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473B1 - 접이식 선반받침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선반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473B1
KR101715473B1 KR1020150066968A KR20150066968A KR101715473B1 KR 101715473 B1 KR101715473 B1 KR 101715473B1 KR 1020150066968 A KR1020150066968 A KR 1020150066968A KR 20150066968 A KR20150066968 A KR 20150066968A KR 101715473 B1 KR101715473 B1 KR 101715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upport
support piece
shelf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942A (ko
Inventor
김기원
채병철
최형진
Original Assignee
김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원 filed Critical 김기원
Priority to KR1020150066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4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47B96/028Cantilever 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lves
    • A47B57/045Cantileve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선반받침대(1)에 관한 것으로, 벽체(W)에 고정되는 고정편(3); 상기 고정편(3)의 일단에 피벗식으로 결합되어, 선반(S)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편(5); 및 일단이 상기 고정편(3)에 피벗식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편(5)의 슬롯(13)에 슬라이딩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받침편(5)이 상기 선반(S)의 하중을 받는 동작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받침편(5)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받침편(5)에 걸리는 하중을 상기 고정편(3)으로 전달하는 지지편(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필요에 따라 선반을 절첩함에 있어, 동작위치나 절첩위치에 있는 받침편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조작이 원터치로 이루어지므로, 접이식 선반받침대의 사용 편리성을 크게 증진시킨다.

Description

접이식 선반받침대{Foldable Shelf Bracket}
본 발명은 접이식 선반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을 수납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때 또는 선반이 차지한 벽체 앞쪽 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 선반을 벽체에 밀착하도록 원터치로 접을 수 있게 한 접이식 선반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여러 가지 물건을 얹어 두는 수납수단으로서 선반받침대를 이용해 벽체 외면에 설치하는 긴 판재를 이르는 것으로, 벽체 외면의 넓은 공간을 수납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선반받침대를 통해 벽체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선반이 설치되는 벽체의 주위에는 선반의 돌출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공간이 발생하여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다목적 선반의 절첩장치(실용신안 공고 실1986-0002623)가 제안된 바 있다.
이 절첩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벽체에 부착되는 지주(103)와, 지주(103)에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체(105)로 이루어지는 바, 링크체(105)는 다시 받침편(107)과 지지편(109)을 연결한 2절 링크로 구성되는 한편, 지지편(109)의 하단은 고정구(111)를 통해 지주(103) 하단에 고착되고, 받침편(107)의 상단은 승강조절구(113)에 연결되어 지주(103)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절첩장치(101)에 의하면, 선반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선반이 벽체의 직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링크체(105)를 접어 받침편(107)을 지면과 나란한 동작위치에 오게 한 뒤, 조작손잡이(115)를 죄어 승강조절구(113)를 지주(103) 중단에 고정시키면 된다. 반대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선반을 접어 공간을 확보하고자 할 때는 죄어 있던 조작손잡이(115)를 풀고, 승강조절구(113)를 들어 올려 링크체(105)가 지주(103)에 포개짐으로써 벽체와 나란한 절첩위치에 오게 하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절첩장치(101)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절첩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동작위치로 링크체(105)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조작손잡이(115)를 풀고, 승강조절구(113)를 내린 후, 받침편(107)이 수평하게 된 때 조작손잡이(115)를 죄도록 되어 있고, 반대로 동작위치에서 절첩위치로 링크체(105)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도 1의 상태에서 조작손잡이(115)를 풀고, 승강조절구(113)를 들어 올린 후, 받침편(107)이 수직하게 된 때 조작손잡이(115)를 죄도록 되어 있는 바, 선반의 접고 펴는 동작이 각각 최소 세 번의 구분동작으로 이루어지는 등 조작이 매우 번거로워 사용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작위치에서 받침편(107)은 받침돌기(117)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작손잡이(115)를 죄지 않고 선반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받침돌기(117)가 과도한 하중 부담으로 인해 파단되면, 선반에 수납된 물품들이 모두 낙하하게 되는 등 사용 안정성을 신뢰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실용신안 공고 실1986-000262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선반 절첩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선반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벽체와 직각이 되도록 동작위치로 이동시키는 반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벽체와 나란하게 되도록 절첩위치로 이동시켜 선반이 설치되는 벽체 앞쪽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자 함에 있어, 위와 같은 선반의 절첩동작이 원터치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일단에 피벗식으로 결합되어, 선반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편; 및 일단이 상기 고정편에 피벗식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편의 슬롯에 슬라이딩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받침편이 상기 선반의 하중을 받는 동작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받침편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받침편에 걸리는 하중을 상기 고정편으로 전달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이식 선반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받침편은 상기 슬롯에 슬라이딩 힌지식으로 결합된 상기 지지편의 타단을 상기 동작위치에 정지시키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슬롯의 일단측에서 상기 받침편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동작위치에서 일단에 형성된 걸림고리가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상기 지지편의 유동핀과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잠금쇠; 및 상기 잠금쇠 일측을 가압한 때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유동핀과 분리되도록, 상기 잠금쇠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반동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이식 선반받침대에 따르면, 선반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선반과 함께 벽체에 밀착되어 있는 받침편을 위쪽으로 회동시켜 벽체와 직각을 이루는 동작위치에서 고정시키고, 반대로 선반을 절첩하고자 할 때는 받침편을 동작위치에 지지하고 있는 지지편의 잠금상태를 잠금수단에 대한 원터치 조작에 의해 쉽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선반을 절첩 또는 해제하기 위한 조작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동작위치에서 받침편을 지지하는 지지편의 잠금상태가 잠금수단과의 스냅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선반에 걸리는 과도한 하중으로 인해 선반이 접히지 않으며, 잠금수단이 받침편 중간 부분에 위치하거나 해제수단에 의해 해제되므로 부지불식 간에 잠금수단이나 해제수단을 건드리는 사용자의 부주의한 터치로 인해 잠금수단이 해제됨으로써 선반이 접혀 수납 물품들을 낙하시킬 염려가 전혀 없고, 따라서 높은 사용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선반 절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받침대를 동작위치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선반받침대를 절첩위치에서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선반받침대를 동작위치에서 사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잠금수단을 상세 도시한 확대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해제수단을 작동위치에서 도시한 확대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받침대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반받침대는 도 2 내지 도 5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정편(3), 받침편(5), 및 지지편(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고정편(3)은 선반받침대(1)를 건물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의 외벽에 부착하는 구조체로서,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벽체(W)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부착된다. 이를 위해, 고정편(3)은 예컨대,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벽체(W)에 부착될 수 있도록 중심선을 따라 복수의 볼트공이 관통된다. 또한, 판재를 단면 ㄷ자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강도를 높이는 한편,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아래로 접힌 받침편(5)을 포개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절첩위치에서 선반받침대(1)를 더욱 컴팩트하게 해준다.
상기 받침편(5)은 선반(S)을 지지하는 구조체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편(5)과 마찬가지로 단면 ㄷ자 형태로 절곡된 판재로 되어 있으며, 일단이 고정편(3)의 상단에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피벗 회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면에 부착된 선반(S)을 도 2 및 도 3과 같이 벽체(W)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하거나 또는 나란하게 접하도록 한다. 또한, 받침편(5)은 폭이 넓은 선반(S)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정편(3)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선반받침대(1)가 좌우로 짝을 이루어 선반(S)을 지지할 때 나란하게 배치되는 이웃 받침편(5)과 피벗 동작의 일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받침편(5)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그 선단에 연결봉(9)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편(7)은 받침편(5)을 고정편(3)에 대해 지지하는 구조체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즉, 벽체(W)와 가까운 내측단이 힌지핀 등에 의해 고정편(3)에 피벗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즉, 벽체(W)와 먼 쪽의 외측단이 마찬가지로 힌지핀 등에 의해 피벗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납작한 막대 형태의 판재로 되어 있다. 이때, 지지편(7)은 그 외측단이 받침편(5)에 피벗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외측단에 유동핀(11)이 장착되는 바, 이 유동핀(11)은 지지편(7)을 받침편(5)에 피벗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받침편(5)의 측면에 축선을 따라 절결된 슬롯(13)에 끼워짐으로써 받침편(5)이 정역방향으로 회동할 때 슬롯(13)을 따라 받침편(5)의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유동핀(11)은 슬롯(13)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받침편(5)에 결합되어 지지편(7)을 피벗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지편(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편(5)이 동작위치에 있을 때 직각으로 벌어진 고정편(3)과 받침편(5) 사이에 지지되어, 받침편(5) 위에 설치되는 선반(S)의 하중을 고정편(3)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받침편(5)은 도 2에 도시된 동작위치에서 즉, 선반받침대(1)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고정편(3)과 직각으로 벌어진 자세를 유지하여야 하는 바, 특히 유동핀(11)이 슬롯(13)을 따라 외측으로 즉, 도 2의 우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해야 하는 바, 유동핀(11)의 구속을 위해 다양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은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수단(15)을 채용하는 바, 잠금수단(15)은 슬롯(13)에 끼워진 유동핀(11)에 걸린 때 지지편(7)을 도 2에 도시된 동작위치에 정지시키는 반면, 유동핀(11)에서 풀린 때 지지편(7)을 도 3에 도시된 절첩위치로 지지편(7)을 도 3에 도시된 절첩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잠금수단(15)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잠금쇠(21)와 반동스프링(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잠금쇠(21)는 위 유동핀(11)과 직접적으로 걸림 또는 해제되는 부재로서,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위치에서 유동핀(11)을 걸도록 슬롯(13)의 내측단에 위치하며, 피벗식으로 요동하도록 몸체의 중간 부분이 피벗핀(25)에 의해 받침편(5)의 내주면에 힌지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잠금쇠(21)는 원통형의 유동핀(11)을 걸도록 둥글게 만곡된 걸림고리(27)가 외측단에 형성되며, 중간부분에 수압돌기(29)가 돌출됨으로써 아래 설명되는 해제수단(17)의 가압핀(31)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압돌기(29)는 해제수단(17)이 작동한 때 가압핀(31)에 의해 가압되어 잠금쇠(21)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반동스프링(23)은 잠금쇠(21)의 걸림고리(27)와 유동핀(11)에 의한 잠금동작이 탄력적으로 즉, 스냅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부재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쇠(21)의 걸림고리(27) 반대쪽 끝부분 즉, 내측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유동핀(11)이 걸림고리(27)의 바깥쪽 빗면을 밀고 들어올 때 반동스프링(23)은 압축되어 잠금쇠(21)를 도 6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유동핀(11)과 걸림고리(27)가 스냅 결합되도록 한다. 반대로, 걸림고리(27) 안으로 걸려든 유동핀(11)은 반동스프링(23)의 반발력으로 인해 걸림고리(27)와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잠금쇠(21)가 도 6의 화살표(B) 방향으로 가압될 때만, 반동스프링(23)이 압축되면서 화살표(A) 방향으로 개방된 걸림고리(27)로부터 유동핀(11)을 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받침편(5)은 잠금수단(15)의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수단(17)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해제수단(17)은 동작위치에서 지지편(7)을 사용 상태로 정지시키고 있는 잠금수단(15)의 잠금쇠(21)와 유동핀(11) 간의 잠금을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편(5) 내부에서 받침편(5)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바, 크게 끌대(30)와 복귀스프링(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끌대(30)는 잠금쇠(21)와 유동핀(11)의 결합을 해제하는 또 다른 수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반동스프링(23)에 의해 지지된 내측단을 직접 눌러 잠금쇠(21)와 유동핀(11)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동작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편(5)과 마찬가지로 단면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받침편(5) 내주면에 포개져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사용자가 선반(S) 선단 쪽에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받침편(5)의 외측단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특히, 끌대(30)는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연결봉(9)이 끼워지는 선단 부분에 파지부(35)가 뭉툭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끌대(30)는 외력에 의해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받침편(5)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외력에 의해 작동위치로 이동한 때 잠금쇠(21)를 피벗 회동시킬 수 있도록 내측단에 가압핀(31)이 장착된다. 즉, 끌대(30)는 작동위치로 끌려나간 때 가압핀(31)에 의해 수압돌기(29)를 가압함으로써 잠금쇠(21)와 유동핀(11)의 스냅 결합을 해제시킨다.
또한, 상기 복귀스프링(33)은 작동위치로 이동한 끌대(30)를 원위치로 귀환시키는 인장스프링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받침편(5)에 타단이 끌대(30)에 고정되어 받침편(5)과 끌대(30) 사이에 장착되는 바, 끌대(30)를 앞쪽으로 잡아당기던 사용자의 외력이 사라진 때 끌대(30)를 끌어당겨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받침대(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선반받침대(1)는 부착된 벽체(W)와 나란하게 절첩된 절첩위치에서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선반(S)을 최대한 벽체(W)와 가깝게 밀착시켜, 벽체(W) 앞쪽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벽체(W)와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진 동작위치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선반(S)을 벽체(W)의 앞쪽으로 돌출시켜, 선반(S)을 원래의 수납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선반받침대(1)는 도 2에 도시된 동작위치에서 받침편(5)이 고정편(3)과 직각을 이루면서 벽체(W)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된다. 이때, 받침편(5)은 내측단이 고정편(3) 상단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한편, 중간 부분이 지지편(7)에 의해 지지된다. 이를 위해, 지지편(7)은 상단부분 즉, 유동핀(11)이 잠금수단(15)에 의해 구속되어, 현재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선반(S)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고정편(3)으로 전달하는 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유동핀(11)이 걸림고리(27)에 걸려 잠금쇠(21)를 압박함으로써 선반(S)으로부터 받침편(5)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반(S)을 수납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벽체(W) 앞쪽 공간을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선반(S) 위를 비운 후, 도 3 및 도 4와 같이 받침편(5)을 절첩위치로 접어 선반받침대(1)와 선반(S)을 벽체(W)에 밀착시키면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화살표(B) 방향으로 잠금쇠(21) 내측단을 누르면서 받침편(5) 즉, 선반의 자유단 즉, 선단을 내리누르면 된다.
다시 말해, 받침편(5)을 고정편(3) 쪽으로 접기 위해서는 유동핀(11)과 잠금쇠(2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므로, 잠금쇠(21)의 내측단을 눌러 잠금쇠(21)가 도 6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시에, 받침편(5)의 자유단을 내리눌러 유동핀(11)이 걸림고리(27)에서 이탈되어 슬롯(13)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또는, 파지부(35)를 잡아당기면서 선반(S)의 선단을 내리눌러도 선반(S)을 접을 수 있는데, 이때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끌대(30)의 가압핀(31)이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수압돌기(29)를 아래로 가압하여 잠금쇠(21)를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잠금쇠(21)와 유동핀(11)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받침편(5)을 접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받침편(5)은 지지편(7) 또는 유동핀(11)에 의한 저항을 전혀 받지 않으면서 90도 회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편(3) 안으로 절첩되어 들어간다. 결과적으로, 받침편(5)과 지지편(7)은 고정편(3)과 나란하게 포개져 벽체(W)에 밀착됨으로써 벽체(W) 앞쪽 공간을 비우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선반(S)을 재차 수납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선반(S) 즉, 받침편(5)의 자유단을 잡아 올리면 된다. 받침편(5)이 돌아 올라가는 동안 슬롯(13)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던 유동핀(11)은 선반(S) 즉, 받침편(5)이 벽체(W)와 직각을 이루는 마지막 순간에 슬롯(13) 내측단에 위치하는 잠금수단(15)에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스냅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받침편(5)을 벽체(W)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1 : 선반받침대 3 : 고정편
5 : 받침편 7 : 지지편
9 : 연결봉 11 : 유동핀
13 : 슬롯 15 : 잠금수단
17 : 해제수단 21 : 잠금쇠
23 : 반동스프링 25 : 피벗핀
27 : 걸림고리 29 : 수압돌기
30 : 끌대 31 : 가압핀
33 : 복귀스프링 S : 선반
W : 벽체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벽체(W)에 고정되는 고정편(3);
    상기 고정편(3)의 일단에 피벗식으로 결합되어, 선반(S)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편(5); 및
    일단이 상기 고정편(3)에 피벗식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편(5)의 슬롯(13)에 슬라이딩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받침편(5)이 상기 선반(S)의 하중을 받는 동작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받침편(5)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받침편(5)에 걸리는 하중을 상기 고정편(3)으로 전달하는 지지편(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편(5)은 상기 슬롯(13)에 슬라이딩 힌지식으로 결합된 상기 지지편(7)의 타단을 상기 동작위치에 정지시키는 잠금수단(15)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15)은,
    상기 슬롯(13)의 일단측에서 상기 받침편(5)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동작위치에서 일단에 형성된 걸림고리(27)가 상기 슬롯(13)에 끼워지는 상기 지지편(7)의 유동핀(11)과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잠금쇠(21); 및
    상기 잠금쇠(21) 일측을 가압한 때 상기 걸림고리(27)가 상기 유동핀(11)과 분리되도록, 상기 잠금쇠(2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반동스프링(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편(5)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동작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는 상기 잠금수단(15)을 잠금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해제수단(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받침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17)은,
    상기 받침편(5)의 외측단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받침편(5) 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력에 의해 작동위치로 이동한 때 상기 잠금쇠(21)를 피벗 회동시켜 상기 잠금쇠(21)와 상기 유동핀(11)과의 스냅 결합을 해제시키는 끌대(30); 및
    상기 받침편(5)과 상기 끌대(3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외력이 사라진 때 상기 끌대(30)를 원위치로 귀환시키는 복귀스프링(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받침대.
KR1020150066968A 2015-05-13 2015-05-13 접이식 선반받침대 KR101715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968A KR101715473B1 (ko) 2015-05-13 2015-05-13 접이식 선반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968A KR101715473B1 (ko) 2015-05-13 2015-05-13 접이식 선반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42A KR20160134942A (ko) 2016-11-24
KR101715473B1 true KR101715473B1 (ko) 2017-03-15

Family

ID=5770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968A KR101715473B1 (ko) 2015-05-13 2015-05-13 접이식 선반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419A (ko) 2018-02-12 2019-08-21 (주)경도상사 접이식 선반
US11708938B2 (en) 2021-09-21 2023-07-25 Gem Products, Llc Foldable brack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8282A (zh) * 2019-04-26 2019-07-12 佛山市晖而莱进出口有限公司 折叠层架及其联动锁紧结构
KR102165030B1 (ko) * 2020-05-26 2020-10-13 김태호 접이식 안전난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60432U (zh) 2010-03-12 2010-12-01 罗敬 棕床垫制作机床
US20150048228A1 (en) 2012-03-22 2015-02-19 John Mullins Worktop and a method and a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a worktop
KR101524151B1 (ko) 2014-02-25 2015-05-29 (주) 우석디앤씨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623A (ko) 1984-09-18 1986-04-28 조두형 철근 받침대 겸용 인서트
KR960014203B1 (ko) * 1994-08-31 1996-10-14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손잡이겸 자동차의 리어시트백 걸림해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60432U (zh) 2010-03-12 2010-12-01 罗敬 棕床垫制作机床
US20150048228A1 (en) 2012-03-22 2015-02-19 John Mullins Worktop and a method and a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a worktop
KR101524151B1 (ko) 2014-02-25 2015-05-29 (주) 우석디앤씨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419A (ko) 2018-02-12 2019-08-21 (주)경도상사 접이식 선반
US11708938B2 (en) 2021-09-21 2023-07-25 Gem Products, Llc Foldable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42A (ko)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473B1 (ko) 접이식 선반받침대
US8069795B1 (en) Grip latch and hinge mechanism for a flip table
US7757999B2 (en) Foldaway worktable
US6662815B2 (en) Canopy support frame for a sunshade
US7487787B2 (en) Easy-to-operate sunshade
US8286926B1 (en) Collapsible leg assembly
US9357839B1 (en)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for hanging table
TW201031849A (en) Mobile tool stand
JP2007511320A (ja)
US10791873B2 (en) Collapsible three legged platform
US10383469B2 (en) Inertia and gravity driv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KR101875202B1 (ko)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KR101403149B1 (ko) 접이식 삼각대
US4097013A (en) Tripod stand for projection screen
US20070012228A1 (en) Foldable support for foldable furniture
US7849848B2 (en) Erectable and stowable decorative firebowl and stand assembly
US20080078024A1 (en) Foldable hammock stand
JP5590674B2 (ja) 掛止装置
JP6851898B2 (ja) 作業台におけるキャスタ装置
US2459280A (en) Folding support
US7635159B2 (en) Collapsing device and child seat using the same
CN109198829B (zh) 两折反向伞的两段式收合结构
CN220655339U (zh) 双臂展开幅度可调式衣撑
CN112776686B (zh) 载具及其儿童安全座椅高度可调手把
JP4581935B2 (ja) 自立式昇降スクリ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