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620A - 접이식 삼각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620A
KR20140043620A KR1020120109671A KR20120109671A KR20140043620A KR 20140043620 A KR20140043620 A KR 20140043620A KR 1020120109671 A KR1020120109671 A KR 1020120109671A KR 20120109671 A KR20120109671 A KR 20120109671A KR 20140043620 A KR20140043620 A KR 20140043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ember
main
main body
hinge
tri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149B1 (ko
Inventor
윤영휘
Original Assignee
윤영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휘 filed Critical 윤영휘
Priority to KR102012010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14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3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각대뿐만 아니라 모노 포드로도 사용 가능한 접이식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한 하부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는 승강 부재;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수납 및 인출 가능한 기둥 부재;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힌지가 형성되며 상기 기둥 부재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메인 힌지 부재; 및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메인 힌지 부재의 힌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다리들;을 갖는다.

Description

접이식 삼각대{Foldable tripod}
본 발명은 접이식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삼각대뿐만 아니라 모노 포드로도 사용 가능한 접이식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측량 장비, 통신 단말기 등을 헤드부에 결합하여 지면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하여 삼각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 및 설치의 편의를 위하여 평소에는 접은 상태로 보관하고 설치를 위하여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삼각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445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를 참조하면, 이러한 접이식 삼각대가 도시되어 있으나, 설치를 위해서는 다리를 일일이 다 펴야 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다리를 일일 접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삼각대를 구성하고 있는 다리는 그 길이가 길고, 삼각대를 접더라도 접힌 삼각대 전체 길이가 여전히 길기 때문에 휴대에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접힌 삼각대의 전체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다리를 4단, 5단으로 설계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삼각대가 굵어지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4단 또는 5단으로 접힌 삼각대의 경우, 다리를 여러 번 넣고 빼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더욱 불편해 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설치하거나 접는 과정이 간소화된 접이식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짧고 가늘게 형성되어 보관 및 휴대가 매우 편리한 접이식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한 하부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는 승강 부재;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수납 및 인출 가능한 기둥 부재;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힌지가 형성되며 상기 기둥 부재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메인 힌지 부재; 및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메인 힌지 부재의 힌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다리들;을 갖고, 상기 메인 힌지 부재가 상기 메인 바디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 다리들은 상기 기둥 부재와 나란하게 접히고, 상기 메인 힌지 부재가 상기 메인 바디 외부로 노출된 경우에는 상기 지지 다리들을 상기 기둥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펴진 채로 지면에 놓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바디는,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힌지 부재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 부재에 고정되는 하부 힌지 부재; 상기 지지 다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한 제1 지점과 상기 하부 힌지 부재의 힌지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 링크; 및 상기 메인 힌지 부재가 상기 하부 힌지 부재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지지 다리들이 펴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힌지 부재를 상기 하부 힌지 부재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바디는,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힌지 부재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 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부 힌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다리의 일단과 상기 지지 다리의 제1 지점 사이에 위치한 제2 지점과 상기 상부 힌지 부재의 힌지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 링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메인 힌지 부재와 상기 상부 힌지 부재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힌지 부재와 상기 상부 힌지 부재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둥 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걸림홈들을 갖고, 상기 상부 힌지 부재 또는 상기 메인 힌지 부재는 상기 걸림홈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래치를 가지며, 상기 래치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상부 힌지 부재 또는 상기 메인 힌지 부재는 상기 걸림홈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상부 힌지 부재 또는 상기 메인 힌지 부재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지지 다리들 사이의 펴짐각이 조절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이식 삼각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한 상부 바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바디를 수납한 상태로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바디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홈을 갖고,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상부 바디의 인출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바디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1 고정핀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바디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바디홈을 갖고,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하부 바디의 인출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바디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2 고정핀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이식 삼각대는, 상기 승강 부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된 채로 상기 승강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바디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바디의 내측면에 접하여 마찰력을 인가하거나 상기 메인 바디의 내측면에 접하여 마찰력을 인가하는 피팅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다리들은, 상기 메인 힌지 부재의 힌지에 결합되는 회동 다리부와, 상기 회동 다리부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 다리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설치하거나 접는 과정이 간소화된 접이식 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짧고 가늘게 형성되어 보관 및 휴대가 매우 편리한 접이식 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에 구비된 하부 바디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부 바디가 메인 바디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를 도 3의 Ⅳ-Ⅳ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를 메인 바디에 고정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하부 바디의 고정을 위하여 피팅 부재가 메인 바디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상부 바디의 내부에 하부 바디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에 구비된 하부 바디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 바디(200)와, 상기 메인 바디(200)의 하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한 하부 바디(100)와, 상기 메인 바디(200)의 상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한 상부 바디(300)를 구비한다.
메인 바디(200)는, 접힌 상태의 접이식 삼각대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고 있으며, 휴대의 편의를 위하여 그 외측면에는 손잡이(210)가 형성된다. 또한, 어깨에 멜 수 있도록 멜끈(미도시)이 메인 바디(200)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 바디(100)는, 메인 바디(2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는 승강 부재(110)와, 승강 부재(1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메인 바디(200)로부터 수납 및 인출 가능한 기둥 부재(150)와, 기둥 부재(15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순서대로 기둥 부재(150)에 끼워지는 상부 힌지 부재(120), 메인 힌지 부재(130), 하부 힌지 부재(140)와, 기둥 부재(150)와 나란하게 기둥 부재(150)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강빔(104)을 구비한다. 또한, 하부 바디(100)는 지면에 접촉하여 접이식 삼각대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들(160)과, 지지 다리들(16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링크(172)와 하부 링크(174)를 구비한다.
기둥 부재(150)는 승강 부재(11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그 상단이 체결되고, 보강빔(104)은 승강 부재(110)의 하면에 형성된 보강빔 체결부(118)에 그 상단이 끼워지고 나사 체결된다. 그리고, 기둥 부재(150)의 하단과 보강빔(104)의 하단은 지지발 고정부(182)에 위치 고정된다. 상기 승강 부재(110)와, 기둥 부재(150)와, 보강빔(104)과, 지지발 고정부(182)는 하부 바디(100)의 기초 구조를 형성한다.
메인 힌지 부재(130)는 상기 기둥 부재(150)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힌지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 다리(160)의 일단은 상기 메인 힌지 부재(1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힌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힌지 부재(140)는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힌지 부재(130)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 부재(150)의 하단 근방에 형성된 고정홈(154)에 고정된다.
하부 링크(174)는, 메인 힌지 부재(130)에 연결된 지지 다리(16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위치한 제1 지점(164)과, 하부 힌지 부재(140)에 형성된 힌지 사이를 연결한다.
하부 힌지 부재(140)는 기둥 부재(150)에 상대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메인 힌지 부재(130)가 기둥 부재(15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 기둥 부재(150)와 나란하게 위치해 있던 하부 링크(174)가 하부 힌지 부재(140)의 힌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벌어지게 되고, 하부 링크(174)에 연결된 제1 지점(164)도 기둥 부재(1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지지 다리(160)의 일단은 메인 힌지 부재(130)의 힌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지점(164)이 기둥 부재(150)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지지 다리(160)의 타단은 기둥 부재(1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펴지게 된다. 한편, 지지 다리들(160)은 메인 부재의 힌지에 결합되는 회동 다리부(162)와, 상기 회동 다리부(162)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 다리부(166)를 갖는다. 그리고, 제1 지점(164), 제2 지점(165)은 회동 다리부(162)에 형성된다.
구조적으로, 지지 다리(160)를 접고 펴는 메카니즘은, 기둥 부재(150)에 고정된 하부 힌지 부재(140)와, 기둥 부재(150)를 따라 이동 가능한 메인 힌지 부재(130)와, 메인 힌지 부재(130)에 연결된 지지 다리(160)와, 제1 지점(164)과 하부 힌지 부재(140)를 연결하는 하부 링크(174)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메인 힌지 부재(130)를 하부 힌지 부재(140)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탄성 부재(102)가 하부 바디(10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메인 힌지 부재(130)를 하부 힌지 부재(140)를 향하여 강제로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탄성 부재(102)의 탄성력에 의하여 메인 힌지 부재(130)가 하부 힌지 부재(140)에 자동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 다리들(160)이 펴지게 된다.
상부 힌지 부재(120)는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힌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 힌지 부재(130)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기둥 부재(15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지지 다리(160)의 일단과 지지 다리(160)의 제1 지점(164) 사이에는 제2 지점(165)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부 링크(172)는 상기 제2 지점(165)과 상부 힌지 부재(120)의 힌지 사이를 연결한다.
탄성 부재(102)는 메인 힌지 부재(130)와 상부 힌지 부재(120)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탄성 부재(102)는 메인 힌지 부재(130)와 상부 힌지 부재(12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메인 힌지 부재(130)의 상면과 상부 힌지 부재(120)의 하면을 가압한다. 도 1에서보다 도 2에서 탄성 부재(102)는 상대적으로 더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힌지 부재(120)가 기둥 부재(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움직이는 것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는 경우라면, 하부 바디(100)를 메인 바디(200)로부터 인출하자마자 탄성 부재(102)가 신장되면서 상부 힌지 부재(120)와 메인 힌지 부재(130)는 서로 이격되고, 양자는 기둥 부재(150)를 따라 아래로 하강하며, 지지 다리(160)가 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지 다리(160)를 선택적으로 펴기 위해서는 상부 힌지 부재(120) 또는 메인 힌지 부재(130)를 기둥 부재(150)의 길이 방향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부재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하부 바디가 메인 바디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를 도 3의 Ⅳ-Ⅳ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둥 부재(15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걸림홈(151, 152, 153)을 가지고, 상부 힌지 부재(120)는 상기 걸림홈들(151, 152, 15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래치(155)를 가지며, 래치(155)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 스위치(156)를 누르면 래치(155)가 걸림홈(151)으로부터 빠지게 되어 상부 힌지 부재(120)가 기둥 부재(150)를 따라 하강한다. 래치(155)는 스프링(157)에 의하여 기둥 부재(150)쪽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제1 걸림홈(151)으로부터 빠져 나온 래치(155)는 제1 걸림홈(151)의 하방에 위치한 제2 걸림홈(152)에 걸리게 된다. 누름 스위치(156)를 다시 누르면 제2 걸림홈(152)으로부터 빠져 나온 래치(155)는 제2 걸림홈(152)의 하방에 위치한 제3 걸림홈(153)에 걸리게 된다. 래치(155) 및 누름 스위치(156)는 상부 힌지 부재(120)뿐만 아니라 메인 힌지 부재(1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래치(155)의 조작에 의하여 상부 힌지 부재(120) 또는 메인 힌지 부재(130)는 걸림홈들(151, 152, 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상부 힌지 부재(120) 또는 메인 힌지 부재(13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지지 다리들(160) 사이의 펴짐각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기둥 부재(150) 상에서 제1 걸림홈(151)은 지지 다리(160)를 완전히 접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제2 걸림홈(152)은 지지 다리(160) 사이의 펴짐각을 60°로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제3 걸림홈(153)은 지지 다리(160) 사이의 펴짐각을 90°로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다리들(160)을 접은 상태에서는 지지발 고정부(18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발(180)이 지지 다리(160)의 하단(타단)보다 더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 바디(100)를 메인 바디(200)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 지지 다리(160)를 펴지 않은 채로 지지발(180)을 지면에 닿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를 모노 포드로 사용할 수 있다.
하부 바디(100)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하부 바디(100)에 구비된 메인 힌지 부재(130)가 메인 바디(200) 내에 위치하면 지지 다리들(160)은 기둥 부재(150)와 나란하게 접히게 되고, 메인 힌지 부재(130)가 메인 바디(200) 외부로 노출된 경우에는 지지 다리들(160)을 기둥 부재(1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편 상태에서 지면에 놓아 삼각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지지 다리들(160)을 펴지 않고 모노 포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를 메인 바디에 고정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메인 바디(200)와, 상부 바디(300)와, 하부 바디(10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 바디(300)는 메인 바디(2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으며, 상부 바디(300)와 하부 바디(100)가 모두 메인 바디(200) 내부에 수납된 경우에는 상부 바디(300)가 하부 바디(100)를 수납한 상태로 메인 바디(200)의 내부에 수납된다. 또한, 상부 바디(300)의 상단에는 헤드부(10)가 형성되며, 카메라, 측량 장비, 통신 단말기를 상기 헤드부(10)에 설치할 수 있다.
상부 바디(3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홈(310)을 갖고, 메인 바디(200)는 상부 바디(300)의 인출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제1 바디홈(31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1 고정핀(220)을 갖는다. 제1 고정핀(220)은 스프링(225)에 의하여 제1 바디홈(310)에 끼워지도록 탄성 바이어스 되며, 제1 고정핀(220)에 연결된 레버(222)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제1 고정핀(220)이 제1 바디홈(310)에서 빠지게 되어 상부 바디(300)의 인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바디(300)를 상방으로 최대한 인출하더라도 상부 바디(300)의 하단에 형성된 제3 스토퍼(301)가 메인 바디(20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스토퍼(202)에 걸리게 되며,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면 상부 바디(300)가 메인 바디(2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바디(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바디홈(106)을 가지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바디홈(106)은 보강빔(104)에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바디(200)는 하부 바디(100)의 인출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제2 바디홈(106)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2 고정핀(230)을 갖는다. 제2 고정핀(230)은 스프링(235)에 의하여 제2 바디홈(106)에 끼워지도록 탄성 바이어스되며, 레버(232)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레버(232)에 연결된 당김줄(234)이 당겨져 올라가고 당김줄(234) 하단의 빗면이 제2 고정핀(230)을 제2 바디홈(106)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즉, 레버(232)을 조작하여 제2 고정핀(230)을 제2 바디홈(106)에서 빼고, 메인 바디(200)로부터 하부 바디(100)의 인출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바디(200)의 하단에 형성된 제1 스토퍼(201)는 하부 바디(100)가 메인 바디(200)로부터 완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서는 레버(232)가 손잡이(21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를 채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제2 고정핀(230)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버튼이 메인 바디(200)의 하단부 근방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하부 바디의 고정을 위하여 피팅 부재가 메인 바디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상부 바디의 내부에 하부 바디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하부 바디(100)를 메인 바디(200)에 항상 견고하게 고정시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피팅 부재(114)는 승강 부재(11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된 채로 승강 부재(110)에 설치되며, 하부 바디(10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바디(300)의 내측면에 접하여 마찰력을 인가하거나 상기 메인 바디(200)의 내측면에 접하여 마찰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피팅 부재(114)의 설치 및 작동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 부재(110)는 3개의 실린더형 공간부(111)를 가지며, 실린더형 공간부(111)는 측방 개구부(112)를 갖고, 상방 개구부(11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방 개구부(112)를 통과할 수 있는 피팅 돌기(116)를 가진 피팅 부재(114)는 상기 실린더형 공간부(111)에 끼워진다. 피팅 돌기(116)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되며, 피팅 돌기(116)는 벤딩부(115)를 중심으로 다소 회동 가능하게 설계된다.
도 6은 상부 바디(300)를 메인 바디(200) 내로 밀어 넣는 과정 중에, 상부 바디(300)의 하단부가 피팅 돌기(116)에 접촉한 순간을 도시한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피팅 돌기(116)가 상부 바디(300)의 하단과 접촉할 때까지는 피팅 돌기(116)가 메인 바디(200)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상부 바디(300)와 하부 바디(100)가 메인 바디(200)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도 하부 바디(100)는 메인 바디(200)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의 상태로부터 상부 바디(300)의 하단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하강하면 상부 바디(300)의 하단은 피팅 돌기(116)를 하방으로 밀게 되고, 피팅 돌기(116)는 상부턱(112B)으로부터 빠지며, 피팅 돌기(116)의 경사면(116A)이 하부턱(112A)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 바디(300)가 더욱 하강하면 비로소 경사면(116A)이 하부턱(112A)을 타고 슬라이딩 하면서 피팅 돌기(116)는 측방 개구부(112)의 내부를 향하여 밀려 들어가게 된다. 결국, 상부 바디(300)의 하단부가 피팅 돌기(116)를 완전히 통과하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팅 돌기(116)가 실린더형 공간부(111) 내로 완전히 밀려 들어가게 된다.
피팅 돌기(116)를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면, 피팅 돌기(116)가 메인 바디(200)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피팅 돌기(116)가 상부턱(112B)에 끼워지게 되어 외부로부터 접이식 삼각대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피팅 돌기(116)가 측방 개구부(112)를 통하여 실린더형 공간부(111)의 내부로 밀려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하부 바디(100)를 메인 바디(200)에 매우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피팅 돌기(116)는 하부 바디(100)에 의해서는 쉽게 실린더형 공간부(111)로 밀려들어가기 때문에 접이식 삼각대를 용이하게 설치 해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설치가 안정적이며 이와 동시에 튼튼한 고정력이 삼각대를 접는 것을 방해하지도 않는 효율적인 접이식 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는, 레버(222)를 눌러서 메인 바디(200)로부터 상부 바디(300)를 인출하고, 레버(232)를 눌러서 메인 바디(200)로부터 하부 바디(100)를 인출하며, 누름 스위치(156)를 눌러서 지지 다리들(160)을 펴는 것만으로 접이식 삼각대를 설치를 마칠 수 있다. 또한 레버(222)를 눌러서 메인 바디(200)에 상부 바디(300)를 수납하고, 누름 스위치(156)를 누르면서 상부 힌지 부재(120)를 당겨 올리는 것에 의하여 지지 다리들(160)을 접을 수 있고, 레버(232)를 눌러서 메인 바디(200)에 하부 바디(100)를 수납하는 것만으로 접이식 삼각대를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각대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설치 및 접는 과정을 매우 간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부 바디(300)와 하부 바디(100)가 메인 바디(200)로부터 인출되므로 설치 상태의 삼각대의 높이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지지 다리(160)를 3단 이상 구성하지 않더라도 삼각대의 높이가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지지 다리들(160)을 간소화 할 수 있다. 결국, 지지 다리들(16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삼각대를 가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바디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삼각대를 짧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헤드부 100 : 하부 바디
101 : 제1 스토퍼 102 : 탄성 부재
104 : 보강빔 106 : 제2 바디홈
110 : 승강 부재 111 : 실린더형 공간부
112 : 측방 개구부 113 : 상방 개구부
114 : 피팅 부재 115 : 벤딩부
116 : 피팅 돌기 118 : 보강빔 체결부
120 : 상부 힌지 부재 130 : 메인 힌지 부재
140 : 하부 힌지 부재 150 : 기둥 부재
151 : 제1 걸림홈 152 : 제2 걸림홈
153 : 제3 걸림홈 154 : 고정홈
155 : 래치 156 : 누름 스위치
160 : 지지 다리 162 : 회동 다리부
166 : 신축 다리부 164 : 제1 지점
165 : 제2 지점 172 : 상부 링크
174 : 하부 링크 180 : 지지발
182 : 지지발 고정부 200 : 메인 바디
201 : 제1 스토퍼 202 : 제2 스토퍼
210 : 손잡이 220 : 제1 고정핀
230 : 제2 고정핀 300 : 상부 바디
301 : 제3 스토퍼 310 : 제1 바디홈

Claims (9)

  1.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한 하부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는 승강 부재;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수납 및 인출 가능한 기둥 부재;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힌지가 형성되며 상기 기둥 부재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메인 힌지 부재; 및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메인 힌지 부재의 힌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다리들;을 갖고,
    상기 메인 힌지 부재가 상기 메인 바디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 다리들은 상기 기둥 부재와 나란하게 접히고, 상기 메인 힌지 부재가 상기 메인 바디 외부로 노출된 경우에는 상기 지지 다리들을 상기 기둥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펴진 채로 지면에 놓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각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는,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힌지 부재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 부재에 고정되는 하부 힌지 부재;
    상기 지지 다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한 제1 지점과 상기 하부 힌지 부재의 힌지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 링크; 및
    상기 메인 힌지 부재가 상기 하부 힌지 부재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지지 다리들이 펴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힌지 부재를 상기 하부 힌지 부재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각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는,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힌지 부재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 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부 힌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다리의 일단과 상기 지지 다리의 제1 지점 사이에 위치한 제2 지점과 상기 상부 힌지 부재의 힌지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 링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메인 힌지 부재와 상기 상부 힌지 부재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힌지 부재와 상기 상부 힌지 부재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각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걸림홈들을 갖고,
    상기 상부 힌지 부재 또는 상기 메인 힌지 부재는 상기 걸림홈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래치를 가지며,
    상기 래치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상부 힌지 부재 또는 상기 메인 힌지 부재는 상기 걸림홈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상부 힌지 부재 또는 상기 메인 힌지 부재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지지 다리들 사이의 펴짐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각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한 상부 바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하부 바디를 수납한 상태로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각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홈을 갖고,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상부 바디의 인출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바디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1 고정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각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바디홈을 갖고,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하부 바디의 인출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바디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2 고정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각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된 채로 상기 승강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바디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바디의 내측면에 접하여 마찰력을 인가하거나 상기 메인 바디의 내측면에 접하여 마찰력을 인가하는 피팅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각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들은, 상기 메인 힌지 부재의 힌지에 결합되는 회동 다리부와, 상기 회동 다리부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 다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각대.
KR1020120109671A 2012-10-02 2012-10-02 접이식 삼각대 KR10140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671A KR101403149B1 (ko) 2012-10-02 2012-10-02 접이식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671A KR101403149B1 (ko) 2012-10-02 2012-10-02 접이식 삼각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620A true KR20140043620A (ko) 2014-04-10
KR101403149B1 KR101403149B1 (ko) 2014-06-03

Family

ID=5065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671A KR101403149B1 (ko) 2012-10-02 2012-10-02 접이식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14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5555A (zh) * 2017-12-28 2018-06-01 徐州笙视源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倾倒功能的可拆卸式全息移动架
CN109296899A (zh) * 2018-10-11 2019-02-01 陕西理工大学 基于图像处理的支撑装置
KR20190090140A (ko) * 2018-01-24 2019-08-01 (주)대동계측 계측장비용 지지구조체
CN110566837A (zh) * 2019-08-27 2019-12-13 衢州学院 抗风照明设备及移动照明车
CN110657334A (zh) * 2019-09-25 2020-01-07 山东大学 一种全站仪三脚架稳固装置及系统及方法
KR20200124119A (ko) * 2019-04-23 2020-11-02 김제훈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CN113550213A (zh) * 2021-07-23 2021-10-26 中建市政工程有限公司 公路施工用的路面测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6148A (ja) * 1990-03-27 1991-12-06 Sony Corp ビデオカメラ用保持具
KR200200133Y1 (ko) 2000-02-17 2000-10-16 헝-밍 시 자동차용 경고 장치
NZ552870A (en) 2003-11-03 2007-08-31 Black & Decker Inc Tripod assembly with legs at least partially enclosing base and head in closed position
KR100893535B1 (ko) * 2007-08-06 2009-04-15 충무정밀 주식회사 삼각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5555A (zh) * 2017-12-28 2018-06-01 徐州笙视源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倾倒功能的可拆卸式全息移动架
KR20190090140A (ko) * 2018-01-24 2019-08-01 (주)대동계측 계측장비용 지지구조체
CN109296899A (zh) * 2018-10-11 2019-02-01 陕西理工大学 基于图像处理的支撑装置
KR20200124119A (ko) * 2019-04-23 2020-11-02 김제훈 지지부가 구비된 셀카봉용 케이스
CN110566837A (zh) * 2019-08-27 2019-12-13 衢州学院 抗风照明设备及移动照明车
CN110657334A (zh) * 2019-09-25 2020-01-07 山东大学 一种全站仪三脚架稳固装置及系统及方法
CN113550213A (zh) * 2021-07-23 2021-10-26 中建市政工程有限公司 公路施工用的路面测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149B1 (ko)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149B1 (ko) 접이식 삼각대
US6050531A (en) Internal telescopic tube locking device
KR200493457Y1 (ko) 거치대 및 거치대를 지닌 셀카봉
US9382723B2 (en) Mechanism for folding and unfolding a tent or awning
KR100787521B1 (ko)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JP3171708U (ja) 折りたたみ梯子
US6572060B2 (en) Automatically collapsible prop
US9961421B2 (en) Microphone stand adjusting structure
US7210491B2 (en) Umbrella structure
US11085201B2 (en) Button-type central locking device for folding tent
WO2009133808A1 (ja) 可搬式スクリーン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伸縮支柱並びに操作具
JP2017160784A (ja) センターロック及びテント
KR20030072543A (ko) 버튼식 높이조절 장치
JP4002583B2 (ja) 可搬式スクリーン装置
WO2013030997A1 (ja) 伸縮装置
KR20220058539A (ko)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
JP6142115B2 (ja) 三脚
KR101715473B1 (ko) 접이식 선반받침대
JP5484034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3133263U (ja) テントフレーム用ロック装置
KR101535672B1 (ko) 발판을 구비한 클램핑 장치
KR101321016B1 (ko)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CN105476268B (zh) 移动式桌子
KR20160125125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막대 기구
US20020153460A1 (en) Camera mounting trip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