that initiate evasive maneuvers, reactionary displays or actions
KR102155560B1 (ko) 근거리 장애물 감지를 통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JP2017527146A (ja) 感知画面、制御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感知画面装置
US8576071B2 (en) Automatic lock and automatic unlock method for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system thereof
EP3477985B1 (en) Wireless access point system, portable electronic device able to control antenna direction of wireless access point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antenna direc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apparatus
US106303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deterring signal attenuation from phased-array antenna systems
JP2006279649A (ja) 携帯無線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TW201945759A (zh) 具有改變的發射場之飛行時間測距
JP2017146732A (ja)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51570A (ja) 無線通信装置
US7755050B2 (en) Explosive devic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506136B1 (ko) 재밍 신호를 이용한 불법촬영 차단 장치
US10886974B2 (en) Body detection using near field millimeter wave scattering
Sindhu et al. A Women Safety Portable Hidden camera detector and jammer
KR101870387B1 (ko) 라디오미터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TW201136208A (en) Radio wave control apparatus, radio wave control system, and radio wave control method
CN110363947B (zh) 基于wifi反射信号判断非法入侵的方法和安防系统
US20220413088A1 (en) Radar for full-blockage detection of radio frequency modules in mobile devices
US20230041835A1 (en) Radio frequency exposure estimation with radar for mobile devices
KR102056831B1 (ko) 이동형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JP5624923B2 (ja) 侵入者検知装置
CN115696541A (zh) 天线发射功率的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9239745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CN107818650B (zh) 基于sinr比值的入侵检测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