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143B1 - 라이팅 안경 - Google Patents

라이팅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143B1
KR102471143B1 KR1020220053758A KR20220053758A KR102471143B1 KR 102471143 B1 KR102471143 B1 KR 102471143B1 KR 1020220053758 A KR1020220053758 A KR 1020220053758A KR 20220053758 A KR20220053758 A KR 20220053758A KR 102471143 B1 KR102471143 B1 KR 102471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directional
lens
glasses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신애
이정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멤스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멤스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멤스룩스
Priority to KR102022005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61Reflection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step profile, contours of substrate or grooves, pitch variations,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4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은, 개구부를 갖는 안경테;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일 측면으로 수신된 빛이 전면(Front side)으로만 출광되는 단방향 출광렌즈; 및 상기 안경테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의 일 측면으로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라이팅 안경{LIGHTING GLASSES}
본 발명은 라이팅 안경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시야 확보와 함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이팅 안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빛을 조명하는 안경(이하, '라이팅 안경'이라 함)은, 파티나 공연장 등에서 사용되는 엔터테이닝용 또는 특수 기능(치과 검진용, 정밀 작업용 등)을 위한 특수 기능성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엔터테이닝용 라이팅 안경 중에서, 안경알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빛이 출광(양방향 출광)되는 제품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그림에서 안경알에 직하형 LED가 장착된 제품, 중간 그림에서 LED를 이용한 아크릴 각인 제품, 우측 그림에서 안경알에 OLED가 장착된 제품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품들은 양방향 출광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여 사용자 시야 확보를 어렵게 한다. 시야 확보가 어려운 사용자는 부상 등을 당할 수 있다. 특히, 직하형 LED가 장착된 제품은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해 썬팅이 되어 있지만, 썬팅이 되지 않은 부분은 여전히 사용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한다. 아크릴 각인 제품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OLED가 장착된 제품은 비용 및 내구성 문제로 컨슈머 제품화에는 무리가 있다.
한편, 종래의 특수 기능성 안경의 몇 가지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좌측 그림은 치과 검진용 안경으로서 안경알 위에 별도의 LED가 장착된다. 도 2의 우측 그림은 정밀 작업용 안경으로서 안경알 주변의 안경테 부분에 별도의 LED가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특수 기능성 안경들은, LED가 안경알 주변에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정밀하게 보고자 하는 타겟을 정확히 조명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눈과 LED가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작업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디자인적으로도 심플하지 못하며, 사용자 편의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눈부심을 줄일 수 있는 라이팅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명확한 사용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라이팅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세밀한 치료 및 작업에 용이한 라이팅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가볍고 심플하며, 사용자 편의성이 높은 라이팅 안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은, 개구부를 갖는 안경테;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일 측면으로 수신된 빛이 전면(Front side)으로만 출광되는 단방향 출광렌즈; 및 상기 안경테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의 일 측면으로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는, 후면(back side)에 형성된 다수의 캐비티를 갖고, 상기 캐비티는 음각 패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비티는 상기 후면의 개구로부터 저면까지 소정 깊이를 가지며, 상기 깊이가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저면과 상기 저면에 연결된 다수의 내측면들로 정의되고, 상기 다수의 내측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기 캐비티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의 전면으로 빛이 출광될 때,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의 저면에 소정의 형상을 빛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는, 상기 다수의 캐비티 중 일부 캐비티들이 열에 의해 변형되어 뭉게지거나 평평해진 변형부 및 상기 후면과 상기 변형부를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는, 상기 다수의 캐비티 중 일부 캐비티들을 매립하는 매립층 및 상기 후면과 상기 매립층을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립층은 상기 출광렌즈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광원에서 출광되는 빛의 세기나 파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에서 출광되는 빛의 세기나 파장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를 충전하거나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 눈부심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명확한 사용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밀한 치료 및 작업에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가볍고 심플하며, 사용자 편의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엔터테이닝용 안경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는 종래의 특수 기능용 안경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라이팅 안경테 내부를 투시한 투시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의 단방향 출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에 더 추가될 수 있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들 중 인용부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인용부호들로 표시됨을 유의해야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라이팅 안경테 내부를 투시한 투시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은, 안경테(100), 상기 안경테(100)에 끼워지고 단방향으로만 빛을 출광하는 단방향 출광렌즈(110), 및 상기 안경테(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100)의 적어도 일 측면으로 빛을 제공하는 광원(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은, 상기 안경테(10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기 위한 안경다리(150), 상기 광원(130)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160), 및 상기 광원(130)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경테(100)는 단방향 출광렌즈(110)를 끼우는 테두리이다.
안경테(1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의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안경테(100) 내부에는 광원(130), 전원부(160) 또는/및 제어부(170)가 장착될 수 있다.
안경테(10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띠 형상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안경테(100)는 일반적인 안경테처럼 두 개의 띠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안경테(100)의 형상은 특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광원(130)은 LED와 같은 발광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LED를 대체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광원(130)은 안경테(10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광원(130)은 안경테(100)의 내측 테두리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130)이 안경테(100) 내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광원(130)은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원(13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은 심플한 외형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광원(130)은 안경테(100) 내부에 배치된 전원부(16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광원(130)은 단방향 출광렌즈(110)로 소정 파장대역의 빛을 방출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파장은 가시광 대역의 파장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색상의 제1 파장 대역의 파장일 수 있고,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색상의 제2 파장 대역의 파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파장은 적외선 또는 자외선의 파장 대역일 수도 있다.
광원(130)은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발광소자는 서로 다른 파장대역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색상의 빛을 구현하여 안경테(100) 내부를 조명할 수 있다.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안경테(10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안경테(100)의 내측 테두리면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상기 개구부의 단면적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가지며, 가장자리부가 상기 개구부 주위의 안경테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광원(130)으로부터 빛을 일 측면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빛을 양 면 중 일 면으로만 빛을 방출한다. 여기서, 빛이 출광되는 일 면은 외부를 향하는 전면(front side)이고, 다른 일 면은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후면(back side)일 수 있다. 이러한 단방향 출광렌즈(110)에 의하면, 빛이 상기 전면을 통해서만 출광되므로, 사용자에게 눈부심이 유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방향 출광 부재(110)의 재질은, PMMA(Polymethylmethacrylate), SMMA(Styrenemethyl Methacrylate), COC(Cyclic olefin copolymer), AryLite, Polycarbona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I(Polyimide), PE(Polyethylene), PES(Polyethersulfone), PO(Polyolefin), PVA(Polyvinylalcohol), PVC(Polyvinylchloride), TAC(Triacetylcellulose), PS(Polystylene), PP(Polyprop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AN/AS(Styrene Acrylonitril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TT(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U(Polyurethane), PUA(Polyurethane Acrylat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PAR(Polyarylate), Silicone, PDMS(Polydimethylsiloxa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광원(130)이 꺼진 상태에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안경의 렌즈처럼 기능하기 위해 소정의 도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돋보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단방향으로 빛을 출광하기 위한 패턴을 갖는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캐비티(115, cavity)를 다수로 포함한다. 다수의 캐비티(115)는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다른 일 면(112)에 배치된다. 캐비티(115)는 다른 일 면(112)으로부터 일 면(113) 방향으로 소정 깊이를 갖는다. 여기서, 일 면(113)은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출광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전면이 되고, 다른 일 면(112)은 후면이 된다.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음각 패턴의 캐비티(115)를 갖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다수의 광원(130)으로부터 다양한 각도로 입사되는 빛들을 출광렌즈(110)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인 일 면(113)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캐비티(115)는 일 면(112)의 개구로부터 저면(116)까지 소정 깊이를 가지며, 깊이가 깊어질수록 캐비티(115)의 폭이 좁아진다. 또한, 캐비티(115)는 저면(116)과 상기 저면(116)에 연결된 다수의 내측면(118)들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내측면(118)은 캐비티(115)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이고, 저면(116)의 각 변도 캐비티(115)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곡면은 소정의 곡률(R)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내측면(118)들의 개수는 저면(116)의 각 변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적어도 셋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내측면(118)들 중 일부는 곡면일 수 있고, 나머지는 평면일 수도 있다. 또한, 내측면(118)들 전부가 곡면일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변형 예에 따른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캐비티(115')를 갖고, 캐비티(115') 내에 배치된 돌출패턴(117)를 포함한다. 돌출패턴(117)은 캐비티(115') 내에 배치되고, 캐비티(115')의 저면(116)으로부터 개구 방향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패턴(117)은 캐비티(115')의 저면(116)으로부터 위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는, 도 5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와 비교하여, 돌출패턴(117)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출광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출광렌즈(110)의 상면에 부착된 출광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출광렌즈(1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캐비티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출광시트의 일 면에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수의 캐비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 및 (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의 단방향 출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의 전면(Front side)를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의 (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의 후면(back side)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을 바라보면 빛이 출광되어 출광렌즈(110)의 반대편 환경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측에서는 출광렌즈(110)의 반대쪽 환경이 그대로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원부(160)는 상기 광원(130)에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전원부(160)는 유선 또는 무선 충전식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부(160)는 갈아끼울 수 있는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부(160)은 안경테(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원부(160)는 안경다리(15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광원(13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전원부(160)에서 상기 광원(130)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광원(130)으로 제공되는 전원의 크기나 세기를 제어하여 상기 광원(130)에서 출광되는 빛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광원(130)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원(130)이 RGB LED인 경우에 상기 광원(130)에서 출광되는 빛의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70)은 안경테(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안경다리(15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에 더 추가될 수 있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은 스위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80)는 도 4에 도시된 광원(130)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180)가 온되면 상기 광원(130)이 켜지고, 오프되면 상기 광원(130)이 꺼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치(180)는 도 4에 도시된 전원부(160)와 광원(130) 사이의 전기적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80)는 상기 광원(130)에서 출광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80)가 슬라이드 바 타입으로 구성되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슬라이딩 될수록 광원(130)에서 출광되는 빛의 세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80)는 상기 광원(130)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80)가 하나 또는 둘 이상 배치되어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의 빛이 상기 광원(130)에서 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180)는 안경다리(150)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위치(180)는 안경테(1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은 단자(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190)는 도 4에 도시된 전원부(16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190)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단자일 수도 있다. 상기 단자(190)는 상기 충전단자와 상기 제어단자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단자(190)는 안경테(110)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자(190)는 안경다리(15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전면(Front side)으로 빛이 출광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팅 안경과 비교하여, 단방향 출광렌즈(110'')에서 빛이 출광될 때, 전면(Front side)에서 소정의 형상(P)이 빛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형상(P)은 상표, 로고 또는 무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전면에 소정의 형상(P)을 빛으로 형성하기 위한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구성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다른 구성들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단면도들이다. 도 10의 (a)는 도 9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단면도의 일 예이고, 도 10의 (b)는 도 9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단면도의 다른 일 예이다.
도 10의 (a)을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단방향 출광렌즈(100'')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에 추가로 매립층(119a) 또는/및 보호층(119b)을 더 포함한다.
매립층(119a)은 일 면(112)의 적어도 일 부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일 부분에 형성된 캐비티(115)들을 매립한다.
매립층(119a)은 UV 경화성 레진일 수 있다. 또는 매립층(119a)은 출광렌즈(110'')와 동일한 재질이거나, 출광렌즈(110'')의 굴절율과 동일 또는 비슷한 굴절율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여기서, 매립층(119a)의 굴절율은 출광렌즈(110'')의 굴절율의 0.8배 내지 1.2배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 밖에서는 출광렌즈(110'')와의 굴절율 차이로 인해, 전반사가 잘 이뤄지지 않는다.
매립층(119a)은 프린터 노즐을 통해 일 면(112)의 일 부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매립층(119a)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면(112)의 일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 면(112)의 캐비티(115)들을 채워 일 면(112)의 일 부분을 전부 평평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린터 노즐은 UV 잉크젯 프린터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UV 잉크젯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 노즐을 제어하여 소정의 진행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어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상기 프린터 노즐 내부의 레진을 밖으로 출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UV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서 출광렌즈(110)의 일 면(112)의 일 부분에만 매립층(119a)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매립층(119a)은 경화공정을 통해 경화될 수 있다. 도 10의 (a)에서는 매립층(119a)이 출광렌즈(110)의 일 면(112)의 일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이고, 일 면(112)의 또 다른 하나 또는 다수의 부분들에 매립층(119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또 다른 하나 또는 다수의 매립층(119a)이 형성됨으로써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다른 일 면(113) 상에 도 9에 도시된 특정 형상(P)이 빛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매립층(119a)은 상기 잉크젯 프린팅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탠실, 실크스크린 방식의 인쇄 방법으로도 패터닝될 수 있다.
보호층(119b)은 단방향 출광렌즈(110)의 일 면(112)과 매립층(119a) 상에 배치된다. 보호층(119b)은 소정의 굴절율을 가지며, 매립층(119a) 및 출광렌즈(110)보다 낮은 저굴절율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보호층(119b)을 출광렌즈(110)의 일 면(112) 상의 전체에 형성하여 선택적 출광 효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매립층(119a)과 출광렌즈(110'')의 일 면(112)을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출광렌즈(100'')는 도 2의 출광렌즈(110)의 일 면(112)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부분에만 매립층(119a)을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형상(또는 로고)(P)이 빛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출광렌즈(110)의 일 면(112)의 일 부분에 매립층(119a)이 형성되면, 매립층(119a)이 출광렌즈(110)의 굴절율과 동일 또는 비슷한 굴절율을 갖기 때문에 매립층(119a)에서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출광되지 않고 전반사된다. 한편, 출광렌즈(110)의 일 면(112)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매립층(119a)이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캐비티(115)에 의해서 다른 일 면(113)측 방향으로 빛이 향하게 된다. 즉, 도 10의 (a)에 도시된 출광렌즈(100'')는 빛이 출광되는 영역과 출광되지 않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일 예에 따른 단방향 출광렌즈(100'')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단방향 출광렌즈(110)에 추가로 변형부(119c) 또는/및 보호층(119b)을 더 포함한다.
변형부(119c)는 일 면(112)의 적어도 일 부분에 배치된다. 변형부(119c)는 일 면(112)의 적어도 일 부분에 형성된 캐비티(115)가 외부에서 가해진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변형되어 뭉게지거나 평평해진 부분일 수 있다. 실제로 플라스틱 종류는 음각 패턴이 각인된 후, 열을 받으면 평평해지는 쪽으로 회복된다.
변형부(119c)를 형성하기 위해 발열체 프로브(Probe)와 같은 발열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 프로브로 일부 캐비티(115)들을 뜨겁게 달구어 직접 눌러 찍거나, 상기 발열체 프로브로 소정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부 캐비티(115)들을 뜨겁게 달구면 변형부(119c)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발열부재는 뜨거운 공기를 방출하는 핫 에어(Hot Air) 노즐일 수도 있다.
발열체 프로브 또는 핫 에어 노즐을 구비한 발열 장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발열체 프로브 또는 핫 에어 노즐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체 프로브 또는 핫 에어 노즐을 특정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발열체 프로브의 온도를 제어하거나 핫 에어 노즐에서 방출되는 핫 에어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변형부(119c)는 적어도 일부가 평평하지만 적어도 다른 일 부분은 부분적으로 완만하게 볼록하거나 완만하게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변형부(119c)에서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투과되지 않고, 빛이 거의 대부분 전반사된다. 반면, 변형되지 않은 캐비티(115)에서는 반사된 광이 다른 일 면(113)을 통해 출광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출광렌즈(100'')는 빛이 출광되는 영역과 출광되지 않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소정의 형상(P)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출광렌즈(110'')는 상면에 부착된 출광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출광렌즈(1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캐비티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출광시트의 일 면에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다수의 캐비티가 형성될 수 있고, 그 위에 도 10의 (a) 또는 (b)에 도시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개구부를 갖는 안경테;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일 측면으로 수신된 빛을 전면(Front side)과 후면(back side) 중 상기 전면으로만 출광하는 단방향 출광렌즈; 및
    상기 안경테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의 일 측면으로 상기 빛을 제공하는 광원;
    을 포함하는, 라이팅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는, 상기 후면에 형성된 다수의 캐비티를 갖고,
    상기 캐비티는 음각 패턴인, 라이팅 안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상기 후면의 개구로부터 저면까지 소정 깊이를 가지며, 상기 깊이가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저면과 상기 저면에 연결된 다수의 내측면들로 정의되고,
    상기 다수의 내측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기 캐비티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인, 라이팅 안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의 전면으로 빛이 출광될 때,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의 전면에 소정의 형상을 빛으로 형성하는, 라이팅 안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는, 상기 다수의 캐비티 중 일부 캐비티들이 열에 의해 변형되어 뭉게지거나 평평해진 변형부 및 상기 후면과 상기 변형부를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라이팅 안경.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출광렌즈는, 상기 다수의 캐비티 중 일부 캐비티들을 매립하는 매립층 및 상기 후면과 상기 매립층을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립층은 상기 출광렌즈와 동일한 재질인, 라이팅 안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광원에서 출광되는 빛의 세기나 파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라이팅 안경.
KR1020220053758A 2022-04-29 2022-04-29 라이팅 안경 KR10247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758A KR102471143B1 (ko) 2022-04-29 2022-04-29 라이팅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758A KR102471143B1 (ko) 2022-04-29 2022-04-29 라이팅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143B1 true KR102471143B1 (ko) 2022-11-29

Family

ID=8423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758A KR102471143B1 (ko) 2022-04-29 2022-04-29 라이팅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1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610A (ko) * 2002-08-13 2005-06-0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어레이 시트, 금형, 집광판, 유기 전계 발광 발광체및 표시 장치
KR20100100089A (ko) * 2009-03-05 2010-09-15 주식회사 경동정밀 박막금속 렌즈를 이용한 핀 홀 스포트라이트 안경
KR20130124396A (ko) * 2011-02-28 2013-11-13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광학렌즈
KR102081511B1 (ko) * 2018-09-05 2020-02-25 주식회사 센스피플 연무현상 방지를 통한 시력 교정용 핀홀 안경
KR102216694B1 (ko) * 2020-05-06 2021-02-16 김선욱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610A (ko) * 2002-08-13 2005-06-0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어레이 시트, 금형, 집광판, 유기 전계 발광 발광체및 표시 장치
KR20100100089A (ko) * 2009-03-05 2010-09-15 주식회사 경동정밀 박막금속 렌즈를 이용한 핀 홀 스포트라이트 안경
KR20130124396A (ko) * 2011-02-28 2013-11-13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광학렌즈
KR102081511B1 (ko) * 2018-09-05 2020-02-25 주식회사 센스피플 연무현상 방지를 통한 시력 교정용 핀홀 안경
KR102216694B1 (ko) * 2020-05-06 2021-02-16 김선욱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3588B2 (ja) フォトニック素子を組み込む眼用デバイスを形成する方法及び装置
US11409373B2 (en) Backlight module and input device
JP2009289760A (ja) 発光パネルアセンブリ
JP2001202040A (ja) 反射材、反射材の製造方法および内照表示装置
JP6333833B2 (ja) 光による美容治療のためのデバイス、装置、及びアセンブリ
JP6764240B2 (ja) 加飾シート、加飾成形品、及び加飾モジュール
CN113993579A (zh) 导光型发光二极管面罩装置
KR101214988B1 (ko) 광굴절 패턴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그것의 제조 방법, 이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471143B1 (ko) 라이팅 안경
KR100908127B1 (ko) 발광장치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부재
KR102272612B1 (ko) 출광 부재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JP6680843B2 (ja) 車両用ランプモジュール
KR1014915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면커버
US20230408747A1 (en) Light emitting sheet and 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US20200026101A1 (en) Illuminated eyewear device
KR102475391B1 (ko) 인테리어 라이팅 장치
TW201324568A (zh) 發光鍵盤及其光源模組
US20230393326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guide plate
KR102384653B1 (ko) 차량용 발광 내장재
KR102478001B1 (ko) 라이팅 케이스
KR20230085790A (ko) 폰케이스 및 스마트폰
JP2005038755A (ja) 面光源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WO2023013243A1 (ja) 導光板および発光モジュール
WO2012059855A1 (en) Light emitting sheet
JP2009087820A (ja) 操作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