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076A -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076A
KR20190143076A KR1020180070585A KR20180070585A KR20190143076A KR 20190143076 A KR20190143076 A KR 20190143076A KR 1020180070585 A KR1020180070585 A KR 1020180070585A KR 20180070585 A KR20180070585 A KR 20180070585A KR 20190143076 A KR20190143076 A KR 20190143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ain body
smart device
unit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후
Original Assignee
송승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승후 filed Critical 송승후
Priority to KR102018007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3076A/ko
Publication of KR20190143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257
    • H04N5/2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CAMERA MODULE AND SMART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에 탈부착 가능한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의 스마트 기기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기기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은 그 기능이 일반 음성 통화 기능에 제한되지 않고, 웹서핑 또는 동영상 시청 등이 가능하다. 태블릿 PC 또한 그 기능이 PC의 기능에 제한되지 않고, 음성 통화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폰(1)을 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1)을 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 등의 일반적인 스마트 기기(1)는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2, 3)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2, 3)는 스마트 기기(1)에 고정되어 설치됨으로써, 스마트 기기(1)의 후면에 설치되는 메인 카메라(2) 외에 사용자 자신을 직접 촬영하기 위해 스마트 기기(1)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조 카메라(3)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메인 카메라(2)에 비해 보조 카메라(3)는 해상도 등의 성능이 낮게 또는 다르게 제공된다. 따라서, 메인 카메라(2)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보조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품질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2, 3)가 스마트 기기(1)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1)의 화면을 통해 카메라(2, 3)가 촬영중인 영상을 확인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은 쉽지 않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1)의 카메라(2, 3)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자신의 신체의 후면의 일부 영역을 카메라(2, 3)가 촬영중인 영상을 확인하면서 촬영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로부터의 촬영 방향에 따라 동일한 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중인 영상을 스마트 기기를 통해 확인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은,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전력 공급부가 장착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에 탈착되는 탈착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카메라부를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과 수직인 일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 바디는, 내부에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전력 공급부가 제공되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측벽의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과 대향되는 영역은 투명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탈착 돌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탈착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부는 외부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지는 상기 탈착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력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탈착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일반적인 스마트 기기의 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포트로 제공되고, 상기 탈착 돌기는 상기 포트에 대응되는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기기의 기능을 가지는 본체와;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상기 본체로 전송하며,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카메라 모듈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본체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본체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전력 공급부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에 탈착되는 탈착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카메라부를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과 수직인 일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 바디는, 내부에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전력 공급부가 제공되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측벽의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과 대향되는 영역은 투명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탈착 돌기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탈착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카메라 모듈 삽입홈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부는 외부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지는 상기 탈착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력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탈착부를 통해 상기 본체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기기로부터의 촬영 방향에 따라 동일한 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는 촬영중인 영상을 스마트 기기를 통해 확인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을 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체를 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카메라 모듈을 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카메라 모듈을 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카메라 유닛이 회전되는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카메라 모듈이 본체 이외의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10)를 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10)는 본체(100) 및 카메라 모듈(200)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본체(100)를 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기능을 제외한 일반적인 스마트 기기(10)의 기능을 가지는 장치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본체(100)는 카메라가 제공되지 않은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피씨(Tablet PC)의 기능을 가지는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체(100)에는 아래에 설명될 카메라 모듈(200) 외에 영상 촬영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0)의 측면에는 카메라 모듈 삽입홈(110)이 형성된다. 카메라 모듈 삽입홈(110)에는 카메라 모듈(200)이 삽입된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10a)를 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삽입홈(110a)은 도 4의 경우와 달리, 본체(100a)의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홈(110a)은 본체(100a)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홈(110a)은 스마트 기기(10a)의 디스플레이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삽입홈(110a)은 스마트 기기(10a)의 전면의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10, 110a)은 스마트 기기(10a)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홈(110, 110a)은 스마트 기기(10a)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본인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 모듈(200)을 전면의 삽입홈(110a) 또는 후면의 삽입홈(11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카메라 모듈(200)은 삽입홈(100, 110a)에 대응되는 수로 제공되어 모든 삽입홈(110, 110a)에 각각 카메라 모듈(20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카메라 모듈(200)을 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카메라 모듈(200)을 후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카메라 모듈(200)의 내부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00)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본체(100)로 전송한다. 카메라 모듈(200)은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카메라 모듈(200)에는 사용시 요구되는 고유 비밀번호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본체(100)의 조작을 통해 카메라 모듈(200)에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200)의 분실 등의 경우 타인이 사용하거나 도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00)은 카메라 유닛(210), 전력 공급부(220) 및 탈착 바디(230)를 포함한다.
카메라 유닛(210)은 카메라부(211), 무선 송수신부(212), 구동부(213), 저장부(214) 및 제어부(215)를 포함한다.
카메라부(211)는 영상을 촬영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부(211)는 몸체(2111), 촬상부재(2112) 및 플래시(2113)를 포함한다. 몸체(2111)에는 촬상부재(2112) 및 플래시(2113)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면에 장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2111)는 촬상부재(2112) 및 플래시(2113)가 설치된 면에 수직인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즉, 몸체(2111)가 회전됨으로써, 영상 촬영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촬상부재(2112)는 촬영 대상으로부터 반사 또는 방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감지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촬상부재(2112)는 빛이 수광되는 렌즈가 설치된 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몸체(2111)에 설치된다.
플래시(2113)는 촬상부재(2112)의 촬상시 보조적이 빛이 요구되는 경우, 빛을 방사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조명을 부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무선 송수신부(212)는 본체(1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무선 송수신부(212)는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본체(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유닛(210)은 무선 송수신부(212)를 통해 본체(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214)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무선 송수신부(212)를 통해 본체(100)로 전송될 수 있고, 본체(1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무선 송수신부(212)를 통해 저장부(214)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체(100)에서 구동되는 소프트 웨어를 조작하여, 무선으로 제어부(215)를 통해 카메라 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00)이 본체(1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2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블루투스 방식과 같이 일반적으로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본체(100) 이외의 스마트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카메라 유닛(210)이 회전되는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구동부(213)는 카메라부(211)를 카메라부(211)의 촬영 방향과 수직인 일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부(213)는 몸체(2111)에 연결되어 몸체(2111)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200)이 후술된 바와 같이, 본체(100) 또는 그 외의 스마트 기기(100a)의 저면에 형성된 포트에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는 셀프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카메라부(211)만을 촬영 방향이 본체(100) 또는 스마트 기기(100a)의 전면을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아닌 다른 촬영 대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카메라부(211)만을 촬영 방향이 본체(100) 또는 스마트 기기(100a)의 후면을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촬영을 수행하지 않을 시에는 카메라부(211)의 촬영 방향이 카메라 모듈(200)이 본체(100) 또는 스마트 기기(100a)에 설치된 경우에 설치된 본체(100) 또는 스마트 기기(100a)를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방향에 의한 불필요한 오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2111)의 카메라부(211) 및 플래시(2113)가 위치된 면의 반대면을 다양하게 디자인하여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저장부(214)는 카메라부(211)가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14)는 본체(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14)가 제공됨으로써, 본체(100)에 제공된 데이터 저장 공간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200)은 본체(100)와 별도의 저장부(214)가 제공됨으로써, 본체(100) 이외의 스마트 기기와도 무선 송수신부(212) 또는 아래에 설명될 탈착부(232)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100)의 조작을 통해 카메라부(211)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본체(100)에 저장할지 아니면 저장부(214)에 저장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카메라부(211)의 촬영 직후 저장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이 자동으로 저장부(214) 또는 본체(100)에 저장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15)는 본체(1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카메라부(211), 무선 송수신부(212), 구동부(213) 및 저장부(214)를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체(100)에서 구동되는 소프트 웨어를 조작하여 카메라 모듈(200)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본체(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여 소프트 웨어를 조작하거나, 본체(100)에 제공된 볼륨 버튼 등을 이용하여 소프트 웨어를 조작할 수 있다. 즉, 본체(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명령은 무선 송수신부(212) 또는 아래에 설명될 탈착부(232)를 통해 제어부(215)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15)는 본체(1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카메라부(211)가 촬영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5)는 본체(1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카메라부(211)의 촬영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동부(21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5)는 카메라부(211)가 촬영한 영상 및 본체(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본체(100) 또는 그 외의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도록 저장부(214) 및 무선 송수신부(212)를 제어하고, 탈착부(232)에 전송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15)는 전력 공급부(220)의 전력을 카메라 모듈(200)의 각 구성에 설정된 값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20)는 카메라 유닛(2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공급부(220)는 충전지(221)를 포함한다. 충전지(221)는 외부 전력에 의해 충전된다. 예를 들면, 충전지(221)는 아래에 설명될 탈착부(232)를 통해 본체(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충전 가능한 전력 공급부(220)가 제공됨으로써 카메라 모듈(200)은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탈착 바디(230)에는 카메라 유닛(210) 및 전력 공급부(220)가 장착된다. 탈착 바디(230)는 본체(100)에 탈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탈착 바디(230)는 하우징(231) 및 탈착부(232)를 포함한다.
하우징(231)은 내부에 카메라 유닛(210) 및 전력 공급부(220)가 제공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231)은 카메라 유닛(210) 및 전력 공급부(220)가 제공되는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231)의 측벽의 카메라부(211)의 촬영 방향과 대향되는 영역은 투명한 재질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211)가 회전되는 경우, 회전에 따른 카메라부(211)의 촬영 방향의 경로를 따라 하우징의 측벽의 일부 영역이 투명하게 제공된다. 다만, 카메라 모듈(200)이 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본체(100)를 바라보는 방향은 본체(100)에 의해 촬영이 불가하므로, 하우징(231)의 본체(100)를 바라보는 측벽은 투명하지 않은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211)의 촬영 경로를 따라 하우징(231)의 일부 영역이 투명 재질로 제공됨으로써, 하우징(231)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카메라부(211) 및 플래시(211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몸체(2111)의 회전을 위한 이음새에 유입되어 구동부(213)가 손상되거나 몸체(2111)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탈착부(232)는 하우징(231)과 결합되고, 본체(100)에 탈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탈착부(232)는 탈착 돌기(2321) 및 삽입 홈(2322)을 포함한다.
탈착 돌기(2321)는 하우징(23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삽입 홈(2322)은 본체(10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삽입 홈(2322)에는 탈착 돌기(2321)가 삽입된다. 삽입 홈(2322)에 탈착 돌기(2321)가 삽입되고 삽입 홈(2322)으로부터 탈착 돌기(2321)가 이탈됨으로써, 카메라 유닛(210)이 본체(100)에 탈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삽입 홈(2322)은 카메라 모듈 삽입홈(110)의 저면(111)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지(221)는 탈착부(232)를 통해 외부 전력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210)은 탈착부(232)를 통해 본체(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214)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탈착부(232)를 통해 본체(100)로 전송될 수 있고, 본체(1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탈착부(232)를 통해 저장부(214)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삽입 홈(2322)은 일반적인 스마트 기기(10)의 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포트로 제공되고, 탈착 돌기(2321)는 상기 포트에 대응되는 단자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삽입 홈(2322) 및 탈착 돌기(2321)는 각각 마이크로 USB 5핀 포트 및 단자, 또는 마이크로 USB 5핀 포트 및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200)은 탈착 돌기(2321)가 본체(100)의 카메라 모듈 삽입홈(110)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 홈(2322) 외의 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포트에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본체(100)에 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카메라 유닛(210)의 데이터 송수신 및 충전지(221)의 외부 전력과의 연결은 상기 포트에 결합된 탈착 돌기(2321)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카메라 모듈(200)이 본체(100) 이외의 스마트 기기(100a)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탈착 돌기(2321)가 스마트 기기의 일반적인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자로 제공됨으로써, 카메라 모듈(200)은 탈착 돌기(2321)와 호환되는 포트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기기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200)은 스마트 기기에 제공된 포트가 탈착 돌기(2321)와 호환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젠더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포트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0a: 스마트 기기 100, 100a: 본체
110, 110a: 카메라 모듈 삽입홈 200: 카메라 모듈
210: 카메라 유닛 211: 카메라부
212: 무선 송수신부 213: 구동부
214: 저장부 215: 제어부
220: 전력 공급부 230: 탈착 바디
231: 하우징 232: 탈착부

Claims (6)

  1. 스마트 기기의 기능을 가지는 본체와;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상기 본체로 전송하며,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카메라 모듈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본체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본체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전력 공급부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에 탈착되는 탈착 바디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카메라부를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과 수직인 일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바디는,
    내부에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전력 공급부가 제공되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측벽의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과 대향되는 영역은 투명한 재질로 제공되는 스마트 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탈착 돌기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탈착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KR1020180070585A 2018-06-20 2018-06-20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KR20190143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585A KR20190143076A (ko) 2018-06-20 2018-06-20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585A KR20190143076A (ko) 2018-06-20 2018-06-20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076A true KR20190143076A (ko) 2019-12-30

Family

ID=6910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585A KR20190143076A (ko) 2018-06-20 2018-06-20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30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4873A (zh) * 2020-04-29 2020-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4873A (zh) * 2020-04-29 2020-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4668B2 (en) Digital camera system
US9031610B2 (en) Camera attachment for phone
US10200583B2 (en) System for mobile device with detachable camera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704944B1 (en) Handheld modular digital photography system
US20070248356A1 (en) Digital camera, digital camera system, and control program for digital camera system
TW201606414A (zh) 成像裝置
TWM546639U (zh) 環景影像捕捉裝置
JP2007310005A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03298902A (ja) デジタルカメラ、ビデオカメラ用影像表示無線遠隔制御装置
US20150256730A1 (en) Image-capturing device configured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WO2008117101A1 (en) A camera comprising a detachable projector
WO201519408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57574A (ko)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JP2008288920A (ja)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JP2002062578A (ja) カメラ撮影用ホルダ
KR101855790B1 (ko) 전방위 카메라용 제어 워치
KR20190143076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JP2018097103A (ja) 撮影システム
KR102021045B1 (ko) 스마트폰 보조장치
JP2006350447A (ja) 携帯型メモリ
JP4509234B2 (ja) 電子カメラ
JP7413117B2 (ja) 撮像システムおよび照明装置
US10560630B1 (en) Camera having far-near focus switching function
KR101683859B1 (ko)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KR20150136384A (ko) 카메라 제어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