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530B1 -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 Google Patents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530B1
KR101860530B1 KR1020160127665A KR20160127665A KR101860530B1 KR 101860530 B1 KR101860530 B1 KR 101860530B1 KR 1020160127665 A KR1020160127665 A KR 1020160127665A KR 20160127665 A KR20160127665 A KR 20160127665A KR 101860530 B1 KR101860530 B1 KR 101860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reading
receiving groove
hinge
des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472A (ko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김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용 filed Critical 김진용
Priority to KR102016012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5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간편하게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은 상방으로 개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책상판과, 상기 책상판의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고, 상기 책상판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수납 해제되는 독서대와, 상기 책상판에 상기 독서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압 힌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DESK INCLUDING BOOK STAND}
본 개시는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이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42808호는 책상판에 독서대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책상의 일 예를 제안한다. 상기 문헌에 따른 책상에 있어서, 독서대의 저면에는 지지봉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책상판에는 지지봉을 일정한 경사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책상에서는, 독서대가 고정구에 걸리는 지지봉에 의해서 기울어지는 상태로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 문헌에 따른 책상과 같이, 지지봉이 연결되는 독서대가 채용되는 책상의 경우, 독서대의 후방으로 지지봉과 고정구가 위치되므로, 책상판에 대해 기울어지는 독서대를 지지봉으로 지지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세를 변경해서 지지봉을 조작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42808호
본 개시는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책상은 상방으로 개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책상판과, 상기 책상판의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고, 상기 책상판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수납 해제되는 독서대와, 상기 책상판에 상기 독서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압 힌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책상은 상기 수납홈 내의 상기 책상판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독서대를 수납 해제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책상은 상기 책상판의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독서대를 해제가능하게 구속하는 구속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속 장치는 상기 독서대의 상단부 저면에 설치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책상판의 횡방향으로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홈 내의 상기 책상판에 설치되는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바이어스하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책상판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독서대 작동 레버와, 상기 책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걸림바와 상기 독서대 작동 레버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독서대 작동 레버를 당기면 상기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상기 걸림바가 상기 압축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독서대 작동 레버의 당김을 해제하면 상기 압축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바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속 장치는 푸시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래치는 상기 독서대의 상단부 저면에 설치되는 수형 래치와, 상기 수납홈 내의 상기 책상판에 설치되고, 상기 독서대가 상기 수납홈에 수납될 때 상기 수형 래치가 해제가능하게 잠금결합되는 암형 래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압 힌지는 유압 조절을 위한 밸브를 구비한 축부와, 상기 축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책상판과 상기 독서대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책상판과 상기 독서대 중 다른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책상은 상기 유압 힌지의 유압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밸브에 연결되는 힌지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절 장치는 상기 책상판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 조절 레버와, 상기 밸브에 축결합되고 상기 힌지 조절 레버에 연동되어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는 작동 허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책상은 상기 독서대의 상기 책상판에 대한 수납방향으로의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장치는 상기 책상판에 대한 상기 독서대의 회동축 상의 상기 독서대에 설치되는 라쳇 기어와, 상기 라쳇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책상판에 설치되는 로드와, 상기 책상판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작동 레버와, 상기 스토퍼 작동 레버와 상기 로드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작동 레버를 당기면 상기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상기 로드가 상기 라쳇 기어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된다.
실시예에 따른 책상에 있어서, 독서대는 유압 힌지에 의해 책상판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독서대는 유압 힌지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책상판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독서대의 후방으로 독서대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독서대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자세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즉, 자리에서 일어나 독서대의 후방으로 몸을 굽히거나 또는 책상의 측방으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독서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책상에 구비되는 독서대의 사용 시, 학습 능률이나 사무 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책상판에 독서대가 수납되어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책상판으로부터 독서대가 수납 해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독서대를 후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에 있어서, 책상판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속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판을 하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1000)(이하, 간단히 '책상(1000)'이라 한다)은 당해 분야에 있어서 의자식 책상이나 좌식 책상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0)은 책상판(110)과, 책상판(110)의 좌측(LSD) 및 우측(RSD)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판(1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책상판(110)은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책상판(110)은 전부 또는 일부가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가 목재로 형성되는 경우, 나머지 부분은 철제로 형성될 수 있다. 책상(110)은 다리판(120)의 높이(H)를 다르게 하여 의자식 책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좌식 책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책상(1000)의 경우, 한 쌍의 다리판(120)에 의해 책상판(110)이 소정의 높이로 지지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한 쌍의 다리판(120) 중 적어도 하나를 바(bar) 형상의 다리 부재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책상(1000)은 책상판(110)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독서대(200)와, 책상판(110)에 독서대(20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힌지(300)를 포함한다. 책상판(110)에는 독서대(20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111)이 형성되며, 수납홈(111)은 상방(TD)으로 개방된다. 수납홈(111)은 책상판(11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독서대(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독서대(200)는 책상판(110)에 형성되는 수납홈(111)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독서대(200)를 사용할 때, 독서대(200)는 책상판(110)에 형성되는 수납홈(111)으로부터 수납 해제되어 책상판(110)에 대해 세워진다. 독서대(200)는 수납 해제 시, 적어도 하나의 유압 힌지(300)에 의해 회동되어 책상(1000)의 전방(FD)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독서대(200)의 일면을 볼 수 있도록 세워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압 힌지(300)는, 독서대(200)의 회동축(RA)(도 3 참조)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독서대(200)가 책상판(110)에 수납될 때, 독서대(200)의 상면(독서대가 세워질 때 사용자와 마주하는 면)은 책상판(110)의 상면(110TS)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즉, 책상판(110)에 수납되는 독서대(200)는, 책상판(110)에 있어서 단턱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책상(1000)의 사용 시, 독서대(200)에 의해 걸림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책상(1000)은, 책상판(110)에 대해 기울어지는 독서대(200)를 유압 힌지(300)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책상(1000)에는, 책상판(110)에 대해 기울어진 독서대(200)의 후방(RD)에 독서대(20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예컨대, 지지봉과 고정구 등)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책상(1000)을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독서대(200)는, 사용자가 마주하게 되는 상면의 하단부에서 절첩되는 받침판(210)과, 받침판(210)을 독서대(2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첩(220)(예컨대, 나비 경첩)을 포함한다. 독서대(200)의 사용 시, 받침판(210)을 펴서 책을 거치시킬 수 있다. 받침판(210)에는, 책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책의 페이지가 임의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누름핀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책상(1000)은 수납홈(111) 내의 책상판(1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400)과,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독서대(200)를 수납 해제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는 구속 장치(50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판 스프링(400)은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독서대(200)를 수납해제 방향(R1)(도 3 참조)으로 바이어스(힘을 가함)한다. 독서대(200)가 책상판(110)의 수납홈(111)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판 스프링(400)은 독서대(200)에 의해 눌려 변형된다. 즉, 독서대(200)는 판 스프링(400)으로부터 힘을 받는다. 이러한 독서대(200)는 판 스프링(400)으로부터 힘을 받더라도, 구속 장치(500)에 의해 회동이 방지되도록 구속되어 있어서, 수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독서대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구속 장치(500)를 조작하여 독서대(200)를 책상판(110)으로부터 구속 해제시키면, 판 스프링(400)으로부터 힘을 받는 독서대(200)는 수납홈(111)으로부터 상단부가 들리도록 수납 해제된다. 이러한 독서대(20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전방(FD) 쪽으로 더 회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독서대(200)가 기울어지도록 독서대(2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독서대(200)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방(FD)에서 독서대(200)를 수납 방향(R2)으로 눌러 독서대(200)를 책상판(110)의 수납홈(111)에 다시 수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독서대(200)는 구속 장치(500)에 다시 구속된다.
책상판(110)에 설치되는 판 스프링(400)에 의해 독서대(200)가 수납 해제 방향(R1)으로 밀리는 힘이 유압 힌지(300)에 작용하는 유압에 비해 크게 작용하도록, 즉 구속 장치(500)의 구속 해제 시 독서대(200)가 책상판(110)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판 스프링(400)의 규격, 설치되는 개수 등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책상(1000)에는, 독서대(200)를 수납 해제 방향(R1)으로 밀어주는 수단으로서 스프링(400)이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책상의 경우, 수납홈(1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독서대(200)를 꺼낼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직접 독서대(200)를 책상판(110)으로부터 들어 올릴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구속 장치(500)는 걸림고리(511), 걸림바(512), 압축 스프링(513)(예컨대, 압축 코일 스프링), 독서대 작동 레버(514), 풀리(515) 및 와이어(516)를 포함한다.
걸림고리(511)는 독서대(200)의 상단부(예컨대, 독서대의 자유단부) 저면에 설치된다. 걸림바(512)는 수납홈(111) 내의 책상판(110)에 설치되며, 책상판(110)에 있어서의 횡방향, 구체적으로는 좌우측 방향(LSD-RDS)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위치는 걸림고리(511)가 걸림바(512)에 걸림결합되도록 삽입되는 책상판(110)에 형성된 걸림구멍(112)에 있어서, 걸림바(512)가 걸림구멍(112) 내에서 최대한 돌출되는 위치이다. 또한, 제2 위치는 걸림바(512)가 걸림구멍(112) 내에서 최대한 은폐되는 위치이다. 압축 스프링(513)은 걸림바(512)와 책상판(110) 사이에 개재되며, 걸림바(512)를 우측방(RSD)의 제1 위치로 바이어스한다. 독서대 작동 레버(514)는 책상판(110)의 저면(110LS)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풀리(515)는 책상판(110)의 저면(110LS)에서 독서대 작동 레버(514)와 이격되어 설치된다(도 10 참조). 와이어(516)는 걸림바(512)와 독서대 작동 레버(514) 사이에 연결되며, 풀리(515)를 경유한다.
이와 같은 구속 장치(500)에 있어서, 독서대 작동 레버(514)를 하방(LD)으로 당기면 와이어(516)를 통해 연결된 걸림바(512)가 끌어당겨져, 압축 스프링(513)을 압축시키면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즉, 걸림바(512)가 걸림고리(511)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판 스프링(400)으로부터 힘을 받는 독서대(200)가 상방(TD)으로 밀려 책상판(110)의 수납홈(111)으로부터 수납 해제된다.
당겨진 독서대 작동 레버(514)를 놓게 되면, 압축된 압축 스프링(513)이 복원되면서 걸림바(512)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독서대(200)의 사용 후, 독서대(200)를 후방(RD)으로 밀어 누르면, 걸림고리(511)가 걸림구멍(112)으로 삽입되고, 제2 위치에 있는 걸림바(512)와 걸림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판 스프링(400)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독서대(200)를 책상판(110)의 수납홈(111)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걸림고리(511)와 걸림바(512) 등을 포함하는 구속 장치(500)가 채용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터치 방식의 누름형 푸시 래치(520)가 구속 장치(500)로 채용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푸시 래치(520)는 독서대(200)의 상단부 저면에 설치되는 수형 래치(521)와, 수납홈(111) 내의 책상판(110)에 설치되는 암형 래치(522)를 포함한다. 독서대(200)를 책상판(110)의 수납홈(111)으로 수납시킬 때, 수형 래치(521)는 암형 래치(522) 쪽으로 밀어 넣어지고, 이러한 수형 래치(521)는 암형 래치(522)에 잠금결합된다. 또한, 독서대(200)를 책상판(110)의 수납홈(111)으로부터 수납 해제시킬 때, 독서대(200)를 누르면 수형 래치(521)가 암형 래치(522) 쪽으로 눌러진 후 암형 래치(522)로부터 잠금결합 해제된다. 이 실시예의 구속 장치(500)를 채용하는 책상(1000)의 경우, 책상판(110)의 저면(110LS)에 구속 장치(500)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들, 예컨대 독서대 작동 레버(514), 풀리(515), 와이어(516)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책상(1000)을 보다 간단한 구조로 설계하기가 용이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유압 힌지(300)는 유압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밸브(311)를 구비하는 축부(310)와, 축부(3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320) 및 축부(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결합부(330)를 포함한다. 독서대(200)가 유압 힌지(300)에 의해 책상판(1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때, 책상판(110)과 독서대(200) 중 어느 하나에 제1 결합부(320)가 결합되고, 책상판(110)과 독서대(200)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제2 결합부(330)가 결합된다. 일 실시예의 유압 힌지(300)에 있어서, 제1 결합부(320)와 제2 결합부(330) 각각에는 복수의 나사구멍(321, 331)이 형성되고, 유압 힌지(300)는 복수의 나사구멍(321, 331)에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책상판(110)과 독서대(200)를 상호 연결한다. 독서대(200)가 책상판(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1 결합부(320)와 제2 결합부(330)는 축부(310)를 기준으로 180°의 사잇각(θ)을 갖도록 벌어진다. 또한, 독서대(200)가 책상판(110)에 수납 해제되는 상태, 즉 독서대(200)가 책상판(110)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제1 결합부(320)가 제2 결합부(330)가 축부(310)를 기준으로 180°보다 작은 사잇각(θ)을 갖도록 벌어진다.
일 실시예의 유압 힌지(300)는 유압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힌지로서, 축부(310)의 단부를 통해 노출되는 밸브(311)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돌려 유압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밸브(311)를 최대한 순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400N 정도의 힘이 유압 힌지(3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압 힌지(300)에 작용하는 힘(400N)보다 큰 힘을 가해야만 제1 결합부(320)와 제2 결합부(330)의 사잇각(θ)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밸브(311)를 최대한 역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0N의 힘이 유압 힌지(3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압 힌지(300)는 자유 경첩이 된다. 이와 같은 유압 힌지(300)에 의해 독서대(200)가 지지될 때, 독서대(200)에 올려 놓는 책의 무게가 유압 힌지(300)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은 경우, 독서대(200)의 기울기가 임의로 변경되는 일없이 안정적으로 책을 받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0)은, 유압 힌지(300)에 작용하는 유압을 보다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 조절 장치(6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힌지 조절 장치(600)는 독서대(200)의 회동축(RA) 상에 위치되며, 밸브(311)에 연결되도록 유압 힌지(300)의 일단에 맞대어져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 조절 장치(600)는 책상판(200)의 저면(110LS)에 설치되는 힌지 조절 레버(610)와, 유압 힌지(300)의 밸브(311)에 축결합되고, 힌지 조절 레버(610)와 연동되어 밸브(311)를 회전시키는 작동 허브(620)를 포함한다. 힌지 조절 레버(610)는, 도 6에서의 스토퍼 작동 레버(730)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 허브(620)는 힌지 조절 레버(6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기어(예컨대,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동력 전달 기구에 연동되어 밸브(311)를 회전시키는 밸브 커플러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책상(1000)에서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힌지 조절 레버(610)를 조작하여 유압 힌지(300)에 작용하는 유압을 증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무거운 책을 독서대(200)로 받쳐야 하는 경우, 힌지 조절 장치(600)를 조작하여 유압 힌지(300)에 작용하는 유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0)은, 책상판(110)에 대해 기울어진 독서대(200)가 예기치 않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장치로서 스토퍼 장치(700)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 장치(700)는 독서대(200)의 책상판(110)에 대한 수납 방향(R2)으로의 임의의 회동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의 스토퍼 장치(7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독서대(200)의 회동축(RA) 상에서 독서대(200)에 고정되는 라쳇 기어(710)와, 라쳇 기어(710)에 맞물리도록 수납홈(111) 내의 책상판(110)에 설치되는 로드(720)와, 책상판(110)의 저면(110LS)에 설치되는 스토퍼 작동 레버(730)(도 10 참조), 스토퍼 작동 레버(730)와 로드(720)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740)를 포함한다. 와이어(740)는 책상판(110)에 형성된 관통구멍(113)을 통해 스토퍼 작동 레버(730)에 연결된다.
스토퍼 작동 레버(730)는, 도 6에서의 스토퍼 작동 레버(730)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장치(700)가 채용되는 책상(1000)에서는, 독서대(200)가 책상판(110)에 대해 회동될 때 스토퍼 장치(700)에 구속되는 상태, 즉 로드(720)가 라쳇 기어(710)의 복수의 기어이에 맞물려 독서대(200)가 수납 해제 방향(R1)으로는 회동이 가능하지만, 수납 방향(R2)으로는 회동이 방지되는 상태를 가진다. 또한, 사용한 독서대(200)를 책상판(110)의 수납홈(111)에 수납시킬 때에는, 스토퍼 작동 레버(730)를 당겨, 와이어(740)를 통해 연결된 로드(720)가 라쳇 기어(71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독서대(200)를 수납 방향(R2)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0)은, 유압 힌지(300)를 채용하여 책상판(110)에 대해 기울어지는 독서대(200)를 지지한다. 따라서, 책상(1000)을 사용하는 도중 사용자가 독서대(20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자세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독서대(200)의 기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랍을 구비하지 않은 책상(10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책상(1000)은 좌우 한쪽에 서랍을 구비한 편수 책상이거나 좌우 양쪽에 서랍을 구비한 양수 책상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장치(700)로서 라쳇 기어 조립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로드 대신에 회전가능한 볼이 라쳇 기어의 기어이 사이에 끼워져 라쳇 기어를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하는 볼 스토퍼가 채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10: 책상판 111: 수납홈
120: 다리판 200: 독서대
300: 유압 힌지 400: 판 스프링
500: 구속 장치 511: 걸림고리
512: 걸림바 513: 압축 스프링
514: 독서대 작동 레버 520: 푸시 래치
600: 힌지 조절 장치 610: 힌지 조절 레버
620: 작동 허브 700: 스토퍼 장치
710: 라쳇 기어 720: 로드
730: 스토퍼 작동 레버 1000: 책상

Claims (10)

  1. 상방으로 개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책상판과,
    상기 책상판의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고, 상기 책상판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수납 해제되는 독서대와,
    상기 책상판에 상기 독서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압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힌지는
    유압 조절을 위한 밸브를 구비한 축부와,
    상기 축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책상판과 상기 독서대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책상판과 상기 독서대 중 다른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힌지의 유압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밸브에 연결되는 힌지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조절 장치는
    상기 책상판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 조절 레버와,
    상기 밸브에 축결합되고 상기 힌지 조절 레버에 연동되어 상기 밸브를 회전시키는 작동 허브를 포함하는,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 내의 상기 책상판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독서대를 수납 해제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책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판의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독서대를 해제가능하게 구속하는 구속 장치를 더 포함하는, 책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장치는
    상기 독서대의 상단부 저면에 설치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책상판의 횡방향으로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홈 내의 상기 책상판에 설치되는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바이어스하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책상판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독서대 작동 레버와,
    상기 책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걸림바와 상기 독서대 작동 레버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독서대 작동 레버를 당기면 상기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상기 걸림바가 상기 압축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독서대 작동 레버의 당김을 해제하면 상기 압축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바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책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장치는 푸시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래치는
    상기 독서대의 상단부 저면에 설치되는 수형 래치와,
    상기 수납홈 내의 상기 책상판에 설치되고, 상기 독서대가 상기 수납홈에 수납될 때 상기 수형 래치가 해제가능하게 잠금결합되는 암형 래치를 포함하는, 책상.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대의 상기 책상판에 대한 수납방향으로의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 장치를 더 포함하는, 책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장치는
    상기 책상판에 대한 상기 독서대의 회동축 상의 상기 독서대에 설치되는 라쳇 기어와,
    상기 라쳇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책상판에 설치되는 로드와,
    상기 책상판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작동 레버와,
    상기 스토퍼 작동 레버와 상기 로드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작동 레버를 당기면 상기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상기 로드가 상기 라쳇 기어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는, 책상.
KR1020160127665A 2016-10-04 2016-10-04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KR101860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65A KR101860530B1 (ko) 2016-10-04 2016-10-04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65A KR101860530B1 (ko) 2016-10-04 2016-10-04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72A KR20180037472A (ko) 2018-04-12
KR101860530B1 true KR101860530B1 (ko) 2018-05-24

Family

ID=6196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665A KR101860530B1 (ko) 2016-10-04 2016-10-04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3817A (zh) * 2018-10-29 2018-12-21 李子骥 一种带有可调支架的学生书桌
CN111820675A (zh) * 2020-08-14 2020-10-27 苏世博(南京)减振系统有限公司 桌板角度调节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84Y1 (ko) * 2002-08-30 2002-11-21 대영공업 주식회사 도어용 유압식 경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84Y1 (ko) * 2002-08-30 2002-11-21 대영공업 주식회사 도어용 유압식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72A (ko)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969B2 (en) Foldable display support
JP6526325B2 (ja) 学習用マルチスタンド
US9808080B2 (en) Portable height-adjustable tabletop assembly and method of adjusting a height of the same
US9625091B1 (en) Adjustable mounting systems for televisions
KR101860530B1 (ko)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AU2001272208B2 (en) Adjustable tripod assembly
US20070069566A1 (en) High chair with a backrest having adjustable inclination
GB2429149A (en) Foldable highchair structure
CN114269203B (zh) 可折叠的可调节高度的桌子
KR101875202B1 (ko) 다용도 태블릿 거치장치
JP5539404B2 (ja) 目的物のための支持部材とこの支持部材を有する装置
US20160084432A1 (en) Self-positionable lifting device
GB2511207A (en) Backrest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US20080060562A1 (en) Extendable assembly for supporting sofa table
KR101321016B1 (ko)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EP1369293A1 (en) Infant vehicle seat comprising a chassis and a seat connected to the chassis, as well as such a chassis
JP4579090B2 (ja)
US20130009023A1 (en) Carrier device for monitor
EP2986183B1 (en) A chair adjustment device
JPS6249807A (ja) 昇降・傾斜調節装置
WO2017054013A1 (en) Tilt mechanism for a display monitor
GB2341790A (en) A height adjustable table
KR20060090952A (ko) 강의용 책상
JP4581935B2 (ja) 自立式昇降スクリーン
KR102026104B1 (ko)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