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119A -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119A
KR20200124119A KR1020190047585A KR20190047585A KR20200124119A KR 20200124119 A KR20200124119 A KR 20200124119A KR 1020190047585 A KR1020190047585 A KR 1020190047585A KR 20190047585 A KR20190047585 A KR 20190047585A KR 20200124119 A KR20200124119 A KR 20200124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lfie stick
insertion groove
selfie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565B1 (ko
Inventor
김제훈
Original Assignee
김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제훈 filed Critical 김제훈
Priority to KR102019004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56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셀카봉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의 외주에 구비된 지지부를 펼쳐 삼각대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면의 형태 및 경사각에 대응하여 지지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셀카봉이 거치되는 본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의 내부에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는 셀카봉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셀카봉을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선택적으로 지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각각의 지지부를 수평 회전 및 수평 회동이 가능토록 베이스부, 힌지부 및 지지대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대가 지면의 형태 및 경사각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Case for a self-supporting bar with support}
본 발명은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셀카봉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의 외주에 구비된 지지부를 펼쳐 삼각대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면의 형태 및 경사각에 대응하여 지지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셀카봉이 거치되는 본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카란, 영어의 한국식 표현인 셀프 카메라(self camera)를 줄여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신조어이다. 자신의 모습을 자신이 직접 촬영하는 행위로 셀피(selfie)라고도 표현된다.
셀카는 특히 고화질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면서 카메라 대신에 휴대용 기기가 주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셀프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보조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셀카봉’이라는 막대 형상의 보조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셀카봉은, 휴대용 기기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가 촬영자를 향하도록 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셀카봉은 지지봉의 길이를 무한정 늘일 수 없기 때문에, 카메라에 담을 수 있는 화각이 제한되어 배경 및 사용자의 전신을 담아내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셀카봉의 일 측에 지지대를 구비하여 셀카봉을 지면에 세워 원거리에서 촬영이 가능토록 하는 셀카봉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번호 제 10-2018-0083007호 통상의 셀카봉에 있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봉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봉과; 상기 다수개의 봉을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와; 상기 지지봉의 일단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또는 셀프카메라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와;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측면을 따라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복수 개의 안전거치대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지지봉의 하부에 종래의 삼각대 역할을 수행하는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시켜, 받침대를 꺼내어 세워놓고 트라이포드 대용으로 활용하여 원거리에서도 셀카 촬영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셀카봉의 지지봉의 하부에 별도의 삼각대 역할을 수행하는 안전거치대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종래의 셀카봉 대비 그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여 보관 및 사용상의 용이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다수의 안전거치대가 동시에 접힘 및 펼침 되는 구조로 인해 지면의 형태 및 경사각에 대응하여 다수의 안전치대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 평평한 바닥에서만 사용해야 되는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본체부의 내부에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는 셀카봉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셀카봉을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선택적으로 지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각각의 지지부를 수평 회전 및 수평 회동이 가능토록 베이스부, 힌지부 및 지지대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대가 지면의 형태 및 경사각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는 셀카봉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구성되되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수직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에 의하면, 사용자가 셀카봉을 본체부의 내부에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셀카봉을 인출하여 셀카봉을 들고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본체부를 지지부를 이용하여 지면에 거치한 후, 상기 본체부에 셀카봉을 거치시켜 원거리에서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수평 회전 및 수직 회동이 가능한 지지대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지면의 형태 및 경사각에 구애받지 않고 본체부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셀카봉용 케이스의 구성 중 본체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인 셀카봉용 케이스의 구성 중 상부캡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도 2의 A ㅡ A')
도 6은 본 발명인 셀카봉용 케이스의 구성 중 상부캡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B ㅡ B')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a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셀카봉용 케이스의 구성 중 지지대가 수평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셀카봉용 케이스의 구성 중 지지대가 수직 회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내부에 셀카봉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의 외주에 구비된 지지부를 펼쳐 삼각대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면의 형태 및 경사각에 대응하여 지지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셀카봉이 거치되는 본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는 셀카봉(s)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구성되되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200); 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는 셀카봉(s)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셀카봉(s)을 수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및 보관을 용이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부(100)는 원형 또는 다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부(10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구성되되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지지부(200)를 이용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본체부(100)에 셀카봉(s)을 거치시켜 원거리에서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삼각대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다수개가 구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지지부(200)는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동일한 원호 상에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지지부(200)가 지면에 거치될 시, 상기 본체부(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몸체(110), 하부캡(120) 및 상부캡(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상, 하부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셀카봉(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캡(120)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셀카봉(s)이 몸체(110)의 개방된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캡(130)은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를 이동 및 보관할 시,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셀카봉(s)이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120) 및 상부캡(130)이 상기 몸체(11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구조는 통상의 일반적인 나사산을 통한 회전결합구조, 억지끼움 결합구조, 슬라이드 결합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캡(130)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셀카봉(s)을 상부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캡(130)의 상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삽 되는 삽입홈(133)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33)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셀카봉(s)의 하측 단부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삽입홈(133)에 상기 셀카봉(s)의 하부를 억지 끼움 또는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상기 상부캡(130)을 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셀카봉(s)을 인출한 후에 상기 상부캡(130)을 몸체(110)의 상부에 다시 결합하고, 상기 상부캡(130)의 삽입홈(133)에 셀카봉(s)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캡(130)의 다른 실시 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캡(130)의 상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깊이 내삽 되는 삽입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33)에는 탄성부재(s)와 연결 구성되어 삽입홈(133)의 중앙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135)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33)의 크기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셀카봉(s)의 하측 단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s)와 연결 구성된 가압부재(135)는 상기 삽입홈(133)을 중심으로 동일한 원호 상에 다수개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s)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 측이 상기 삽입홈(13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일정깊이 내삽 되어 구성되고, 타 측이 상기 삽입홈(133)의 내측에 위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가압부재(135)는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s)의 타 측과 연결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몸체(110)에 수용되는 다양한 크기의 셀카봉(s)을 상기 삽입홈(133)에 삽입한 후에 상기 가압부재(135) 및 탄성부재(s)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캡(130)의 상부에 셀카봉(s)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캡(130)은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상부캡(130)의 상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깊이 내삽 되는 삽입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130)의 일 측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부재(137)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재(137)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부재(137)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삽입홈(133)에 삽입되는 셀카봉(s)의 외주를 조임 및 풀림 하는 조임부재(139)가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137)는 상기 상부캡(130)의 외주 일 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임부재(139)는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 측 단부가 상기 회전부재(137)에 힌지(h) 결합되어 상기 힌지(h)를 축으로 회전부재(137)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타 측 단부는 상기 조임부재(139)의 일 측에 회전부재(137)가 정회전 및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37)의 일 측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힌지(h)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삽입홈(133)에 삽입되는 셀카봉(s)의 외주를 조임 및 풀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몸체(110)에 수용되는 다양한 크기의 셀카봉(s)을 상기 삽입홈(133)에 삽입한 후에 상기 회전부재(137) 및 조임부재(139)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캡(130)의 상부에 셀카봉(s)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캡(120) 또는 상부캡(130)의 내부에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충전케이블이 연결되기 위한 USB 포트(p)가 구비된 보조배터리(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보조배터리(300)는 상기 하부캡(120) 또는 상부캡(130)의 내부에 구성됨으로써, 상기 상부캡(130)의 상부에 거치되는 셀카봉(s)에 사용되는 휴대용 기기를 간편하게 충전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8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베이스부(210)와, 상기 베이스부(210)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부(210)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힌지부(220)와, 상기 힌지부(220)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힌지부(220)를 축으로 수직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지지대(23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2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동일한 원호 상에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220)는 상기 베이스부(210)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부(210)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30)는 상기 힌지부(220)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힌지부(220)를 축으로 수직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대(230)를 힌지부(220)를 축으로 수직 회동시켜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며 지면에 거치시켜 상기 본체부(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지지대(2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본체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230)와 연결 구성되는 힌지부(220)를 상기 베이스부(210)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시켜 내리막길, 비포장도로 등과 같은 비교적 고르지 못한 지면의 형태 및 경사각에 대응하여 지지대(230)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가변시키며 조절할 수 있어, 지면의 형태 및 경사각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본체부(10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에 의하면, 사용자가 셀카봉을 본체부의 내부에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셀카봉을 인출하여 셀카봉을 들고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본체부를 지지부를 이용하여 지면에 거치한 후, 상기 본체부에 셀카봉을 거치시켜 원거리에서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수평 회전 및 수직 회동이 가능한 지지대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지면의 형태 및 경사각에 구애받지 않고 본체부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몸체
120 : 하부캡
130 : 상부캡
133 : 삽입홈
135 : 가압부재
137 : 회전부재
139 : 조임부재
200 : 지지부
210 : 베이스부
220 : 힌지부
230 : 지지대
300 : 보조배터리
h : 힌지
p : USB 포트
s : 셀카봉

Claims (7)

  1.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는 셀카봉(s)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구성되되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200); 로 구성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 하부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셀카봉(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캡(120)과,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캡(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30)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셀카봉(s)을 상부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30)의 상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깊이 내삽 되는 삽입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33)에는 탄성부재(s)와 연결 구성되어 삽입홈(133)의 중앙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135)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30)의 상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깊이 내삽 되는 삽입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130)의 일 측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부재(137)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재(137)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부재(137)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삽입홈(133)에 삽입되는 셀카봉(s)의 외주를 조임 및 풀림 하는 조임부재(139)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20) 또는 상부캡(130)의 내부에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충전케이블이 연결되기 위한 USB 포트(p)가 구비된 보조배터리(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베이스부(210)와,
    상기 베이스부(210)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부(210)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힌지부(220)와,
    상기 힌지부(220)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힌지부(220)를 축으로 수직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지지대(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KR1020190047585A 2019-04-23 2019-04-23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KR102227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85A KR102227565B1 (ko) 2019-04-23 2019-04-23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85A KR102227565B1 (ko) 2019-04-23 2019-04-23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19A true KR20200124119A (ko) 2020-11-02
KR102227565B1 KR102227565B1 (ko) 2021-03-12

Family

ID=7339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85A KR102227565B1 (ko) 2019-04-23 2019-04-23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5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26B1 (ko) * 2012-08-06 2013-09-04 기 연 김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장치를 위한 핸드폰 삼각대
KR20140043620A (ko) * 2012-10-02 2014-04-10 윤영휘 접이식 삼각대
KR20150000421U (ko) * 2014-12-04 2015-01-27 백동호 셀프카메라용 보조 기구봉
KR20160129507A (ko) *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KR20170002376U (ko) * 2015-12-23 2017-07-03 선전 쒜이션시우 패션 오리지낼러티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일체식 셀카봉
KR20180024752A (ko) * 2016-08-31 2018-03-08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26B1 (ko) * 2012-08-06 2013-09-04 기 연 김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장치를 위한 핸드폰 삼각대
KR20140043620A (ko) * 2012-10-02 2014-04-10 윤영휘 접이식 삼각대
KR20150000421U (ko) * 2014-12-04 2015-01-27 백동호 셀프카메라용 보조 기구봉
KR20160129507A (ko) *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KR20170002376U (ko) * 2015-12-23 2017-07-03 선전 쒜이션시우 패션 오리지낼러티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일체식 셀카봉
KR20180024752A (ko) * 2016-08-31 2018-03-08 (주)아이티버스 셀프 촬영용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565B1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4628A (en) Portable vertical support
US20150048233A1 (en) Portable electronic support devices
KR20160000408U (ko)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KR101909340B1 (ko)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696023B1 (ko)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KR20170110253A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KR102227565B1 (ko)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CN108307014B (zh) 一种手机夹持器
CN210372717U (zh) 一种直播摄影支架
CN209743953U (zh) 一种影视拍摄机架
KR101792412B1 (ko)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CN104728573A (zh) 多功能摄影架
CN206329885U (zh) 一种gopro运动相机支架
CN207999636U (zh) 一种自拍杆稳定器
CN212203826U (zh) 一种定格动画摄影支架
KR20220154983A (ko)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CN209164996U (zh) 一种全景相机用自拍杆
JPS6383496A (ja) カメラ用支持装置
CN205792827U (zh) 一种手机壳
CN214789992U (zh) 一种影视制作用立拍脚架
CN214306242U (zh) 一种增加稳定性和易用性的内藏一体式三脚以上多脚支架
KR200249343Y1 (ko) 낚시받침대
CN214306116U (zh) 一种云台枪机与固定枪机空间坐标转换结构
CN213367867U (zh) 一种人工智能手机摄像辅助装置
AU2021103615A4 (en) Convenient and Reliable High Shooting Bracket for Forest Canopy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