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863B1 -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0863B1 KR102290863B1 KR1020200083002A KR20200083002A KR102290863B1 KR 102290863 B1 KR102290863 B1 KR 102290863B1 KR 1020200083002 A KR1020200083002 A KR 1020200083002A KR 20200083002 A KR20200083002 A KR 20200083002A KR 102290863 B1 KR102290863 B1 KR 1022908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ection
- event
- camera
- unit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1—Wireless intrusion detection systems [WIDS]; 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s [WI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탐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도청탐지국과 복수 개의 몰래 카메라탐지국을 구축하여, 지역 내에 발생하는 도청 탐지 및 몰래 카메라 설치 상황에 대한 감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도청감시 단말기 또는 카메라검출장치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제공받아 서비스 서버에게 감시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불법 행위 중에는 도청과 몰래 카메라 촬영이 있다.
도청 탐지 단말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청취하여 도청 시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장치로서, 설치형과 휴대용이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관리자가 휴대하면서 내장 안테나를 이용하여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를 검출하는데 반해, 설치형 단말기는 특정 공간에 설치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여러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감시 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으며 장시간 도청 전파를 감시할 수 있다. 도청이 상시로 일어나는 것이 아닌 경우에, 휴대용은 도청 신호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특정 공간에서의 긴급한 확인에 유용하다. 설치형은 장시간 감시하면서 전체적인 도청 시도를 확인할 수 있고 여러 개의 안테나를 미리 설치하여 전파 수신 커버리지를 확장함으로써 비교적 넓은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설치형이나 휴대형 모두,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도청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는 복조하여 탐지된 전파의 실제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설치형 단말기는 통상 장시간 감시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지켜보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관제 서버에 연결되어 관제원이 도청 상황을 상시 감시하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휴대형 단말기는 관제서버로 연결하는 기능이 없이, 현장에서 바로 감시하는 용도로 설계된다.
한편, 임의의 공간에 불법적으로 몰래 설치되어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허락되지 않는 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되는 카메라를 소위, '몰래 카메라'라고 하며, 불법이기 때문에 '불법 카메라'라고도 한다. 몰래 카메라용으로 사용되는 카메라는 매우 작은 크기이고 벽 속에 매립하거나 공간 내에 존재하는 구조물로 가려서 숨겨 두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거의 찾아낼 수 없다. 기술적 방법으로 몰래 카메라를 찾아내는 것도 마땅한 방법이 없다. 몰래 카메라는 특성상 주로 무선으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기 때문에, 전문 탐색장치는 주로 몰래 카메라가 영상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무선 신호를 추적하여 불법 영상 신호인지 확인한다. 이런 장치들은 큰 안테나와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개인이 사용하는 몰래 카메라 검출장치 중에는 손으로 쥘 정도로 작은 휴대형도 있다. 이런 장치들은 카메라의 렌즈가 불빛을 반사시킨다는 점을 이용한다. 카메라 검출장치가 전방으로 적외선을 비추면 카메라 렌즈가 적외선을 반사하는데, 사용자가 그 반사된 적외선을 찾아내는 방식이다. 사용자가 육안으로 찾아야 하는 점이 단점이지만, 반사되는 빛도 적색이어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그래도, 렌즈의 직경이 거의 1~2 mm 정도로 작기 때문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한 작업이다.
도청이나 몰래 카메라 설치가 주로 도심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하나의 지역을 고려할 때 일반적으로 많이 설치되어 문제가 되는 지역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불특정 일반인이 도청이나 몰래 카메라의 예상 피해자가 되는 것을 막는 수단이 될 것이다.
[관련선행기술]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75965호(인터넷망을 이용한 도청기/몰래카메라 감지시스템 및 그작동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탐지 시스템은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도청 및 불법적으로 몰래 설치된 카메라를 탐지하여 빅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탐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도청탐지국, 복수 개의 카메라 탐지국,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도청탐지국은 이동 가능한 이동국으로서 도청 신호를 감지하여 도청 이벤트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도청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감시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감시 데이터에는 상기 도청 이벤트에 대한 정보, 이벤트 발생장소 및 이벤트 발생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카메라탐지국은 이동국으로서 몰래 카메라를 검출하여 검출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검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감시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한다. 상기 제2 감시 데이터에는 상기 검출 이벤트에 대한 정보, 이벤트 발생장소 및 이벤트 발생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감시 데이터 및 제2 감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일정한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도청 탐지 및 몰래 카메라 설치현황 데이터를 축적한다.
도청탐지국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청탐지국은, 이동 가능한 감시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감시 단말기는 도청신호릍 탐지하고 상기 도청 이벤틀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감시 단말기와 연결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청 이벤트를 수신하면,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이벤트 발생장소로 포함하여 상기 제1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감시 단말기는, 실내의 구분된 장소를 확인할 수 있는 태그를 읽어 태그 식별번호를 추출할 수 있는 RFID 수신기를 구비하여 실내 장소를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는 장소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청 이벤트에는 상기 장소인식부가 상기 태그 식별번호 또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장소정보가 포함된다.
카메라탐지국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탐지국은, 몰래 카메라릍 검출하고 상기 검출 이벤틀 생성하는 이동 가능한 카메라검출장치와, 상기 감시단말기 대신에 상기 카메라검출장치와 연결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검출장치와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검출장치부터 상기 검출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이벤트 발생장소로 포함하여 상기 제2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검출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1 통신부와 연결되는 통신인터페이스와;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몰래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15.75KHz 무선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를 구비하여 몰래 카메라 검출용 적외선을 전방으로 출사하는 적외선출력부와; 상기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를 측정하는 신호세기측정부와; 상기 신호세기측정부가 측정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적외선 엘이디를 점등하는 제1 검출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제1 검출 이벤트를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이벤트발생부와; 및 사용자가 눈을 접안하는 조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신호검출부, 적외선출력부 및 이벤트발생부를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검출장치와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방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내장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발생부는 상기 몰래 카메라를 발견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검출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검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내장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몰래 카메라를 촬영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내장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이벤트 발생장소로 포함하여 상기 제2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도청탐지국과 카메라탐지국을 이용하여 지역내의 도청 탐지 및 몰래 카메라 검출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기설정된 조건 이상의 도청 탐지나 몰래 카메라 검출이 발생한 경고지역을 설정하여 상기 경고지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GPS 수신기로 확인한 현재 위치가 상기 경고지역에 속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경고지역 임을 표시하면서 도청 탐지 또는 몰래 카메라 검출을 수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은 특정 지역 내에 복수 개의 도청 탐지국과 몰래 카메라 탐지국을 배치하여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도청 탐지나 몰래 카메라 설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그 수집된 정보는 그 지역 내에 도청이나 몰래 카메라가 많이 설치되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영역에 대한 빅데이터가 될 수 있다.
한편, 도청 탐지국은 자체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하더라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청 탐지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휴대 단말기는 몰래 카메라 검출장치를 통해 발견한 몰래 카메라 검출정보도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수집을 용이하게 한다.
몰래 카메라 탐지국은 단순히 적외선을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를 발견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몰래 카메라가 사용하는 주파수를 먼저 추적함으로써 몰래 카메라를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서버는 지역내의 도청 탐지 및 몰래 카메라 검출 상황에 대해 축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청 탐지나 몰래 카메라 검출이 빈번히 발생한 경고지역을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현재 위치가 경고지역에 속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경고지역 임을 표시하면서 도청 탐지 또는 몰래 카메라 검출을 수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탐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청감시용 감시단말기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검출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카메라 검출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카메라 검출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청감시용 감시단말기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검출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카메라 검출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카메라 검출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탐지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도청탐지국(110a, 110b)과 복수 개의 몰래 카메라탐지국(130)이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70)에 연결되며, 광역 지역 단위로 상당히 넓은 지역 범위(감시 대상지역)에 설치된다. 기본적으로 도청탐지국(110a, 110b)과 카메라탐지국(130)은 특정 장소에 고정된 것일 수도 있지만, 위치 이동이 가능한 형태를 기본으로 한다.
네트워크(150)는 다양한 형태의 유선, 무선 또는 유무선 결합 네트워크가 해당할 수 있으며,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연결된 인터넷(Internet)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본 발명은 감시 대상지역 내에 배치된 카메라탐지국(130)과 복수 개의 도청탐지국(110a, 110b)이 제공하는 감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감시대상 지역 내의 도청 발생상황 및 몰래 카메라 설치상황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상당히 많은 수의 도청탐지국(110a, 110b)과 카메라탐지국(130)이 대상 지역 내에 비교적 균일하고 촘촘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청탐지국
도청탐지국(110a, 110b)은 감시 대상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도청을 탐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도청탐지국(110a, 110b)은 이동 가능한 형태가 좋고, 네트워크(15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필수적이다.
도 1의 예에서, 제1 도청탐지국(110a)은 도청감시용 감시단말기(111)와, 감시단말기(111)와 네트워크(150)에 연결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13)를 구비한다. 감시단말기(111)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일정한 범위의 도청감시영역에서의 도청 전파를 추적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도청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3)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13)는 감시단말기(111)가 제공하는 도청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감시 데이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70)에게 제공한다.
한편, 도 1에서, 제2 도청탐지국(110b)은 도청감시용 감시단말기(11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되, 통신 인터페이스를 자체 구비하여 네트워크(150)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이다. 감시단말기(111)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제1 도청탐지국(110a)과 제2 도청탐지국(110b)은 특정 장소에 고정된 것일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감시영역이 고정되지 않는 이동형으로 동작한다는 점이 특징이며, 따라서 감시 영역이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다. 제1 도청탐지국(110a)과 제2 도청탐지국(110b)이 이동국이므로, 서비스 서버(170)에 최종 보고하는 제1 감시 데이터에는 감시장소정보가 포함되어야 하는데, 제1 도청탐지국(110a)은 사용자 단말기(113)가 감시 장소정보를 생성하고, 제2 도청탐지국(110b)은 스스로 감시 장소정보를 생성한다.
카메라탐지국
카메라탐지국(130)도 감시 대상지역 내에 불법적으로 몰래 설치된 카메라(소위,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카메라탐지국(13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형태이며, 네트워크(15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필수적이다.
도 1에서, 카메라탐지국(130)은 카메라검출장치(131)와, 카메라검출장치(131)와 네트워크(150)에 각각 연결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13)를 구비한다. 도청탐지국의 사용자 단말기(113)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113)는 카메라검출장치(131)가 제공하는 '제1 검출 이벤트' 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자체 생성하는 '제2 검출 이벤트'를 포함하는 '제2 감시 데이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70)에게 제공한다.
카메라검출장치(131)는 전방으로 몰래 카메라 검출용 적외선을 출력하여 임의 공간에 불법적으로 숨겨둔 몰래 카메라(도 5의 식별번호 10)를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몰래 카메라(10)를 발견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3)를 조작하여 제2 검출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2 감시 데이터의 형태로 서비스 서버(170)에 보고하도록 한다. 서비스 서버(170)에 보고되는 제2 감시 데이터에는 제2 검출 이벤트, 사용자 단말기(113)의 위치정보, 즉 감시 장소정보와 이벤트 발생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카메라검출장치(131)는 몰래 카메라(10)가 설치된 위치를 대략적으로 발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1차 수단으로, 안테나(ANT)를 이용하여 15.75 KHz의 무선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15.75KHz 주파수는 몰래 카메라(10)가 영상 전송용으로 사용하는 무선신호의 주파수가 아니고,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카메라가 영상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수평동기신호의 중심 주파수이다. NTSC 방식의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의 전자회로는 영상을 생성할 때 수평동기신호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15.75 KHz의 무선 신호가 전자회로를 통해서 잡음의 형태로 출력된다. 카메라검출장치(131)는 그 잡음 신호를 검출하여 몰래 카메라(10)가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한정해줌으로써, 적외선을 이용한 몰래 카메라 검출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검출장치(131)는 15.75KHz 주파수를 검출한 경우에 '제1 검출 이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13)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13)는 제1 검출 이벤트, 감시 장소정보 및 이벤트 발생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감시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70)에 보고한다.
카메라검출장치(131)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113)는 제1 도청탐지국(110a)에도 적용되고 카메라탐지국(130)에도 적용된다. 제1 도청탐지국(110a)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113)의 기능과 카메라탐지국(130)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113)가 처리하는 데이터의 내용은 서로 다르더라도, 처리방식이나 기능은 서로 동일하다.
사용자 단말기(113)는 본 발명을 위한 전용의 장치일 수도 있지만, 감시단말기(111) 또는 카메라검출장치(131)와 연결되어 각종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 네트워크(150)에 접속하여 감시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70)로 전송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이면 종래의 어떤 것이어야 무방하다. 예를 들어, 종래에 알려진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가 사용자 단말기(113)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3)는 감시단말기(111)가 제공하는 '도청 이벤트', 또는 카메라검출장치(131)가 제공하는 '검출 이벤트' 또는 '비상 이벤트'를 그대로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청감시용 감시단말기(111)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13)는 도청신호로부터 복호된 음성 또는 영상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스피커(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3)는 제1 통신부(201), 제2 통신부(203), GPS 수신기(205), 내장카메라(207) 및 단말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201)는 감시단말기(111) 또는 카메라검출장치(131)의 통신 인터페이스와 무선으로 연결되되 근거리에서 연결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망이며, 제2 통신부(203)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70)에 접속할 수 있는 원거리 통신 수단이다. 제1 통신부(201)는 감시단말기(111)와 카메라검출장치(131) 중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만약 제1 통신부(201)가 감시단말기(111)와 연결되면 제1 도청탐지국(110a)을 구성하는 것이고, 만약 제1 통신부(201)가 카메라검출장치(131)와 연결되면 카메라탐지국(130)을 구성하는 것이된다.
GPS 수신기(205)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내장카메라(207)는 단말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단말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13)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해 이벤트처리부(211)를 포함한다.
단말제어부(210)는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치된 구성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 단말기(113)가 종래의 디지털 기기의 형태이면 종래 디지털 기기의 주된 또는 기본 기능(예컨대, 전화, 통신 등)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수도 있다. 이처럼 단말제어부(210)가 사용자 단말기(113)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경우, 단말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13)가 기본적으로 보유하는 하드웨어인 프로세서 칩(Processor Chip)과, 그 칩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운영체제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으로 구현되는 구성을 기능적으로 지시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단말기 역시 단말제어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벤트처리부(211)는 그 운영체제 프로그램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기존의 종래의 디지털 기기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디지털 기기에 본 발명의 이벤트처리부(211)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113)가 되는 것이다.
감시단말기(111)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13)가 감시단말기(111)로부터 도청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벤트처리부(211)는 도청 이벤트, GPS 수신기(205)가 제공한 현재 장소정보(감시 장소정보) 및 이벤트 발생시간을 포함하는 제1 감시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70)에게 제공한다.
또한, 카메라검출장치(131)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13)가 카메라검출장치(131)로부터 '제1 검출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벤트처리부(211)는 GPS 수신기(205)가 제공한 현재 장소정보 및 이벤트 발생시간과 함께 제2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70)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3)가 카메라검출장치(131)와 연결된 경우, 몰래 카메라(10)를 발견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내장카메라(207)가 전방(몰래 카메라 또는 그 공간)을 촬영하면, 이벤트처리부(211)는 내장카메라(207)가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포함하는 제2 검출 이벤트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이벤트처리부(211)는 제2 검출 이벤트에 포함된 영상, GPS 수신기(205)가 제공한 현재 장소정보 및 이벤트 발생시간과 함께 제2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70)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3)가 카메라검출장치(131)와 연결된 경우에, 이벤트처리부(211)는 카메라검출장치(131)로부터 '비상 이벤트'를 수신하면, GPS 수신기(205)가 제공한 현재 장소정보 및 이벤트 발생시간과 함께 제2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70)에게 제공한다.
한편, 이벤트처리부(211)는 서비스 서버(170)가 제공하는 경고지역 데이터를 수신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GPS 수신기(205)가 제공하는 현재 위치가 경고지역 내에 있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경고지역 임을 표시하면서 도청 탐지 또는 몰래 카메라 검출을 수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청감시용 감시단말기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도청탐지국(110a)에 포함되는 감시단말기(111)는 통신부(301), 전원부(303), 입력부(305), 저장매체(307), 내장 안테나(ANT), 신호처리부(309), 장소인식부(311) 및 감시단말제어부(330)를 포함한다. 도청 신호의 검출과 관련된 구성에는 내장 안테나(ANT), 신호처리부(309) 및 감시단말제어부(330)가 포함된다. 다만, 본 발명은 도청 감시에 필요한 알고리즘이나 하드웨어 구성 자체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종래에 이미 도청 감시방법이 매우 다양하고 많기 때문에, 도 3의 구성과 그에 따른 설명은 도청 감시에 직접 관련된 수단의 일 예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시단말기(111)는 종래에 알려진 도청 감시방법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으며, 종래에 알려진 도청 감시 알고리즘에 필요한 하드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1)는 사용자 단말기(113)와 연결되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무선랜(Wireless LAN), 유선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 통상의 알려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전원부(303)는 교류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내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하며, 휴대형으로 사용하기 위해 배터리(303a)와 그 충전회로(미도시)를 함께 구비한다. 입력부(305)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 키보드 등이 해당한다.
저장매체(307)에는 안테나를 통해 획득한 전파신호(음성신호 및 영상신호 포함)와, 전파신호를 분석한 실시간 도청 이벤트 정보 등이 저장된다. 감시단말기(111)는 도청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기(113)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저장매체(307)에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내장 안테나(ANT)는 도청 신호를 청취하기 위해 감시단말기(111)에 내장된 기본 안테나로서, 신호처리부(309)에 연결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감시단말기(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안테나(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단자(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확장 안테나는 내장 안테나(ANT)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고, 내장 안테나(ANT)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예컨대, LTE, 5G 신호)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신호처리부(309)는 내장 안테나(ANT)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집하고 기본적인 필터링, 증폭 등을 수행하여 감시단말제어부(330)에게 제공한다.
장소인식부(311)는 본 발명의 감시단말기(111)가 위치한 장소를 인식하여 감시단말제어부(330)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써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113)의 GPS 수신기(205)가 지역 단위의 실외 위치를 확인하는 것과 달리, 장소인식부(311)는 실내의 감시 장소에 설치된 식별수단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특정 실내 감시 장소의 위치를 확인한다. 사용자 단말기(113)가 GPS 수신기(205)로 확인한 하나의 감시 장소(예컨대 특정 건물)에 복수 개의 실내 장소를 설정할 수 있고, 장소인식부(311)는 복수 개의 실내 장소정보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장소인식부(311)는 RFID 수신기로 구현할 수 있다. 각 실내 장소에는 장소인식용 태그(Tag)가 배치되고, 개별 태그에 저장된 식별번호가 해당 장소 정보를 지시하도록 설정된다. 장소인식부(311)가 각 장소에 배치된 태그를 인식하여 태그 식별번호를 읽으면, 매핑된 장소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감시장소를 인식할 수 있다. 장소인식부(311)는 태그로부터 태그 식별번호를 읽어온 다음, 감시단말제어부(330)에게 제공한다. 감시단말제어부(330)는 각 태그 식별번호를 장소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고, 태그 식별번호에 매핑된 다른 형태의 장소정보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입력부(305)가 사용자로부터 장소 코드를 입력받음으로써 장소인식부(311)를 대신할 수도 있다.
감시단말제어부(330)는 본 발명의 감시단말기(11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호처리부(309)가 제공하는 전파가 도청 신호인지 판단하여 '도청 이벤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감시단말제어부(330)는 도청판단부(331)를 포함한다.
도청판단부(331)는 신호처리부(309)로부터 전파 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도청 신호인지 판단한다. 전파가 음성 신호나 영상 신호인 경우에, 도청판단부(331)는 해당 신호를 복조하여 음성 파일 또는 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종래에도 감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도청 자체를 감시하고 인식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도청판단부(331)는 종래에 알려진 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청판단부(331)는 도청 신호라고 판단되면 '도청 이벤트'를 생성한다.
감시단말기(111)는 통신부(301)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13)에게 도청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13)가 서비스 서버(170)로 제1 감시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도청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감시단말기(111)가 장소인식부(311)를 구비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13)에게 제공하는 '도청 이벤트'에는 장소인식부(311)가 제공한 태그 식별번호 또는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장소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제2 도청탐지국(110b)은 감시단말기(111)와 동일하되, 사용자 단말기(113)의 GPS 수신기(205) 및 제2 통신부(203)에 대응하는 구성을 내장하여, 사용자 단말기(113) 없이 직접 제1 감시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70)로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 검출장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검출장치(131)는 전원부(401), 안테나(ANT2), 신호검출부(403), 적외선 출력부(405), 사용자 인터페이스(407), 통신인터페이스(409), 비상버튼(411), 장치제어부(430) 및 이들을 수용하는 본체(501)를 포함하여 몰래 카메라(10)를 검출한다. 카메라검출장치(131)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은 본 발명의 필수구성이 아니므로 따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체(50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구현되고, 적외선 출력부(405)의 적외선 엘이디(LED)(405a)가 본체(501)의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407)도 외면에 노출된다. 본체(501)의 일측에는 적외선 출력부(405)의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405a)가 노출된 조준부(503)가 형성된다. 조준부(503)는 몰래 카메라(10)를 검출할 때 사용자의 시각 방향을 적외선 출사방향에 맞추기 위해 사용하는데, 몰래 카메라(10)의 렌즈가 적외선 엘이디(405a)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반사할 때 그 반사된 빛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적외선 엘이디(405a)에서 출사된 적외선이 렌즈로 입사되고 반사되는 각도를 생각하면, 사용자의 시각 방향을 적외선 엘이디(405a)에서 출사되는 적외선의 광축에 맞추는 것이 좋다. 조준부(503)는 사용자가 눈을 접안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는데, 도 1처럼 관통홀(503a) 형태로 구현되고 관통홀(503a)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405a)가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엘이디(405a)가 점등하면, 사용자는 눈을 관통홀(503a)에 맞추어 몰래 카메라(10)를 찾는다.
전원부(401)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며 카메라검출장치(131)의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필요에 따라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신호검출부(403)는 본 발명의 2단계 검출 작업에서 제1 검출단계에 사용된다. 신호검출부(403)는 안테나(ANT2)를 이용하여, 15.75 KHz의 무선 신호를 검출한다. 몰래 카메라(10)가 영상 전송용으로 사용하는 무선신호는 15.75KHz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는다.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카메라가 영상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수평동기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15.75 KHz이다. 몰래 카메라(10)의 전자회로는 영상을 생성할 때 수평동기신호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15.75 KHz의 무선 신호가 전자회로를 통해서 잡음의 형태로 출력된다. 신호검출부(403)는 그 잡음 신호를 검출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무선신호'라 하면, 다른 설명이 없는 한 몰래 카메라(10)가 출력하는 15.75 KHz의 무선 신호를 의미한다. 카메라검출장치(131)가 휴대장치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카메라검출장치(131)를 검색 영역의 여기저기로 옮겨다니며 15.75 KHz의 무선신호를 검출한다.
15.75 KHz의 무선신호 자체가 미약하고 카메라검출장치(131)가 휴대형으로 소형이기 때문에 신호검출부(403)의 검출 커버리지(Coverage)는 넓지 않다. 다만 카메라검출장치(131)가 휴대용이어서 쉽게 위치를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ANT2)가 크지 않고 내장형이어도 문제없다.
신호검출부(403)는 안테나(ANT2)를 통해 수집되는 무선신호에서 15.75 KHz 신호를 검출하고, 기본적인 잡음 제거와 증폭 등을 수행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장치제어부(430)에게 제공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는 신호검출부(403)가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장치제어부(430)에게 제공하고, 장치제어부(430)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적외선 출력부(405)는 신호검출부(403)와 다른 방식의 몰래 카메라(10) 검출수단이며, 본 발명의 2단계 검출 작업에서 제2 검출단계에 사용된다. 당연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검출부(403)를 이용한 제1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적외선 출력부(405)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10)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출력부(405)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405a)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조도의 적외선을 전방으로 출력하여 검색 영역을 비춘다. 적외선 엘이디(405a)는 본체(501)의 외면에 노출되어 배치되는데, 본체(501)의 조준부(503) 쪽에 배치된다.
적외선 출력부(40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도 점등할 수 있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검출이벤트에 따라 장치제어부(430)의 제어에 의해서도 점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7)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며, 특별히 장치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검출된 신호검출부(403)가 검출한 무선신호의 세기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7)는 도 4에서처럼 표시부(407a)나 스피커(407b)가 해당할 수도 있고, 진동모터(미도시) 등이 해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07a)는 도 5에서처럼 검출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바(Bar)를 표시할 수 있고, 스피커(407b)는 검출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407b)에는 비프음을 출력하는 단순한 형태의 소자도 해당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검출장치(131)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07)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해도 충분하다.
통신인터페이스(409)는 사용자 단말기(113)와 연결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무선랜(Wireless LAN) 등 통상의 알려진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비상버튼(411)은 긴급상황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이다. 비상버튼(411)이 조작되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이벤트발생부(433)가 '비상 이벤트'를 생성한다.
장치제어부(430)는 본 발명의 카메라검출장치(13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장치제어부(430)는 신호세기측정부(431)와 이벤트발생부(433)를 포함하여 몰래 카메라를 추적한다.
신호세기측정부(431)는 신호검출부(403)가 제공하는 15.75 KHz 무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벤트발생부(433)는 신호세기측정부(431)가 측정한 15.75 KHz 무선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검출이벤트'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신호세기측정부(431)와 이벤트발생부(433)의 동작을 설명한다.
<15.75 KHz 무선신호의 스캔: S601>
신호검출부(403)는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중에서 15.75 KHz 무선신호를 검출하여 처리한 다음, 장치제어부(210)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전체 검색영역을 옮겨다니면서 무선신호를 검출한다. 15.75 KHz 무선신호가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벽이나 조명장치 등 몰래 카메라(10)가 숨겨져 있을 만한 장소 근처로 카메라검출장치(131)를 가져다니며 무선신호를 검출해야 한다.
<신호검출 표시: S603, S605>
15.75 KHz 무선신호가 검출되면(S603), 신호검출부(403)와 신호세기측정부(431)는 무선신호의 검출 여부, 그 검출된 신호의 세기 또는 그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표시 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407)를 통해 표시한다(S605).
신호검출부(403)는 안테나(ANT2)를 통해 15.75 KHz 무선신호를 검출하면, 기본 처리를 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세기측정부(431)에게 제공한다. 신호세기측정부(431)는 신호검출부(403)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407)를 통해 무선신호 검출상태 또는 그 신호 세기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에 상당하는 표시를 출력한다. 여기서, 측정치에 상당하는 표시는 도 5에서처럼 바(Bar) 형태의 이미지를 표시부(407a)에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스피커(407b)를 통해 출력하거나, 장치를 진동시키는 것 등이 해당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7)를 통해 출력되는 표시를 확인하면서, 위치를 바꾸면서 15.75 KHz 무선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S601 및 S603 단계를 반복한다.
<제1 검출 이벤트: S607, S609>
신호세기측정부(431)는 무선신호 수신세기의 측정값을 이벤트발생부(433)에게 제공하고, 이벤트발생부(433)는 신호세기측정부(431)가 제공한 측정값이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지 판단하여, 기설정된 크기 이상이면 제2 검출단계를 개시하는 '제1 검출이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크기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카메라검출장치(131)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서 검출될 수 있는 신호 크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제1 검출이벤트가 생기면, 이벤트발생부(433)는 제1 검출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3)에게 제공한다(S607).
제1 검출이벤트가 생기면, 이벤트발생부(433)는 적외선 출력부(405)의 적외선 엘이디(405a)를 점등한다. 따라서 수평동기신호를 스캔하는 중에 적외선 엘이디(405a)가 점등되면, 그 점등된 위치 근처에 몰래 카메라(10)가 숨겨진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7)를 통해 출력되는 측정치 또는 측정치에 상당하는 표시를 확인하면서 다시 위치를 바꾸고, S601 내지 S607 단계는 계속 반복된다. 그러다가, 적외선 엘이디(405a)가 점등되면, 근처에 몰래 카메라(10)가 숨겨진 것을 인식하고 눈을 조준부(503)에 접안하여 몰래 카메라(10)의 렌즈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이 있는지 확인한다(S609).
제1 검출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신호검출부(403)와 신호세기측정부(431)는 계속 무선신호의 검출과 세기의 측정을 계속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신호검출부(403)와 신호세기측정부(431)가 제1 검출이벤트에 따라 더 이상 제1 검출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검출 이벤트 해제: S611, S613>
제1 검출 이벤트는 (1) 신호세기측정부(431)의 측정값이 기준값 이하가 되거나 (2) 기설정된 최소값 이하가 되거나 (3) 사용자의 조작이 있으면 해제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최소값은 15.75 KHz 무선신호의 측정값이 전혀 없는 상태가 될 수도 있고, 신호검출부(403)의 커버리지 내에서 검출할 수 있는 최소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S611).
이벤트발생부(433)는 해제조건이 완료되면 제1 검출 이벤트를 해제한다. 제1 검출 이벤트가 해제되면, 이벤트발생부(433)는 적외선 출력부(405)의 적외선 엘이디(405a)를 소등한다(S613).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카메라검출장치(131)의 2단계 검출과정이 수행된다.
실시 예: 카메라검출장치의 제1 검출 이벤트 생성의 다른 방법
도 6의 S607 단계에서, 이벤트발생부(433)는 신호세기측정부(431)가 제공한 측정값이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지 판단하여 제1 검출 이벤트를 생성한다. 그러나 신호검출부(403)가 무선신호를 검출하면 수신세기의 측정없이 바로 제1 검출이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검출장치(131)는 신호세기측정부(431)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7)를 이용하여 측정치나 그 측정치에 대응하는 표시를 할 필요도 없다.
실시 예: 카메라검출장치의 비상버튼
이벤트발생부(433)는 비상버튼(411)이 조작되면, 비상 이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13)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13)는 카메라검출장치(131)로부터 '비상 이벤트'를 수신하면, GPS 수신기(205)가 제공한 현재 장소정보 및 이벤트 발생시간과 함께 제2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70)에게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
서비스 서버(170)는 감시대상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도청 탐지나 몰래 카메라 설치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관리하는 서버로서, 감시 데이터 수집을 위해 복수 개의 도청탐지국(110a, 110b) 및 복수 개의 몰래 카메라탐지국(130)과 연결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70)는 도청탐지국(110a, 110b)과 카메라탐지국(130)이 제공하는 제1 감시 데이터 및 제2 감시 데이터를 구분하여 축적함으로써 도청과 몰래 카메라 탐지를 구분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170)는 도청탐지국(110a, 110b)과 카메라탐지국(130)이 각각 제공하는 감시 데이터도 감시 장소정보별 또 이벤트 발생시간별로 나누어 저장함으로써, 도청 탐지가 주로 발생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 및 몰래 카메라가 자주 설치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70)는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조건 이상의 도청 탐지나 몰래 카메라 검출이 발생한 경고지역을 설정할 수 있고, 그 경고지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3)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3)는 현재 위치가 경고지역 내에 있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경고지역 임을 표시하면서 도청 탐지 또는 몰래 카메라 검출을 수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 도청 및 불법적으로 몰래 설치된 카메라를 탐지하는 탐지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이동국으로서 도청 신호를 감지하여 도청 이벤트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도청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감시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하는 복수 개의 도청탐지국. 상기 제1 감시 데이터에는 상기 도청 이벤트에 대한 정보, 이벤트 발생장소 및 이벤트 발생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
이동국으로서 몰래 카메라를 검출하여 검출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검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감시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탐지국. 상기 제2 감시 데이터에는 상기 검출 이벤트에 대한 정보, 이벤트 발생장소 및 이벤트 발생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 및
상기 제1 감시 데이터 및 제2 감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일정한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도청 탐지 및 몰래 카메라 설치현황 데이터를 축적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청탐지국은, 도청신호릍 탐지하고 상기 도청 이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이동 가능한 감시 단말기와; 상기 감시 단말기와 연결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청 이벤트를 수신하면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이벤트 발생장소로 포함하여 상기 제1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하는 휴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탐지국은, 몰래 카메라릍 검출하고 상기 검출 이벤트를 생성하는 이동 가능한 카메라검출장치와; 상기 감시단말기 대신에 상기 카메라검출장치와 연결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검출장치와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검출장치부터 상기 검출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이벤트 발생장소로 포함하여 상기 제2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지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는,
실내의 구분된 장소를 확인할 수 있는 태그를 읽어 태그 식별번호를 추출할 수 있는 RFID 수신기를 구비하여 실내 장소를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는 장소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청 이벤트에는 상기 장소인식부가 상기 태그 식별번호 또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장소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지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검출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1 통신부와 연결되는 통신인터페이스;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몰래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15.75KHz 무선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엘이디를 구비하여 몰래 카메라 검출용 적외선을 전방으로 출사하는 적외선출력부;
상기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를 측정하는 신호세기측정부;
상기 신호세기측정부가 측정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적외선 엘이디를 점등하는 제1 검출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제1 검출 이벤트를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이벤트발생부; 및
사용자가 눈을 접안하는 조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신호검출부, 적외선출력부 및 이벤트발생부를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지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검출장치와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방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내장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발생부는 상기 몰래 카메라를 발견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검출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검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내장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몰래 카메라를 촬영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내장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이벤트 발생장소로 포함하여 상기 제2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도청탐지국과 카메라탐지국을 이용하여 지역내의 도청 탐지 및 몰래 카메라 검출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기설정된 조건 이상의 도청 탐지나 몰래 카메라 검출이 발생한 경고지역을 설정하여 상기 경고지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GPS 수신기로 확인한 현재 위치가 상기 경고지역에 속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경고지역 임을 표시하면서 도청 탐지 또는 몰래 카메라 검출을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지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002A KR102290863B1 (ko) | 2020-07-06 | 2020-07-06 |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002A KR102290863B1 (ko) | 2020-07-06 | 2020-07-06 |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0863B1 true KR102290863B1 (ko) | 2021-08-17 |
Family
ID=77466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3002A KR102290863B1 (ko) | 2020-07-06 | 2020-07-06 |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086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5679B1 (ko) | 2021-09-10 | 2021-12-30 | 주식회사 티케이 | 몰카 탐지 기능이 탑재된 포켓 와이파이 장치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KR20230094429A (ko) * | 2021-12-21 | 2023-06-28 | 에스프레스토 주식회사 | 불법카메라 탐지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5965A (ko) * | 2000-01-21 | 2001-08-11 | 박용해 | 인터넷망을 이용한 도청기/몰래카메라 감지시스템 및 그작동방법 |
KR20070090467A (ko) * | 2006-03-03 | 2007-09-06 | 주식회사 우주아이티 |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
-
2020
- 2020-07-06 KR KR1020200083002A patent/KR1022908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5965A (ko) * | 2000-01-21 | 2001-08-11 | 박용해 | 인터넷망을 이용한 도청기/몰래카메라 감지시스템 및 그작동방법 |
KR20070090467A (ko) * | 2006-03-03 | 2007-09-06 | 주식회사 우주아이티 | 복수의 전파 탐지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법전파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5679B1 (ko) | 2021-09-10 | 2021-12-30 | 주식회사 티케이 | 몰카 탐지 기능이 탑재된 포켓 와이파이 장치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KR20230094429A (ko) * | 2021-12-21 | 2023-06-28 | 에스프레스토 주식회사 | 불법카메라 탐지 방법 및 장치 |
KR102707531B1 (ko) * | 2021-12-21 | 2024-09-19 | 에스프레스토 주식회사 | 불법카메라 탐지 방법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68751B2 (en) | Gunshot detection system with fire alarm system integration | |
KR101731995B1 (ko) | 화재 감시용 카메라 장치 | |
KR102290863B1 (ko) |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 |
US955979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ignals | |
KR102152123B1 (ko) | 상가 화재를 감지 제어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지능형 휴대 단말의 영상처리시스템 | |
KR102216694B1 (ko) |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 |
KR20150134472A (ko) | 재난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 |
KR20200136130A (ko) | 전파 및 영상 신호 기반 도촬카메라 탐지 장치 | |
KR101772391B1 (ko) |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분석 모듈을 이용하는 확장형 감시 장비 | |
KR102470884B1 (ko) | 인공지능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 |
JP4225117B2 (ja) | ドアホンシステム | |
KR20140110302A (ko) | 이동 영상 실시간 전송 및 모니터링 시스템 | |
CN202887370U (zh) | 一种安防系统 | |
KR20200137235A (ko) | 도촬 및 도청 다기능 탐지 장치 | |
KR101890823B1 (ko) | 360도 영상을 지원하는 지능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 |
CN107155190B (zh) | Rf窃密侦测终端 | |
CN109443099A (zh) | 反无人机装置及方法 | |
KR102408559B1 (ko) | 불법적으로 수집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패턴 분석으로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2314827B1 (ko) |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 | |
CN112235819A (zh) | 一种拍摄装置探测方法 | |
KR101605746B1 (ko) |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신고 시스템 | |
KR100930999B1 (ko) | 이동형 영상감시시스템 | |
KR101929671B1 (ko) | Cctv망 연동형 비콘 신호 수집 전송 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관제 시스템 | |
KR101202292B1 (ko)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
KR100845193B1 (ko) |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후방 감시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