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394B1 -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394B1
KR101667394B1 KR1020150119670A KR20150119670A KR101667394B1 KR 101667394 B1 KR101667394 B1 KR 101667394B1 KR 1020150119670 A KR1020150119670 A KR 1020150119670A KR 20150119670 A KR20150119670 A KR 20150119670A KR 101667394 B1 KR101667394 B1 KR 101667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riving means
unit
controller
angular velo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호
Original Assignee
(주) 에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셀티 filed Critical (주) 에셀티
Priority to KR102015011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394B1/ko
Priority to US15/238,754 priority patent/US2017006417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6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7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pann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large deviations, e.g. maintaining a fixed line of sight while a vehicle on which the system is mounted changes cour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04N5/2252
    • H04N5/23248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2Mounting on the human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수단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이를 보상하여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롤(roll), 피치(pitch), 요(yaw) 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회전수단이 구비된 짐벌부와, 상기 짐벌부의 후단이 고정되고, 3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각속도센서 및 상기 각속도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짐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내장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handheld and wearable stabilizer that assist in holding mobile gadgets}
본 발명은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장비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보상해줄 수 있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에스엘알(DSLR), 액션캠, 스마트폰 등과 같은 영상 획득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보편화 되어있고,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는 카메라 모듈은 화소수의 증가 및 부피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화소수 증가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미지 센서 픽셀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제한된 면적의 이미지 센서 내에서 고화소화를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미지 센서의 픽셀 크기가 작아지면서 스틸(still) 영상의 촬영시 셔터 조작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은 움직임에도 스틸(still) 영상의 선명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사용자는 경험하게 된다.
또한, 동영상 녹화시에는 센서의 픽셀 크기가 작지 않더라도 피사체를 녹화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이동이나 장시간 녹화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이나 움직임이 녹화 도중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을 발생시키지 않는 촬영 기술은 전문가 수준의 사용자만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는 동영상 녹화시 녹화 영상에서 프레임간 영상의 부자연스러운 흔들림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근래에는 HD(High Definition)TV의 급속한 보급으로 HD급 고선명 동영상을 녹화하는 것이 보다 일반화되는 추세이며, 고선명 HD급 동영상을 녹화하는 경우 영상의 화소수가 SD급보다 증가하므로, 동영상 촬영시 발생하는 사용자의 손떨림이나 움직임 등으로 인해 촬영된 동영상에 부자연스러운 흔들림이 더욱 적나라하게 나타나, 완성도가 낮은 저품질의 동영상을 촬영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선명 HD급 동영상을 녹화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이나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자동으로 보상해줌으로써 완성도 높은 고품질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수단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43384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이나 손떨림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 움직임 양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움직임 양과 대응되게 휴대용 단말기를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보상해줌으로써, 결과적으로는 휴대용 단말기가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고품질의 영상을 취할 수 있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롤(roll), 피치(pitch), 요(yaw) 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회전수단이 구비된 짐벌부와, 상기 짐벌부의 후단이 고정되고, 3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각속도센서 및 상기 각속도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짐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내장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이나 손떨림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 움직임 양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움직임 양과 대응되게 휴대용 단말기를 역방향으로 움직여 보상해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흔들리지 않아 고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센서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한 뒤, 손으로 파지하는 방식으로 영상을 찍을 수 있고, 손잡이를 분리한 다음 헬멧, 자전거 등의 장비에 착용한 뒤 영상을 찍을 수 있어, 상황별로 모드를 바꿔가면서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 신체나 따른 장비와 결합하는 어뎁터가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어, 신체 나 타 장비에 착용 시 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외부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이 보다 안정화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거치부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몸체부와 손잡이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몸체와 리모컨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분리된 몸체부에 어뎁터가 장착되는 모습을보인 사시도,
도 6은 어뎁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가 헬멧에 착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블럭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는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장비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보상해주기 위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거치부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는 거치부(100)와, 짐벌부(200)와, 몸체부(300)와, 손잡이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거치부(100)는 이미지센서를 내장하여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1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0)를 짐벌부(2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치부(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특히 휴대용 단말기(10)의 모든 측면을 보호하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휴대용 단말기(10)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부(100)는 짐벌부(200)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이며, 휴대용 단말기(10)와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지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짐벌부(200)는 상기 거치부(100)와 연결되고, 복수의 회전수단(210,220,230)을 구비하여 상기 거치부(100) 및 상기 거치부(100)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10)를 롤(roll), 피치(pitch), 요(yaw) 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상기 회전수단(210,220,230)은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210,220,230)은 롤(roll)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수단(210), 피치(pitch)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수단(220)과, 요(yaw)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수단(230)을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회전 시 서로 간섭 받지 않는 범위에서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300)는 선단에 짐벌부(200)의 후단이 고정되며 후단에는 손잡이부(400)가 고정되는 것으로, 몸체부(300) 또는 거치부(100) 및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0)의 3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각속도센서(310) 및 상기 각속도센서(310)의 신호를 받아 상기 짐벌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20)를 내장한다.
먼저, 상기 각속도센서(310)는 몸체부(300) 또는 거치부(100) 및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0)의 회전 각속도를 감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자이로센서(gyro sensor)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320)는 상기 회전수단(210,220,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각속도센서(310)에서 감지된 몸체부(300) 또는 거치부(100) 및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0)의 회전 움직임을 보상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10)가 움직여야 할 제어 값을 계산하고, 회전수단(210,220,2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일례로, 상기 컨트롤러(3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몸체부(300)에는 각속도센서(310)와 컨트롤러(320) 및 회전수단(210,220,2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360)는 배터리 및 충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300)에는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짐벌부(200)의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등의 각종 명령을 입력하도록 버튼(370),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다이얼 등과 같은 입력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몸체부와 손잡이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00)는 상기 몸체부(300)의 후단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손잡이부(400)는 상기 몸체부(300)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400)를 잡고 촬영하는 파지(hand-held) 모드에서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0)를 이용해서 영상을 찍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00)가 필요없는 상황에서 손잡이부(400)를 몸체부(300)에서 분리시킨 뒤, 몸체부(300)를 웨어러블장비(20) 등에 장착하고 촬영하는 착용(wearable) 모드에서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0)를 이용해서 영상을 찍을 수 있다. 즉, 손잡이부(400)가 몸체부(300)에 결합되면 파지(hand-held)모드에서 영상을 찍을 수 있고, 손잡이부(400)가 몸체부(300)에서 분리되면 착용(wearable) 모드에서 영상을 찍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센서(3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이나 손떨림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10)의 회전 움직임 양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움직임 양과 대응되게 휴대용 단말기(10)를 역방향으로 움직여 보상해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가 흔들리지 않아 고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손잡이부(400)를 몸체부(300)에 결합하여 손잡이부(400)를 손으로 파지하는 방식으로 영상을 찍을 수 있고, 손잡이부(400)를 몸체부(300)에서 분리한 다음 헬멧, 자전거 등의 장비에 착용한 뒤 영상을 찍을 수 있어, 상황별로 모드를 바꿔가면서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의 측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휴대용 단말기(10)에 고정되는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돌기(122) 및 상기 돌기(122)의 양측에 폭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홈(121)으로 구성된 고정편(120)과, 일단이 상기 짐벌부(200)에 고정되고, 상면에 상기 고정편(120)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돌기(122) 및 고정홈(121)과 대응되게 폭 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게 홈(132) 및 고정돌기(131)가 형성된 장착바(1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장착바(130)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양측에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고정홈(121)이 끼워지도록 돌출된 고정돌기(13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31)의 하부에는 상기 돌기(122)가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돌기(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와 고정된 커버(110)는 상기 고정편(120)의 돌기(122) 및 고정홈(121)이 짐벌부(200)에 고정된 장착바(130)의 홈(132) 및 고정돌기(131)에 끼워지도록 타측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면서 장착바(130)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110)와 장착바(130)는 상기 커버(11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장착바(130)에 끼워진 다음 체결력을 높이도록 볼트(140) 등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는 커버(110) 뿐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10)에도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짐벌부(200)는, 상기 몸체부(300)에 롤(roll)축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제1구동수단(210)과, 상기 제1구동수단(210)의 전방 상부에 요(yaw)축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수단(220)과, 상기 제1구동수단(210)과 제2구동수단(220)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240)와, 상기 제2구동수단(220)의 일측 하부에 피치(pitch)축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제3구동수단(230)과, 상기 제2구동수단(220)과 제3구동수단(230)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250)를 포함한다.
제1구동수단(210)은 롤(roll)축으로 회전하며, 몸체부(300)의 선단에 내장될 수 있다. 제2구동수단(220)은 요(yaw)축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제1구동수단(21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며, 제3구동수단(230)은 상기 제2구동수단(220)의 일측 하부에 피치(pitch)축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240)는 제1구동수단(210)과 제2구동수단(220)을 연결하며, 제2연결부재(250)는 제2구동수단(220)과 제3구동수단(230)을 연결하되, 전선 등을 내장하여, 컨트롤러(320)와 제2구동수단(220) 및 제3구동수단(230)을 회로적으로 연결시키고, 전원부(360)로부터 전류를 공급한다.
일례로, 상기 제1구동수단(210)과, 제2구동수단(220)과, 제3구동수단(230)은 각각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방수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방수 브러실리스 DC 모터(waterproof brushless DC moto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구동수단(210,220,230)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브(211,221,23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속도센서(310)에서 감지된 몸체부(300) 또는 거치부(100) 및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0)의 회전 움직임을 보상하기 위해 컨트롤러(320)에서 휴대용 단말기(10)가 움직여야 할 제어 값을 계산하고, 상기 모터드라이브(211,221,231)를 제어하여 제1구동수단(210)과, 제2구동수단(220)과, 제3구동수단(230)이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300)에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340)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40)은 LCD, LED, OLED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340)에는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러(320)에 입력된 명령 또는 짐벌부(200)의 작동 상태 및 현재 작동 모드, 배터리 잔량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손잡이부(400)에도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러(320)에 입력된 명령 또는 짐벌부(200)의 작동 상태 및 현재 작동 모드, 배터리 잔량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수단(47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300)의 후단에는 상기 손잡이부(400)의 선단이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수용부(351)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351)의 내측면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탈착홈(3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400)의 선단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수용부(351)에 끼워지는 탈착돌기(410)를 형성하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탈착홈(352)에 스냅온 방식으로 고정되는 후크 형상의 스냅(421)이 형성된다.
상기 스냅(421)에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손잡이부(400)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는 상기 스냅(421)과 연결된 푸시버튼(4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부(400)를 몸체부(300)와 결합하고자 할 경우, 푸시버튼(422)을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부(400)의 탈착돌기(410)를 몸체부(300)의 수용부(351)에 끼우고, 푸시버튼(422)에서 손을 떼면 스냅(421)이 확장되면서 탈착홈(352)에 끼워져 손잡이부(400)가 몸체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00)를 몸체부(30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도 푸시버튼(422)을 눌러, 스냅(421)을 탈착홈(352)에서 빼낸 뒤, 수용부(351)에서 탈착돌기(410)를 빼내면 손잡이부(400)를 몸체부(3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300)의 수용부(351)와 손잡이부(400)의 탈착돌기(410)에는 자석 또는 쇠붙이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351)와 탈착돌기(410)에 인력이 생성되게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이 내장될 수 있고, 수용부(351)에 자석이 내장되고 탈착돌기(410)에 쇠붙이가 내장되거나, 수용부(351)에 쇠붙이가 내장되고 탈착돌기(410)에 자석이 내장되어 수용부(351)와 탈착돌기(410)사이에는 자력에 의해 인력이 생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수용부(351)에는 케이블 단자(38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351)의 내측에는 상기 손잡이부(400)의 탈착돌기(410)와 수용부(351)의 내측면과 접촉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 둘레를 따라 고무, 실리콘 등의 완충부재(35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400)에는 상기 컨트롤러(32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짐벌부(200)의 작동을 위한 각종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4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부(400)가 몸체부(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4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400)에 형성된 조작부(440)를 통해 짐벌부(200)의 작동을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400)가 몸체부(300)와 분리된 상태에서도 손잡이부(400)만 휴대하면서 짐벌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40)는 상기 컨트롤러(32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작부(440)의 입력받는 형태는 버튼방식, 터치스크린방식, 조이스틱방식, 조그키(jog key)방식, 다이얼방식을 비롯한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블럭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300)와 상기 조작부(440)에는 각각 블루투스 모듈(610,620)이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320)가 상기 조작부(440)에 의해 무선으로 조작된다. 일례로, 상기 몸체부(300)에는 블루투스 수신부가 상기 컨트롤러(320)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게 내장되고, 조작부(440)에는 블루투스 송신부가 내장되어 컨트롤러(320)와 조작부(440) 간의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손잡이부(400)의 조작부(440)를 통해 상기 짐벌부(200)의 작동을 위한 각종 신호가 컨트롤러(320)에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300)와 상기 조작부(440)에는 블루투스 통신 외에, 와이파이(wi-fi) 등을 비롯한 각종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공지의 다양한 무선통신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몸체와 리모컨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400)는 일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수납홈(450)을 형성하는 몸체(401)와, 상기 몸체(401)의 수납홈(45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리모컨(402)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440)는 상기 리모컨(402)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400)가 몸체부(3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리모컨(402)과 몸체(401)를 분리하여 몸체(401)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리모컨(402)만 휴대하면서 몸체부(401)의 컨트롤러(32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모컨(402)에는 블루투스모듈(620)이 내장되어 상기 컨트롤러(320)를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401) 또는 리모컨(402)에는 자석 또는 쇠붙이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401)와 리모컨(402)에 인력이 생성되게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이 내장될 수 있고, 몸체(401)에 자석이 내장되고 리모컨(402)에 쇠붙이가 내장되거나, 몸체(401)에 쇠붙이가 내장되고 리모컨(402)에 자석이 내장되어 몸체(401)와 리모컨(402)사이에는 자력에 의해 인력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모컨(402)이 자력에 의해 몸체(401)에 고정되어 고정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리모컨(402)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400)는 후단에 그립감 향상을 위해 그 표면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그립부(460)가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46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립부(460)가 형성됨에 따라, 마찰력이 확보되어 손잡이부(400)가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등의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400)는 내부에 각종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중공 형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400)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 개방하거나 차폐하는 마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분리된 몸체부에 어뎁터가 장착되는 모습을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어뎁터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가 헬멧에 착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300)의 일측면에는 웨어러블(wearable)장비(20)와 결합하는 어뎁터(500)가 형성된다.
상기 어뎁터(500)는 몸체부(30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헬멧, 암밴드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비(20) 및 자전거, 드론 등에 구비된 어뎁터와 볼트 등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어뎁터(500)에는 볼트 체결을 위해 통공(52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어뎁터(500)는 상기 몸체부(30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나 따른 웨어러블장비(20)와 결합하는 어뎁터(500)가 몸체부(3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신체 나 타 장비에 착용 시 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외부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휴대용 단말기(10)의 동작이 보다 안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300)는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332)를 형성하되 내측에 양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333)이 상기 개구(332)와 연통되게 구비된 체결돌기(3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뎁터(500)는 일측에 양측이 상기 체결홈(333)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체결판(510)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300)에 고정되고, 통공(521)이 형성된 돌출부(520)가 상기 개구(332)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520)는 상호 이격하여 나란하게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판(5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33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한쌍의 돌출부(520) 사이로 웨어러블 장비(20)에 형성된 어뎁터가 끼워지고, 어뎁터에 형성된 통공을 하나의 볼트로 체결하여 몸체부(300)를 웨어러블 장비(2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판(510)이 상기 몸체부(300)의 체결홈(333)에 끼워진 후,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체결판(510)과 몸체부(330)를 볼트(530) 등으로 체결하여 보다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휴대용 단말기 20 : 웨어러블 장비
100 : 거치부 110 : 커버
120 : 고정편 121 : 고정홈
130 : 장착바 131 : 고정돌기
200 : 짐벌부 210 : 제1구동수단
220 : 제2구동수단 230 : 제3구동수단
240 : 제1연결부재 250 : 제2연결부재
300 : 몸체부 310 : 각속도센서
320 : 컨트롤러 331 : 체결돌기
332 : 개구 333 : 체결홈
340 : 디스플레이수단 351 : 수용부
352 : 탈착홈 360 : 전원부
370 : 버튼 400 : 손잡이부
401 : 몸체 402 : 리모컨
410 : 탈착돌기 421 : 스냅
422 : 푸시버튼 440 : 조작부
450 : 수납홈 460 : 그립부
500 : 어뎁터 510 : 체결판
520 : 돌출부 610,620 : 블루투스모듈

Claims (12)

  1. 촬영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롤(roll), 피치(pitch), 요(yaw) 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회전수단이 구비된 짐벌부;
    상기 짐벌부의 후단이 고정되고, 3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각속도센서와 상기 각속도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짐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각속도센서와 회전 수단 및 컨트롤러에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를 내장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리모컨으로 구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은 상기 컨트롤러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짐벌부의 작동을 위한 각종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를 갖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고정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고, 폭방향을 따라 양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편;
    일단이 상기 짐벌부에 고정되고, 상면에 상기 고정편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게 폭 방향을 따라 고정돌기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된 장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짐벌부는:
    상기 몸체부에 롤(roll) 축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제1구동수단;
    상기 제1구동수단의 전방 상부에 요(yaw)축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수단;
    상기 제1구동수단과 제2구동수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2구동수단의 일측 하부에 피치(pitch)축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제3구동수단;
    상기 제2구동수단과 제3구동수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웨어러블(wearable) 장비에 장착되는 방식과 손으로 파지되는 방식에 겸용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웨어러블(wearable)장비와 결합하는 어뎁터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를 형성하되 내측에 양측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어뎁터는 일측에 양측이 상기 체결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는 체결판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이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에는 둘레를 따라 탈착홈에 끼워지는 탈착돌기가 형성되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탈착홈에 스냅온 방식으로 고정되는 후크 형상의 스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조작부에는 각각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무선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리모컨에는 자석 또는 쇠붙이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후단에 그립감 향상을 위해 그 표면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그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KR1020150119670A 2015-08-25 2015-08-25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KR10166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70A KR101667394B1 (ko) 2015-08-25 2015-08-25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US15/238,754 US20170064176A1 (en) 2015-08-25 2016-08-17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motion of handheld and wear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70A KR101667394B1 (ko) 2015-08-25 2015-08-25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394B1 true KR101667394B1 (ko) 2016-10-19

Family

ID=5725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670A KR101667394B1 (ko) 2015-08-25 2015-08-25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064176A1 (ko)
KR (1) KR101667394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073A (ko) * 2016-02-23 2017-08-31 김태완 3축 흔들림 보정장치가 구비된 영상촬영 짐벌기구
KR20180106603A (ko) 2017-03-21 2018-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짐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WO2019054661A1 (ko) * 2017-09-12 2019-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영상촬영 보조 액세서리
WO2019066300A1 (ko) * 2017-09-27 2019-04-04 이충열 짐벌
KR20190066173A (ko) * 2017-12-05 2019-06-1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유지 장치
KR20200000515U (ko) * 2018-06-27 2020-03-09 션쩐 하오화리앤흐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거치대 및 거치대를 지닌 셀카봉
KR102108650B1 (ko) * 2018-11-21 2020-05-07 이민상 상단부 및 하단부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200079663A (ko)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파인데이 동영상 촬영을 위한 스마트폰 짐벌
KR102157308B1 (ko) * 2020-04-20 2020-09-17 주식회사 천우 구조물 안전진단용 촬영장치
KR20200140995A (ko) 2019-06-06 2020-12-17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CN112923198A (zh) * 2019-07-31 2021-06-0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持云台
US20210254786A1 (en) * 2018-08-21 2021-08-19 Guilin Zhishe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Lightweight hand-held stabilizer
KR102329299B1 (ko) * 2021-05-10 2021-11-22 (주)카데코 배터리 활용도를 높인 휴대용 랜턴
CN115412663A (zh) * 2018-01-05 2022-11-29 高途乐公司 系统、方法和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72498U (zh) * 2014-11-28 2015-06-03 昆山优力电能运动科技有限公司 云台手持架
US9904149B2 (en) 2015-12-31 2018-02-27 Gopro, Inc. Camera gimbal mount system
US10415748B2 (en) * 2016-03-09 2019-09-17 Shenzhen Asoka Printing Co., Ltd. Portable selfie stick
PL3236312T3 (pl) * 2016-04-20 2019-10-31 Guilin Feiyu Tech Corporation Ltd Trójosiowy stabilizator do telefonu komórkowego
CN107637059B (zh) * 2016-04-29 2021-07-27 深圳市大疆灵眸科技有限公司 拍摄装置、拍摄设备及便携式电子设备
EP3537702A1 (en) * 2016-11-04 2019-09-11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Selfie sti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device by means of selfie stick
USD822754S1 (en) * 2016-12-30 2018-07-10 Guixiong Fang Selfie stick
CA3054444C (en) * 2017-03-13 2023-07-18 Gentex Corporation Modular shroud
CN106885107B (zh) * 2017-03-28 2024-03-01 桂林飞宇创新科技有限公司 防水稳定器
WO2018232565A1 (zh) * 2017-06-19 2018-12-2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可拆卸控制装置、云台装置和手持云台的控制方法
CN207634925U (zh) * 2017-06-20 2018-07-20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一种云台及具有此云台的摄像组件
US10491824B2 (en) 2017-09-26 2019-11-26 Gopro, Inc. Combined mechanical and electronic image stabilization
CN207475693U (zh) * 2017-09-29 2018-06-0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云台拍摄器
CN107883131B (zh) * 2017-09-29 2024-01-19 桂林飞宇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伸缩稳定器及其控制方法
US11496684B2 (en) 2017-12-11 2022-11-08 Gopro, Inc. Combined mechanical and electronic image stabilization
USD863411S1 (en) * 2017-12-26 2019-10-15 Guilin Zhishe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Stabilizer
EP3736483A4 (en) * 2018-01-05 2021-01-13 SZ DJI Technology Co., Ltd. HANDHELD GIMBAL DEVICE
USD857786S1 (en) * 2018-01-08 2019-08-27 SZ DJI Technology Co., Ltd. Gimbal
CN108150808A (zh) * 2018-02-06 2018-06-12 桂林飞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显示屏的稳定器
JP1623062S (ko) * 2018-03-01 2019-01-28
JP6657512B2 (ja) * 2018-05-21 2020-03-04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支持システム、及び支持システム
US11372318B2 (en) * 2018-05-29 2022-06-28 Kevin Albert Thomas Camera gimbal
US10844998B2 (en) * 2018-05-29 2020-11-24 Kevin Albert Thomas Camera gimbal
WO2020000441A1 (zh) * 2018-06-29 2020-01-0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持云台和手持云台装置
USD874539S1 (en) 2018-06-29 2020-02-04 SZ DJI Technology Co., Ltd. Stabilized camera device
WO2020000394A1 (zh) * 2018-06-29 2020-01-0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延时摄影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成像系统及存储介质
USD868877S1 (en) * 2018-09-13 2019-12-03 Gudsen Technology Co., Ltd Camera mount
WO2020056637A1 (zh) * 2018-09-19 2020-03-2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持云台
CN210088414U (zh) * 2019-04-26 2020-02-18 深圳市乐其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侧手柄
USD929491S1 (en) * 2019-08-02 2021-08-31 Guangdong Sirui Optical Co., Ltd. Three axis stabilizer
US11172058B2 (en) * 2019-12-23 2021-11-09 Tim Goldburt Device that is extendable for supporting a smartphone having a video camera or for supporting a video camera
US11044353B1 (en) * 2019-12-23 2021-06-22 Tim Goldburt Device for supporting a smartphone having a video camera or for supporting a video camera
JP1698666S (ko) * 2021-05-27 2021-11-01
CN217213422U (zh) * 2022-04-15 2022-08-16 桂林飞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云台相机
CN217875226U (zh) * 2022-06-01 2022-11-22 影石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持云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372U (ko) * 1996-08-05 1998-05-15 김광호 본체 케이스에 크레이들을 고정하는 구조
KR101210883B1 (ko) * 2011-10-20 2012-12-11 조석현 휴대용 촬영장치를 위한 흔들림 저감 장치
KR101433846B1 (ko) 2014-03-14 2014-08-26 주식회사 퓨런티어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의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40131641A (ko) * 2013-05-06 2014-11-14 이동빈 블루투스를 이용한 액션캠 마운트
US20150156385A1 (en) * 2011-09-09 2015-06-04 SZ DJI Technology Co., Ltd Stabilizing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38426T1 (de) * 2007-08-27 2012-01-15 Caman Sa Einstellbarer griff, insbesondere für eine kamera
US20150209887A1 (en) * 2009-10-13 2015-07-30 Lincoln Global, Inc. Welding helmet with heads up display
US9930297B2 (en) * 2010-04-30 2018-03-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images of medication preparations
WO2012039676A1 (en) * 2010-09-20 2012-03-29 Nanyang Polytechnic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n augmented ip camera
CN106471337B (zh) * 2014-04-28 2020-12-1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可替换的安装平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372U (ko) * 1996-08-05 1998-05-15 김광호 본체 케이스에 크레이들을 고정하는 구조
US20150156385A1 (en) * 2011-09-09 2015-06-04 SZ DJI Technology Co., Ltd Stabilizing platform
KR101210883B1 (ko) * 2011-10-20 2012-12-11 조석현 휴대용 촬영장치를 위한 흔들림 저감 장치
KR20140131641A (ko) * 2013-05-06 2014-11-14 이동빈 블루투스를 이용한 액션캠 마운트
KR101433846B1 (ko) 2014-03-14 2014-08-26 주식회사 퓨런티어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의 검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073A (ko) * 2016-02-23 2017-08-31 김태완 3축 흔들림 보정장치가 구비된 영상촬영 짐벌기구
KR20180106603A (ko) 2017-03-21 2018-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짐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KR102335235B1 (ko) * 2017-03-21 2021-1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짐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WO2019054661A1 (ko) * 2017-09-12 2019-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영상촬영 보조 액세서리
US11187370B2 (en) 2017-09-12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hotographing-assisting accessory of electronic device
KR102007390B1 (ko) * 2017-09-27 2019-10-08 이충열 짐벌
KR20190036323A (ko) * 2017-09-27 2019-04-04 이충열 짐벌
WO2019066300A1 (ko) * 2017-09-27 2019-04-04 이충열 짐벌
US10995898B2 (en) 2017-09-27 2021-05-04 Choong Ryul LEE Gimbal
KR102029698B1 (ko) * 2017-12-05 2019-10-08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유지 장치
KR20190066173A (ko) * 2017-12-05 2019-06-1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유지 장치
CN115412663B (zh) * 2018-01-05 2023-12-01 高途乐公司 系统、方法和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器
CN115412663A (zh) * 2018-01-05 2022-11-29 高途乐公司 系统、方法和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器
KR200493457Y1 (ko) * 2018-06-27 2021-04-05 션쩐 하오화리앤흐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거치대 및 거치대를 지닌 셀카봉
KR20200000515U (ko) * 2018-06-27 2020-03-09 션쩐 하오화리앤흐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거치대 및 거치대를 지닌 셀카봉
US11971137B2 (en) * 2018-08-21 2024-04-30 Guilin Zhishe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Lightweight hand-held stabilizer
US20210254786A1 (en) * 2018-08-21 2021-08-19 Guilin Zhishe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Lightweight hand-held stabilizer
KR102108650B1 (ko) * 2018-11-21 2020-05-07 이민상 상단부 및 하단부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200079663A (ko)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파인데이 동영상 촬영을 위한 스마트폰 짐벌
KR20200140995A (ko) 2019-06-06 2020-12-17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KR102348168B1 (ko) * 2019-06-06 2022-01-11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촬영 보조 장치
CN112923198A (zh) * 2019-07-31 2021-06-0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持云台
KR102157308B1 (ko) * 2020-04-20 2020-09-17 주식회사 천우 구조물 안전진단용 촬영장치
KR102329299B1 (ko) * 2021-05-10 2021-11-22 (주)카데코 배터리 활용도를 높인 휴대용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64176A1 (en)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394B1 (ko) 파지 및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흔들림 보정장치
US11480291B2 (en) Camera system using stabilizing gimbal
US11653095B2 (en) Modular image capture systems
US11178329B2 (en) Combined mechanical and electronic image stabilization
KR102550731B1 (ko) 수평 자세 유지 장치 및 자세 유지 장치 구동 방법
US11132773B2 (en) Temporal smoothing in image capture systems
JP2007310005A (ja) カメラシステム
KR20180024752A (ko) 셀프 촬영용 스틱
CN209964138U (zh) 图像获取模块和图像获取系统
JP2015207886A (ja) 撮像装置および把持部材
US20240114232A1 (en) Photographing device and system, carrier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expansion component
KR20190143076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US20240004270A1 (en) Actuator locking mechanism for image capture device
JP2012047978A (ja) 電子機器、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
WO2022141329A1 (zh) 拍摄设备、控制设备、遥控设备、移动控制系统和可穿戴设备
JP580756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7037315U (zh) 一种侧双手持布局的电子陀螺稳定器
US9538058B2 (en) Imaging device
CN111853435A (zh) 便携式稳像设备和稳像系统
JP2020182044A (ja) 撮像装置
JP2006064715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