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202B1 -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202B1
KR101875202B1 KR1020160157913A KR20160157913A KR101875202B1 KR 101875202 B1 KR101875202 B1 KR 101875202B1 KR 1020160157913 A KR1020160157913 A KR 1020160157913A KR 20160157913 A KR20160157913 A KR 20160157913A KR 101875202 B1 KR101875202 B1 KR 101875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support
shaft
main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945A (ko
Inventor
유선웅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to KR102016015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2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블릿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부를 가지는 태블릿 거치대를 이용해 태블릿을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하고, 태블릿이 장착된 태블릿 거치대를 필요에 따라 스탠드 유닛과 벽면 어댑터 및 차량 고정 홀더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공간 및 위치 그리고 차량에서도 손쉽게 태블릿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는, 잠금부를 가지는 태블릿 거치대와, 수평 각도조절되는 다리부를 가지는 스탠드 유닛과, 삽입된 다리부를 고정 지지하는 걸림부를 가지는 벽면 어댑터와, 차량의 헤드레스트 지지축을 밀어 고정되는 차량 고정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Multipurpose tablet mounted device}
본 발명은 태블릿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부를 가지는 태블릿 거치대를 이용해 태블릿을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하고, 태블릿이 장착된 태블릿 거치대를 필요에 따라 스탠드 유닛과 벽면 어댑터 및 차량 고정 홀더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공간 및 위치 그리고 차량에서도 손쉽게 태블릿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고 사양의 휴대용 단말기(Portable Device) 제품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7인치 이상의 태블릿을 포함한 스마트 기기 및 네비게이션은 꾸준히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의 생활 속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전자기기가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발전으로 인해 소형 노트북의 개념을 뛰어 넘어 별도의 커버가 없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단말기가 등장하기 시작했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해당 단말기(이하, 단말기의 대표적인 실시예로 본원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포함하여 '태블릿'으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를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생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서는 (특허문헌 0001) 10-1429394 '모바일 기기용 스탠드 거치대' 또는 (특허문헌 0002) 10-1321016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태블릿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와 거치대 등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태블릿을 거치하기 위한 장치는, 거치장치의 구조에 따라 스탠드 형태로 구비되거나 책상 등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뿐, 하나의 장치를 다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태블릿 사용자의 경우, 집에서 일하는 가정주부의 경우 태블릿을 이용해 레시피 등을 확인하면서 요리하는 경우가 있고, 차량 뒷자석에 앉은 자녀를 위해 태블릿을 교육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다용도의 태블릿 사용을 만족시키면서도 각각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해 다기능을 가지는 태블릿 거치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9394호(2014.08.05.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1016호(2013.03.15.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태블릿을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수개의 관절부를 이용해 다양한 각도로 태블릿을 회전하거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바닥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의 벽면과 같은 고정면에 태블릿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차량에서의 태블릿 사용시 차량 헤드레스트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장착과 분리가 용이한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는,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를 이용해 안착된 태블릿을 잡아 고정하고 상부 지지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잠금부가 내부에 구비된 태블릿 거치대와; 수평회전 또는 높이조절 또는 상.하.좌.우 회동을 통해 태블릿 거치대의 공간상 위치를 조절하고, 수평 각도조절되는 다리부를 구비한 스탠드 유닛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탠드 유닛의 접혀진 다리부가 삽입되는 안착공간을 가지며, 삽입된 다리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구비한 벽면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벽면 어댑터가 일측에 결합되고, 차량 헤드레스트의 좌측 지지축과 우측 지지축을 각각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가압암부를 구비한 차량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태블릿 거치대는 전면에 안착면을 형성하고 내부에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구비한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안착면에 안착된 태블릿을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돌출 결합된 하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되 하부로 연장된 길이를 가지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한 쌍의 조절바를 구비하여 상.하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부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잠금부는, 피니언 기어와 동일 축을 가지는 스퍼기어와, 힌지회동됨에 따라 스퍼기어의 회전과 멈춤을 제어하여 상부 지지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멈춤쇠로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이 상부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하부 지지부에 고정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태블릿 거치대의 잠금부는, 힌지 결합된 멈춤쇠를 밀어 반대측의 단부가 스퍼기어에 맞물려 끼워지도록 힘을 가하는 압축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을 지지하도록 본체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지지브래킷과, 멈춤쇠의 연장된 타단을 눌러 멈춤쇠가 스퍼기어와의 맞물림에서 이탈되도록 힌지회동시키는 누름바와, 누름바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본체 외부로 돌출위치되어 사용자가 누름바의 진퇴를 조작하는 버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스탠드 유닛은, 태블릿 거치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와, 회전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태블릿 거치대의 좌.우 회동 또는 상.하 회동이 가능토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관절부와, 관절부와 힌지회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의 지지부와, 지지부와 힌지회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의 다리부가 수평 힌지회동되어 각도 조절가능토록 결합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다리부는 다단 구조를 가지며 절첩되거나 인입되어 길이조절된다.
한편, 벽면 어댑터는, 스탠드 유닛의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한 커버체와; 커버체의 내부공간에 결합되고, 삽입구를 통해 인입된 다리부를 지지하도록 양측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가지는 가이드벽과, 일측에 걸림부를 구비한 본체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부는,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힌지축에 힌지 결합된 누름버튼과, 누름버튼의 단부에 힌지 회동에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걸리돌기와, 걸리돌기가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누름버튼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스탠드 유닛의 다리부는, 걸림부의 걸리돌기에 대응되는 위치로 걸리돌기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의 걸리홈을 더 형성한다.
이어서, 차량 고정 홀더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구비되고, 후단부의 힌지 회동에 따라 전단부가 좌측 지지축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좌측 가압암과, 후단부의 힌지 회동에 따라 전단부가 우측 지지축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우측 가압암으로 구성된 가압암부와; 나사 조임에 따라 강제적으로 수평이동되는 부분에 의해 기어이로 맞물린 가압암부를 강제적으로 힌지 회동시키는 중앙축부와; 본체부 또는 중앙축부의 일측에 벽면 어댑터가 수평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중앙축부는, 본체부에 고정되고 전방에 나사안착홀이 구비된 전단벽를 가지는 고정축과, 양측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고정축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며 전방에 나사홀이 구비된 조임벽을 가지는 이동축과, 고정축의 나사안착홀을 관통하면서 이동축의 나사홀에 나사산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이동축을 강제적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조정나사와, 일단이 고정축에 핀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축에 핀 고정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가압암부의 좌측 가압암과 우측 가압암은, 후단부에 힌지축이 관통되는 힌지홀과 피니언기어를 형성하고 전단부에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을 감쌀 수 있는 크기의 가압골을 형성한 주축부와, 가압골을 형성한 주축부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커버와, 가압골을 형성한 주축부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커버로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결합으로 구성되되, 중앙축부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축부 지지벽과, 가압암부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암 지지벽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는, 태블릿 거치대의 잠금부를 이용해 다양한 크기의 태블릿 거치가 가능하며 안착된 태블릿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외부충격에도 태블릿이 이탈되어 분리되지 않아 사용 편이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스탠드 유닛의 다수개의 관절부를 이용해 다양한 각도로 태블릿을 회전하거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받침부와 다리부를 이용해 바닥면에 대하여 태블릿 거치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이성을 증대시킨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의 고정면에 벽면 어댑터를 고정하고, 벽면 어댑터에 스탠드 유닛의 다리부를 삽입 고정하여 사용함으로 다양한 위치와 장소에 태블릿 거치대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차량에서의 태블릿 사용시 차량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에 가압암부를 이용해 고정되는 차량 고정 홀더를 이용하여 차량에서도 안정적으로 태블릿을 거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구성하는 태블릿 거치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구성하는 스탠드 유닛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을 구성하는 벽면 어댑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1을 구성하는 차량 고정 홀더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b)(c)는 도 2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과 도 4에 따른 스탠드 유닛과 벽면 어댑터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도 5와 도 6에 따른 차량 고정 홀더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은 태블릿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후방은 전방과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를 구성하는 차량 고정 홀더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단부와 전방은 헤드레스트에 장착되었을 때 헤드레스트의 지지축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후단부와 후방은 상기 전단부 및 전방에 대하여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1)는, 크게 안착되는 태블릿(10)을 직접적으로 잡아 고정하는 태블릿 거치대(100)와, 상기 태블릿 거치대(100)에 결합되고 수평의 바닥면에 세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스탠드 유닛(200)과, 상기 스탠드 유닛(20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를 수평 또는 수직의 고정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벽면 어댑터(300)와, 상기 벽면 어댑터(300)가 고정된 상태로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고정시켜 차량에서도 태블릿(10)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 고정 홀더(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블릿 거치대(100)는,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부 지지부(140)와 하부 지지부(130)를 이용해 안착된 태블릿(10)을 잡아 고정하고, 상부 지지부(140)의 이동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잠금부(150)가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 유닛(200)은, 수평회전 또는 높이조절 또는 상.하.좌.우 회동을 통해 사용자가 태블릿 거치대(100)의 공간상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수평 각도조절되는 다리부(250)를 구비해 필요에 따라 수평의 바닥면에 세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벽면 어댑터(300)는, 스탠드 유닛(200)의 접혀진 다리부(250)가 삽입되는 안착공간(310a)을 가지며, 삽입된 다리부(250)의 이탈을 방지, 즉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차량 고정 홀더(400)는, 벽면 어댑터(300)가 일측에 결합되고, 차량 헤드레스트(20)의 좌측 지지축(21)과 우측 지지축(22)을 각각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가압암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태블릿 거치대(100)와, 스탠드 유닛(200) 그리고 벽면 어댑터(300)와 차량 고정 홀더(400)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공간과 위치에서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 폭을 넓히고 필요에 따라 바닥면, 수직면 또는 수평면, 그리고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태블릿(10)을 손쉽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이성이 극대화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1)를 구성하는, 태블릿 거치대(100)와 스탠드 유닛(200) 그리고 벽면 어댑터(300)와 차량 고정 홀더(400)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2와 도 7(a)(b)(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태블릿 거치대(100)의 구조와 사용상태 동작을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태블릿 거치대(100)는, 사용자가 태블릿(10)을 직접적으로 안착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안착된 태블릿(10)이 이탈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 하부 지지부(130)에 대하여 상부 지지부(140)를 슬라이드 삽입 이동시켜 안착된 태블릿(10)을 가압하여 지지하고, 상부 지지부(14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잠금부(150)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태블릿 거치대(100)는, 크게 본체(110)와, 하부 지지부(130), 상부 지지부(140) 및 잠금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탄성부재(120)를 더 포함해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10)는 전면에 안착면(111)을 형성하고 내부에 한 쌍의 피니언 기어(117)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전면에 태블릿(10)이 안착되는 안착면(111)을 가지는 전방커버(110a)와, 내부에 잠금부(150)가 구비될 공간을 가지며 한 쌍의 피니언 기어(117)를 구비하여 전방커버(110a)의 후방에 결합하는 후방커버(110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지지부(130)는 본체(110)의 하부로 안착면(111)에 안착된 태블릿(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돌출 결합된다.
이때, 하부 지지부(130)는 필요에 따라 상부로 연장된 바 형상으로 후술될 탄성부재(120)를 내부에 포함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132)를 더 구비한다.
가이드 바(132)는 바람직하게 본체(110)의 후방커버(110b) 내부에 결합되며 탄성부재(120)를 지지하고 외부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상부 지지부(140)는, 하부 지지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하부로 연장된 길이를 가지며 피니언 기어(117)와 맞물리는 랙기어(142a)가 형성된 조절바(14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절바(142)는 동일 길이와 형상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사용자가 상부 지지부(140)를 잡아 당기거나 밀면 조절바(142)의 랙기어(142a)와 피니언 기어(117)가 맞물려 조절바(142)는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20)는 일측이 상부 지지부(140)에 고정되고 타측이 하부 지지부(130)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상부 지지부(140)를 항상 잡아당기는 힘을 가해 안착면(111)에 안착된 태블릿(10)을 항상 상부 지지부(140)가 가압하여 태블릿(10)이 외력에 의해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킨다.
탄성부재(120)는 필요한 탄성력에 따라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인장스프링이 이용되며, 짧은 길이의 인장스프링이 사용될 시 그 단부는 가이드 바(132)의 일측에 고정시킨다.
한편, 필요에 따라 안착된 태블릿(10)이 파손되지 않도록 안착면(111)에는 고무재질로 다수개의 안착패드(112)를 더 구비하며, 하부 지지부(130)와 상부 지지부(140)에 결합되어 태블릿(10)을 지지하는 거치판(131, 141)에도 고무재질의 패드(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150)는 안착면(111)에 위치 고정된 태블릿(1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 지지부(140)의 조절바(142)가 외력에도 위치변동되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해 잠금부(150)는, 피니언 기어(117)와 동일 축을 가지는 스퍼기어(151)를 후방 커버(110b) 내측에 구비하고, 힌지회동됨에 따라 스퍼기어(151)의 회전과 멈춤을 제어하여 결국 상부 지지부(140)의 이동을 제어하는 멈춤쇠(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재차 도 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잠금부(150)는, 힌지 결합된 멈춤쇠(152)를 밀어 반대측의 단부가 스퍼기어(151)에 맞물려 끼워지도록 힘을 가하는 압축스프링(153)과, 압축스프링(153)을 지지하도록 본체(110) 구체적으로 후방커버(110b)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지지브래킷(154)과, 멈춤쇠(152)의 연장된 타단을 눌러 멈춤쇠(152)가 스퍼기어(151)와의 맞물림에서 이탈되도록 힌지회동시키는 누름바(155)와, 누름바(155)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본체(110) 구체적으로 후방커버(110b) 외부로 돌출 위치되어 사용자가 누름바(155)의 진퇴를 조작하는 버튼(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재차 도 2와 도 7(a)(b)(c)을 참조하여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1)에 적용되는 태블릿 거치대(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태블릿 거치대(100)의 잠금부(150)는 힌지핀(116)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멈춤쇠(152)의 단부가 피니언 기어(117)와 동일 축을 가지는 스퍼기어(151)에 끼워져 맞물려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상부 지지부(14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최초 멈춤쇠(152)가 압축스프링(153)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힌지회동되어 끝단 단부가 스퍼기어(151)에 끼워진 상태 즉, 잠금상태임을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태블릿(10)을 안착면(111)에 안착시키기 위해 상부 지지부(140)를 들어올려도 상기 상부 지지부(140)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7(a)와 같이, 사용자는 태블릿 거치대(100)에 태블릿(10)을 안착시키기 위해 잠금부(150)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버튼(156)을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고 이때 버튼(156)과 일체형으로 구비된 누름바(155) 또한 버튼의 상부 이동에 따라 함께 상부 방향으로 밀어올려진다.
그리고, 누름바(155)는 멈춤쇠(152)의 하단과 접촉하여 멈춤쇠(152)을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멈춤쇠(152)는 압축스프링(153)의 밀어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힌지회동하게 되고, 멈춤쇠(152)의 단부는 스퍼기어(151)의 기어이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퍼기어(151)는 회전가능한 자유상태가 되고, 이는 잠금부(150)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즉, 상부 지지부(140)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어서, 도 7(b)와 같이, 사용자는 태블릿(10)을 안착면(111)에 안착시키기 위해 상부 지지부(140)를 상부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스퍼기어(151)와 동일축의 피니언 기어(117)와 맞물린 랙기어(142a)를 가지는 조절바(142)는 랙기어(142a)와 피니언 기어(117)의 맞물림에 따라 본체(110)의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상부 지지부(140)는 본체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120)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사용자가 상부 지지부(140)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120)의 힘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태블릿(10)이 안정되게 안착되면 상부 지지부(140)를 놓고 탄성부재(120)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부 지지부(140)의 거치판(141)이 태블릿(10)을 가압하게 한다.
이어서, 도 7(c)와 같이, 태블릿(10)이 안착면(111)에 안착되고 상부 지지부(140)와 하부 지지부(130)가 태블릿(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지지부(140)의 높이조절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버튼(156)을 눌러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이에 따라, 누름바(155) 또한 후퇴 이동하게 되며 멈춤쇠(152)는 압축스프링(153)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회동되고, 멈춤쇠(152)의 연장된 끝단 단부는 스퍼기어(151)에 맞물려 끼워진다.
즉, 스퍼기어(151)는 축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스퍼기어(151)와 동일 축을 가지고 일체형으로 구성된 피니언 기어(117) 또한 회전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117)와 맞물리는 랙기어(142a)를 가지는 조절바(142) 또한 사용자의 외력에도 이동되지 못하고 위치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결국 상부 지지부(140)는 외력에도 이동되지 못하게 되며 안착면(111)에 안착 위치된 태블릿(10)은 외력에도 이탈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어서, 도 1과 함께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1)를 구성하는 스탠드 유닛(200)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유닛(200)은 태블릿 거치대(100)에 결합되며 태블릿 거치대(100)가 수평의 바닥면(3)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세워져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스탠드 유닛(200)은 다수개의 관절부(220)에 의해 각도와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이러한 스탠드 유닛(2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태블릿 거치대(1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210)와, 회전부(210)의 후방에 결합되어 태블릿 거치대(100)의 좌.우 회동 또는 상.하 회동이 가능토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관절부(220)와, 관절부(220)와 힌지회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의 지지부(230)와, 지지부(230)와 힌지회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의 다리부(250)가 수평 힌지회동되어 각도 조절가능토록 결합되는 받침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다리부(250)는, 다단 구조를 가지며 절첩되거나 인입되는 구조로 길이조절된다.
회전부(210)는, 태블릿 거치대(100)의 후방 커버(110b)에 형성된 결합부(115)에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데, 회전 구조에 따라 사용자는 태블릿 거치대(100)를 회전시켜 필요에 따라 안착된 태블릿(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사용자는 태블릿(10)을 가로 또는 세로로 위치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부(210)의 구조는 공지된 기술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관절부(220)와 지지부(230) 또한 태블릿 거치대(100)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 각도 조절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거치된 물품에 대하여 관절부를 이용한 회동 및 위치 조정은 공지된 기술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받침부(240)는 회전부(210)와 관절부(220) 및 지지부(230)를 지지하고 상기 태블릿 거치대(100)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의 다리부(250)가 상기 받침부(240)의 내부에서 힌지회동되어 수평 각도 조절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다리부(250)는 도시에서와 같이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의 관절 힌지 구조에 따라 절첩됨으로 길이조절 되거나 안테나 삽입구조로 내부 중공을 가지는 바에 이웃하는 바가 삽입됨에 따라 길이조절 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술된 다리부(250)와 받침부(240)를 가지는 스탠드 유닛(200)을 이용해 사용자는 수평의 바닥면(3)에 대하여 태블릿 거치대(100)를 안정적으로 세워 사용한다.
이어서,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1)를 구성하는 벽면 어댑터(300)의 구조를 살펴보고 도 8과 도 12를 참조하여 벽면 어댑터(300)의 결합과정과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태블릿 고정장치(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의 고정면(4)에 대하여 태블릿 거치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벽면 어댑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주방의 싱크대 수납장이나 책상의 책장에 태블릿(10)을 고정시켜 사용하고자 할 때, 벽면 어댑터(300)를 해당 위치에 접착부재 또는 결합부재를 이용해 고정하고 이를 이용해 태블릿(10)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벽면 어댑터(300)는, 커버체(320)와 본체(310)의 결합으로 구성되는데, 커버체(320)는 일측면에 스탠드 유닛(200)의 다리부(250)가 삽입되도록 삽입구(321)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310)는 커버체(320)의 내부공간에 결합되고 삽입구(321)를 통해 인입된 다리부(250)를 지지하도록 양측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313)를 가지는 가이드벽(312)과, 다리부(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33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330)는, 본체(310)의 외부로 돌출되고 힌지축(331a)에 힌지 결합된 누름버튼(331)과, 누름버튼(331)의 단부에 힌지 회동에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걸리돌기(332)와, 걸리돌기(332)가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누름버튼(331)을 가압하는 탄성부재(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310)는 일측에 걸림부(330)가 형성되게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지지브라켓(314)을 구비한다.
그리고, 누름버튼(331)은 축홀(314a)에 힌지축(331a)에 의해 힌지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일측은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게 하고 타측은 돌출되게 경사각도를 가져 걸리돌기(332)를 형성한다.
상기 누름버튼(331)은 탄성부재(333)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에 의해 항상 걸리돌기(332)가 본체(310)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외부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누름버튼(331)을 누를 수 있도록 누름버튼(331)이 위치된 본체(310)에 버튼홈부(315)를 더 형성한다.
한편, 상기 스탠드 유닛(200)의 다리부(250)는, 벽면 어댑터(300)에 삽입 시 걸림부(330)를 구성하는 걸리돌기(332)에 대응되는 위치로 걸리돌기(332)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의 걸리홈(25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과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2와 같이 태블릿 거치대(100)가 결합된 상태로 벌려진 스탠드 유닛(200)의 다리부(250)를 수평 회전시킨다.
그리고, 공간상 어느 고정면(4)에 고정된 벽면 어댑터(300)를 접착부재 또는 결합부재를 이용해 고정시키고 상기 다리부(250)를 벽면 어댑터(300)의 삽입구(321)로 슬라이드 삽입시킨다.
이때, 다리부(250)는 가이드벽(312)와 가이드돌기(313)를 따라 삽입되어 지지되며, 완전히 삽입되면 다리부(250)에 형성된 걸리홈(251)에 걸림부(330)의 걸리돌기(332)는 탄성부재(333)의 탄성력에 의해 걸려 위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시 다리부(250)를 빼기 위해 잡아당겨도 다리부(250)는 빠지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걸림부(330)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벽면 어댑터(300)의 구조에서 제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1)는, 벽면 어댑터(300)를 수직 또는 수평의 고정면(4)에 고정하고 스탠드 유닛(200)의 다리부(250)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태블릿(1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과 도 5,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1)를 구성하는 차량 고정 홀더(400)의 구조를 살펴보고, 도 9,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여 차량 고정 홀더(400)의 작동 및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에서도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고정 홀더(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량 고정 홀더(400)는, 조정나사(433)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중앙축부(432)의 일부 부재를 강제적으로 수평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되는 부재와 기어이 맞물림 구조를 가지는 가압암부(420)를 강제적으로 힌지 회동시켜 가압암부(420)가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밀어 고정되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1)는 본체부(410), 가압암부(420), 중앙축부(430) 및 거치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암부(420)는, 본체부(410)에 구비되고, 후단부의 힌지 회동에 따라 전단부가 좌측 지지축(21)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좌측 가압암(420a)과, 후단부의 힌지 회동에 따라 전단부가 우측 지지축(22)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우측 가압암(420b)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압암부(420)의 좌측 가압암(420a)과 우측 가압암(420b)은, 주축부(421)와 상부커버(422) 및 하부커버(423)로 구성된다.
상기 주축부(421)은 후단부에 힌지축(401)이 관통되는 힌지홀(421b)과 피니언기어(421a)를 형성하고, 전단부에 상기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을 감쌀 수 있는 크기의 가압골(421c)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422)는 가압골(421c)을 형성한 주축부(421)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커버(423)은 가압골(421c)을 형성한 주축부(421)의 하부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과 직접 맞닿는 가압암부(420) 부분에는 바람직하게 고무패드(미도시.)를 더 형성하여 미끌어짐을 방지한다.
상기 중앙축부(430)는, 나사 조임에 따라 강제적으로 수평이동되는 부분에 의해 기어이로 맞물린 가압암부(420)를 강제적으로 힌지 회동시키게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본체부(410)에 고정되고 전방에 나사안착홀(431a)이 구비된 전단벽(431b)를 가지는 고정축(431)과, 양측에 랙기어(432a)가 형성되고 고정축(43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며 전방에 나사홀(432b)이 구비된 조임벽(432c)을 가지는 이동축(432)과, 고정축(431)의 나사안착홀(431a)을 관통하면서 이동축(432)의 나사홀(432b)에 나사산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이동축(432)을 강제적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조정나사(433)와, 일단이 고정축(431)에 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축(432)에 핀 고정된 탄성부재(4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조정나사(433)의 나사산 조임 또는 풀림에 따라 이동축(432)은 고정축(431)을 타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수평이동된다.
그리고, 수평이동되는 이동축(432)은 랙기어(432a)에 피니언기어(421a)가 맞물린 가압암부(420)를 강제적으로 힌지축(401)을 중심으로 힌지회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조정나사(433)의 전면에는 드라이버 또는 드릴 비트 등에 의해 사용자의 조정나사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도록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조정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재(440)는 벽면 어댑터(300)의 본체(310)에 구비된 홀더 결합부(311)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스탠드 유닛(200)의 회전부(210)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부재가 이용되는 바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중앙축부(430)에 구비된 탄성부재(444)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동축(432)을 전방으로 잡아당김으로 인해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을 밀어 가압하는 가압암부(420)에 가압력을 더하게 된다.
이는, 랙기어(432a)와 피니언기어(211)가 잦은 동작에 따라 일부 마모되어 손상되었을 때도 이동축(32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차량 고정 홀더(400)가 정상적인 고정동작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이와 같은 가압암부(420)와 중앙축부(430)를 포함하여 보호하면서 이들을 지지하고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410)는, 상부본체(410a)와 하부본체(410b)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본체(410a)와 하부본체(410b)는 내부에 구비된 중앙축부(430) 구체적으로 고정축(431)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축부 지지벽(411)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부본체(410a)와 하부본체(410b)는 가압암부(420)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부본체(410a)와 하부본체(410b)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암 지지벽(41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상.하 축부지지벽(411)과 상.하 암 지지벽(412)은 차량의 흔들림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며 중앙축부(430)와 가압암부(420)를 지지한다.
이어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차량 고정 홀더(4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9의 (a)와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차량 고정 홀더(400)의 사용을 위해 조정나사(433)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사용자가 조정나사(433)를 조이면 조정나사와 나사산 맞물린 나사홀(432b)에 의해 이동축(432)의 조임벽(432c)은 강제로 후방으로 수평이동되고 이에 따라 이동축(432) 전체는 강제적으로 후방으로 수평이동된다.
이에 따라, 좌측 가압암(420a)과 우측 가압암(420b)은 랙기어(421a)와 맞물린 피니언기어(432a)에 의해 힌지축(401)을 중심으로 강제적으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힌지 회동된다.
그리고, 충분히 가압암부(420)가 좁혀지면 사용자는 차량 고정 홀더(400)를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 사이에 밀어넣게 된다.
그리고, 도 10의 (a)와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차량 고정 홀더(4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조정나사(433)를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조정나사와 나사산 맞물린 나사홀(432b)에 의해 이동축(432)의 조임벽(432c)은 강제로 전방으로 수평이동되고 이에 따라 이동축(432) 전체는 강제적으로 전방으로 수평이동된다.
이에 따라, 좌측 가압암(420a)과 우측 가압암(420b)은 랙기어(421a)와 맞물린 피니언기어(432a)에 의해 힌지축(401)을 중심으로 강제적으로 다시 넓혀지는 방향으로 힌지 회동된다.
그리고, 가압암부(420)의 좌측 가압암(420a)은 헤드레스트의 좌측 지지축(21)을 밀어 가압하게 되고, 우측 가압암(420b)은 헤드레스트의 우측 지지축(22)을 밀어 가압하게 되면서 차량 고정 홀더(400)는 지지축(21, 22)을 가압하여 밀면서 사이에 위치고정된다.
이때, 중앙축부(430)에 구비된 탄성부재(444)는 이동축(432)을 고정축(431) 전방으로 잡아당기면서 안정적으로 가압암부(420)가 각각의 지지축(21, 22)을 밀어 가압하는데 힘을 더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차량 고정 홀더(400)를 헤드레스트(20)에 고정할 수 있고, 차량 고정 홀더(400)를 이용해 태블릿(10)을 차량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차량 고정 홀더(400)의 거치부재(44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벽면 어댑터(30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거나, 태블릿 거치대(10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태블릿 거치대(100) 만을 차량 고정 홀더(4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차량 내에서의 필요 위치로 태블릿을 위치시키기 용이하도록 태블릿 거치대(100)와 스탠드 유닛(200)을 포함한 벽면 어댑터(300)를 차량 고정 홀더(4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1)는, 태블릿(10)의 크기에 따라 잠금부(150)를 가지는 태블릿 거치대(100)를 이용해 안정적으로 태블릿(10)을 고정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탠드 유닛(200)을 이용해 바닥면에 대하여 태블릿 거치대(100)를 고정 지지하여 사용하거나, 벽면 어댑터(300)를 이용해 수직 또는 수평의 고정면에 대하여 태블릿 거치대(100)를 고정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차량 고정 홀더(400)를 이용해 차량의 헤드레스트(20)에 대하여 태블릿 거치대(100)를 고정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10 : 태블릿
20 : 헤드레스트 21 : 좌측 지지축
22 : 우측 지지축 100 : 태블릿 거치대
110 : 본체 110a : 전방커버
110b : 후방커버 111 : 안착면
117 : 피니언기어 120 : 탄성부재
130 : 하부 지지부 140 : 상부 지지부
150 : 잠금부 151 : 스퍼기어
152 : 멈춤쇠 153 : 압축스프링
154 : 지지브라켓 155 : 누름바
156 : 버튼 200 : 스탠드 유닛
210 : 회전부 220 : 관절부
230 : 지지부 240 : 받침부
250 : 다리부 251 : 걸리홈
300 : 벽면어댑터 310 : 본체
320 : 커버체 330 : 걸림부
331 : 누름버튼 332 : 걸리돌기
333 : 탄성부재 400 : 차량 고정 홀더
410 : 본체부 420 : 가압암부
420a : 좌측 가압암 420b : 우측 가압암
430 : 중앙축부 431 : 고정축
432 : 이동축 433 : 조정나사
444 : 탄성부재

Claims (15)

  1.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부 지지부(140)와 하부 지지부(130)를 이용해 안착된 태블릿(10)을 잡아 고정하고, 상기 상부 지지부(140)의 이동을 제어하는 잠금부(150)가 내부에 구비된 태블릿 거치대(100)와; 수평회전 또는 높이조절 또는 상.하.좌.우 회동을 통해 상기 태블릿 거치대(100)의 공간상 위치를 조절하고, 수평 각도조절되는 다리부(250)를 구비한 스탠드 유닛(200)과; 상기 스탠드 유닛(200)의 접혀진 다리부(250)가 삽입되는 안착공간(310a)을 가지며, 삽입된 상기 다리부(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330)를 구비한 벽면 어댑터(300)를 포함하되;
    상기 벽면 어댑터(300)는,
    상기 스탠드 유닛(200)의 다리부(250)가 삽입되는 삽입구(321)를 형성한 커버체(320)와; 상기 커버체(320)의 내부공간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구(321)를 통해 인입된 상기 다리부(250)를 지지하도록 양측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313)를 가지는 가이드벽(312)과; 일측에 상기 걸림부(330)를 구비한 본체(310)의 결합으로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330)는,
    상기 본체(310)의 외부로 돌출되고 힌지축(331a)에 힌지 결합된 누름버튼(331)과, 상기 누름버튼(331)의 단부에 힌지 회동에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걸리돌기(332)와, 상기 걸리돌기(332)가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누름버튼(331)을 가압하는 탄성부재(33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어댑터(300)가 일측에 결합되고, 차량 헤드레스트(20)의 좌측 지지축(21)과 우측 지지축(22)을 각각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가압암부(420)를 구비한 차량 고정 홀더(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블릿 거치대(100)는,
    전면에 안착면(111)을 형성하고 내부에 한 쌍의 피니언 기어(117)를 구비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상기 안착면(111)에 안착된 태블릿(10)을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돌출 결합된 하부 지지부(130)와,
    상기 하부 지지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되, 하부로 연장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피니언 기어(117)와 맞물리는 랙기어(142a)가 형성된 한 쌍의 조절바(142)를 구비하여 상.하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부 지지부(140)와,
    상기 피니언 기어(117)와 동일 축을 가지는 스퍼기어(151)와, 힌지회동됨에 따라 상기 스퍼기어(151)의 회전과 멈춤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140)의 이동을 제어하는 멈춤쇠(152)로 구성된 상기 잠금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상부 지지부(14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 지지부(130)에 고정된 탄성부재(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50)는,
    힌지 결합된 상기 멈춤쇠(152)를 밀어 반대측의 단부가 상기 스퍼기어(151)에 맞물려 끼워지도록 힘을 가하는 압축스프링(153)과,
    상기 압축스프링(153)을 지지하도록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지지브래킷(154)과,
    상기 멈춤쇠(152)의 연장된 타단을 눌러 멈춤쇠(152)가 스퍼기어(151)와의 맞물림에서 이탈되도록 힌지회동시키는 누름바(155)와,
    상기 누름바(155)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본체(110) 외부로 돌출위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누름바(155)의 진퇴를 조작하는 버튼(1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유닛(200)은,
    상기 태블릿 거치대(1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210)와,
    상기 회전부(2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태블릿 거치대(100)의 좌.우 회동 또는 상.하 회동이 가능토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관절부(220)와,
    상기 관절부(220)와 힌지회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의 지지부(230)와,
    상기 지지부(230)와 힌지회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의 상기 다리부(250)가 수평 힌지회동되어 각도 조절가능토록 결합되는 받침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250)는,
    다단 구조를 가지며 절첩되거나 인입되어 길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유닛(200)의 다리부(250)는,
    상기 걸림부(330)의 걸리돌기(332)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걸리돌기(332)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의 걸리홈(251)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고정 홀더(400)는,
    본체부(410)와,
    상기 본체부(410)에 구비되고, 후단부의 힌지 회동에 따라 전단부가 상기 좌측 지지축(21)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좌측 가압암(420a)과, 후단부의 힌지 회동에 따라 전단부가 상기 우측 지지축(22)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우측 가압암(420b)으로 구성된 가압암부(420)와,
    나사 조임에 따라 강제적으로 수평이동되는 부분에 의해 기어이로 맞물린 상기 가압암부(420)를 강제적으로 힌지 회동시키는 중앙축부(430)와,
    상기 본체부(410) 또는 중앙축부(430)의 일측에 상기 벽면 어댑터(300)가 수평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거치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축부(430)는,
    상기 본체부(410)에 고정되고 전방에 나사안착홀(431a)이 구비된 전단벽(431b)를 가지는 고정축(431)과,
    양측에 랙기어(432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43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며 전방에 나사홀(432b)이 구비된 조임벽(432c)을 가지는 이동축(432)과,
    상기 고정축(431)의 나사안착홀(431a)을 관통하면서 상기 이동축(432)의 나사홀(432b)에 나사산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이동축(432)을 강제적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조정나사(433)와,
    일단이 상기 고정축(431)에 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축(432)에 핀 고정된 탄성부재(4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암부(420)의 좌측 가압암(420a)과 우측 가압암(420b)은,
    후단부에 힌지축(401)이 관통되는 힌지홀(421b)과 피니언기어(421a)를 형성하고, 전단부에 상기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을 감쌀 수 있는 크기의 가압골(421c)을 형성한 주축부(421)와,
    상기 가압골(421c)을 형성한 주축부(421)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커버(422)와,
    상기 가압골(421c)을 형성한 주축부(421)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커버(4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410)는,
    상부본체(410a)와 하부본체(410b)의 결합으로 구성되되,
    상기 중앙축부(430)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본체(410a)와 하부본체(410b)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축부 지지벽(411)과,
    상기 가압암부(420)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본체(410a)와 하부본체(410b)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암 지지벽(4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KR1020160157913A 2016-11-25 2016-11-25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KR101875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13A KR101875202B1 (ko) 2016-11-25 2016-11-25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13A KR101875202B1 (ko) 2016-11-25 2016-11-25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45A KR20180058945A (ko) 2018-06-04
KR101875202B1 true KR101875202B1 (ko) 2018-07-05

Family

ID=6262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13A KR101875202B1 (ko) 2016-11-25 2016-11-25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2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353A (ko) * 2021-10-06 2023-04-13 주식회사 비오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WO2023224249A1 (ko) * 2022-05-17 2023-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33Y1 (ko) * 2018-11-12 2020-06-12 주식회사 라미인터내셔널 휴대폰 및 카메라 겸용 거치대
KR102148263B1 (ko) * 2019-01-15 2020-08-26 고영국 범용 고정 장치
KR102579216B1 (ko) * 2023-07-04 2023-09-15 주식회사 노리앤드 Rfid 판독기 및 이를 포함하는 rfid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620A (ja) * 2007-04-06 2008-10-23 Seiwa:Kk 車載用モニタの取付装置
US20140097306A1 (en) * 2012-03-24 2014-04-10 Daymen Us, Inc. Adjustable Mounting Clip And System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391B1 (ko) * 2007-07-02 2008-09-04 황병화 차량용 거치대
KR101321016B1 (ko) 2011-09-07 2013-10-23 주식회사 디엔피코리아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KR101429394B1 (ko) 2013-03-11 2014-08-12 박수진 모바일 기기용 스탠드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620A (ja) * 2007-04-06 2008-10-23 Seiwa:Kk 車載用モニタの取付装置
US20140097306A1 (en) * 2012-03-24 2014-04-10 Daymen Us, Inc. Adjustable Mounting Clip And System Us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353A (ko) * 2021-10-06 2023-04-13 주식회사 비오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KR102561157B1 (ko) * 2021-10-06 2023-07-28 주식회사 비오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WO2023224249A1 (ko) * 2022-05-17 2023-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45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202B1 (ko)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US7540466B2 (en) Adjustable stand for electronic devices
US9145158B2 (en) Tablet computer holder
CN105691315B (zh) 将电子设备夹持装置连接到座椅结构的附接装置
US9844278B2 (en) Joint mechanism and child high chair thereof
US20110079688A1 (en) Folding TV stand assembly
US9642473B2 (en) Baby rocking bed with multiple functions
TWI524025B (zh) Folding and adjustment of the photographic support structure
CN102455754A (zh) 硬盘支架
US9759372B2 (en) Tablet computer support
KR101381608B1 (ko) 다기능 거치대
WO2015132565A1 (en) Mobile device stand
CN212251923U (zh) 带有副手柄的拍摄设备支架
JP2020043527A (ja) モニターアーム
KR101715473B1 (ko) 접이식 선반받침대
KR101321014B1 (ko) 휴대용 태블릿 pc 거치대
US8939506B2 (en) Carrier for infant car seat
CN113781987B (zh) 乐器和乐谱架
US20110037297A1 (en) Baby High Chair
GB2496225A (en) A stroller with a folding and rotatable seat
KR101860530B1 (ko)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KR101203668B1 (ko) 스마트폰 받침대
EP2684489A1 (en) Holder for a computer
GB2474422A (en) Foldable high chair
US20120055889A1 (en) Rack Assembly that can be Folded Parti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