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539A -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 - Google Patents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539A
KR20220058539A KR1020227006036A KR20227006036A KR20220058539A KR 20220058539 A KR20220058539 A KR 20220058539A KR 1020227006036 A KR1020227006036 A KR 1020227006036A KR 20227006036 A KR20227006036 A KR 20227006036A KR 20220058539 A KR20220058539 A KR 20220058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omponent
pivot
compartmentaliz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룬딘
에반 에인벤더 아모트
마이클 에이. 도트세이
노아 이. 딩글러
에린 에이치. 모리세이
조나단 엔. 타키
Original Assignee
에보 인벤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 인벤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에보 인벤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5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means for,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tabl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e.g. with adjustable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09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elastic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2Ironing boards  with collapsible under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cross legs
    • A47B2003/025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cross legs pivoting to a position underneath the table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컴팩트한 접힌 구성 및 선택된 테이블 높이를 고정하는 범위 제한기를 갖는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2월 21일 출원된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62/979,586 및 2019년 8월 19일 출원된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62/888,725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는 연장 가능한 다리를 갖는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접을 수 있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의 컴택트함은 종종 수직 편위(excursion)의 거리에 상응한다. 예를 들어, 다리미판의 다리는 접힌 장치의 최소 폭을 제한하는 요소일 수 있다. 다림질 표면의 크기가 줄어들면, 다리는 장치가 접힐 때 다림질 표면의 폭을 초과하여 연장되고, 따라서 접힌 장치의 전체 치수는 줄어들지 않는다. 다리 길이를 짧게 하면, 원하는 다리미판 높이가 달성될 수 없다. 따라서 다리미판 및 접이식 테이블, 책상 및 입식 테이블과 같은 기타 접이식 높이 조절 장치의 경우, 접힌 장치의 치수는 장치의 최대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종래의 접을 수 있고 조정 가능한 테이블 및 기타 장치에 비해 축소된 접힌 크기를 제공하는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이 개시된다. 이러한 다목적 장치는 원하는 높이로 테이블을 펼칠 수 있도록 가스 압축 스프링 또는 유사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신축식 다리(telescoping leg)는 중앙 피벗의 사용이 가능하여 이를 중심으로 다리가 회전하여 테이블을 접고 펼 수 있고, 피벗 장치는 다리의 길이를 제한하지 않고, 따라서 테이블의 높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테이블"이라는 용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단순화를 위해 본원에서 사용되지만, 다리 조립체, 잠금 메커니즘, 피벗 장치 및 해제 메커니즘과 같은 메커니즘이, 개시된 장치의 범위에 포함되는 다른 접이식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갖는 테이블 상판과; 상단부와 하단부, 및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한 피벗을 갖는 제 1 다리와; 제 1 다리는 구획화 슬리브부와 연장부를 갖고; 상단부와 하단부, 및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한 피벗을 갖는 제 2 다리와; 제 2 다리는 구획화 슬리브부와 연장부를 갖고; 제 1 다리의 상단부는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제 2 다리의 상단부는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 1 다리의 피벗과 제 2 다리의 피벗에서 제 1 다리를 제 2 다리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피벗 장치를 포함하는 테이블로서, 제 1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공간 및 인접한 제 2 공간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고; 제 2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공간 및 인접한 제 2 공간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고; 제 1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다리의 하단부에서 시작하고, 제 1 다리의 제 1 공간으로 신축하는 치수를 갖고; 제 2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2 다리의 하단부에서 시작하고, 제 2 다리의 제 1 공간으로 신축하는 치수를 갖고; 및 피벗 장치는 제 1 다리의 제 2 공간 및 제 2 다리의 제 2 공간으로 연장되는, 테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은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는 트랙과; 제 2 다리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제 2 다리가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제 1 휠과; 제 2 다리의 상단부에 부착된 제 1 휠 맞은편에 측면으로 배치되고, 트랙 내에 배치되어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제 2 휠과; 제 2 휠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풀 바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스프링의 제 1 단부는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 또는 이로부터의 연장부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및 스프링의 제 2 단부는 풀 바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따라서 테이블이 접힐 때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테이블이 올려질 때 스프링을 인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힌 위치에 테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은: 테이블 상판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후크를 갖는 보관 캐치와; 보관 캐치의 후크에 상호 보완적인 제 1 다리의 하단부 내의 만입부와; 보관 캐치는 제 1 다리의 하단부의 만입부와 결합하도록 편향되고; 보관 캐치와 결합하고, 제 1 다리의 하단부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 1 다리의 하단부의 만입부를 향하는 보관 캐치의 편향에 대항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1 다리의 하단부의 만입부를 향하는 보관 캐치의 편향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보관 캐치로부터 떨어진 제 2 위치로,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셔틀과; 셔틀은 경사면을 갖고; 테이블 상판을 향해 그리고 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고 셔틀 경사면과 결합되어, 셔틀에 대한 해제 레벨의 결합 위치에 따라 셔틀을 보관 캐치를 향해 또는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막대를 더 포함하고; 해제 막대는 가스 스프링을 인장시켜 테이블을 상승시키기 위해 가스 스프링 해제 구성요소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다리와 제 2 다리 각각에 신축식 다리 잠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신축식 다리 잠금 메커니즘은: 각각의 다리 연장부 내에 배치된 잠금 하우징과; 제 1 단부에서 다리 연장부 해제 레버와 결합되고, 제 2 단부에서 잠금 하우징 또는 내부의 구성요소와 결합되는 연결 막대; 및 하우징을 통해 측면으로 연장되고, 고정된 높이에서 다리 연장부를 잠그기 위해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의 개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대향하는 핀을 포함하고, 눌려질 때, 다리 연장부 해제 레버는 개구로부터 핀을 후퇴시키고, 따라서 다리 연장부가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 막대로부터 연장되는 핀 가이드와; 핀 가이드는 다리 연장부의 길이방향 측면에 대해 각을 이루는 대향하는 슬롯을 갖고; 및 하우징 내의 연결 막대 주위에 배치되고, 하우징 벽에 의해 하우징 내에 포함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스프링은 핀을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의 개구 내로 강제하도록 핀 가이드를 편향시키고, 해제 레버는 스프링을 압축하여, 개구로부터 핀을 후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벗 장치는: 각각의 다리의 제 2 밀폐 공간 내에 배치되는 너트와; 수형 및 암형 피벗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수형 및 암형 피벗 구성요소 중 하나는 제 1 다리와 제 2 다리 중 하나의 제 2 밀폐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고, 수형 및 암형 피벗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제 1 다리와 제 2 다리 중 다른 하나의 외부에 배치되고; 수형 및 암형 피벗 구성요소는 너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벗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피벗 하우징은: 제 1 다리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가 내부에 배치되는 개구를 갖는 제 1 다리 피벗 구성요소; 및 제 2 다리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가 내부에 배치되는 개구를 갖는 제 2 다리 피벗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다리 피벗 구성요소는 제 2 다리 피벗 구성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다리 연장부는 피벗 장치를 지나 이와 관련된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 내에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범위 제한기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범위 제한기 조립체는: 테이블 상판의 밑면에 부착된 정지부와; 회전 가능한 래치를 포함하고: 회전 가능한 래치는 제 2 다리의 연장부에 연결되고, 연장부가 슬리브부로부터 연장될 때 정지부와 결합하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신축식 테이블 다리의 슬리브의 상단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양방향 스프링 장착 플런저와; 플런저는 테이블 상판의 바닥면에서 정지 구성요소와 결합하도록 더 구성되고, 테이블 다리는 테이블 상판의 바닥면을 띠라 슬라이딩할 수 있고; 플런저와 일직선으로 그리고 슬리브 내에 배치된 서로 다른 힘의 헤비 스프링과 라이트 스프링을 포함하는 범위 제한기 조립체로서; 헤비 스프링은, 신축식 테이블 다리가 후퇴할 때 신축식 테이블 다리의 연장부가 헤비 스프링을 밀고, 따라서 플런저를 슬리브로부터 바깥쪽으로 밀도록 배치되고; 및 라이트 스프링은 테이블 다리가 연장될 때 플런저를 후퇴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범위 제한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경사 단부가 있는 포크형 구성요소를 갖는 잠금 하우징과; 포크형 구성요소의 경사 단부 내에 배치되고 이와 결합할 수 있는 핀을 갖는 래치와; 핀에 대해 래치를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범위 제한기 조립체로서; 포크형 구성요소의 경사 단부가 핀과 결합될 때, 래치는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범위 제한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한편, 피벗 장치를 갖는 신축식 다리 조립체로서, 신축식 다리 조립체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는 제 1 신축식 다리와; 제 1 신축식 다리는 구획화 슬리브부와 연장부를 갖고;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는 제 2 신축식 다리와; 제 2 신축식 다리는 구획화 슬리브부와 연장부를 갖고; 신축식 다리의 슬리브부 상에서 제 1 신축식 다리를 제 2 신축식 다리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피벗 장치를 포함하고; 제 1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공간 및 인접한 제 2 공간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고; 제 2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공간 및 인접한 제 2 공간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고; 제 1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다리의 하단부에서 시작하고, 제 1 다리의 제 1 공간으로 신축하는 치수를 갖고; 제 2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2 다리의 하단부에서 시작하고, 제 2 다리의 제 1 공간으로 신축하는 치수를 갖고; 및 피벗 장치는: 제 1 다리 정합 구성요소와 제 2 다리 정합 구성요소로서, 제 1 다리 정합 구성요소는 제 2 다리 정합 구성요소와 결합할 수 있고, 제 1 다리 및 제 2 정합 구성요소는 결합될 때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제 1 다리 정합 구성요소와 제 2 다리 정합 구성요소와; 각각의 제 2 공간 내에 배치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제 1 다리 및 제 2 다리 정합 구성요소는 제 2 공간의 외벽을 통해 각각의 너트와 결합할 수 있는 신축식 다리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접힌 위치에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의 사시도, 저면도, 측면도 및 저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최대 높이로 또는 이를 향해 상승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의 측면도, 저면 사시도 및 수직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최대 높이로 또는 이를 향해 상승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의 측면도 및 저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이전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낮은 높이로 상승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의 측면도 및 저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을 위한 예시적인 다리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테이블 다리를 서로 연결하는 예시적인 피벗 장치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의 등각 저면도 및 정합 피벗 조립체(mating pivot assembly)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피벗 조립체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9는 리프팅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의 저면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접힌 위치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테이블이 접힐 때 접힌 위치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의 다리를 고정하고, 다리를 해제하여 테이블을 펴는 해제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성의 신축식 다리 잠금 메커니즘의 상부 부분을 각각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성의 신축식 다리 잠금 메커니즘의 하부 부분을 각각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c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의 신축식 다리를 위한 예시적인 해제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을 특정 높이로 고정하거나 배치하기 위한 범위 제한기(range limiter)를 도시한다.
도 16은 범위 제한기의 추가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범위 제한기의 작동 및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범위 제한기의 작동 및 구성요소를 더 도시한다.
도 19는 범위 제한기 조립체의 각각의 부품을 도시한다.
도 20은 범위 제한기 조립체를 단순화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21a 내지 도 21g는 범위 제한기 조립체의 작동을 더 도시한다.
본원에 제공된 도면과 설명은 개시된 장치의 이해와 관련된 양태를 예시하기 위해 단순화되었을 수 있으며, 명료함을 위해 통상적인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서 찾을 수 있는 다른 양태는 생략한다. 숙련자는 본원에 개시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다른 요소 또는 동작이 바람직하거나 필요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 및 동작은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개시의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 및 동작에 대한 논의는 본원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본질적으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개시된 양태에 대한 모든 이러한 요소, 변형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1a 내지 도 1d,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및 도 3b, 4A 및 도 4b는 다양한 구성의 예시적인 접이식 테이블(100)을 도시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 도 2a 및 도 2b, 도 3a 및 도 3b, 4A 및 도 4b는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의 간략한 도시를 보여준다. 선택적으로, 테이블이 특정 높이에 있을 때 신호를 보내고 및/또는 이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정지부(stop), 멈춤쇠(detent) 또는 기타 메커니즘이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는 커피 테이블, 좌식 테이블(sitting table) 및 입식 테이블(standing table) 구성에 해당할 수 있거나, 추가 높이 옵션 또는 더 적은 높이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접힌 위치에 있는 테이블(100)의 사시도, 저면도, 측면도 및 저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최대 높이로 또는 이를 향해 상승한 테이블(100)의 측면도, 저면 사시도 및 수직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 높이는 예를 들어 입식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최대 높이로 또는 이를 향해 상승한 테이블(100)의 측면도 및 저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 높이는 예를 들어 좌식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이전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낮은 높이로 상승한 테이블(100)의 측면도 및 저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 높이는 예를 들어 커피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테이블(100)의 높이는 일시적으로 잠기거나 제자리에 고정된다. 본원에서 특정 높이 또는 테이블 용도에 대한 언급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테이블(100)의 높이는 다리를 절단 및/또는 연장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테이블(100)의 높이는 다수의 특정 높이로 제한될 수 있거나, 최소 및 최대 높이 사이에서 계속해서 조정될 수 있다.
테이블(100)은 상부 표면(104)과 하부 표면(106)을 갖는 테이블 상판(102)을 갖는다. 에이프런(apron, 105)은 하부 표면(106)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제 1 다리(108)와 제 2 다리(110)는 테이블 상판(102)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1 다리(108)와 제 2 다리(110)는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106)으로부터 직접 연장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고정되게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이들 사이에 배치된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제 1 다리(108)는 상단부(112)와 하단부(114), 및 상단부(112)와 하단부(114) 사이에 위치한 피벗(116)을 갖는다. 유사하게, 제 2 다리(110)는 상단부(118)와 하단부(120), 및 상단부(118)와 하단부(120) 사이에 위치한 피벗(122)을 갖는다. 제 1 다리(108)와 제 2 다리(110)는 피벗(116, 122)에 부착된다. 피벗(116 및 122)(일반적으로 도 6a 및 도 6b에서 확인됨)은,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피벗 조립체(212A, 212B), 또는 제 1 다리(108)와 제 2 다리(110)가 서로에 대해 절단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된 접는 메커니즘과 호환되는 다른 피벗 연결부일 수 있다.
테이블(100)이 최대 높이 또는 그 근처에 있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다리(108) 및 제 2 다리(110)는 신축식이다. 제 1 다리(108)와 제 2 다리(110) 각각은 슬리브부(sleeve section, 124, 126)와 연장부(extension section, 128, 130)의 두 개의 부분을 포함하며, 연장부(128, 130)는 슬리브부(124, 126)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슬리브부(124)는 테이블 상판(102)에 힌지 연결된 다리인 제 1 다리(108)의 일부이다. 슬리브부(126)는 테이블 상판(102)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다리인 제 2 다리(110)의 일부이다. 제 2 다리(110)는 예를 들어 접고 펴는 것의 안전함이나 용이함을 위해 필요한 정도로 테이블 상판(102)에 대해 저항력 있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 2 다리(110)는 또한 점진적으로 저항력 있게 슬라이딩하도록 편향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제 1 다리(108) 또는 제 2 다리(110)에 통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다리 조립체(200)를 도시하고 있다. 다리 조립체(200)는 슬리브부(124, 126)와 같은 구획화 슬리브부(202)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구획화 슬리브부(202)는 제 1의 더 큰 밀폐 공간(204) 및 인접한 제 2의 더 작은 밀폐 공간(206)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된다. 다리 연장부(128, 130)는 각각의 슬리브부(124, 126)에 포함된 큰 밀폐 공간(204)으로 신축하는 치수를 갖는 반면, 작은 밀폐 공간(206)은 다리 피벗용 패스너(fastener)를 수용한다. 유리하게, 슬리브부(202)의 이러한 구획화된 구성은 신축식 다리가 피벗축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두 개의 밀폐 공간이 "작은" 및 "큰" 또는 "더 작은" 및 "더 큰"으로 언급되지만, 이들 밀폐 공간은 상대적인 차원 관계를 가질 필요는 없다. 더 광범위하게, 하나의 구획은 다리 연장부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 하고, 다른 구획은 다리 연장부가 피벗을 지나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다리에 피벗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이어야 한다. 이는 접힌 구성 치수의 더 큰 정도의 컴택트함을 제공할 수 있다. 구획이 완전히 밀폐될 필요는 없음에 더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더 작은 또는 제 2 밀폐 공간은 피벗 조립체의 고정만 허용하면 되고, 따라서 슬리브를 따라 작은 거리만 차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제 1 다리 슬리브부(124)와 제 2 다리 슬리브부(126) 각각의 더 작은 밀폐 공간(206)으로 연장되는 예시적인 피벗 장치(208)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구획화 슬리브(202) 상에 배치된 피벗 장치(208)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피벗 장치(208)의 확대도이다. 피벗 장치(208)의 구성요소의 확대도가 도 5a에도 도시되어 있다. 피벗 장치(208)는 작은 밀폐 공간(206) 내에 삽입되는 너트(210)를 포함한다. 피벗 조립체(212)는 구획화 슬리브(202)의 외부에 배치된다. 너트(210)와 피벗 조립체(212)는 예를 들어 스크류(214)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너트(210)는 플레이트, 디스크 또는 기타 구성과 같이 정합 피벗 조립체(212A, 212B)를 적절하게 고정하는 임의의 형상 또는 재료일 수 있다. "너트"라는 용어는 이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피벗 장치(208)는 슬리브부(124)의 제 1 단부(132)와 슬리브부(124)의 제 2 단부(134) 사이에 부착되고, 슬리브부(126)의 제 1 단부(136)와 슬리브부(126)의 제 2 단부(138) 사이에 추가로 부착된다. 정합 피벗 조립체(212A, 212B)는 예를 들어 수형 또는 암형 피벗 조립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정합 피벗 조립체(212A)는 제 1 다리(108) 또는 제 2 다리(110)에 위치하고, 상호 보완적인 정합 피벗 조립체는 제 1 다리(108) 또는 제 2 다리(110)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한다. 결합될 때 정합 피벗 조립체(212A, 212B)는 서로에 대해 회전한다.
도 7a는 피벗 장치(208)의 일부를 도시하는, 하부로부터의 테이블(100)의 등각도를 도시하고 있다. 확대도가 도 7b에 도시되어 있으며 정합 피벗 조립체(212)의 도면을 포함한다. 탭(tab, 216)은 정합 피벗 조립체(212B)의 암형 구성요소와 결합하는 정합 피벗 조립체(212A) 수형 구성요소 내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선택적인 피벗 하우징(140)을 도시하고 있다. 피벗 하우징(140)은 제 1 다리 슬리브 구성요소(124)가 내부에 배치되는 개구를 갖는 제 1 다리 피벗 하우징 구성요소(142) 및 제 2 다리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126)가 내부에 배치되는 개구를 갖는 제 2 다리 피벗 하우징 구성요소(144)를 포함한다. 제 1 다리 피벗 구성요소는 제 2 다리 피벗 구성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다리와 일체화된 하우징 부분을 갖는 것을 포함하여, 서로에 대한 제 1 다리(108)와 제 2 다리(110)의 회전을 허용하는 피벗 하우징의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다리 연장부(128, 130)는 피벗 장치(208)를 지나 이와 관련된 슬리브 구성요소(124, 126) 내에서 연장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는 슬리브 구성요소(124, 126)의 구획화 구조에 의해 가능해지는데, 이는 신축식 부품이 제 1 밀폐 공간(204)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제 2 밀폐 공간(206)은 피벗 장치(208)를 수용하여 부품을 분리된 상태로 유지한다.
도 9는 스프링 장치와 같은 리프트 보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원하는 높이를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단지 가벼운 힘을 가하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리프팅 메커니즘(101)을 갖는 테이블(100)의 저면 등각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다리 상단부(112)는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106)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제 2 다리 상단부(118)는 제 1 다리 피벗(116)과 제 2 다리 피벗(122)에서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10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된다.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106)에 트랙(146)이 부착된다. 제 2 다리 상단부(118)에 제 1 휠(148)이 부착되어, 제 2 다리(110)가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106)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제 1 휠(148) 맞은편에 측면으로 제 2 휠(150)이 배치되고 제 2 다리 상단부(118)에 부착된다. 제 2 휠(150)은 트랙(146) 내에 배치되고 트랙(146)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 2 휠(150)은 풀 바(pull bar, 15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 1 단부(156)와 제 2 단부(158)를 갖는 가스 압축 스프링(154)은 제 1 단부(156)에서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106) 또는 이로부터의 연장부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가스 압축 스프링의 제 2 단부(158)는 풀 바(152)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따라서 테이블(100)이 접힐 때 스프링(154)을 압축시키고 테이블(100)이 올려질 때 인장시킨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가스 압축 스프링(154)은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106)의 반대편 사이에서 중심에서 벗어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테이블(100)이 평평하게 접히거나 적어도 테이블 상판의 표면(104)으로부터 측정할 때 최소 깊이로 접힐 수 있도록 한다. 테이블(100)은 접힌 구성요소들이 에이프런(105)의 깊이 내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침대나 소파 아래에 테이블(100)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테이블이 더 쉽게 슬라이딩할 수 있고 테이블 구성요소가 물체에 걸리지 않도록 보호되기 때문이다. 테이블은 제 1 다리(108)와 제 2 다리(110)와 같은 다양한 테이블 구성요소들의 아래가 아니라 이들에 인접하게 유지된다. 압축 스프링(154)에 대해 언급하였지만, 인장 스프링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 바(152)와 압축 스프링(154)을 포함하는 메커니즘은 인장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
테이블을 증가하는 높이로 펼치기 위해 대안적인 장치 및 구성요소, 예를 들어 다른 유형의 스프링, 밴드, 유압 장치 또는 공압 장치 및 관련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한 리프트 보조 메커니즘을 갖지 않는 테이블 및 기타 접이식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접힌 위치에 테이블(100)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예시적인 하우징 구성요소를 갖는 잠금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은 테이블 상판(102)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보관 캐치(storage catch, 160)를 포함한다. 보관 캐치(160)는 후크(hook, 162)를 갖는다. 제 1 다리 하단부(114)에 있는 제 1 다리(108) 내의 만입부(indent, 164)는 후크(162)가 만입부(164)와 결합하는 데 필요한 정도로 보관 캐치 후크(162)에 상호 보완적이다. 보관 캐치(160)는 제 1 다리 바닥 만입부(164)와 결합하도록 편향된다. 셔틀(shuttle¸166)은, 보관 캐치(160)와 결합하고, 제 1 다리 하단부(114)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 1 다리 하단부의 만입부(164)를 향하는 보관 캐치(160)의 편향에 대항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1 다리 하단부의 만입부(164)를 향하는 보관 캐치(160)의 편향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보관 캐치(160)로부터 떨어진 제 2 위치로,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11은 테이블(100)이 접힌 위치에 있을 때 다리(108)와 결합되는 잠금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셔틀(166)은 경사면(168)을 갖는다. 테이블 해제 레버(170)는 테이블 상판(102)을 향해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고 셔틀 경사면(168)과 결합되어, 셔틀 경사면(168)에 대한 테이블 해제 레버(170)의 결합 위치에 따라 셔틀(166)을 보관 캐치(160)를 향해 또는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은 가스 스프링(154)을 인장시켜 테이블(100)을 상승시키기 위해 가스 스프링 해제 구성요소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해제 막대(172)를 더 포함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테이블이 접힐 때 접힌 위치에 다리(108, 110)를 고정하고, 다리(108, 110)를 해제하여 테이블을 펴는 예시적인 테이블 해제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a는 테이블 해제 레버(170)가 눌려지기 전으로 도시된, 펼쳐진 위치에 있는 테이블(100)을 도시하고 있다. 테이블 해제 레버(170)는, 테이블 다리에 걸리도록 설계된 후크(162)를 작동시킨다. 해제 막대(172)도 해제 레버(170)에 의해 작동된다. 슬롯(196) 내의 해제 막대(172)의 위치를 주목하라.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해제 레버(170)가 눌려질 때, 후크(162)는 테이블 해제 레버(170)를 둘러싸는 하우징으로 당겨진다. 해제 막대(172)는 슬롯(196)의 대향 단부로 강제된다. 해제 막대(172)의 작동에 관한 추가 정보는 도 10a 내지 도 10d의 상기한 설명을 참조하라. 도 11b 및 도 11d는 접힌 위치로부터 다리를 해제하기 전의 테이블(100)의 도면이다.
도 11d는 접힌 위치에 있는 테이블(100)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다리(108, 110)는 테이블 상판(102)에 대해 접혀 있다. 다리(108)는 후크(162)(보이지 않음)와 결합되어 있다. 다리 해제 버튼(194)은 테이블 해제 레버(170)와 구별된다. 도 11b는 눌려지기 전의 테이블 해제 레버(17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c는 테이블 해제 레버(170)가 눌려지고 다리(108)가 메커니즘으로부터 분리되어 연장된 구성을 취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테이블(100)은 제 1 다리(108)와 제 2 다리(110) 각각에 신축식 다리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성의 신축식 다리 잠금 메커니즘의 상부 부분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성의 신축식 다리 잠금 메커니즘의 하부 부분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부 및 하부 부분은 연결 막대(176)에 의해 연결된다. 신축식 다리 잠금 메커니즘은 각각의 다리 연장부(128, 130) 내에 배치된 잠금 하우징(174)을 포함한다. 잠금 하우징(174)은 연장부(128, 130)에 스냅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막대(176)는 제 1 단부(178)에서 다리 연장부 해제 레버(180)와 결합되고, 제 2 단부(182)에서 잠금 하우징(174) 또는 내부의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한 쌍의 대향하는 핀(184A, 184B)이 잠금 하우징(174)을 통해 측면으로 연장되고, 고정된 높이에서 다리 연장부(128, 130)를 각각 잠그기 위해 다리 슬리브 구성요소(124, 126)의 개구(186)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눌려질 때, 다리 연장부 해제 레버(180)는 개구(186)로부터 핀(184A, 184B)을 후퇴시키고, 따라서 다리 연장부(128, 130)가 다리 슬리브 구성요소(124, 126)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핀 가이드(pin guide, 188)는 연결 막대(176)로부터 연장된다. 핀 가이드(188)는 다리 연장부(128, 130)의 길이방향 측면에 대해 각을 이루는 대향하는 슬롯(190A, 190B)을 갖는다. 스프링(192)은 잠금 하우징(174) 내의 연결 막대(176) 주위에 배치되고, 하우징 벽에 의해 잠금 하우징(174) 내에 포함된다. 스프링(192)은 핀(184A, 184B)을 슬리브 구성요소(124, 126)의 개구(186) 내로 강제하도록 핀 가이드(188)를 편향시킨다. 해제 레버(180)는 연결 막대(176)를 이동시켜 잠금 하우징(174)에 대해 스프링(192)을 압축하고, 따라서 개구(186)로부터 핀(184A, 184B)을 후퇴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리의 점진적인 연장 및 단축 외에도, 최소 및 최대 길이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조정이 포함될 수 있다. 다리가 피벗 장치를 방해하지 않는 한, 다리에 대해 다양한 신축식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신축식 다리(108, 110)는, 피벗 장치(208)와 함께, 다리(108, 110)가 테이블 상판(102)의 폭을 초과하여 연장되지 않고, 테이블(100)이 상당한 높이로 상승되고 컴택트하게 접히도록 한다(여기서 "폭"은 테이블 상판의 치수 중 큰 것임). 따라서, 사용자는 컴택트함을 위해 높이를 포기할 필요가 없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테이블(100)은 750 mm 내지 1025 mm 범위의 폭을 갖고, 테이블 높이는 약 1000 mm 내지 약 1250 mm 범위에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테이블 폭은 약 1000 mm이고 약 1124 mm의 높이에 도달할 수 있지만, 테이블이 접힐 때 다리(108, 110)는 테이블 상판(102)의 폭을 초과하여 연장되지 않는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테이블의 폭보다 더 큰 최대 높이 및 최대 다리 길이를 갖지만, 접힌 구성에 있을 때, 다리는 길이를 따라 접히지 않으면서 테이블의 폭을 초과하여 연장되지 않는다. 개시된 실시형태는 또한 사무실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입식 테이블의 경우에도 가볍고 저렴한 구성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00)은, 테이블이 상승하고 제 2 다리 상단부(118)가 테이블 상판(102)의 폭을 가로질러 제 1 다리 상단부(112)를 향해 슬라이딩하고, 따라서 테이블 상판(102)의 대향 에지로부터 멀어질 때, 테이블(100)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제 2 다리 상단부(118)가 제 1 다리 상단부(112)를 향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정도는, 테이블(100)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테이블 상판(102)의 폭과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다리 상단부(112, 118)와 다리 하단부(114, 102)에 대한 무게 중심과 테이블 상판(102)의 무게는 최적의 안정성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c는 신축식 다리에 대한 예시적인 해제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a는 다리 연장부(128)에 부착된 발(198)에 배치된 다리 해제 버튼(194)을 도시하고 있다. 발(198)은 다리 연장부(128)에 수직일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쉽게 누를 수 있고 다리 부분을 결합/분리할 수 있다면, 다리 해제 버튼(194)의 다른 위치가 가능하다. 도 14a는 슬리브(124) 내에 완전히 수용된 다리 연장부(128)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c는 다리 해제 버튼(194)이 눌려질 때 슬리브(124)로부터 부분적으로 후퇴된 연장부(128)를 도시하고 있다. 연장부(128)는 원하는 테이블 높이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길이까지 슬리브(124)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다리(108, 110)(예를 들어, 도 1 참조) 각각은 슬리브로부터 다리 연장부를 후퇴시키기 위한 해제 버튼을 가질 수 있다. 해제 버튼(194)을 다리 발에 통합하여 도 14a 및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 신축식 다리 잠금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면 인체 공학적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예를 들어 커피 테이블 높이의 경우, 슬리브(126)의 다리 상단부(118)에 부착된, 범위 제한기라고도 하는 예시적인 정지부(402)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b는 정지 구성요소(416)와의 결합을 위해 다리(408)의 단부에 배치된 양방향 스프링 장착 플런저(406)를 도시하고 있다. 정지 구성요소(416)는 테이블 상판(414)의 바닥에 부착된다. 다리(408)가 보관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406)는 테이블 다리(408)가 너무 멀리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즉 커피 테이블 높이와 같은 특정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밀려난다. 도 15b는 플런저 메커니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서로 관련된 다른 힘이나 강도를 갖는 두 개의 스프링이 메커니즘 내에 배치되어 있다. 편의상, 헤비 스프링(heavy spring, 410)과 라이트 스프링(light spring, 412)이라고 부르지만 상대적인 용어로만 사용된다. 헤비 스프링(410)은 시스템에 순응성을 추가하기 위해 구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408)의 연장부는 테이블이 접힐 때 헤비 스프링(410)을 밀고, 따라서 플런저(406)를 바깥쪽으로 밀게 된다. 라이트 스프링(412)은 다리(408)가 연장될 때 플런저(406)를 후퇴된 상태로 유지한다. 테이블 상판(414)에 대한 다리(408)의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다리가 연장될 때 테이블이 기울어지는 경향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도 16은 범위 제한기(300)의 추가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범위 제한기(300)는 예를 들어 슬리브(126)의 다리 상단부(118)를 향해 또는 이에 배치될 수 있는 잠금 하우징(302)을 포함한다. 잠금 하우징(302)은 경사 단부(306)가 있는 포크형(forked) 구성요소를 갖는다. 경사 단부(306)는 핀(308)과 결합한다. 핀(308)은 래치(latch, 310)를 통해 배치된다. 핀(308)은 래치(310)와 통합되거나 래치(310)를 통해 배치되는 것과 다른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핀(308)은 또한 두 개의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핀(308)과 래치(310)는 또한 단일 결합 부품일 수 있다. 래치(310)는 토션 스프링(314)에 의해 피벗(31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편향된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다리가 접힐 때, 경사 단부(306)는 핀(308)과 결합하여, 래치(310)가 피벗(312)을 중심으로 잠금 위치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한다. 테이블 다리가 완전히 접힐 때, 핀(308)은 포크형 구성요소(304)의 평평한 부분(316)에 놓이고, 따라서 래치(310)에 가해진 힘이 내부 다리의 이동 방향으로 내부 다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7a는 시계 방향으로 토션 스프링(314)에 의해 편향된 래치(310)를 도시하고 있다. 래치의 토션 스프링(314)은 다리 단부 캡(318)("제한기 하우징")의 내벽에 기대어 있다. 포크형 구성요소(304)는 다리 단부 캡(318)으로부터 변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포크형 구성요소(304)의 경사 단부(306)는 핀(308)과 아직 결합하지 않았다.
도 17b는 포크형 구성요소(304)의 경사 단부(306)와 결합되는 포크형 구성요소(304)의 경사 단부(306)를 도시하고 있다. 경사 단부(306)는 다리 단부 캡(318)의 바닥에서 편위 한계에 도달하였다. 다리가 완전히 접히고 나면, 래치(310)는 내부 다리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내부 다리에만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는 래치(310)가 테이블 상판의 밑면에 있는 정지 구성요소에 부딪힐 때만 관련될 수 있는데, 그 순간 (테이블을 올리려고 하는) 가스 스프링의 힘이 래치를 통해 전달되기 때문이다. 래치(310)에 의해 잠금 하우징(302)에 가해지는 결과적인 하중은 신축 방향에 수직이기 때문에, 래치(310)는 신축식 잠금 메커니즘이 결속되게 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서, 래치(310)가 잠금 메커니즘이 결속되게 할 수 있는 방식으로 단부 캡(318)에 하중을 가할 수 없기 때문에, 신축식 잠금 메커니즘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래치(310)의 두 가지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단부(306)는 핀(308)과 결합하지 않고, 따라서 래치(310)는 다리로부터 최대량으로 연장된다.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단부(306)는 핀(308)과 완전히 결합되고, 따라서 다리가 제한기 정지 구성요소 위에서 뒤쪽으로 이동할 때 래치(310)는 이를 벗어나 회전한다.
도 19는 범위 제한기 조립체의 예시적인 부품을 도시하고 있다. 부품은 테이블 상판의 밑면에 부착된 정지부(320), 래치(310)를 편향시키기 위한 토션 스프링(314), 래치(310), 래치(310)와 토션 스프링(314)을 통해 배치되는 핀(308), 잠금 하우징(302) 및 다리 단부 캡(318)을 포함한다.
도 20은 범위 제한기 조립체를 단순화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푸시 아웃 맨드릴(push out mandrel, 350)과 조립체 핀(352)은 래치(310)와 토션 스프링(314)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고정구인 반면, 하위 조립체는 슬리브(126)의 다리 상단부(118)에 끼워지고 테이블에 부착된다.
도 21a 내지 도 21g는 제한기 조립체의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21a는 상면이 아래로 향하는 테이블(100)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b 내지 도 21g는 작동 중 제한기 조립체의 클로즈업을 도시하고 있다. 도 21a는 화살표(330) 방향으로 정지부(320)에 접근하는 제한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b는 정지부(320)에 접촉하는 래치(3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c는 제 2 다리(110)의 연장부(130)가 슬리브부(126)로부터 연장될 때의 제한기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연장부(130)가 슬리브부(126)로부터 연장될 때, 래치(310)는 정지부(320)를 벗어나 (도 21c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1d는 연장부(130)가 슬리브부(126)로부터 더 연장되어 래치(310)가 완전히 개방될 때의 제한기 조립체의 추가 진행을 도시하고 있다. 도 21e는 연장부(130)가 슬리브부(126)로부터 더 연장될 때의 제한기 조립체의 작동을 도시하며, 이는 래치(310)를 개방 위치까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래치(310)가 정지부(320)를 지나갈 수 있게 한다.
도 21f는 다리(110)가 접히는 동안 정지부(320)의 반대쪽에 있는 래치(310)를 도시하고 있다. 제한기 조립체는 접힌 위치를 향하는 화살표(332)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도 21g는 정지부(320)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다리(108, 110)가 테이블 상판(102)을 향해 접힐 수 있도록 충분히 회전된 래치(310)를 도시하고 있다.
특정 실시형태가 어느 정도의 특이성을 갖는 예시적인 형태로 설명되고 예시되었지만, 설명 및 예시는 예로서만 이루어졌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부품의 구성과 배치 및 작업의 세부 사항에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형태가 설명되었으며, 각각은 요소의 다양한 조합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개시된 요소의 다양한 조합, 일부 요소의 생략 또는 이러한 구조의 등가물에 의한 요소의 대체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4)

  1.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갖는 테이블 상판과;
    상단부와 하단부, 및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한 피벗을 갖는 제 1 다리와;
    제 1 다리는 구획화 슬리브부와 연장부를 갖고;
    상단부와 하단부, 및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한 피벗을 갖는 제 2 다리와;
    제 2 다리는 구획화 슬리브부와 연장부를 갖고;
    제 1 다리의 상단부는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제 2 다리의 상단부는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 1 다리의 피벗과 제 2 다리의 피벗에서 제 1 다리를 제 2 다리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피벗 장치를 포함하는 테이블로서,
    제 1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공간 및 인접한 제 2 공간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고;
    제 2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공간 및 인접한 제 2 공간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고;
    제 1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다리의 하단부에서 시작하고, 제 1 다리의 제 1 공간으로 신축하는 치수를 갖고;
    제 2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2 다리의 하단부에서 시작하고, 제 2 다리의 제 1 공간으로 신축하는 치수를 갖고; 및
    피벗 장치는 제 1 다리의 제 2 공간 및 제 2 다리의 제 2 공간으로 연장되는,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는 트랙과;
    제 2 다리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제 2 다리가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제 1 휠과;
    제 2 다리의 상단부에 부착된 제 1 휠 맞은편에 측면으로 배치되고, 트랙 내에 배치되어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제 2 휠과;
    제 2 휠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풀 바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스프링의 제 1 단부는 테이블 상판의 하부 표면 또는 이로부터의 연장부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및
    스프링의 제 2 단부는 풀 바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따라서 테이블이 접힐 때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테이블이 올려질 때 스프링을 인장시키는, 테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접힌 위치에 테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은:
    테이블 상판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후크를 갖는 보관 캐치와;
    보관 캐치의 후크에 상호 보완적인 제 1 다리의 하단부 내의 만입부와;
    보관 캐치는 제 1 다리의 하단부의 만입부와 결합하도록 편향되고;
    보관 캐치와 결합하고, 제 1 다리의 하단부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 1 다리의 하단부의 만입부를 향하는 보관 캐치의 편향에 대항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1 다리의 하단부의 만입부를 향하는 보관 캐치의 편향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보관 캐치로부터 떨어진 제 2 위치로,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셔틀과;
    셔틀은 경사면을 갖고;
    테이블 상판을 향해 그리고 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고 셔틀 경사면과 결합되어, 셔틀에 대한 해제 레벨의 결합 위치에 따라 셔틀을 보관 캐치를 향해 또는 이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테이블.
  4. 제 3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막대를 더 포함하고;
    해제 막대는 가스 스프링을 인장시켜 테이블을 상승시키기 위해 가스 스프링 해제 구성요소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다리와 제 2 다리 각각에 신축식 다리 잠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신축식 다리 잠금 메커니즘은:
    각각의 다리 연장부 내에 배치된 잠금 하우징과;
    제 1 단부에서 다리 연장부 해제 레버와 결합되고, 제 2 단부에서 잠금 하우징 또는 내부의 구성요소와 결합되는 연결 막대; 및
    하우징을 통해 측면으로 연장되고, 고정된 높이에서 다리 연장부를 잠그기 위해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의 개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대향하는 핀을 포함하고,
    눌려질 때, 다리 연장부 해제 레버는 개구로부터 핀을 후퇴시키고, 따라서 다리 연장부가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테이블.
  6. 제 5 항에 있어서,
    연결 막대로부터 연장되는 핀 가이드와;
    핀 가이드는 다리 연장부의 길이방향 측면에 대해 각을 이루는 대향하는 슬롯을 갖고; 및
    하우징 내의 연결 막대 주위에 배치되고, 하우징 벽에 의해 하우징 내에 포함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스프링은 핀을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의 개구 내로 강제하도록 핀 가이드를 편향시키고,
    해제 레버는 스프링을 압축하여, 개구로부터 핀을 후퇴시키도록 구성되는, 테이블.
  7. 제 1 항에 있어서,
    피벗 장치는:
    각각의 다리의 제 2 밀폐 공간 내에 배치되는 너트와;
    수형 및 암형 피벗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수형 및 암형 피벗 구성요소 중 하나는 제 1 다리와 제 2 다리 중 하나의 제 2 밀폐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고, 수형 및 암형 피벗 구성요소 중 다른 하나는 제 1 다리와 제 2 다리 중 다른 하나의 외부에 배치되고;
    수형 및 암형 피벗 구성요소는 너트에 고정되는, 테이블.
  8. 제 7 항에 있어서,
    피벗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피벗 하우징은:
    제 1 다리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가 내부에 배치되는 개구를 갖는 제 1 다리 피벗 구성요소; 및
    제 2 다리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가 내부에 배치되는 개구를 갖는 제 2 다리 피벗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다리 피벗 구성요소는 제 2 다리 피벗 구성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테이블.
  9.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리 연장부는 피벗 장치를 지나 이와 관련된 구획화 슬리브 구성요소 내에서 연장될 수 있는, 테이블.
  10. 제 1 항에 있어서,
    범위 제한기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11. 제 10 항에 있어서,
    범위 제한기 조립체는:
    테이블 상판의 밑면에 부착된 정지부와;
    회전 가능한 래치를 포함하고:
    회전 가능한 래치는 제 2 다리의 연장부에 연결되고, 연장부가 슬리브부로부터 연장될 때 정지부와 결합하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
  12. 신축식 테이블 다리의 슬리브의 상단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양방향 스프링 장착 플런저와;
    플런저는 테이블 상판의 바닥면에서 정지 구성요소와 결합하도록 더 구성되고, 테이블 다리는 테이블 상판의 바닥면을 띠라 슬라이딩할 수 있고;
    플런저와 일직선으로 그리고 슬리브 내에 배치된 서로 다른 힘의 헤비 스프링과 라이트 스프링을 포함하는 범위 제한기 조립체로서;
    헤비 스프링은, 신축식 테이블 다리가 후퇴할 때 신축식 테이블 다리의 연장부가 헤비 스프링을 밀고, 따라서 플런저를 슬리브로부터 바깥쪽으로 밀도록 배치되고; 및
    라이트 스프링은 테이블 다리가 연장될 때 플런저를 후퇴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범위 제한기 조립체.
  13. 경사 단부가 있는 포크형 구성요소를 갖는 잠금 하우징과;
    포크형 구성요소의 경사 단부 내에 배치되고 이와 결합할 수 있는 핀을 갖는 래치와;
    핀에 대해 래치를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범위 제한기 조립체로서;
    포크형 구성요소의 경사 단부가 핀과 결합될 때, 래치는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범위 제한기 조립체.
  14. 피벗 장치를 갖는 신축식 다리 조립체로서, 신축식 다리 조립체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는 제 1 신축식 다리와;
    제 1 신축식 다리는 구획화 슬리브부와 연장부를 갖고;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는 제 2 신축식 다리와;
    제 2 신축식 다리는 구획화 슬리브부와 연장부를 갖고;
    신축식 다리의 슬리브부 상에서 제 1 신축식 다리를 제 2 신축식 다리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피벗 장치를 포함하고;
    제 1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공간 및 인접한 제 2 공간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고;
    제 2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공간 및 인접한 제 2 공간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고;
    제 1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1 다리의 하단부에서 시작하고, 제 1 다리의 제 1 공간으로 신축하는 치수를 갖고;
    제 2 다리의 구획화 슬리브부는 제 2 다리의 하단부에서 시작하고, 제 2 다리의 제 1 공간으로 신축하는 치수를 갖고; 및
    피벗 장치는:
    제 1 다리 정합 구성요소와 제 2 다리 정합 구성요소로서, 제 1 다리 정합 구성요소는 제 2 다리 정합 구성요소와 결합할 수 있고, 제 1 다리 및 제 2 정합 구성요소는 결합될 때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제 1 다리 정합 구성요소와 제 2 다리 정합 구성요소와;
    각각의 제 2 공간 내에 배치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제 1 다리 및 제 2 다리 정합 구성요소는 제 2 공간의 외벽을 통해 각각의 너트와 결합할 수 있는, 신축식 다리 조립체.
KR1020227006036A 2019-08-19 2020-08-12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 KR20220058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88725P 2019-08-19 2019-08-19
US62/888,725 2019-08-19
US202062979586P 2020-02-21 2020-02-21
US62/979,586 2020-02-21
PCT/US2020/045916 WO2021034566A1 (en) 2019-08-19 2020-08-12 Collapsible adjustable height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539A true KR20220058539A (ko) 2022-05-09

Family

ID=7464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036A KR20220058539A (ko) 2019-08-19 2020-08-12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78072B2 (ko)
EP (1) EP4017318A4 (ko)
JP (1) JP7401653B2 (ko)
KR (1) KR20220058539A (ko)
AU (1) AU2020333535A1 (ko)
CA (1) CA3150475A1 (ko)
GB (4) GB2603065B (ko)
TW (1) TW202126221A (ko)
WO (1) WO2021034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2192S1 (en) * 2019-08-19 2022-02-01 Evo Inventions Llc Collapsible adjustable height table
DE102021115102A1 (de) 2021-06-11 2022-12-15 Leitz Acco Brands Gmbh & Co Kg Höhenverstellbarer Tisch
CN114224074B (zh) * 2022-01-25 2023-03-2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营销操作台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2660A (en) * 1915-04-13 1916-10-24 Osias J Breault Pocket folding stool.
US2526666A (en) * 1946-01-11 1950-10-24 Alvin L Johnson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US2693652A (en) 1952-09-11 1954-11-09 Martin Co Adjustable height ironing table
US3018574A (en) * 1958-04-28 1962-01-30 Clark J R Co Ironing table foot construction
BE803017A (nl) * 1973-07-31 1974-01-31 Tomado Nv In hoogte verstelbare tafel
FR2253347A5 (en) * 1973-11-30 1975-06-27 Ma Sit Sa Positioning spacer for legs of folding baby table - automatically ensures tubular frame spreading at correct angle when opened out
US5535646A (en) * 1995-02-07 1996-07-16 Stanley Mechanics Tools, Inc. Ratchet drive
JP2003000351A (ja) * 2001-06-26 2003-01-07 Yamada Kogyo Kk 天折れテーブルのロック装置
GB2394965B (en) * 2002-11-04 2006-04-12 Stephen Buckle Mark A portable, collapsible ironing board
USD493310S1 (en) 2003-04-17 2004-07-27 Lifetime Products, Inc. Personal table with drawer
JP2006125620A (ja) 2004-09-30 2006-05-18 Kojima Press Co Ltd 係止解除装置
USD598213S1 (en) 2008-01-14 2009-08-18 Roset S.A. Table
GB2461529A (en) * 2008-07-01 2010-01-06 Darius Rezza Toutounchian Ironing board and platform
CN101697849B (zh) * 2009-02-17 2011-10-19 禾弘五金制品(深圳)有限公司 用于折叠桌椅的卡扣结构
KR101092887B1 (ko) * 2009-07-14 2011-12-12 주식회사 엠투 슬러지 건조장치
US20110101716A1 (en) * 2009-10-30 2011-05-05 Matthew Nolte Utility pole with removable supporting push button
US8870278B2 (en) * 2011-06-22 2014-10-28 Frank Tsai Reinforcing method and arrangement for foldable furniture
JP2012030022A (ja) 2010-07-30 2012-02-16 Fuji Kogyo Kk 昇降テーブル
CN201793979U (zh) * 2010-09-17 2011-04-13 重庆市双桥区危思科技有限公司 伸缩熨衣板
US8667907B2 (en) 2011-01-04 2014-03-11 Rio Brands, Llc Portable and collapsible table structure
TWM403256U (en) 2011-01-21 2011-05-11 Hung Wang Entpr Co Ltd Desktop angle adjustment mechanism
USD668077S1 (en) 2011-06-10 2012-10-02 Calligaris S.P.A. Table
US8286926B1 (en) * 2011-11-30 2012-10-16 Trace Eugene Van Dyne Collapsible leg assembly
CN103178190B (zh) 2011-12-22 2015-06-10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光源及其封装方法
US9119465B2 (en) * 2012-10-02 2015-09-01 Gci Outdoor, Inc. Collapsible table
US10114352B2 (en) * 2015-07-01 2018-10-30 Fellowes, Inc. Variable height platform device
EP3352624A1 (en) * 2015-09-24 2018-08-01 Ergotron, Inc. Height adjustable device
DE202019101379U1 (de) 2019-03-12 2019-03-15 Anton Schneider Gmbh & Co. Kg Höhenverstellbarer Tischfuß
US11109671B1 (en) * 2020-06-04 2021-09-07 C.D. Great Furniture Co., Ltd. Height-adjustable tabl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1859A (ja) 2023-01-20
GB2623911A (en) 2024-05-01
GB202316572D0 (en) 2023-12-13
GB202313113D0 (en) 2023-10-11
GB202203465D0 (en) 2022-04-27
TW202126221A (zh) 2021-07-16
GB2603065A (en) 2022-07-27
US20220408912A1 (en) 2022-12-29
US20210052065A1 (en) 2021-02-25
WO2021034566A1 (en) 2021-02-25
GB202400891D0 (en) 2024-03-06
GB2623871A (en) 2024-05-01
CN114269203A (zh) 2022-04-01
CA3150475A1 (en) 2021-02-25
GB2623898A (en) 2024-05-01
GB2603065B (en) 2023-10-11
US11478072B2 (en) 2022-10-25
JP7401653B2 (ja) 2023-12-20
EP4017318A1 (en) 2022-06-29
AU2020333535A1 (en) 2022-03-03
EP4017318A4 (en)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8539A (ko) 접이식 높이 조절 테이블
US20140030012A1 (en) Locating device for slide joint
US9808080B2 (en) Portable height-adjustable tabletop assembly and method of adjusting a height of the same
US8727655B2 (en) Folding chair safety lock
CN107073700B (zh) 锯架
US9950728B2 (en) Collapsible table
US20200392787A1 (en) Deployable device, in particular step stool
US20050180667A1 (en) Positioning device for a multi-section slide track assembly of drawers
KR101403149B1 (ko) 접이식 삼각대
US20180207788A1 (en) Adjustable sawhorse
DK3186464T3 (en) STIG STABILISATOR
US7878583B2 (en) Foldable high chair
CN114269203B (zh) 可折叠的可调节高度的桌子
US11992124B2 (en) Collapsible adjustable height table
NL2023594B1 (en) Collapsible stroller frame with handle height adjustment
US20150107637A1 (en) Simplified slider mechanism
US2217031A (en) Folding table
KR200223468Y1 (ko) 절첩식 테이블
KR101611900B1 (ko) 상판의 잠금장치
JP2003325239A (ja) ベッド用テーブル装置
US20220324502A1 (en) Stroller, stroller frame and folding device thereof
KR200368191Y1 (ko) 바퀴의 자동 부상이 가능한 이동식 테이블
KR20240003304A (ko) 절첩식 안전 테이블 다리 지지체
CA2785270A1 (en) Locating device for slide j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