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193B1 -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후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후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193B1
KR100845193B1 KR1020070086257A KR20070086257A KR100845193B1 KR 100845193 B1 KR100845193 B1 KR 100845193B1 KR 1020070086257 A KR1020070086257 A KR 1020070086257A KR 20070086257 A KR20070086257 A KR 20070086257A KR 100845193 B1 KR100845193 B1 KR 100845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image
unit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철
Original Assignee
정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철 filed Critical 정대철
Priority to KR1020070086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multi-purpose displays, e.g. camera image and navigation or video on sa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감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 공급 라인과 후진등 사이에 전선을 연결하여 차량의 후진시에 후진등에 인가되는 전원을 감지함으로써 후진등의 점등상태를 감지하여 차량의 기어가 후진 모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후진 모드 상태인 경우에 차량의 후방 영상 및 음향 신호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종래의 차량 기어에 전선을 연결하여 차량의 후진 기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비하여 그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감지 장치로부터 후방 영상, 음향 신호, 및 거리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함으로써, 종래의 차량 내부를 통해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감시 카메라와 운전석의 모니터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보다 그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석에 설치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감지 장치의 두 모듈로 구성되고, 이들이 서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종래의 완성 차량의 내부를 분해하여 운전석의 모니터와 차량 후방의 후방 카메라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방식보다 그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후방 감시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back of the vehicl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후방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차량에 다양한 전자기기가 설치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후방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는 후방 감지 장치이다.
후방 감시 카메라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후진하는 경우에 후방의 모습을 촬영하여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방 감지 장치(100)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후방 감지 장치(100)를 설명하면, 종래의 후방 감지 장치(100)는 후방 카메라(120), 기어 감지부(140), 영상 표시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기어 감지부(140)는 차량의 기어와 연결되어, 운전자가 차량을 후진시키기 위해서 후진 기어를 넣으면, 기어의 모드가 후진 모드로 설정된 것을 감지하 여 제어부(120)로 후진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20)는 후진 감지 신호가 기어 감지부(140)로부터 입력되면, 후방 카메라(130)를 작동시키고 후방 카메라(1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영상 표시부(110)를 통해서 운전자에게 출력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후방 감지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종래의 후방 감지 장치(100)는 차량의 기어 모드가 후진 모드인지 여부를 감지하므로 기어 장치와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특히, 차량의 제조 단계에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완성차에 추후에 별도로 후방 감지 장치(1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더더욱 그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둘째, 종래의 후방 감지 장치(100)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카메라(13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후방 카메라(13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즉,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제어부(120)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카메라(130)가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그 설치 과정이 복잡하고, 유선이 중간에 단절된 경우에는 차량의 일부를 분해하여 유선 전체를 새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 및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최초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차량의 후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간단하게 차량의 후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후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후방 감지 시스템은, 차량 후진등의 점등 여부를 조사하여 차량이 후진 모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이 후진 모드 상태인 경우에,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후방 영상을 생성하고, 차량 후방의 물체와 차량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여, 후방 영상과 거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후방 감지 장치; 및 후방 영상 및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영상 표시 장치는, TV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후방 감지 장치로부터 거리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여 후방 감지 장치로부터 후방 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후방 감지 장치는 차량이 후진 모드 상태인 경우에, 차량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획득하여 후방 영상과 함께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고, 상술한 영상 표시 장치는 음향 신호를 후방 영상과 함께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후방 감지 장치는, 후진등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여 후진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후진등 감지부;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에 따라서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켜 대기중으로 방사하는 초음파 송신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물체에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후방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촬영부;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신호 획득부; 후방 영상과 음향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 차량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데이터를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 1 데이터 송수신부; 및 후진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한 시간 주기로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한 시간과 초음파 수신부에 초음파 신호가 수신된 시간차를 이용하여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영상 표시 장치는,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 2 데이터 송수신부; 후방 영상 및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 복조된 후방 영상 및 음향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후방 영상 및 거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영상 표시부;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제 2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거리 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고, 후방 감지 장치의 송신 주파수로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의 수신 주파수를 설정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2 제어부는 거리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멀티 미디어 신호 수신부가 TV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의 수신 주파수를 설정하고,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는 제 2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수신 주파수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후방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 2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서 TV 채널 주파수 및 후방 영상 및 음향 신호의 송수신 주파수를 설정하고, 영상 표시부 및 음향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영상 표시 장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거리 데이터가 제 2 데이터 송수신부에 수신되면, 제 2 제어부는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 영상 표시부, 및 음향 출력부를 활성화하고,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의 수신 주파수를 후방 감지 장치의 송신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후방 영상 촬영 및 후방 음향 출력 메뉴를 선택받으면,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후방 감지 장치로 전송하고, 상술한 후방 감지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차량의 후방 영상을 촬영하고 음향을 획득하여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후방 거리 측정 메뉴를 선택받으면,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후방 감지 장치로 전송하고, 상술한 후방 감지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차량의 후방에 위 치한 물체와 차량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 공급 라인과 후진등 사이에 전선을 연결하여 차량의 후진시에 후진등에 인가되는 전원을 감지함으로써 후진등의 점등상태를 감지하여 차량의 기어가 후진 모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후진 모드 상태인 경우에 차량의 후방 영상 및 음향 신호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종래의 차량 기어에 전선을 연결하여 차량의 후진 기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비하여 그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감지 장치로부터 후방 영상, 음향 신호, 및 거리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함으로써, 종래의 차량 내부를 통해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감시 카메라와 운전석의 모니터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보다 그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석에 설치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감지 장치의 두 모듈로 구성되고, 이들이 서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종래의 완성 차량의 내부를 분해하여 운전석의 모니터와 차량 후방의 후방 카메라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방식보다 그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감지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후방 감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감지 시스템은 영상 표시 장치(400) 및 후방 감지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후방 감지 장치(300)는 차량의 후진등(200)과 연결되어 차량의 후진등(200)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의 후진등(200)이 점등된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 영상 및 후방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무선으로 영상 표시 장치(400)로 전송한다.
또한, 후방 감지 장치(300)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후방에 위치한 물체와 차량간의 간격을 계산하여 무선으로 영상 표시 장치(400)로 전송한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400)는 후방 감지 장치(300)로부터 무선으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한편, 차량 후방의 물체와의 거리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400)는 내부에 TV 튜너 등을 구비하여 공중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 감지 장치(3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4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후방 감지 시스템의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후방 감지 장치(300)는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 제 1 제어부(370), 제 1 데이터 송수신부(380), 영상 촬영부(310), 음향 신호 획득부(320), 초음파 송신부(330), 초음파 수신부(340), 및 후진등 감지부(350)를 포함한다.
후진등 감지부(350)는 차량이 후진할 때 점등되는 후진등(200)과 연결되어, 차량의 후진등(200)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 1 제어부(370)로 후진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후진등 감지부(350)는 차량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후진등(200)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초음파 송신부(330)는 제 1 제어부(370)로부터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켜 대기중으로 방사하고, 초음파 수신부(340)는 초음파 송신부(330)에서 방사된 후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물체에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제어부(370)로 출력한다.
영상 촬영부(310)는 제 1 제어부(370)로부터 영상촬영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의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로 출력한다. 영상 촬영부(310)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ccd 카메라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신호 획득부(320)는 제 1 제어부(370)로부터 음향획득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획득하여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로 출력한다. 음향신호 획득부(320)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소형 마이크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는 제 1 제어부(370)로부터 입력되는 설정 주파 수 정보에 따라서 영상 촬영부(31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와 음향신호 획득부(320)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를 제 1 제어부(370)로부터 입력된 설정 주파수에 따라서 ASK, FSK, PSK 등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영상 표시 장치(400)로 전송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는 입력된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를 소정의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서 압축하여 변조를 수행한 후 영상 표시 장치(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데이터 송수신부(380)는 제 1 제어부(37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과 차량 후방에 위치한 물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거리 데이터를 소정의 변조 방식에 따라서 변조하여 영상 표시 장치(400)로 전송한다. 또한, 제 1 데이터 송수신부(380)는 영상 표시 장치(400)로부터 주파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복조하여 제 1 제어부(370)로 출력한다.
제 1 제어부(37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제어부(370)는 후진등 감지부(350)로부터 후진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영상 촬영부(310)로 영상 촬영 제어신호를, 음향신호 획득부(320)로 음향 획득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여 영상 촬영부(310) 및 음향 신호 획득부(320)를 동작시킨다.
또한, 제 1 제어부(370)는 후진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한 시간 주기로 초음파 송신부(330)로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를 초음파 송신부(330)로 출력한 시간과, 초음파 송신부(330)에서 방사된 초음파 신호가 물체에 반사되어 초음파 수신부(340)에 수신된 시간과의 시간차을 이용하여 차량과 후방 물체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거리 데이터를 제 1 데이터 송수신부(380)로 출력한다.
또한, 제 1 제어부(370)는 제 1 데이터 송수신부(380)로부터 설정 주파수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설정 주파수를 내부에 저장하는 한편, 해당 주파수를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로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400)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400)는 제 2 데이터 송수신부(450),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460),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470), 제 2 제어부(420), 영상 표시부(430), 음향 출력부(440), 및 입력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입력부(410)는 키패드, 터치패드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본 발명의 후방 감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제 2 제어부(420)로 출력한다. 입력부(410)를 통해서 제 2 제어부(420)로 출력되는 설정정보는 주파수 설정 정보, 채널 설정 정보, 음향 크기 설정 정보, 영상표시 설정정보 등을 포함한다.
제 2 데이터 송수신부(450)는 제 2 제어부(420)로터 입력되는 주파수 설정 정보를 후방 감지 장치(300)로 전송하고, 후방 감지 장치(300)의 제 1 데이터 송수신부(380)로부터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2 제어부(420)로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460)는 제 2 제어부(420)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설정 정보에 따라서 해당 주파수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47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400)는, 평상시에는 공중파 TV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차량의 후진시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만 후방 감지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후방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460)는 TV 튜너 기능을 내장하여 평상시에는 공중파 TV 신호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470)로 출력하고, 차량의 후진시 및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는 후방 감지 장치(300)로부터 후방 영상 및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470)로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470)는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46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각 신호를 디코딩하여 각각 영상 표시부(430) 및 음향 출력부(440)로 출력한다.
영상 표시부(430)는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47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영상 표시부(430)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 출력부(440)는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470)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44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제어부(420)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제어부(420)는 입력부(410)로부터 주파수 설정 정보 및 채널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460)로 주파수 설정 정보 및 채널 설정 정보를 출력하여 TV 채널 및 후방 감지 장치(300)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를 수신할 주파수를 선택한다.
또한, 제 2 제어부(420)는 제 2 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통해서 이러한 주파 수 설정 정보를 후방 감지 장치(300)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제 2 데이터 송수신부(450)로부터 입력된 거리 데이터를 영상 표시부(430)로 출력하여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물체와 차량간의 거리를 출력하며, 영상 표시부(43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 등과 음향 출력부(44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 등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후방 감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의 운행중에 영상 표시 장치(4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영상 표시부(430)를 통해서 TV 프로그램을 표시하거나, 내비게이션 영상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그 후, 운전자가 차량을 후진하기 위해서 후진 기어를 넣으면, 차량의 중앙 제어부(미도시 됨)는 차량의 후진등(200)을 점등하고, 후방 감지 장치(300)의 후진등 감지부(350)는 후진등(200)이 점등된 것을 감지하여 후진 감지신호를 제 1 제어부(370)로 출력한다.
제 1 제어부(370)는 후진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영상 촬영부(310)와 음향 신호 획득부(320)를 활성화시키는 한편, 일정한 시간 주기로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초음파 송신부(330)로 출력하고,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한 시간과 초음파 수신부(340)에 초음파 신호가 반사되어 수신된 시간차를 이용하여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1 데이터 송수신부(380)로 출력한다.
또한, 제 1 제어부(37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활성화된 영상 촬영부(310)는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로 출력하고, 음향 신호 획득부(320)는 후방에서 발생한 음향 신호를 획득하여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로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는 영상 촬영부(31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 획득부(320)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 1 데이터 송수신부(380)는 제 1 제어부(370)로부터 입력된 거리 데이터를 무선으로 영상 표시 장치(400)로 전송한다.
한편, 제 2 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통해서 거리 데이터가 영상 표시 장치(400)에 수신되면, 제 2 제어부(420)는 차량이 후진 모드 상태임을 인식하고,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460)의 수신 주파수를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의 송신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설정하고, 제 2 데이터 송수신부(450)로부터 입력된 거리 데이터를 영상 표시부(430)에 OSD(On Screen Display) 형식으로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460)는 제 2 제어부(420)로부터 입력된 주파수 설정 정보에 따라서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여 후방 감지 장치(300)로부터 후방 영상 및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복조하여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470)로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470)는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460)로부터 입력된 후방 영상 및 음향 신호를 디코딩하여 영상 표시부(430) 및 음향 출력부(440)로 각각 출력하고, 영상 표시부(430) 및 음향 출력부(440)는 후방 영상 및 후방 음향을 각각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한편, 후진이 종료되어 후진등(200)이 점멸되면 후진 감지 신호는 더 이상 후진등 감지부(350)로부터 제 1 제어부(370)로 입력되지 않고, 제 1 제어부(370)는 초음파 송신부(330) 및 영상 촬영부(310)와 음향신호 획득부(320)를 비활성화시키며, 따라서 거리 데이터는 더 이상 영상 표시 장치(400)로 전송되지 않는다.
제 2 데이터 송수신부(450)로부터 수신되던 거리 데이터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제 2 제어부(420)는 후진이 종료되었음을 인식하고,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460)의 수신 주파수를 후방 영상을 표시하기 이전의 수신 주파수로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후진 이전에 관람하던 TV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400)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후방 감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영상 표시 장치(400)가 오프인 상태에서는 영상 표시부(430), 음향 출력부(440),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460), 및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470)는 비활성화 상태이지만 제 2 데이터 송수신부(450)와 제 2 제어부(420)는 지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하고 있으며,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에 후방 감지 장치(300)로부터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거리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2 제어부(420)는 비활성화된 다른 구성 요소들을 활성화 시킨다.
그 후,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제어부(420)는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460)의 수신 주파수를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의 송신 주파수로 설정하여 후방 감지 장치(300)로부터 후방 영상 및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후방 감지 시스템은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사 용자의 선택에 의해서도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물체간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후방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부(410)를 통해서 후방 영상 및 음향 출력 메뉴를 선택하면, 제 2 제어부(420)는 후방 영상 및 음향 신호를 전송하여 줄 것을 지시하는 명령을 제 2 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통해서 후방 감지 장치(300)로 전송하고, 명령은 제 1 데이터 송수신부(380)를 통해서 제 1 제어부(370)로 입력된다.
명령을 입력받은 제 1 제어부(370)는 영상 촬영부(310) 및 음향 신호 획득부(320)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영상 촬영부(310)는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로 출력하고, 음향 신호 획득부(320)는 차량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로 출력한다. 그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입력부(410)를 통해서 후방 거리 측정 메뉴를 선택하면, 제 2 제어부(420)는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물체간의 거리를 측정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을 제 2 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통해서 후방 감지 장치(300)로 전송하고, 명령은 제 1 데이터 송수신부(380)를 통해서 제 1 제어부(370)로 입력된다.
명령을 입력받은 제 1 제어부(37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초음파 송신부(330)로 출력하고, 초음파 송신부(330)에서 발생되어 물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가 초음파 수신부(340)에 수신된 시간차를 이용하여 후방에 위치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내용 이외에, 사용자는 입력부(410)를 통해서 차량 후방 감지 장치(300)와 영상 표시 장치(400)가 멀티미디어 신호를 송수신할 주파수를 직접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주파수는 제 2 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통해서 후방 감지 장치(300)로 전송되고, 제 1 데이터 송수신부(380)는 영상 표시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주파수 설정 정보를 제 1 제어부(370)로 출력하며, 제 1 제어부(370)는 주파수 설정 정보를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360)로 출력하여 전송 주파수를 설정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방 감지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후방 감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량 후진등의 점등 여부를 조사하여 차량이 후진 모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이 후진 모드 상태인 경우에,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후방 영상을 생성하고, 차량 후방의 물체와 차량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며, 차량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후방 영상과 상기 거리 데이터와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후방 감지 장치; 및
    상기 후방 영상, 상기 거리 데이터,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감지 장치는
    상기 후진등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여 후진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후진등 감지부,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에 따라서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켜 대기중으로 방사하는 초음파 송신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물체에 반사된 상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상기 후방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신호 획득부,
    상기 후방 영상과 음향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부,
    차량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데이터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 1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후진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한 시간 주기로 상기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한 시간과 상기 초음파 수신부에 상기 초음파 신호가 수신된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감지 시스템.
  5. 차량 후진등의 점등 여부를 조사하여 차량이 후진 모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이 후진 모드 상태인 경우에,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후방 영상을 생성하고, 차량 후방의 물체와 차량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며, 차량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후방 영상과 상기 거리 데이터와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후방 감지 장치; 및
    상기 후방 영상, 상기 거리 데이터,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 2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후방 영상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
    상기 복조된 후방 영상 및 상기 음향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후방 영상 및 상기 거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 2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거리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고, 상기 후방 감지 장치의 송신 주파수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의 수신 주파수를 설정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감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거리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가 TV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의 수신 주파수를 설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 2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수신 주파수 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감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서 TV 채널 주파수 및 상기 후방 영상 및 음향 신호의 송수신 주파수를 설정하고, 상기 영상 표시부 및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감지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거리 데이터가 상기 제 2 데이터 송수신부에 수신되면,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 표시부, 및 상기 음향 출력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부의 수신 주파수를 상기 후방 감지 장치의 송신 주파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감지 시스템.
  9.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후방 영상 촬영 및 후방 음향 출력 메뉴를 선택받으면, 상기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후방 감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후방 감지 장치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상기 차량의 후방 영상을 촬영하고 음향을 획득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감지 시스템.
  10.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후방 거리 측정 메뉴를 선택받으면, 상기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후방 감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후방 감지 장치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물체와 차량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감지 시스템.
KR1020070086257A 2007-08-27 2007-08-27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후방 감시 시스템 KR100845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57A KR100845193B1 (ko) 2007-08-27 2007-08-27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후방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57A KR100845193B1 (ko) 2007-08-27 2007-08-27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후방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193B1 true KR100845193B1 (ko) 2008-07-10

Family

ID=3982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257A KR100845193B1 (ko) 2007-08-27 2007-08-27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후방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1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60B1 (ko) 2008-10-15 2010-03-11 애로우윙즈 주식회사 차량 후방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후방 감시 장치
KR20160058443A (ko) * 2014-11-17 2016-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수신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 감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772A (ko) * 2001-08-22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후방 감시용 카메라 장치
KR20050096661A (ko) * 2004-03-31 2005-10-06 김응천 차량의 자체 전원선을 이용한 후방 영상경보장치
KR100697036B1 (ko) * 2006-02-10 2007-03-2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음성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후방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772A (ko) * 2001-08-22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후방 감시용 카메라 장치
KR20050096661A (ko) * 2004-03-31 2005-10-06 김응천 차량의 자체 전원선을 이용한 후방 영상경보장치
KR100697036B1 (ko) * 2006-02-10 2007-03-2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음성감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후방감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60B1 (ko) 2008-10-15 2010-03-11 애로우윙즈 주식회사 차량 후방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후방 감시 장치
KR20160058443A (ko) * 2014-11-17 2016-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수신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268106B1 (ko) 2014-11-17 2021-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수신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 감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9608B2 (en) Wireless motion sensor using infrared illuminator and camera integrated with wireless telephone
KR101489811B1 (ko) 전원자동제어장치 및 전원자동제어방법
JP200713489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送信方法
JP3207143B2 (ja) アンテナ方向調整装置
KR100845193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후방 감시 시스템
US20140354535A1 (en) System and method of display device
EP2615848A1 (en) Acoustic signalling to switch from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mode to ad hoc communication mode
US8547235B2 (en)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system determining if the user can hear an audible alarm
US20060012685A1 (en) Wireless surveillance and communications system
KR19980039422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도어 상황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30932B1 (ko) 재난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90863B1 (ko)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 탐지 시스템
JP200213568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電源オン/オフ検知装置
EP3260883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speeding vehicles
JP6015046B2 (ja) 投影装置及び投影システム
KR20160060568A (ko)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저전력 음파 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7235A (ko) 도촬 및 도청 다기능 탐지 장치
KR20130043930A (ko)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81644A (ko) 자동차용 후방 영상 무선 감시 장치
JP2009253453A (ja) リモコン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5021322B2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KR20060111336A (ko) 외부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감시 시스템 및방법
JP2002247479A (ja) ビデオ無線送受信システム
TW200643830A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10004509A (ko) 영상 표시 기기와 통신 장치를 이용한 근거리 대상물 분실 예방 및 검출 시스템 및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