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694B1 -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694B1
KR102216694B1 KR1020200053956A KR20200053956A KR102216694B1 KR 102216694 B1 KR102216694 B1 KR 102216694B1 KR 1020200053956 A KR1020200053956 A KR 1020200053956A KR 20200053956 A KR20200053956 A KR 20200053956A KR 102216694 B1 KR102216694 B1 KR 10221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detection
detect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욱
Original Assignee
김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욱 filed Critical 김선욱
Priority to KR102020005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1/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combining techniqu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1V1/00 - G01V9/00
    • G01V11/002Details, e.g. power supply systems for logging instruments, transmitting or recording data, specially adapted for well logging, also if the prospecting method is irrelev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은 몰래 카메라가 영상 신호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15.75KHz 수평동기신호를 검출함으로써 공간 내에 몰래 카메라가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경은 몰래 카메라를 최종 확인할 수 있도록, 수평동기신호를 검출하면 적외선을 점등하여 몰래 카메라의 렌즈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몰래 카메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Glasses Capable of Detecting Hidden Cameras and Dete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추적 검출할 수 있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몰래 카메라는 숨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특정 공간을 몰래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허락되지 않는 영상을 촬영하는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몰래 카메라용으로 사용되는 카메라는 점점 소형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벽 속에 매립하거나 공간 내에 존재하는 구조물로 가려서 숨겨 두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거의 찾아낼 수 없다. 특정 공간에 설치된 몰래 카메라는 사생활 침해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범죄행위이기 때문에 찾아내어 제거해야만 한다.
공간에 몰래 설치된 카메라를 찾아내는 기술적 방법으로 마땅한 것이 없다. 몰래 카메라는 특성상 주로 무선으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기 때문에, 전문 탐색장치는 주로 몰래 카메라가 영상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무선 신호를 추적하여 불법 영상 신호인지 확인한다. 이런 장치들은 큰 안테나와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검출장치 중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것도 있다. 이런 장치들은 카메라의 렌즈가 불빛을 반사시킨다는 점을 이용한다. 휴대용 검출장치가 전방으로 적외선을 비추면 카메라 렌즈가 적외선을 반사하는데, 사용자가 그 반사광을 찾아내는 방식이다. 단점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찾아야 한다는 점이다. 적외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사되는 빛도 적색이어서 발견하기가 어렵지만은 않지만, 렌즈의 직경이 거의 1~2 mm 정도로 작기 때문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장치에서 나오는 적외선은 가능하면 넓은 면적을 조명할 수 있도록 상당한 조도로 출력되기 때문에 비록 직접 눈으로 빛이 들어오지 않더라도 사용자 눈에 피로감을 준다. 화장실이나 사무실 등을 조사하려면 수십 분 이상 소요될 수 있는데, 상당한 피로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관련선행기술]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9520호(도감청 장치 및 몰래 카메라 탐지기) 카메라가 발신하는 무선 신호를 탐지하는 방식.
본 발명의 목적은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추적 검출할 수 있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안경의몰래 카메라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은, 전원부, 신호검출부, 적외선출력부, 이벤트발생부 및 이들을 수용하는 안경 형태의 본체를 포함한다. 신호검출부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15.75KHz 무선신호를 검출하고, 적외선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를 본체의 전면에 구비하여 몰래 카메라 검출용 적외선을 전방으로 출사한다. 이벤트발생부는 상기 신호검출부가 상기 무선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적외선 엘이디를 점등하는 검출 이벤트를 수행한다.
무선신호의 수신세기 측정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는 상기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를 측정하는 신호세기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벤트발생부는 상기 신호세기측정부가 측정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이벤트를 수행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는 상기 신호세기측정부가 측정한 무선신호 수신세기에 대응되는 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벤트발생부는 사용자의 조작이 있거나, 상기 신호세기측정부가 측정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최소 기준값 이하이거나, 상기 신호검출부가 상기 무선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검출 이벤트를 해제하고 상기 적외선 엘이디를 소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는 별도의 보드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부의 가장자리 전면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드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소켓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단자가 소켓에 끼워지면 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파워 온 시킬 수 있다.
사용자 휴대 단말기와 통신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벤트발생부는 상기 검출 이벤트의 생성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생성정보를 정보수신시간, 현재 위치정보와 함께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을 이용한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에도 그 권리가 미친다. 본 발명의 검출방법은, 배터리를 구비한 전원부가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파워 온하는 단계와; 신호검출부가 안테나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15.75KHz 무선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검출부가 상기 무선신호를 검출하면, 이벤트발생부가 검출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이벤트에 따라, 적외선출력부가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를 점등하여 몰래 카메라 검출용 적외선을 전방으로 출사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몰래 카메라의 렌즈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직접 확인하여 상기 몰래 카메라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은 몰래 카메라가 영상 신호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15.75KHz 수평동기신호를 검출함으로써 공간 내에 몰래 카메라가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경은 검출되는 수평동기신호의 크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소리를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검출용 안경을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검출용 안경이 몰래 카메라를 최종적으로 찾아내는 방식은 적외선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렌즈 반사광을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카메라의 수평동기신호를 추적하는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몰래 카메라를 찾는 과정은 수평동기신호가 검출된 영역 인근에서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쉽게 몰래 카메라를 찾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검출 이벤트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외부 서버에 그 검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런 정보는 몰래 카메라와 관련된 빅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상습 설치위치나 그를 정보가 저장된 몰래 카메라 지도 등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안경을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검출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 포함된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의 블록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100)은 안경 형상의 본체(110)와, 본체(110)에 수용된 전원부(201), 신호검출부(203), 적외선 출력부(205), 스피커(133) 및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몰래 카메라(10)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안경(100)의 구성부 중에서 적외선 출력부(205)의 적외선 엘이디(131)와 스피커(133)가 본체(110)의 외면에 노출되면 충분하고, 나머지 구성은 본체(110) 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외장될 수도 있다.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이하, 간단히 '안경'이라 함)(100)은 사용자의 눈에 착용하는 안경 형상이면 족하며, 추가적으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선글라스 형태이어도 좋다. 따라서 안경 본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부(111, 113)와, 글라스부(111, 113)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두 개의 안경다리(115, 117)를 구비하며, 안경다리(115, 117)를 글라스부(111, 113)에 연결하는 힌지부(11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부 형태로는 힌지부(119) 없이 글라스부(111, 113)와 안경다리(115,117)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사용자의 두 눈에 각각 글라스부(111, 113)가 마련되어 제1 및 제2 글라스부(11, 113)가 나란히 연결된 형태로서 제1 및 제2 글라스부(11, 113)의 양단에 안경다리(115,117)가 마련된 것이다. 다른 예에 의하면, 하나의 글라스부가 사용자의 두 눈을 모두 커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글라스부(111, 113)는 몰래 카메라(10)를 검출할 때 사용자의 시각 방향을 적외선 출사 방향에 맞추기 위해 사용하는 조준기 역할을 한다. 적외선 엘이디(131)에서 출사된 적외선이 렌즈로 입사되고 반사되는 각도를 생각하면, 사용자의 시각 방향을 적외선 엘이디(131)에서 출사되는 적외선의 광축에 맞추는 것이 좋다. 도 1 및 도 3에는 적외선 엘이디(131)가 제1 글라스부(11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어서, 제1 글라스부(111)가 주된 조준기 역할을 할 것이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제2 글라스부(113)도 조준기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외선 엘이디(131)가 점등하면 몰래 카메라(10)의 렌즈가 적외선 엘이디(131)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반사하는데, 사용자는 제1 및 제2 글라스부(111, 113)를 통해 그 반사된 빛을 확인함으로써 몰래 카메라(10)를 찾는다.
전원부(201)는 배터리(201a)와, 배터리(201a)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201b)를 포함하며 안경(100)의 전체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필요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안경(100)은 배터리(201a)의 방전(즉, 안경을 위한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135)을 구비할 수 있지만, 조작버튼(135)이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사용자의 조작버튼(135) 조작에 따라, 전원부(201)는 전원공급을 개시하여 파워 온(Power On)하거나, 중단하여 파워 오프(Power Off)하는 것이다.
신호검출부(203)는 본 발명의 2단계 검출 작업에서 제1 검출단계에 사용된다. 신호검출부(203)는 안테나(ANT)를 이용하여, 15.75 KHz의 무선 신호를 검출한다. 15.75KHz 주파수는 몰래 카메라(10)가 영상 전송용으로 사용하는 주파수가 아니다.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카메라가 영상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수평동기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15.75 KHz이다. 몰래 카메라(10)의 전자회로는 영상을 생성할 때 수평동기신호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15.75 KHz의 무선 신호가 전자회로를 통해서 미약한 잡음의 형태로 출력된다. 신호검출부(203)는 그 잡음 신호를 검출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무선신호'라 하면, 다른 설명이 없는 한 몰래 카메라(10)가 출력하는 15.75 KHz의 무선 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안경(100)을 착용하거나 파지한 채로 몰래 카메라 감시 영역의 여기저기로 옮겨다니며 15.75 KHz의 무선신호를 검출한다.
당연하지만, 신호검출부(203)의 수신감도는 좋을수록 좋다. 몰래 카메라가 숨겨진 것으로 의심되는 '감시 영역'은 상당히 넓을 수 있고 몰래 카메라(10)에서 방출되는 15.75 KHz의 무선신호는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그러나 사용자가 안경(100)을 착용하거나 파지한 채로 쉽게 위치를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신호검출부(203)의 검출 커버리지(Coverage)는 넓지 않아도 문제없고, 안테나(ANT)는 본체(110)에 내장하는 형태로 설계해도 문제없다.
신호검출부(203)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집되는 무선신호에서 15.75 KHz 신호를 대역통과필터(BPF)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기본적인 잡음 제거와 증폭 등을 수행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에게 제공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는 신호검출부(203)가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제어부(210)에게 제공하고, 제어부(210)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적외선 출력부(205)는 신호검출부(203)와 다른 방식의 몰래 카메라(10) 검출수단이며, 본 발명의 2단계 검출 작업에서 제2 검출단계에 사용된다. 당연히, 조작버튼(135) 등을 이용한 사용자 제어에 의해, 신호검출부(203)를 이용한 제1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적외선 출력부(205)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10)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출력부(205)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131)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조도의 적외선을 전방으로 출력하여 검색 영역을 비춘다. 적외선이 사용자의 전면으로 출사되어야 하므로, 적외선 엘이디(131)는 본체(110)의 전면에 배치된다. 도 1에서는 적외선 엘이디(131)가 제1 글라스부(111)의 가장자리에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는데, 다른 제2 글라스부(113)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적외선 출력부(205)는 조작버튼(135)의 조작에 의해서도 점등할 수 있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검출이벤트에 따라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서도 점등할 수 있고, 도 5의 사용자 단말기(530)와 같은 다른 기기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스피커(13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검출된 무선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음이나 소리를 출력한다. 스피커(133)로는 비프음을 출력하는 단순한 형태의 소자도 무방하고, 스피커(133)를 대신해 진동모터(미도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10)는 신호세기측정부(211)와 이벤트발생부(213)를 포함하여 몰래 카메라를 추적한다.
신호세기측정부(211)는 신호검출부(203)가 제공하는 15.75 KHz 무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벤트발생부(213)는 신호세기측정부(211)가 측정한 15.75 KHz 무선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검출이벤트'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신호세기측정부(211)와 이벤트발생부(213)의 동작을 설명한다.
<15.75 KHz 무선신호의 스캔: S401>
신호검출부(203)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중에서 15.75 KHz 무선신호를 검출하여 처리한 다음, 제어부(210)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안경(100)을 착용하거나 파지한 채로 전체 검색영역을 옮겨다니면서 무선신호를 검출한다. 15.75 KHz 무선신호가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벽이나 조명장치 등 몰래 카메라(10)가 숨겨져 있을 만한 장소 근처로 안경(100)을 가져가면서 무선신호를 검출해야 한다.
<신호검출 표시: S403, S405>
15.75 KHz 무선신호가 검출되면(S403), 신호검출부(203)와 신호세기측정부(211)는 무선신호의 검출 여부, 그 검출된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음을 스피커(133)를 통해 출력한다(S405).
신호검출부(203)는 안테나(ANT)를 통해 15.75 KHz 무선신호를 검출하면, 기본 처리를 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세기측정부(211)에게 제공한다. 신호세기측정부(211)는 신호검출부(203)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스피커(133)를 통해 무선신호 검출상태 또는 그 신호 세기의 측정치에 상당하는 소리나 음을 출력한다.
사용자는 스피커(133)의 출력을 확인하면서, 위치를 바꾸면서 15.75 KHz 무선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S401 및 S403 단계를 반복한다.
<검출 이벤트: S407, S409>
신호세기측정부(211)는 무선신호 수신세기의 측정값을 이벤트발생부(213)에게 제공하고, 이벤트발생부(213)는 신호세기측정부(211)가 제공한 측정값이 기설정된 기준 크기 이상인지 판단하여, 기준 크기 이상이면 제2 검출단계를 개시하는 '검출이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준 크기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신호검출부(203)의 전파 탐지 커버리지 내에서 검출할 수 있는 신호 크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S407).
검출이벤트가 생기면, 이벤트발생부(213)는 적외선 출력부(205)의 적외선 엘이디(131)를 점등한다. 따라서 수평동기신호를 스캔하는 중에 적외선 엘이디(131)가 점등되면, 그 점등된 위치 근처에 몰래 카메라(10)가 숨겨진 것이며, 조작버튼(135)의 조작이 없이도 적외선 엘이디(131)가 점등된 것이다. 사용자는 스피커(133)를 통해 출력되는 측정치에 상당하는 소리를 들으면서 다시 위치를 바꾸고, S401 내지 S407 단계는 계속 반복된다. 그러다가, 적외선 엘이디(131)가 점등되면, 근처에 몰래 카메라(10)가 숨겨진 것을 인식하고 몰래 카메라(10)의 렌즈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이 있는지 확인하는 제2 검출단계를 시작하는 것이다(S409).
검출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신호검출부(203)와 신호세기측정부(211)는 계속 무선신호의 검출과 세기의 측정을 계속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신호검출부(203)와 신호세기측정부(211)가 검출이벤트에 따라 더 이상 제1 검출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검출 이벤트 해제: S411, S413>
검출 이벤트는 (1) 신호세기측정부(211)의 측정값이 기준값 이하가 되거나 (2) 기설정된 최소값 이하가 되거나 (3) 조작버튼(135)가 조작되어 전원이 파워 오프되면 해제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최소값은 15.75 KHz 무선신호의 측정값이 전혀 없는 상태가 될 수도 있고, 신호검출부(203)의 커버리지 내에서 검출할 수 있는 최소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S411).
이벤트발생부(213)는 해제조건이 완료되면 검출 이벤트를 해제한다. 검출 이벤트가 해제되면, 이벤트발생부(213)는 제1 글라스부(111) 주위의 적외선 엘이디(131)를 소등한다(S413).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100)의 2 단계 몰래 카메라 검출이 수행된다.
실시 예: 검출 이벤트 생성의 다른 방법
도 4의 S407 단계에서, 이벤트발생부(213)는 신호세기측정부(211)가 제공한 측정값이 기준크기 이상인지 판단하여 검출 이벤트를 생성한다. 그러나 신호검출부(203)가 무선신호를 검출하면 수신세기의 측정없이 바로 검출이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100)은 신호세기측정부(211)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스피커(133)를 이용하여 측정치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할 필요도 없다.
실시 예: 사용자 휴대 단말기와 연결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510)을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검색시스템(500)이 개시된다. 몰래 카메라 검색시스템(50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510)과,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 및 서비스 서버(570)를 포함한다.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는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510)과 연결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550)를 통해 서비스 서버(57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510)은 도 1의 안경(100)에 더하여 통신인터페이스(601)를 더 구비한다. 통신인터페이스(601)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무선랜(Wireless LAN) 등이 해당한다.
전원부(201)는 조작버튼(135)의 조작이 없더라도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여 전원공급을 개시하거나 중지할 수 있다.
이벤트발생부(213)는 S409 단계로 진입하면 검출이벤트 생성정보를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에게 제공하고, S413 단계에서 검출이벤트가 해제되면 그 해제정보를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에게 해당 정보를 서비스 서버(570)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이때 검출용 안경(510)이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에게 제공하는 검출이벤트 생성정보나 해제정보는 단순히 그 발생 및 해제가 있었음을 통지하는 수준이어도 무방하다.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는 검출용 안경(510)으로부터 제공받은 '검출 이벤트'의 생성정보 또는 해제정보를 서비스 서버(570)에게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서버(570)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가 제공하는 해당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몰래 카메라와 관련한 광범위한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는 제1 통신부(701), 제2 통신부(703), GPS 수신기(705), 내장카메라(707) 및 이벤트처리부(7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통신부(701)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510)의 통신 인터페이스(601)와 통신하고, 제2 통신부(703)는 네트워크(550)를 통해 서비스 서버(57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이다. GPS 수신기(705)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내장카메라(707)는 이벤트처리부(710)의 제어에 따라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이벤트처리부(710)는 검출용 안경(510)으로부터 '검출 이벤트'의 생성정보 또는 해제정보를 제공받으면, 정보 수신시간과, GPS 수신기(705)가 제공한 현재 장소정보와 함께 서비스 서버(570)에게 제공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이벤트처리부(710)는 검출용 안경(510)으로부터 '검출 이벤트'의 생성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내장카메라(707)를 이용해 전방을 촬영하도록 '카메라 촬영'을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몰래 카메라(10)를 촬영하거나 그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벤트처리부(710)는 사용자가 내장카메라(707)를 이용하여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검출 이벤트'의 생성정보, 정보 수신시간 및 현재 장소정보와 함께 서비스 서버(57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처리부(710)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530)의 운영체제 프로그램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처리부(710)는 검출용 안경(510)으로부터 '검출 이벤트'의 생성정보를 수신하면, 기설정된 전화번호(예를 들어, 경찰청)로 전화를 걸거나 기설정된 문자 메시지 등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 예: 탈착식 적외선 출력부 또는 적외선 엘이디 보드
실시 예에 따라, 적외선 출력부(20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131)는 본체(110)에 탈착식으로 구현되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검출이 동작할 수 있다. 도 8은 복수 개의 적외선 엘이디 보드(801)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탈착식으로 구현된 예로서, 적외선 엘이디 보드(801)에는 본체(110)에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단자(803)가 마련되고, 본체(110)에는 적외선 엘이디 보드(801)가 장착할 때 단자(803)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805)이 마련되어 있다.
전원부(201)는 단자(803)와 소켓(805) 사이의 연결을 인식함으로써,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파워 온 절차를 개시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3)

  1. 배터리를 구비하여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안테나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15.75KHz 무선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를 본체의 전면에 구비하여 몰래 카메라 검출용 적외선을 전방으로 출사하는 적외선출력부;
    상기 신호검출부가 상기 무선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적외선 엘이디를 점등하는 검출 이벤트를 수행하는 이벤트발생부; 및
    상기 전원부, 신호검출부, 적외선출력부 및 이벤트발생부를 수용하는 안경 형상의 상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는 별도의 보드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부의 가장자리 전면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 및 탈착되고,
    상기 보드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소켓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단자가 소켓에 끼워지면 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파워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를 측정하는 신호세기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발생부는 상기 신호세기측정부가 측정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세기측정부가 측정한 무선신호 수신세기에 대응되는 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발생부는 사용자의 조작이 있거나, 상기 신호세기측정부가 측정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최소 기준값 이하이거나, 상기 신호검출부가 상기 무선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검출 이벤트를 해제하고 상기 적외선 엘이디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휴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발생부는 상기 검출 이벤트의 생성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생성정보를 정보수신시간, 현재 위치정보와 함께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8.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의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으로서,
    배터리를 구비한 전원부가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파워 온하는 단계. 상기 전원부는 안경 형상의 본체에 수용됨;
    상기 본체에 수용된 신호검출부가 안테나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15.75KHz 무선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검출부가 상기 무선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이벤트발생부가 검출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이벤트에 따라, 상기 본체에 수용된 적외선출력부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를 점등하여 몰래 카메라 검출용 적외선을 전방으로 출사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몰래 카메라의 렌즈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직접 확인하여 상기 몰래 카메라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가 장착된 보드를 상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부의 가장자리 전면에 끼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드에 마련된 단자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소켓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보드와 본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전원부가 상기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파워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의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신호세기측정부가 상기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벤트발생부는 상기 신호세기측정부가 측정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의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세기측정부가 측정한 무선신호 수신세기에 대응되는 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의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이 있거나 상기 신호세기측정부가 측정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최소 기준값 이하이거나 상기 신호검출부가 상기 무선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이벤트발생부가 상기 검출 이벤트를 해제하고 상기 적외선 엘이디를 소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의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12. 삭제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사용자 휴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발생부가 상기 검출 이벤트의 생성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생성정보를 정보수신시간, 현재 위치정보와 함께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의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KR1020200053956A 2020-05-06 2020-05-06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KR10221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56A KR102216694B1 (ko) 2020-05-06 2020-05-06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56A KR102216694B1 (ko) 2020-05-06 2020-05-06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694B1 true KR102216694B1 (ko) 2021-02-16

Family

ID=7468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956A KR102216694B1 (ko) 2020-05-06 2020-05-06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6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5910A (zh) * 2021-11-17 2022-02-25 北京蜂巢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ar眼镜的防偷拍方法、设备以及介质
KR102471143B1 (ko) * 2022-04-29 2022-11-29 주식회사 멤스룩스 라이팅 안경
US20240012244A1 (en) * 2022-07-11 2024-01-1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OPTICAL ASSEMBLY WITH MICRO LIGHT EMITTING DIODE (LED) AS EYE-TRACKING NEAR INFRARED (nIR) ILLUMINATION SOUR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397Y1 (ko) * 2003-06-24 2003-10-17 주식회사 엠솔테크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43211A (ko) * 2006-11-13 2008-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KR20110069027A (ko) * 2008-08-26 2011-06-22 에프피에스아이, 인크. 카메라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897691B1 (ko) * 2017-06-09 2018-09-12 주식회사 에스원 UWB(Ultra Wide Band)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몰래카메라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몰래 카메라 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397Y1 (ko) * 2003-06-24 2003-10-17 주식회사 엠솔테크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43211A (ko) * 2006-11-13 2008-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KR20110069027A (ko) * 2008-08-26 2011-06-22 에프피에스아이, 인크. 카메라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897691B1 (ko) * 2017-06-09 2018-09-12 주식회사 에스원 UWB(Ultra Wide Band)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몰래카메라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몰래 카메라 감지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5910A (zh) * 2021-11-17 2022-02-25 北京蜂巢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ar眼镜的防偷拍方法、设备以及介质
KR102471143B1 (ko) * 2022-04-29 2022-11-29 주식회사 멤스룩스 라이팅 안경
US20240012244A1 (en) * 2022-07-11 2024-01-1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OPTICAL ASSEMBLY WITH MICRO LIGHT EMITTING DIODE (LED) AS EYE-TRACKING NEAR INFRARED (nIR) ILLUMINATION SOU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694B1 (ko)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US9462156B2 (en) Portable device having a torch and a camera located between the bulb and the front face
US6633231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communication
US6580372B1 (en) Automatic electronic device detection
US7460023B1 (en) Automatic electronic device detection
US7313405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00091758A (ko) 감시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감시방법
KR102101118B1 (ko) 몰래카메라 탐지장치 및 탐지방법
US20110254955A1 (en) Detachable Universal Electronic Door Viewer
US20050151669A1 (en) Lone worker monitor
US20130016211A1 (en) Home Surveillance Device
JP2017010185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060733A1 (en) Remote surveillance system
KR102234391B1 (ko) 몰래 카메라 검출장치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KR101616469B1 (ko) 긴급구조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 방법
WO2003023729A1 (en) Smoke detector combination
CN113319864A (zh) 一种智能巡防机器人系统
JP5111149B2 (ja) 表示装置
CN111383243B (zh) 一种跟踪目标对象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03173483A (ja) 制御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KR102290863B1 (ko)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CN215318720U (zh) 一种智能巡防机器人系统
US9554099B1 (en) Multifunctional security surveillance and lighting device
JP2009141501A (ja) 携帯撮像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12163350U (zh) 一种方便携带的防监听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