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157B1 - 차량 내부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내부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157B1
KR102561157B1 KR1020210132392A KR20210132392A KR102561157B1 KR 102561157 B1 KR102561157 B1 KR 102561157B1 KR 1020210132392 A KR1020210132392 A KR 1020210132392A KR 20210132392 A KR20210132392 A KR 20210132392A KR 102561157 B1 KR102561157 B1 KR 102561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d
light
unit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9353A (ko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오코
Priority to KR102021013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1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살균하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와 연결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광을 발생시켜 차량 내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살균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살균부의 회전범위는 탑승자 탑승 여부에 따라 회전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부 살균 장치{Sterilizing apparatus for vehicle indoor}
본 발명은 차량 내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용시간에 증가함에 따라 곰팡, 세균 등의 유해균이 번식할 수 있다. 유해균에 의해 차량 내부에서는 냄새가 난다. 특히 장마철 차량 내부의 세균, 곰팡이 양이 크게 증가, 불쾌한 냄새를 발하며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흡연을 할 경우 차량 내부의 공기는 매우 나빠지게 된다.
최근에는 코로나와 같은 유행성 바이러스들도 발생하고 있어 차량 내부의 사람이 타고 있을 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유해균 사멸 및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정화 장치는 차량 내부의 컵 홀더, 에어컨 유출구 등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성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유해균 사멸을 위해 오존이 차량의 내부 및 인체에 직접적으로 방사되면서 인체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7397호 (2019.06.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8476호 (2020.01.15.)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유해균 사멸 효율을 높이고 설치성을 높인 차량 내부 살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학 렌즈 사용으로 살균 효과를 높인 차량 내부 살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체 유해성이 없는 광원 사용으로 특정 사물이 아닌 차량 내부 공간을 살균하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살균 장치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내부를 살균하는 것으로, 설치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와 연결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광을 발생시켜 차량 내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살균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살균부의 회전범위는 탑승자 탑승 여부에 따라 회전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램프가 설치된 광모듈, 상기 광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에서 발생된 광이 직선의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하는 렌즈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는 315㎚ 내지 400㎚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UV-A LED(Ultraviolet-A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광모듈과 접하며 상기 램프가 수용된 램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모듈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입광부, 상기 입광부의 타측과 결합되어 있으며 평면으로 형성된 배광면 및 상기 배광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광모듈과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홈의 바닥은 볼록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원동치차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부재, 그리고 상기 광모듈과 결합되어 상기 원동치차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치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부재, 그리고 상기 살균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부재와 분리가능 하게 결합되어 있는 하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의 광은 상기 하부부재를 통해 차량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투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몸체, 상기 몸체에서 돌출된 제1 로드,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제1 로드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동할 수 있는 제2 로드,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몸체에서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연결하여 상기 제2 로드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2 로드가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상기 몸체의 내부 둘레는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여 경사져 있으며, 상기 내부 둘레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로드의 외부 둘레와 접하는 지지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라인은 상기 몸체의 내부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 대상물과 접할 수 있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외부 둘레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부 살균 장치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차량 주행, 탑승자 탑승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살균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가속도센서, 근접센서 및 충격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신호로 탑승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고 탑승자 탑승 여부에 따라 상기 살균부의 회전 범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의 회전 범위는 90° 내지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15㎚ 내지 400㎚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므로 인체에 유해성이 없어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도 차량 내부 살균이 가능하여 사용자 사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에 의해 집광의 형태로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더욱이 구동부에 의해 광모듈과 렌즈부의 회전으로 자외선 조사 범위가 확장되어 살균 면적이 최적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는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산란을 막과 집광시키므로 살균 효과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부 살균 장치가 프론트 시트의 스테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외선이 차량 내부 바닥과 리어시트에 조사되면서 내부 바닥, 리어시트 전체를 살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살균 장치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차량 내부 살균 장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하부부재와 투광부재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살균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2를 Ⅷ-Ⅷ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9는 도 3의 장착부 분해 사시도.
도 10는 도 3의 장착부를 Ⅹ-Ⅹ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제2 로드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도 3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도 8의 렌즈부에 의해 자외선이 직선 방향으로 집중되는 상태를 레이어 형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살균 장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탑승자가 미탑승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살균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살균 장치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 내부 살균 장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하부부재와 투광부재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살균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를 Ⅷ-Ⅷ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3의 장착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는 도 3의 장착부를 Ⅹ-Ⅹ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제2 로드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도 3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살균 장치(100)는 장착부(10), 하우징(20), 살균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며 차량 내부의 유해균 사멸 효율을 높이고 설치성을 높인다. 그리고 광학렌즈 사용으로 살균 효과를 높인다.
장착부(10)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100)를 차량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장착부(10)는 차량 시트의 헤드레스트(1)에서 돌출되어 등받이에 장착되는 스테이(1a)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장착부(10)는 차량 내부의 손잡이, 룸미러, 선바이저, 송풍구, 컵 홀더, 대시보드, 콘솔박스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하우징(20)은 차량 내부 살균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20)의 형상은 차량 내부 살균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장착부(10)와 연결되어 있다.
살균부(30)는 하우징(20)의 내부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살균부(30)에서는 자외선이 발생할 수 있다. 자외선은 하우징(20)을 투과하여 차량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차량 내부 유해균은 자외선에 의해 사멸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살균부(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차량의 움직임, 탑승자 탑승여부 등을 판단하고 살균부(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탑승자 탑승여부에 따라 자외선 조사범위를 달리할 수 있다.
도면 도 4 및 도 5를 더 참고하여 하우징(20)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20)은 상부부재(21), 하부부재(22) 및 투광부재(23)를 포함한다.
상부부재(21)와 하부부재(22)는 서로 접하고 있으며 장착부(10)의 일부분이 상부부재(21)와 하부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부부재(21)와 하부부재(22)의 중앙 부분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그 사이에 살균부(30)가 위치하는 설치공간(20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부재(21)와 하부부재(22)의 가장자리는 서로 접하고 있다. 상부부재(21)의 가장자리에는 조립홈(21a)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조립홈(21a)과 대응하는 하부부재(22)의 가장자리에는 조립홈(21a)에 걸리는 조립돌기(22a)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돌기(22a)가 조립홈(21a)에 걸리면서 상부부재(21)와 하부부재(2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서로 결합된 상부부재(21)와 하부부재(22)의 양단에는 캡(24)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캡(24)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부재(21)와 하부부재(22)의 사이로 삽입되어 회전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캡(24)의 일부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341)가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부재(21)와 하부부재(22)의 양단 내부에는 캡(24)의 회전으로 가이드돌기(341)가 걸리는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부재(2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샤프트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홀(211)은 상부부재(21)의 길이 방향과 하부부재(22)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하부부재(22)의 외부 둘레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배치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배치홈(221)에는 하부부재(22)를 상하 관통한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배치홈(221)의 가장자리에는 간격을 두고 조립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투광부재(23)는 배치홈(221)에 배치되어 있으며 넓이는 관통홀(222)이 이루고 있는 면적보다 켜 관통홀(222)을 차단하고 있다. 투광부재(23)의 두께 치수는 배치홈(221)의 함몰된 깊이 치수와 같아 투광부재(23)는 하부부재(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조립홈(22b)과 대응하는 투광부재(23)의 가장자리에는 조립돌기(23a)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돌기(23a)는 조립홈(22b)에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투광부재(23)는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투광부재(23)는 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투광부재(23)는 불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광부재(23)는 살균부(30)에서 발생한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하여 차량 내부로 출력할 수 있다.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는 투광부재(23)의 구성에 대해서는 면조명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투광부재(23)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부재(22)가 살균부(30)에서 발생한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하여 차량 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차량 내부 살균 장치(100)의 외부에서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이 보이지 않도록 하부부재(22)는 자외선을 투과하되 불투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 도 6 내지 도 8을 더 참고하여 살균부(30)에 대해 설명한다.
살균부(30)는 광모듈(31), 렌즈부(32) 및 구동부(33)를 포함한다.
광모듈(31)은 베이스(311), 샤프트(312) 및 램프(314)를 포함하며 차량 내부 살균을 위한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베이스(311)는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면(311a)을 갖는다. 장착면(311a)은 관통홀(222)을 통해 투광부재(23)와 마주하고 있다. 샤프트(312)는 베이스(311)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샤프트홀(211)에 삽입되어 있다. 샤프트(312)의 단부는 샤프트홀(211)을 관통하여 캡(24)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부재(22)의 방향으로 개방된 샤프트홀(211) 부분에는 샤프트(312)가 샤프트홀(21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샤프트(312)를 지지하는 지지대(313)(도면 도 3 참조)가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312)의 외부 둘레는 샤프트홀(211)의 둘레와 면접촉하고 있으며 샤프트홀(2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램프(314)는 장착면(311a)에 장착되어 있다. 램프(3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램프(314)는 장착면(311a)에서 베이스(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결합되어 있다. 램프(314)는 UV-A LED(Ultraviolet-A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이에 램프(314)에서는 315㎚ 내지 400㎚ 파장의 자외선이 발생할 수 있다. 자외선은 투광부재(23)를 투과하여 차량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투광부재(23)에 의해 자외선은 점광원 형태가 아닌 면광원 형태로 조사될 수 있다.
렌즈부(32)는 입광부(321), 배광면(323) 및 결합부(324)를 포함하며 장착면(311a)에 배치되어 램프(314)에서 발생한 광인 자외선을 직선의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한다.
입광부(321)에는 램프(314)가 수용되는 램프홈(321a)이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입광부(321)는 램프(314) 마다 배치되어 있다. 입광부(321)의 외부 둘레는 베이스(311)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한다. 입광부(321)의 외부 둘레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평면들이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램프홈(321a)은 입광부(321)의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램프홈(321a)은 입광부(321)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80° 내지 90° 각도로 경사져 있다. 램프홈(321a)은 개방된 일측에서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진다. 램프홈(321a)의 바닥에는 볼록렌즈(322)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렌즈(322)는 평면복록렌즈 구조를 갖는다. 볼록렌즈(322)의 복록부분은 램프(314)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광면(323)은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입광부(321)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다. 배광면(323)은 투광부재(23)와 마주하고 있다. 배광면(323)은 입광부(3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램프(314)에서 발생한 광인 자외선은 볼록렌즈(322)에 산란되지 않고 집광되면서 투광부재(23)를 투과하여 차량 내부에 조사될 수 있다.
결합부(324)는 기둥부재(324a)와 체결수단(324b)을 포함하며 렌즈부(32)를 광모듈(31)과 연결하여 렌즈부(32)와 광모듈(3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기둥부재(324a)는 배광면(323)의 가장자리에서 베이스(311)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장착면(311a)과 접하고 있다. 장착면(311a)에는 기둥부재(324a)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재(324a)는 배광면(323)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체결수단(324b)은 베이스(311)를 관통하여 기둥부재(324a)에 체결되어 있다. 체결수단(324b)에 의해 기둥부재(324a)의 단부는 장착면(311a)에 형성된 삽입홈의 바닥과 접하며 입광부(321)는 장착면(311a)에 밀착될 수 있다.
렌즈부(32)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동부(33)는 구동부재(331), 그리고 종동치차(333)를 포함하며 광모듈(31)을 회전시켜 자외선의 조사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구동부재(331)는 상부부재(21)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다. 구동부재(331)는 공급되는 에너지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하는 모터이다. 모터는 정회전 및 역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재(331)의 구동축에는 원동치차(332)가 결합되어 있다. 구동부재(331)는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제어부(40)의 제어로 구동할 수 있다.
종동치차(333)는 광모듈(31)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에 형성된 치차는 원동치차(332)와 치합되어 있다.
구동부재(331)의 회전력이 원동치차(332)와 종동치차(333)를 통해 광모듈(31)에 전달되면 광모듈(31)은 샤프트(312)의 지지로 설치공간(20a)에서 회전할 수 있다. 광모듈(31)의 회전 범위는 90° 내지 100°일 수 있다. 광모듈(31)의 회전 범위를 90° 미만으로 형성하면 살균 범위가 협소하여 살균효과를 높일 수 없으며 100° 초과하여 형성하면 렌즈부(32)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투광부재(23)의 범위를 벗어나면서 차량 내부로 조사되지 못하여 살균효과를 높일 수 없다.
도면 도 9 내지 도 11을 더 참고하여 장착부(10)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부(10)는 몸체(11), 제1 로드(12), 제2 로드(13), 탄성부재(14) 및 조절부재(15)를 포함한다.
몸체(11)는 하우징(20)과 결합되는 결합부(111)와 제1 로드(12) 및 제2 로드(13)가 연결된 연결부(112)를 포함한다.
결합부(111)는 연결부(112)의 일측과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다. 결합부(111)의 외부 둘레에는 하우징(20)에 형성된 걸림홈(20b)에 걸리는 걸림플랜지(111a)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11)는 상부부재(21)에 체결되는 체결수단(111b)에 의해 상부부재(21)와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11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슬라이드홈(112a)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홈(112a)을 형성하고 있는 몸체(11)의 내부 둘레는 일측에서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여 경사져 있다. 몸체(11)의 내부 둘레에는 연결부(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라인(113)이 돌출되어 있다. 지지라인(113)은 몸체(11)의 내부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1 로드(12)는 연결부(112)와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112)는 제1 로드(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제1 로드(12)의 끝은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다.
제2 로드(13)는 제1 부재(131)와 제2 부재(132)를 포함한다.
제1 부재(131)는 슬라이드홈(112a)의 내부로 삽입되어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1 부재(131)의 외부 둘레는 지지라인(113)과 접하고 있다. 배열된 지지라인(113)과 제1 부재(131)의 접촉면적 최소화로 마찰이 감소하여 제1 부재(131)의 이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2 부재(132)는 제1 부재(1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제2 부재(132)의 길이는 제1 부재(131)의 길이 보다 짧다. 제2 부재(132)는 제1 부재(131)와 별도로 제1 부재(131)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제2 부재(132)의 끝은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다.
탄성부재(14)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몸체(11)의 내부인 슬라이드홈(112a)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14)의 일측은 제2 부재(132)의 측면과 접하고 있으며 타측은 슬라이드홈(112a)의 내부 측면과 접하고 있다. 탄성부재(14)는 제2 부재(132)가 제1 부재(131)의 내부에서 연결부(1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조절부재(15)는 볼트(151), 제1 너트(152) 및 제2 너트(153)를 포함하며 제1 로드(12)와 제2 로드(13)를 연결하여 제2 로드(13)의 이동 범위를 한정한다.
볼트(151)는 제2 부재(132)의 내부에서 슬라이드홈(112a)으로 삽입되어 연결부(112)의 내부 측면과 제1 로드(12)를 관통하고 있다. 볼트(151)의 머리부분은 제2 부재(132)의내부에 걸려 있다. 제2 부재(132)는 볼트(151)의 길이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볼트(151)의 머리부분에 걸려 있다. 이에 제2 로드(13)는 제1 로드(12)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제1 너트(152)는 제1 로드(12)에 결합되어 볼트(151)와 체결되어 있다. 제1 로드(12)에는 제1 너트(152)가 위치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제1 너트(152)를 고정하고 있다.
제2 너트(153)는 슬라이드홈(112a)에 위치하여 볼트(151)에 체결되어 있으며 슬라이드홈(112a)의 내부 측면과 접하고 있다. 제1 너트(152)와 제2 너트(153)에 의해 연결부(112)와 제1 로드(12)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장착부(10)는 완충부재(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16)는 제1 로드(12)와 제2 부재(132)의 함몰홈에 배치되어 있다. 함몰홈에는 복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완충부재(16)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워지면서 완충부재(16)는 함몰홈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완충부재(16)는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완충부재(16)는 설치 대상물의 표면에 밀착되어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장착부(10)의 제1 로드(12)와 제2 로드(13)는 헤드레스트의 스테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완충부재(16)가 스테이와 접하고 있다. 탄성부재(14)가 제2 부재(132)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어 장착부(10)는 스테이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20)에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차량 내부 살균 장치는 접착층에 의해 설치 대상물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10)의 구조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면 도 12를 더 참고하여 제어부(40)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40)는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부를 포함하며 회로부에는 살균부(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계되어 있다. 회로부에는 차량 주행, 탑승자 접근, 탑승자 승하차를 판단하기 위한 가속도센서, 근접센서 및 충격센서가 연결되어 있다. 회로부는 하우징(20)의 일측에 배치된 전원버튼과 연결되어 있다. 회로부는 살균부(30)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터치센서와 연결되어 있다. 터치스위치는 하우징(20)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부는 차량 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음은 도면 도 13 및 도 14를 더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차량 내부 살균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8의 렌즈부에 의해 자외선이 직선 방향으로 집중되는 상태를 레이어 형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살균 장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탑승자가 미탑승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장착부(10)의 제2 로드(13)를 제1 로드(12)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몸체(11)의 내부로 삽입시켜 장착부(10)의 길이를 축소한 상태에서 프론트 시트의 스테이(1a) 사이에 위치시킨다. 제2 로드(13)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4)의 탄성력에 의해 제2 로드(13)는 몸체(11)에서 인출되며 제1 로드(12)의 제2 로드(13)의 단부는 스테이(1a)에 밀착된다. 이때 완충부재(16)에 의해 장착부(10)는 스테이(1a)에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장착부(10)가 스테이(1a)에 장착된 상태에서 투광부재(23)는 차량 내부 바닥과 리어시트의 시트를 향한다. 회로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살균부는 작동 대기 상태가 된다. 구동부(33)의 작동으로 광모듈(31)과 렌즈부(32)는 하우징(20) 내부에서 샤프트(312)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구동부재(331)가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광모듈(31)과 렌즈부(32)는 종동치차(333)의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한다. 회전 범위는 90° 내지 100°일 수 있다.
살균부(30)의 램프(314) 작동으로 발생한 자외선은 렌즈부(32) 및 투광부재(23)를 통과하여 차량 내부로 조사된다. 자외선은 차량 내부의 유해균을 사멸시킨다.
이때 자외선은 도면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32)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 이에 315㎚ 내지 400㎚ 파장의 자외선 살균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가속도센서를 통해 차량 운행이 정지한 것으로 인식한 상태에서 충격센서를 통해 차량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감지하며 근접센서의 신호에 의해 탑승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살균부(30) 작동 중 탑승자 탑승을 감지하며 살균부(30)의 작동은 멈추고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기설정된 경과 후 살균부(30) 및 구동부(33)는 작동할 수 있다. 탑승자가 탑승한 경우 제어부(40)는 구동부(33)를 제어하여 광모듈(31)과 렌즈부(32)의 회전 범위를 90° 미만으로 하여 조사되는 자외선을 리어시트의 시트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도면 도 14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이 탑승자의 가슴위로 조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차량 내부 공간과 탑승자의 의류 등이 살균될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이 315㎚ 내지 400㎚ 이므로 인체에 무해하다.
그리고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경우 자외선은 리어시트의 시트 표면에 직접 조사되어 시트 표면을 살균할 수 있다. 이때 광모듈(31)과 렌즈부(32)의 회전 범위가 90°를 초과할 수 있다. 이에 탑승자의 탑승 여부에 따라 자외선 조사 범위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살균부(30)는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하여 차량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315㎚ 내지 400㎚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므로 인체에 유해성이 없어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도 차량 내부 살균이 가능하여 사용자 사용성이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315㎚ 내지 400㎚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므로 차량 내부 인테리어 소재의 내구성을 파괴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315㎚ 내지 400㎚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므로 은폐되지 않은 공간 살균이 가능하여 차량 내부 살균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32)에 의해 집광의 형태로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더욱이 구동부(33)에 의해 광모듈(31)과 렌즈부(32)의 회전으로 자외선 조사 범위가 확장되어 살균 면적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32)는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산란을 막과 집광시키므로 살균 효과가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부 살균 장치가 프론트 시트의 스테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외선이 차량 내부 바닥과 리어시트에 조사되면서 내부 바닥, 리어시트 전체를 살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헤드레스트 1a: 스테이
100: 차량 내부 살균 장치
10: 장착부 11: 몸체
111: 결합부 111a: 걸림플랜지
111b: 체결수단 112: 연결부
112a: 슬라이드홈 113: 지지라인
12: 제1 로드 13: 제2 로드
131: 제1 부재 132: 제2 부재
14: 탄성부재 15: 조절부재
151: 볼트 152: 제1 너트
153: 제2 너트 16: 완충부재
20: 하우징 20a: 설치공간
20b: 걸림홈 21: 상부부재
211: 샤프트홀 22: 하부부재
221: 배치홈 222: 관통홀
21a, 22b: 조립홈 22a, 23a: 조립돌기
23: 투광부재 24: 캡
341: 가이드돌기 30: 살균부
31: 광모듈 311: 베이스
311a: 장착면 312: 샤프트
313: 지지대 314: 램프
32: 렌즈부 321: 입광부
321a: 램프홈 322: 볼록렌즈
323: 배광면 324: 결합부
324a: 기둥부재 324b: 체결수단
33: 구동부 331: 구동부재
332: 원동치차 333: 종동치차
40: 제어부

Claims (15)

  1.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내부를 살균하는 것으로,
    직선 이동으로 설치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와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광을 발생시켜 차량 내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살균부 및
    가속도센서, 근접센서 및 충격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차량 주행, 탑승자 탑승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살균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315㎚ 내지 400㎚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UV-A LED(Ultraviolet-A Light Emitting Diode)램프가 설치된 광모듈,
    상기 광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UV-A LED 램프에서 발생된 광이 직선의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하는 렌즈부 및
    원동치차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부재, 그리고 상기 광모듈과 결합되어 상기 원동치차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치차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상기 광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신호로 탑승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고 탑승자 탑승 여부에 따라 상기 살균부의 회전 범위를 설정하여 자외선 조사범위를 달리하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광모듈과 접하며 상기 UV-A LED 램프가 수용된 램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모듈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입광부,
    상기 입광부의 타측과 결합되어 있으며 평면으로 형성된 배광면 및
    상기 배광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광모듈과 결합된 결합부
    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램프홈의 바닥은 볼록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렌즈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만들어진 차량 내부 살균 장치.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부재, 그리고
    상기 살균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부재와 분리가능 하게 결합되어 있는 하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의 광은 상기 하부부재를 통해 차량 내부로 조사될 수 있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하부부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투광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에서 돌출된 제1 로드,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제1 로드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직선 이동할 수 있는 제2 로드,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몸체에서 인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연결하여 상기 제2 로드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조절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로드는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직선 이동할 수 있는 제1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재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제2 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2 로드가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상기 몸체의 내부 둘레는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여 경사져 있으며, 상기 내부 둘레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로드의 외부 둘레와 접하는 지지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라인은 상기 몸체의 내부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 대상물과 접할 수 있는 완충부재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13. 제10항에서,
    상기 몸체의 외부 둘레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 내부 살균 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서,
    상기 살균부의 회전 범위는 90° 내지 100°인 차량 내부 살균 장치.
KR1020210132392A 2021-10-06 2021-10-06 차량 내부 살균 장치 KR102561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92A KR102561157B1 (ko) 2021-10-06 2021-10-06 차량 내부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92A KR102561157B1 (ko) 2021-10-06 2021-10-06 차량 내부 살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53A KR20230049353A (ko) 2023-04-13
KR102561157B1 true KR102561157B1 (ko) 2023-07-28

Family

ID=8597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392A KR102561157B1 (ko) 2021-10-06 2021-10-06 차량 내부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1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473B1 (ko) * 2010-05-20 2010-12-06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장치
KR101241660B1 (ko) * 2011-08-23 2013-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실내 램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및 조명 방법
KR101875202B1 (ko) * 2016-11-25 2018-07-05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CN212308474U (zh) * 2020-04-03 2021-01-08 深圳市标润盛源实业有限公司 一种旋转隐藏式照明杀菌灯
CN212439461U (zh) * 2020-08-28 2021-02-02 厦门大白科技有限公司 一种紫外线杀菌消毒灯
KR102221824B1 (ko) * 2020-12-01 2021-03-02 탁은주 근접 센서를 구비하는 소독제 자동 분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729A (ko) *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987397B1 (ko) 2017-04-20 2019-09-30 에이치디에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바이오 살균 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KR102068476B1 (ko) 2018-02-19 2020-02-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용 공기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473B1 (ko) * 2010-05-20 2010-12-06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장치
KR101241660B1 (ko) * 2011-08-23 2013-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실내 램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및 조명 방법
KR101875202B1 (ko) * 2016-11-25 2018-07-05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CN212308474U (zh) * 2020-04-03 2021-01-08 深圳市标润盛源实业有限公司 一种旋转隐藏式照明杀菌灯
CN212439461U (zh) * 2020-08-28 2021-02-02 厦门大白科技有限公司 一种紫外线杀菌消毒灯
KR102221824B1 (ko) * 2020-12-01 2021-03-02 탁은주 근접 센서를 구비하는 소독제 자동 분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53A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4132A1 (en) Sterilizable lamp assembly of vehicle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1020499B2 (en) Disinf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using ultraviolet radiation
JP2012254673A (ja) 車両用室内灯
KR20070097897A (ko) 차량용 손잡이
KR20180056928A (ko) 차량용 룸램프 유닛 및 그 제어방법
KR102561157B1 (ko) 차량 내부 살균 장치
KR200400220Y1 (ko) 살균 기능을 가진 조명장치
JP2017109534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CN113752792A (zh) 车辆消毒系统
CN113968125A (zh) 用于车辆内部的消毒的方法和系统
CN211551313U (zh) 车内氛围灯及其导光结构
US202400169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ly irradicating pathogens
CN112297779A (zh) 集成于车辆中的灭菌灯模块及车辆
KR0178167B1 (ko) 차실의 자외선 살균장치
CN210454406U (zh) 集成于车辆中的灭菌灯模块及车辆
KR20210124848A (ko) 자동차용 실내 항균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08450B1 (ko) Uv-led를 이용한 차량 내부 살균장치
KR20220023860A (ko) 살균 기능이 있는 면조명 장치
CN212593129U (zh) 球形门把手紫外线杀菌灯
CN215875607U (zh) 可显示紫外光杀菌范围之装置
US20220226521A1 (en) Vehicle Surfaces Sterilization Equipment
KR102567852B1 (ko) 차량 시트용 led 광촉매 살균장치
CN113181383A (zh) 可显示紫外光杀菌范围之装置
US20220184254A1 (en) Ultraviolet Light Sanitizer
CN215717974U (zh) 把手组件及无人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