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104B1 -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104B1
KR102026104B1 KR1020190059297A KR20190059297A KR102026104B1 KR 102026104 B1 KR102026104 B1 KR 102026104B1 KR 1020190059297 A KR1020190059297 A KR 1020190059297A KR 20190059297 A KR20190059297 A KR 20190059297A KR 102026104 B1 KR102026104 B1 KR 102026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top
support
plate
shielding plat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부호체어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호체어원(주) filed Critical 부호체어원(주)
Priority to KR102019005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00Tables of rigid construction
    • A47B7/02Stackable tables; Nest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16Trestles or trest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85Supplementary support fixed on the edge of a desk or tabl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는 테이블상판 및 테이블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테이블에 구비되는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로서, 전방 부위를 가릴 수 있도록 테이블상판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며 프레임에 끼움 결합되는 전면 가림판과, 전면 가림판 상측에 구비되며 테이블상판과 전면 가림판 사이의 공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회전 틸팅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 가림판과, 가동 가림판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과, 가동 가림판이 전방으로 회전 틸팅된 경우, 가동 가림판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가동 가림판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하는 복귀유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APPARATUS FOR DRIVING BLOCKING PLATE FOR TABLE AND TABLE APPARATUS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테이블 전방의 노출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림판 일부의 개방 또는 닫힘이 적응적으로 구동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테이블 내부와 외부 사이의 인터페이싱이 필요한 작업 등을 더욱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는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table, desk 등)은 테이블상판 및 테이블 상판을 지지하는 레그(leg)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학생용 테이블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업무용 테이블은 설치된 상태 그대로 사용되는 테이블로서 테이블 자체가 가지는 본연의 사용용도 및 그에 따른 편의성이 중요하므로 안정적인 구조, 적절한 크기, 수요자 층을 고려한 재질 등이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강의실이나 회의실 같은 곳에 다수가 배열되어 사용되는 테이블의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재배치되거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별도의 보관 장소에 보관되었다가 필요한 수만큼 배치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테이블은 일반 가정용 또는 업무용 테이블과 비교하여 경량이면서 이동 및 보관의 용이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블은 고정화된 물리적 구조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는 테이블상판을 포함하여 대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의 부피(volume) 내지 점유 공간을 차지하므로 복수 개의 테이블을 보관하는 경우 테이블 수만큼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가 접목된 책상 등이 일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 테이블 내지 책상은 책상이나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유도하거나 또는 책상에 놓이는 책, 악보, 미술 도구 등의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상판의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것일 뿐이므로 이동성이 보장되는 테이블을 복수 개 겹쳐 보관하는 데에는 본질적인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회의실 등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의 경우, 일반 가정용 내지 사무용 테이블과는 달리, 불특정 사용자가 이용하거나 또는 복수명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등 사용자가 특정되지 않으며 사용용도 또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므로 회의실 등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의 경우 사용용도, 사용 환경 또는 이용자 수 등에 따라 다목적으로 이용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고 특히, 회의 시 이용되는 다종의 전자 기기(노트북, 프로젝터, 충전기 등)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작업 등이 빈번할 수 있는 만큼 이러한 작업 환경에 최적화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테이블의 경우 주로, 전방이 완전히 노출되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로 전방이 물리적으로 차단된 형태로만 개시되고 있어 이러한 배선 작업 등과 같이 테이블을 중심으로 테이블 외부와 테이블 사이를 인터페이싱하는 작업들이 편의적으로 쉽게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테이블 또는 테이블 장치의 경우 배선 라인들이 그대로 노출되므로 테이블 사용 환경이 정리되기 어렵고 나아가 노출된 배선 라인 등에 사용자 동선이 겹치는 경우 안전사고 또한, 발생될 우려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3919호(2003.08.0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894호(2011.01.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테이블을 기준으로 외부와 내부 사이의 인터페이싱이 필요한 경우, 테이블 전방을 차단하는 가림판 일부를 쉽게 개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최소화된 동작만으로도 개방된 가림판 일부가 원래의 위치로 쉽게 복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 환경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는 테이블상판 및 상기 테이블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테이블에 구비되는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로서, 전방 부위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상판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끼움 결합되는 전면 가림판; 상기 전면 가림판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테이블상판과 상기 전면 가림판 사이의 공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회전 틸팅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 가림판; 상기 가동 가림판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가동 가림판이 전방으로 회전 틸팅된 경우, 상기 가동 가림판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동 가림판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하는 복귀유도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전원공급용 콘센트가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콘센트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 지지대 또는 전원공급용 콘센트는 상기 가동 가림판이 전방으로 회전 틸팅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복귀유도유닛은, 상기 가동 가림판과 상기 지지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자성체부와, 상기 가동 가림판과 상기 지지 브라켓 중 상기 자성체부가 구비되는 않은 다른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자성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자성체부와 대면하여 구비되며 상기 자성체부와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가동 가림판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하는 자기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력부는, 상기 가동 가림판에 구비되되, 상기 가동 가림판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유도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자석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자석 지지체 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동 가림판의 측단부에 결합되는 자석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 지지체는, 상기 가동 가림판의 양측단부에 한 쌍으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자석은 상기 한 쌍의 자석 지지체에 각각 복수 개씩 결합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가동 가림판의 양측단부를 각각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는, 상기 전면 가림판의 양측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전면 가림판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전면 가림판 지지대에 각각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가림판 지지대는, 상단부에 전방 쪽으로 기울어진 지지대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지지대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 가림판을 전방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복귀유도유닛의 자성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지지 브라켓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을 관통하는 바디를 구비하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가 상기 자성체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자석은, 차등적인 크기의 자기력을 가지되, 상기 가동 가림판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클수록 큰 자기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장치는, 테이블상판; 상기 테이블상판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블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전방 부위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상판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끼움 결합되는 전면 가림판; 상기 전면 가림판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테이블상판과 상기 전면 가림판 사이의 공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회전 틸팅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 가림판; 상기 가동 가림판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가동 가림판이 전방으로 회전 틸팅된 경우, 상기 가동 가림판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동 가림판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하는 복귀유도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테이블상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푸시유닛과, 테이블상판을 닫힘 상태로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유닛 및 록킹유닛을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릴리스유닛의 작용으로 테이블상판의 안정적인 폴딩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릴리스유닛의 트리거를 간단히 당기는 동작으로 테이블상판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테이블 상판을 회전 내지 틸팅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간단히 테이블상판을 누르는 동작으로 테이블상판이 바닥면과 평행하게 닫힘 상태로 록킹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함은 물론, 작동이 명확하게 구현되는 동작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는 사용자의 하체 등과 같은 신체 일부가 테이블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테이블을 기준으로 외부와 내부 사이의 인터페이싱이 필요한 경우, 적응적으로 테이블 전방을 개방시킬 수 있어 사용 환경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전면 가림판 후면에 전원공급용 콘센트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동 가림판의 회전 이동 구조를 통하여 전원공급용 콘센트가 구비되는 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전원 연결 등의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가동 가림판의 기준 위치 복원 작동을 통하여 사용자의 최소화된 동작만으로도 개방된 공간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다시 차단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의 수납 트레이가 테이블상판의 하측 저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수납되는 물건의 하중 등에 따라 자연스럽게 수납 트레이가 승강 및 하강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수납 트레이가 수평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하강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수납된 물건이 밖으로 쏟아지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테이블상판을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푸시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록킹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록킹유닛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록킹유닛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릴리스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릴리스유닛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릴리스유닛에 포함되는 릴리스유닛 바디에 와이어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릴리스유닛에 포함되는 트리거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릴리스유닛에 의한 록킹유닛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테이블상판이 틸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가림판 작동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가림판 작동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가림판 작동장치에 구비되는 가동 가림판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의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장치(테이블, 100)는 테이블상판(200), 테이블상판(200)의 하측에서 테이블상판(200)을 지지하는 프레임(300), 테이블상판(200)을 틸팅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푸시유닛(400), 테이블상판(200)을 닫힌 자세로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유닛(500), 록킹유닛(500)을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릴리스유닛(600), 테이블의 전방 일부분을 가리기 위한 가림판 작동장치(700) 및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테이블상판(200)에 결합되는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800)를 포함한다.
테이블상판(200)은 책이나, 노트북 등이 놓일 수 있는 평평한 상면을 갖는다. 테이블상판(200)은 프레임(300) 위에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며, 사용 시 그 상면이 프레임(300)이 놓이는 바닥면과 수평(XY 평면)으로 놓이고, 필요에 따라 바닥면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틸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 테이블상판(200)이 바닥면과 수평인 상태를 닫힘 상태로, 바닥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개방 상태로 정의한다.
테이블상판(200)의 전방측 단부에는 거치유닛(250)이 설치된다. 거치유닛(250)은 테이블상판(200)에 고정되는 거치유닛 바디(251)와, 거치유닛 바디(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252)를 포함한다. 거치대(252)는 테이블상판(200)의 상면과 평행하게 접히거나, 테이블상판(200)의 상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세워질 수 있다. 사용자는 거치대(252)를 세운 상태에서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테이블상판(200)의 상면에 대해 세워지도록 거치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테이블상판(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테이블상판(200)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한다. 프레임(300)은 테이블상판(200)을 지지하는 프레임 베이스(310)와, 프레임 베이스(310)에 결합되어 프레임 베이스(310)를 떠받치는 복수의 다리(320)를 포함한다. 각각의 다리(320)에는 바퀴(330)가 결합된다.
프레임 베이스(310)는 프론트 프레임(311) 및 프론트 프레임(311)의 양측에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312)을 포함하며, 프론트 프레임(311)에는 푸시유닛(400)과 콘센트 지지대(350)가 결합된다.
콘센트 지지대(350)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0)가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프론트 프레임(311)의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전원공급용 콘센트(10) 등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센트 지지대(350) 위에 놓이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0)는 사용자가 테이블의 전방에서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테이블상판(200)의 하측에서 프레임(30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312)에는 걸림부(314)가 구비되는데 이 걸림부(314)에 록킹유닛(500)의 록킹부재(530)가 걸림으로써 테이블상판(200)을 닫힘 상태로 록킹시킬 수 있다. 걸림부(314)는 록킹부재(530)가 삽입될 수 있는 프레임 홈(315) 및 프레임 홈(315)에 삽입된 록킹부재(530)가 걸릴 수 있도록 프레임 홈(315)의 상측에 구비되는 걸림턱(316)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푸시유닛(400)은 프레임(300)에 설치되어 테이블상판(20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테이블상판(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푸시유닛(400)은 구체적으로 푸시유닛 프레임 고정대(410), 푸시유닛 회전 지지대(420), 푸시유닛 테이블상판 고정대(430) 및 푸셔(440)를 포함한다.
푸시유닛 프레임 고정대(410)는 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프레임(300)의 프론트 프레임(3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푸시유닛 프레임 고정대(410)에는 푸시유닛 회전 지지대(4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회전축(412)이 구비된다.
푸시유닛 회전 지지대(420)는 푸시유닛 프레임 고정대(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테이블상판(200)에 고정된다. 푸시유닛 회전 지지대(420)는 푸시유닛 프레임 고정대(410)의 회전축(4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푸시유닛 회전 지지대(420)는 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테이블상판(20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푸시유닛 회전 지지대(420)가 회전함에 따라 푸시유닛 회전 지지대(420)와 결합된 테이블상판(200)이 틸팅 내지 회전될 수 있다.
푸시유닛 테이블상판 고정대(430)는 푸시유닛 회전 지지대(420)와 이격되는 형태로 테이블상판(200)의 하면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테이블상판(200)과 푸셔(440)를 연결한다.
푸시유닛 테이블상판 고정대(430)를 통해 테이블상판(20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푸셔(440)는 그 일단이 푸시유닛 프레임 고정대(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푸시유닛 테이블상판 고정대(4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푸셔(440)는 푸셔 바디(441)와 푸셔 바디(441)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 가동로드(442)를 포함한다. 푸셔 가동로드(442)는 피봇 핀(444)을 통해 푸시유닛 프레임 고정대(410)에 피봇 결합되며, 푸셔 바디(441)는 피봇 핀(446)을 통해 푸시유닛 테이블상판 고정대(430)에 피봇 결합된다.
푸셔(440)는 외력을 받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푸셔 가동로드(442)가 푸셔 바디(441)를 빠져나와 푸셔 바디(441)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돌출되며, 외력을 받으면 푸셔 가동로드(442)가 푸셔 바디(441) 속으로 후퇴할 수 있다.
따라서 푸셔(440)는 푸시유닛 테이블상판 고정대(430)에 푸시유닛 프레임 고정대(4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테이블상판(200)을 바닥면에 대해 세워지는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테이블상판(200)에 외력이 가해져 테이블상판(200)이 눕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푸셔 가동로드(442)가 푸셔 바디(441) 속으로 후퇴하게 된다.
푸셔(440)는 스프링을 이용하는 구조, 유압을 이용하는 구조, 공압을 이용하는 구조 등 테이블상판(200)을 세워지도록 틸팅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푸시유닛(40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프레임(300)에 설치되어 테이블상판(20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테이블상판(2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두 개의 푸시유닛(400)의 테이블상판(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프레임(3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푸시유닛(400)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록킹유닛(500)은 테이블상판(200)에 설치되어 테이블상판(200)을 바닥면과 평행한 닫힘 상태로 록킹시키는 역할을 한다.
록킹유닛(500)은 테이블상판(200)에 고정되는 록킹유닛 바디(510), 록킹유닛 바디(510)에 고정되는 록킹유닛 가이드부재(520), 걸림부(314)에 걸릴 수 있도록 록킹유닛 바디(510)에 결합되는 록킹부재(530) 및 록킹부재(530)에 탄성력을 가하는 록킹유닛 스프링(540)을 포함할 수 있다.
록킹유닛 바디(510)는 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테이블상판(20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록킹유닛 바디(510)의 내측에는 록킹유닛 바디 홈(511)이 마련된다. 록킹유닛 바디 홈(511) 속에는 록킹부재(530)가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512)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된다. 록킹유닛 바디 홈(511)은 록킹유닛 바디(510)의 상측으로 개방되며, 록킹유닛 바디(510)가 테이블상판(200)에 결합될 때 테이블상판(200)에 의해 덮이게 된다.
록킹유닛 바디(510)의 하측으로는 록킹유닛 바디 홈(511)과 연결되는 록킹유닛 바디 개구(513) 및 록킹유닛 바디 개방부(514)가 형성되며, 록킹부재(530)는 록킹유닛 바디 개구(513)를 통해 부분적으로 록킹유닛 바디(5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록킹유닛 바디 개방부(514)는 록킹유닛 바디(510)에 다른 부품을 조립할 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록킹유닛 바디(510)의 하측으로는 고정부재(516)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핀(515)이 돌출 구비되며, 고정부재(516)는 고정 핀(515)에 결합됨으로써 록킹유닛 바디 개방부(514)를 통해 록킹유닛 바디(510)에 조립되는 부품이 록킹유닛 바디(510)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막아준다. 부품의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고정부재(516)가 고정 핀(515)에서 분리된 후 록킹유닛 바디(510)에 조립되는 일부 부품이 록킹유닛 바디(5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록킹유닛 바디(5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록킹유닛 가이드부재(520)는 록킹유닛 바디 홈(511)에 삽입되어 록킹부재(530)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편, 록킹유닛 가이드부재(520)는 가이드 돌기(521)를 포함하는데, 이 가이드 돌기(521)는 록킹부재(5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록킹부재(530)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면에는 길게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521)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가이드 돌기(521)의 형상이나, 개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록킹부재(530)는 프레임(300)의 걸림부(314)에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록킹유닛 바디(5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록킹유닛 가이드부재(520)와 맞물리는 록킹부재 바디(531) 및 록킹유닛 바디(5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록킹부재 후크부(532)를 포함한다.
록킹부재 바디(531)는 록킹유닛 바디(510)의 가이드 돌기(512)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533)을 가지며, 록킹부재(530)가 이동할 때 가이드 돌기(512)가 가이드 홈(533) 속에서 상대 직선 이동하게 됨으로써 록킹부재(530)의 더욱 유연하게 안정적으로 선형(linearity) 이동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512)와 가이드 홈(533)의 설치 위치는 도시된 예와 반대 즉, 가이드 돌기가 록킹부재 바디(531)에 구비되고, 가이드 홈이 록킹유닛 바디(51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록킹부재 바디(531)는 록킹유닛 가이드부재(520)의 가이드 돌기(521)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534)을 포함하며, 이 가이드 홈(534)은 가이드 돌기(5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52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록킹부재 바디(531)는 가이드 홈(534)에 가이드 돌기(521)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록킹유닛 가이드부재(520)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록킹부재(530)는 가이드 돌기(521)가 가이드 홈(534) 속에서 상대 직선 이동하게 됨으로써 더욱 유연하고 안정적인 선형 이동을 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홈(534)이 록킹부재 바디(531)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가이드 홈(53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 돌기(521)와 가이드 홈(534)의 설치 위치는 반대 즉, 가이드 돌기가 록킹부재 바디(531)에 구비되고, 가이드 홈이 록킹유닛 가이드부재(520)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록킹부재 바디(531)에는 록킹부재 홈(535)과 록킹부재 돌기(536)가 구비된다. 록킹부재 홈(535)은 릴리스유닛(600)의 와이어(630)를 록킹부재 바디(531)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며, 록킹부재 돌기(536)는 록킹유닛 스프링(540)을 조립할 때, 록킹유닛 스프링(540)을 고정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록킹부재 후크부(532)는 프레임(300)의 걸림부(314)에 걸릴 수 있도록 록킹유닛 바디(510)의 록킹유닛 바디 개구(513)를 통해 록킹유닛 바디(5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록킹부재 후크부(532)가 걸림부(314)의 프레임 홈(315) 속에 삽입되어 걸림턱(316)에 걸림으로써, 록킹유닛(500)이 테이블상판(200)을 닫힘 상태로 록킹(locking)시킬 수 있다.
록킹유닛 스프링(540)는 록킹부재(530)에 대해 걸림부(314)에 걸림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구성으로서, 실시형태에 따라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단이 록킹부재 바디(531)의 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록킹유닛 스프링(540)은 그 일단의 안쪽으로 록킹부재 바디(531)의 록킹부재 돌기(536)가 삽입됨으로써 록킹부재 바디(531)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록킹부재(530)의 록킹부재 후크부(532)는 록킹유닛 스프링(54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314)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록킹유닛 스프링(540)은 도시된 것과 같은 코일 스프링 구조 이외에, 록킹부재(53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고, 그 설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록킹유닛(500)은 내측에 와이어(630)가 통과할 수 있는 직선의 록킹유닛 가이드 보스 홀(551)을 구비한 록킹유닛 가이드 보스(550)를 포함하며, 이 록킹유닛 가이드 보스(550)는 록킹유닛 바디 개방부(514)를 통해 록킹유닛 바디(5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록킹유닛 가이드 보스(550)는 록킹유닛 가이드 보스 홀(551)이 록킹부재(530)의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놓이도록 록킹유닛 바디(510)에 결합됨으로써 와이어(630)를 록킹부재(5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630)가 록킹유닛 가이드 보스(550)에 의해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됨으로써 와이어(630)에 가해지는 견인력이 록킹부재(530)에 더욱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록킹부재(530)의 움직임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다. 록킹유닛 가이드 보스(550)는 록킹유닛 바디(510)에 고정되어 록킹유닛 스프링(540)의 타단과 접함으로써 록킹유닛 스프링(540)을 지지할 수 있다.
록킹유닛(500)은 도 9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록킹부재(530)가 록킹유닛 스프링(540)에 의해 걸림부(314) 측으로 가압되어 록킹부재(530)의 록킹부재 후크부(532)가 걸림부(314)에 걸림으로써, 테이블상판(200)을 바닥면과 평행한 닫힘 상태로 록킹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록킹부재(530)가 와이어(630)를 통해 견인력을 제공받을 때, 록킹부재(530)는 록킹유닛 스프링(540)을 압축시키면서 움직여 걸림부(314)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록킹부재(530)가 걸림부(314)로부터 벗어나면 테이블상판(200)이 록킹 해제되며, 이때 테이블상판(200)은 푸시유닛(400)의 가압력에 의해 바닥면에 대해 세워지는 개방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도면에는 록킹유닛(500)이 프레임(300)에 구비되는 두 개의 걸림부(314)에 상응하도록 록킹유닛 바디(510)와, 록킹유닛 가이드부재(520)와, 록킹부재(530)와, 록킹유닛 스프링(540)을 두 개씩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록킹유닛 바디(510), 록킹유닛 가이드부재(520), 록킹부재(530) 및 록킹유닛 스프링(540)의 개수는 걸림부(314)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록킹유닛(500)을 구성하는 부품의 구체적인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는 록킹부재(530)가 록킹유닛 바디(510)를 통해 테이블상판(2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테이블상판(200)에 록킹부재(5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록킹부재(530)를 테이블상판(200)에 직접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4 및 도 5,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릴리스유닛(600)은 테이블상판(200)에 결합되어 록킹유닛(500)을 록킹 해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릴리스유닛(600)은 구체적으로 테이블상판(200)에 결합되는 릴리스유닛 바디(610), 릴리스유닛 바디(6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리거(620), 한 쌍의 록킹부재(530)와 트리거(62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630) 및 트리거(620)에 탄성력을 가하는 릴리스유닛 스프링(640)을 포함한다.
릴리스유닛 바디(610)는 테이블상판(200)에 결합되어 트리거(620)를 록킹부재(530)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테이블상판(20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록킹유닛 바디(510)에는 가이드 돌기(611), 릴리스유닛 바디 커브 홈(612) 및 릴리스유닛 바디 스프링 접촉부(613)가 구비된다.
가이드 돌기(611)는 트리거(620)가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하 방향으로 입설(立設)되도록 구비된다. 도면에는 두 개의 가이드 돌기(611)가 릴리스유닛 바디 스프링 접촉부(613)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가이드 돌기(611)의 개수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릴리스유닛 바디 커브 홈(612)은 와이어(630)를 록킹부재(530)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완만하게 굽은 곡선 형태로 구비되며, 와이어(630)는 일부분이 릴리스유닛 바디 커브 홈(612)에 삽입됨으로써 완만하게 굽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트리거(620)가 록킹부재(530)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와이어(630)의 일부분이 릴리스유닛 바디 커브 홈(6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활하게 굽힘 변형될 수 있다. 릴리스유닛 바디 커브 홈(612)은 두 개의 록킹부재(530)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와이어(63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이 릴리스유닛 바디(610) 상에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릴리스유닛 바디 스프링 접촉부(613)는 릴리스유닛 바디(6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며, 릴리스유닛 바디 스프링 접촉부(613)에 릴리스유닛 스프링(640)의 일단이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 밖에 릴리스유닛 바디(610)에는 고정 핀(614)이 돌출 구비되며, 이 고정 핀(614)에는 고정부재(61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부재(615)는 고정 핀(614)에 결합됨으로써 릴리스유닛 바디(610)에 조립되는 일부 부품이 릴리스유닛 바디(610)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품의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고정부재(615)가 고정 핀(614)에서 분리된 후 릴리스유닛 바디(610)에 조립되는 부품이 릴리스유닛 바디(6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리스유닛 바디(6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리거(620)는 와이어(630)를 통해 록킹부재(53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외력(外力)이 제공되면 록킹부재(530)를 걸림부(314)에서 이탈시키는 견인력을 와이어(630)에 제공하여 록킹부재(530)을 움직이게 된다.
또한, 트리거(620)는 릴리스유닛 바디(610)의 가이드 돌기(611)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621)을 가지며, 이 가이드 홈(621)에 가이드 돌기(611)가 삽입되며, 트리거(620)가 이동할 때 가이드 돌기(611)가 가이드 홈(621) 속에서 상대 직선 이동하게 됨으로써 트리거(620)가 안정적인 직선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가이드 돌기(611)와 가이드 홈(621)의 설치 위치는 반대가 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돌기가 트리거(620)에 구비되고, 가이드 홈이 릴리스유닛 바디(610)에 형성될 수 있다.
트리거(620)에는 트리거 스프링 접촉부(622), 트리거 홈(623) 및 손잡이부(624)가 구비된다. 트리거 스프링 접촉부(622)는 릴리스유닛 바디(610)의 릴리스유닛 바디 스프링 접촉부(613)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며, 트리거 스프링 접촉부(622)에 릴리스유닛 스프링(640)의 타단에 접촉한다. 여기에서 트리거 홈(623)은 와이어(630)를 트리거(620)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트리거 홈(623)은 두 개의 와이어(63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트리거(620) 상에 두 개로 구비되며, 손잡이부(624)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것으로서 트리거(620)의 끝단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손잡이부(624)를 이용하여 트리거(620)를 당기면 트리거(620)에 연결되는 두 개의 와이어(630)에 견인력이 제공되어 두 개의 록킹부재(530)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630)는 각각 일측이 록킹부재(53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트리거(620)에 연결되어 록킹부재(530)와 트리거(620)를 연결되며, 테이블상판(200)의 하면에 고정되는 보호 파이프(660) 속에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다.
각 와이어(630)의 일단에는 와이어(630)보다 두께가 큰 제 1 고정 블록(632)이 구비되고, 각 와이어(630)의 타단에는 와이어(630)보다 두께가 큰 제 2 고정 블록(634)이 구비된다.
이 제 1 고정 블록(632)이 록킹부재(530)의 록킹부재 홈(535)에 삽입됨으로써 와이어(630)는 록킹부재(5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 2 고정 블록(634)이 트리거(620)의 트리거 홈(623)에 삽입됨으로써 와이어(630)는 트리거(6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블록(632)과 제 2 고정 블록(634)을 이용함으로써 와이어(630)와 록킹부재(530)의 연결 및 와이어(630)와 트리거(620)의 연결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 와이어(630)와 록킹부재(530)의 연결 구조나 와이어(630)와 트리거(620)의 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릴리스유닛 스프링(640)은 트리거(620)가 원위치로 복원하는 방향으로
트리거(620)에 탄성력을 가한다. 릴리스유닛 스프링(640)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단이 릴리스유닛 바디(610)의 릴리스유닛 바디 스프링 접촉부(613)에 접하고 그 타단이 트리거(620)의 트리거 스프링 접촉부(622)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록킹부재(530)를 걸림부(314)에서 이탈시키도록 이동한 트리거(620)는 릴리스유닛 스프링(64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될 수 있다.
릴리스유닛 스프링(640)은 도시된 것과 같은 코일 스프링 구조 이외에, 트리거(620)를 원상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트리거(620)에 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고, 그 설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릴리스유닛(600)은 한 쌍의 릴리스유닛 가이드 보스(6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릴리스유닛 가이드 보스(650)는 그 내측에 와이어(630)가 통과할 수 있는 직선의 릴리스유닛 가이드 보스 홀(651)을 구비한다.
릴리스유닛 가이드 보스(650)는 릴리스유닛 가이드 보스 홀(651)이 트리거(620)의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놓이도록 릴리스유닛 바디(610)에 결합된다.
한 쌍의 릴리스유닛 가이드 보스(650)는 각각의 일부분이 한 쌍의 릴리스유닛 바디 커브 홈(612)에 각각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와이어(630)를 트리거(62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630)가 릴리스유닛 가이드 보스(650)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트리거(620)의 움직임에 따른 견인력이 와이어(630)에 더욱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트리거(620) 또한 더욱 원활하게 조작될 수 있다.
릴리스유닛 가이드 보스(650)는 릴리스유닛 바디 커브 홈(612)에 삽입되도록 릴리스유닛 바디(610)에 조립된 후, 릴리스유닛 바디(610)의 고정 핀(614)에 결합되는 고정부재(615)에 의해 릴리스유닛 바디 커브 홈(61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릴리스유닛(600)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트리거(620)가 움직임에 따라 록킹유닛(500)을 록킹 해제시킬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스유닛(600)은 트리거(620)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으면 트리거(620)가 릴리스유닛 스프링(640)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630)에 견인력을 제공하지 않는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록킹유닛(500)의 록킹부재(530)가 프레임(300)의 걸림부(314)에 걸려 있으므로 테이블상판(200)이 바닥면과 평행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620)가 당겨지면, 트리거(620)는 릴리스유닛 스프링(640)을 압축시키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트리거(620)에 연결된 와이어(630)가 당겨지면서 와이어(630)와 연결된 록킹부재(530)에 견인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530)가 걸림부(314)에서 벗어나 록킹 해제된다.
또한, 록킹부재(530)가 걸림부(314)에서 벗어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상판(200)이 푸시유닛(400)의 작용에 의해 바닥면에 대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틸팅된다.
한편, 테이블상판(200)이 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테이블상판(200)을 누르면 테이블상판(200)이 틸팅 각도가 감소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테이블상판(200)이 바닥면과 평행한 각도에서 록킹유닛(500)의 록킹부재(530)가 프레임(300)의 걸림부(314)에 걸림으로써 테이블상판(200)이 닫힘 상태로 록킹된다.
도면에는 릴리스유닛(600)이 두 개의 와이어(630)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와이어(630)의 개수는 록킹부재(530)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630)의 개수에 따라 와이어(630)와 관계하는 다른 구성 요소의 개수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릴리스유닛(600)을 구성하는 부품의 구체적인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트리거(620)가 테이블상판(200)에 대해 전방으로 당겨지는 동작에 따라 와이어(630)에 록킹부재(530)를 록킹 해제시키는 견인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록킹부재(530)를 록킹 해제시키는 견인력을 제공하는 트리거(620)의 움직임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100)는 테이블상판(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푸시유닛(400)과, 테이블상판(200)을 닫힘 상태로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유닛(500) 및 록킹유닛(500)을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릴리스유닛(600)의 작용으로 테이블상판(200)의 안정적인 폴딩 구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간단하게 릴리스유닛(600)의 트리거(620)를 당기는 동작으로 테이블상판(200)이 바닥면에 대해 세워지도록 틸팅될 수 있고, 사용자가 간단히 테이블상판(200)을 누르는 동작으로 테이블상판(200)이 바닥면과 평행하게 닫힘 상태로 록킹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 도 17 내지 도 19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 또는 테이블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가림판 작동장치(700)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가림판 작동장치(700)는 테이블에 구비되는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다리나 하체 등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테이블의 앞쪽 하부를 안정적으로 가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림판 작동장치(700)는 구체적으로, 전면 가림판(710), 프레임(300)에 결합되어 전면 가림판(710)을 지지하는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730), 지지 브라켓(730)에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가림판(740) 및 가동 가림판(740)을 원상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유도유닛(750)을 포함한다.
전면 가림판(710)은 프레임(300) 전방(도면의 방향 축을 기준으로 할 때, Y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프레임(300)에 지지되어 테이블상판(2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에 의해 지지된다.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는 전면 가림판(710)의 양측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이 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프레임(300)의 다리(32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끼움 홈(721)(도 18 참조)이 다리(320)에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프레임(300)에 안정적으로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의 상단부에는 프레임(300)의 전방 쪽으로 기울어진 지지대 연장부(722)가 구비되며, 지지대 연장부(722)에는 지지 브라켓(730)의 결합을 위한 고정 보스(723)가 마련된다.
지지 브라켓(730)은 프레임(300)에 결합되어 가동 가림판(740)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프레임(300)의 프론트 프레임(311)에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부(731) 및 브라켓 고정부(731)로부터 프레임(300)의 전방 쪽으로 기울어진 브라켓 지지부(732)를 포함한다.
브라켓 고정부(731)는 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프론트 프레임(3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브라켓 지지부(732)에는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의 고정 보스(723)가 삽입될 수 있는 브라켓 홀(733)이 마련된다.
지지 브라켓(730)은 브라켓 홀(733)에 고정 보스(723)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의 지지대 연장부(722)와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지지 브라켓(730)에는 가동 가림판(7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축(735)이 구비된다.
지지 브라켓(730)은 한 쌍의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가동 가림판(740)의 양측단부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며,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와 결합되어 프레임(300)에 고정됨으로써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를 프레임(300)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가동 가림판(740)은 그 양측단부가 한 쌍의 지지 브라켓(7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의 지지 브라켓(730)에 의해 프레임(300)의 전방 쪽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동 가림판(740)은 지지 브라켓(730)의 힌지축(735)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가동 가림판(740)은 전면 가림판(710)의 상측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어 프레임(300)의 전방 일부분을 가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 가림판(740)은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콘센트 지지대(350) 위에 전원공급용 콘센트(10)가 놓이는 공간을 프레임(300)의 전방에서 가릴 수 있다. 콘센트 지지대(350) 또는 콘센트 지지대(350)에 놓이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0)는 가동 가림판(740)에 의해 가려져 있다가 가동 가림판(740)이 전방으로 회전 틸팅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동 가림판(74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가동 가림판(740)을 틸팅시켜 전원공급용 콘센트(10)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전원공급용 콘센트(10)에 사용하고자 하는 플러그를 꽂거나, 플러그를 전원공급용 콘센트(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가동 가림판(740)이 전방으로 회전 틸팅된 경우, 가동 가림판(740)은 본 발명의 복귀유도유닛(750)에 의해 콘센트 지지대(350) 또는 콘센트 지지대(350)에 놓이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0)를 가릴 수 있는 위치 내지 자세(초기 위치 내지 자체)로 복귀되도록 유도된다.
가동 가림판(740)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가동 가림판(740)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하는 본 발명의 복귀유도유닛(750)은 지지 브라켓(730)에 결합되는 복수의 자성체(751) 및 가동 가림판(740)에 결합되는 자석 조립체(756)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751)는 헤드(752) 및 헤드(752)로부터 돌출되어 지지 브라켓(730)을 관통할 수 있는 바디(753)를 포함하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다. 자성체(751)는 바디(753)가 브라켓 홀(733)을 통해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의 고정 보스(723)에 결합됨으로써 지지 브라켓(730)을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에 고정할 수 있다.
자성체(751)의 헤드(752)는 자석 조립체(756)의 자석(760)과 작용하여 인력을 발생할 수 있는 자성체부(754)를 이루며, 자성체(751)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730)에 각각 복수 개씩 결합된다.
자석 조립체(756)는 가동 가림판(740)의 측단부에 결합되어 복수의 자석(760)을 지지하는 자석 지지체(757) 및 복수의 자석(7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자석 지지체(757)는 복수의 자석 지지체 홈(758)과 복수의 자석 지지체 홀(759)을 갖는다.
복수의 자석(760)은 복수의 자석 지지체 홈(758)에 각각 삽입되며, 복수의 자석 지지체 홀(759)에는 복수의 나사나 볼트가 삽입될 수 있다. 자석 지지체(757)는 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가동 가림판(74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자석(760)은 자성체(751)와 작용하여 인력을 발생하기 위해 자성체(751)의 자성체부(754)에 대응하는 자기력부(761)를 갖는다. 자기력부(761)는 자성체부(754)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자성체부(754)와 대면함으로써 자성체부(754)와의 인력에 의하여 가동 가림판(740)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자석 조립체(756)는 한 쌍이 가동 가림판(740)의 양측단부에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지지 브라켓(730)에 각각 결합되는 자성체(751)와 작용하여 가동 가림판(740)을 원상 복귀시키기 위한 인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700)는 프레임(3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다리나 하체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테이블의 전방을 안정적으로 가릴 수 있다.
가림판 작동장치(700)의 가동 가림판(74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가림판(740)은 콘센트 지지대(350) 또는 콘센트 지지대(350)에 놓이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0)를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릴 수 있다.
이때,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자석 조립체(756)와 가동 가림판(740)에 결합되는 자석(76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므로 가동 가림판(740)은 콘센트 지지대(350)에 놓이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0)를 가린 초기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임계 치를 벗어나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초기 자세를 지속시킬 수 있으며, 임계 치를 벗어나는 외력이 작용한다고 하여도 의도하지 않는 충격, 부딪힘 등과 같이 그 외력이 일정 범위 또는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면,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 내지 자세를 지속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동 가림판(740)을 전방으로 당기면 가동 가림판(74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틸팅된다. 이때, 콘센트 지지대(350)에 놓이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0)가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0)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전원공급용 콘센트(10)에 사용하고자 하는 플러그를 꽂거나, 플러그를 전원공급용 콘센트(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도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는 자석의 인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이므로 이 경우 본 발명의 가동 가림판(740)은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틸팅되며, 틸팅된 상태(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가동 가림판(740)을 원래의 위치 방향으로 가볍게 밀어지면 지지 브라켓(730)에 배치되는 자성체(751)와 가동 가림판(740)에 결합되는 자석(76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가동 가림판(740)이 콘센트 지지대(350)에 놓이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0)를 가리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700)는 사용자의 다리나 하체가 테이블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테이블의 전방을 안정적으로 가릴 수 있다.
특히,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700)는 테이블상판(200)과 전면 가림판(710) 사이에 전원공급용 콘센트(10)가 설치되는 공간이 틸팅 가능한 가동 가림판(740)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적응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 가림판(740)은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필요에 따라 전방으로 회전 이동 내지 틸팅됨으로써 전원공급용 콘센트(10)가 설치되는 공간 등이 편의적으로 개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700)는 프레임(300)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용 콘센트(10), 전원공급용 콘센트(10)에 접속되는 플러그 또는 플러그에 연결되는 전선을 테이블의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가릴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가동 가림판(740)이 틸팅되어 전원공급용 콘센트(10)가 설치되는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전원공급용 콘센트(10)에 플러그를 꽂거나 전원공급용 콘센트(10)에서 플러그를 분리하는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700)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귀유도유닛(750)의 자석 지지체(757)에 결합되는 복수의 자석(760)은 차등적인 크기의 자기력을 가지되, 가동 가림판(740)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클수록 큰 자기력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귀유도유닛(750)을 구성하는 자석(760)을 차등적인 크기의 자기력을 갖는 자석으로 구현하는 경우, 회전 반경의 차이에 따른 토크(torque)의 크기 비대칭성을 효과적으로 상응시킬 수 있어 가동 가림판(740)의 복귀 동작이 더욱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복귀유도유닛(750)이 지지 브라켓(730)에 결합되는 복수의 자성체(751) 및 가동 가림판(740)에 결합되는 복수의 자석(76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 브라켓(730)에 하나 이상의 자석이 설치되고 가동 가림판(740)에 하나 이상의 자성체가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에는 자성체(751)가 지지 브라켓(730)을 전면 가림판 지지대(720)에 고정하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자성체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지지 브라켓(730)의 일부분, 또는 지지 브라켓 전체가 자석과 작용하여 인력을 발생할 수 있는 자성체부를 이룰 수 있다.
나아가 가동 가림판(740)에 자성체부가 구비되는 경우, 지지 브라켓(730)의 일부분, 또는 지지 브라켓(730) 전체가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력부를 이룰 수 있다. 가동 가림판(740)의 경우, 지지 브라켓(730)에 자기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가동 가림판(740)의 측단부 일부 또는 가동 가림판(740) 전체가 자성체부를 이룰 수 있고 지지 브라켓(730)에 자성체부가 마련되는 경우, 가동 가림판(740)의 측단부 일부 또는 가동 가림판(740) 전체가 자기력부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복귀유도유닛(750)은 자성체부(754)와 자기력부(761)에 의한 자기력을 이용하는 구조 이외에 가동 가림판(740)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연속적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가 적용되면, 가동 가림판(740)이 전방으로 젖혀지는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힘(한 손으로 잡고 있는 등)이 지속되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불편함이 초래되므로 본 발명과 같이 임계치 영역 이내에서만 힘이 작용하고 임계치를 벗어난 영역에서는 가동 가림판(740)의 물리적 자세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730)이 가동 가림판(740)을 프레임(300)의 전방으로 다소 기울어지게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지지 브라켓(73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지지 브라켓(730)과 가동 가림판(740)의 결합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730)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 가림판(740)의 자세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나, 지지 브라켓(730)에 의하여 가동 가림판(740)이 프레임(300)의 전방으로 다소 기울어진 자세로 지지되면 구조적 외관의 심미감이 높아질 수 있음은 물론, 가동 가림판(740)의 상부가 상대적으로 앞쪽으로 돌출된 형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가동 가림판(740)을 더욱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4, 도 20 내지 도 22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테이블 또는 테이블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는 테이블용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800)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 등에 도시된 바와 가팅 본 발명의 테이블용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800)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테이블상판(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납 트레이(810), 수납 트레이(810)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825), 테이블상판(200)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840),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825)와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84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링크(850) 및 수납 트레이(810)를 테이블상판(200)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링크 스프링(860)을 포함한다.
수납 트레이(810)는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부(812), 상측에 수납부(812)가 구비되는 트레이 바디(811) 및 트레이 바디(811)의 선단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트레이 선단벽(814)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바디(811)의 일측에는 연필이나 펜 등의 필기구가 수납될 수 있는 트레이 홈(813)이 구비될 수 있다. 수납 트레이(810)는 테이블상판(200)에 연결되는 네 개의 연결 링크(850)에 의해 지지되어 테이블상판(200)으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테이블상판(2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네 개의 연결 링크(850)는 트레이 바디(811)를 테이블상판(200)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트레이 선단벽(814)이 구비되는 트레이 바디(811)의 선단부가 상대적으로 일정 범위 낮게(테이블 상판(200)과의 이격 거리 기준) 유지되도록 하여 수납부(812)에 수납된 물건이 수납 트레이(810)에서 떨어지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수납부(812)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825)는 네 개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수납 트레이(810)에 고정된다. 이들 네 개의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825)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 및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리어 트레이 링크 지지대(825)로 구분될 수 있다.
도면에는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825)가 대칭되는 위치에 4개로 도시되어 있고 이하 설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기술되나, 수납 트레이(810)을 물리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이와는 다른 개수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형태에 따라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현하고, 리어 트레이 링크 지지대(825)는 후면 가운데 부분에 하나로 구현하여 3개의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 825)가 삼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 쌍의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는 수납 트레이(810)의 선단부 측으로 치우쳐 수납 트레이(810)의 선단부 측 양쪽 모서리 부근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에는 연결 링크(8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축(821)이 구비된다.
연결 링크(850)의 일단부는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축(821)에 결합되어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축(82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리어 트레이 링크 지지대(825)는 한 쌍의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 각각으로부터 수납 트레이(810)의 후단부 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각의 리어 트레이 링크 지지대(825)에는 연결 링크(8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리어 트레이 링크 지지축(826)이 구비된다.
연결 링크(850)의 일단부는 리어 트레이 링크 지지축(826)에 결합되어 리어 트레이 링크 지지축(826)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840)는 네 개의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825)와 각각 하나씩 짝을 이루도록 네 개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테이블상판(200)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들 네 개의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840)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 및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리어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40)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는 한 쌍의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와 대응하도록 테이블상판(200)의 하면에 상대적으로 전방 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에는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 홈(831) 및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832)이 구비되며,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 홈(831)은 테이블상판(200) 및 수납 트레이(810) 측으로 각각 개방되며,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 홈(831)에 연결 링크(850)의 타단이 수용될 수 있다.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832)은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 홈(831) 속에 배치되어 연결 링크(850)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연결 링크(850)의 타단부가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832)에 결합되어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832)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한 쌍의 리어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40)는 한 쌍의 리어 트레이 링크 지지대(825)와 대응하도록 테이블상판(200)의 하면에 상대적으로 후방 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리어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40)에는 연결 링크(8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리어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841)이 구비되며, 연결 링크(850)의 타단부는 리어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841)에 결합되어 리어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84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네 개의 연결 링크(850)는 각각의 일단이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8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8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테이블상판(200)과 수납 트레이(810)를 연결한다.
이들 연결 링크(850) 각각의 일단이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825)에 대해 회전하고, 각각의 타단이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840)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테이블상판(200)에 대한 연결 링크(850)의 각도 및 수납 트레이(810)에 대한 연결 링크(850)의 각도가 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 링크(850)의 각도 변화에 따라 수납 트레이(810)가 테이블상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변하게 된다.
링크 스프링(860)은 복수의 연결 링크(850)가 수납 트레이(810)를 테이블상판(200)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 링크(850) 중 일부 연결 링크(850)에 탄성력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링크 스프링(860)은 네 개의 연결 링크(850) 중에서 한 쌍의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와 한 쌍의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링크(850)에 하나씩 연결된다. 링크 스프링(860)은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의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 홈(831)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토션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링크 스프링(860)은 적어도 일부분이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832)에 감겨 일측이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에 접하고 다른 일측이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에 결합되는 연결 링크(850)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링크 스프링(860)은 수납 트레이(810)가 테이블상판(200)으로부 멀어지는 경우 연결 링크(850)의 회전에 따라 탄성 변형되므로 수납 트레이(810)가 테이블상판(20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800)는 물건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수납 트레이(810)가 테이블상판(200)의 하측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납 트레이(810)의 높이가 다양하게 조절되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납 트레이(810)에 물건을 수납하지 않거나, 필기구나 메모지 등 상대적으로 가벼운 물건을 수납 트레이(810)에 수납하는 경우,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트레이(810)가 링크 스프링(860)의 탄성력에 의해 테이블상판(200)에 최대로 접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테이블상판(200) 하측의 공간을 상대적으로 넓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수납 트레이(810)에 책 등 상대적으로 무겁고 부피가 큰 물건을 수납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트레이(810)를 하강시켜 수납 트레이(810) 위쪽의 수납 공간을 확장시킨 후 물건을 수납 트레이(810)에 수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물건을 수납 트레이(810)에서 빼내면 수납 트레이(810)는 링크 스프링(860)의 탄성력에 의해 테이블상판(200)에 가까워지도록 원상 복귀된다.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80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토션 스프링 구조의 링크 스프링(860)이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에 결합되는 두 개의 연결 링크(850)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링크 스프링(860)의 구체적인 구조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네 개의 연결 링크(850) 중에서 링크 스프링(860)이 결합되는 연결 링크(850)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수납 트레이(810)의 형상이나 구조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상이나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링크(850)의 회전 중심축을 이루는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축(821), 리어 트레이 링크 지지축(826),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832), 리어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841)은 연결 링크(850)에 일체로 마련되어 트레이 링크 지지대(820)(825) 또는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830)(8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제2 또는 상, 하 등과 같은 표현은 상호 간의 각 구성(요소)을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이거나, 절대적인 기준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을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테이블 장치 200 : 테이블상판
250 : 거치유닛 300 : 프레임
310 : 프레임 베이스 311 : 프론트 프레임
312 : 사이드 프레임 314 : 걸림부
320 : 다리 330 : 바퀴
350 : 콘센트 지지대 400 : 푸시유닛
410 : 푸시유닛 프레임 고정대 420 : 푸시유닛 회전 지지대
430 : 푸시유닛 테이블상판 고정대 440 : 푸셔
500 : 록킹유닛 510 : 록킹유닛 바디
511 : 록킹유닛 바디 홈 512, 521, 611 : 가이드 돌기
520 : 록킹유닛 가이드부재 530 : 록킹부재
531 : 록킹부재 바디 532 : 록킹부재 후크부
533, 534, 621 : 가이드 홈 540 : 록킹유닛 스프링
550 : 록킹유닛 가이드 보스 600 : 릴리스유닛
610 : 릴리스유닛 바디 612 : 릴리스유닛 바디 커브 홈
613 : 릴리스유닛 바디 스프링 접촉부
620 : 트리거 622 : 트리거 스프링 접촉부
630 : 와이어 632 : 제 1 고정 블록
634 : 제 2 고정 블록 640 : 릴리스유닛 스프링
650 : 릴리스유닛 가이드 보스 660 : 보호 파이프
700 : 가림판 작동장치 710 : 전면 가림판
720 : 전면 가림판 지지대 722 : 지지대 연장부
730 : 지지 브라켓 740 : 가동 가림판
750 : 복귀유도유닛 751 : 자성체
752 : 헤드 753 : 바디
754 : 자성체부 756 : 자석 조립체
757 : 자석 지지체 760 : 자석
761 : 자기력부 800 :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
810 : 수납 트레이 811 : 트레이 바디
812 : 수납부 814 : 트레이 선단벽
820 :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대 821 : 프론트 트레이 링크 지지축
825 : 리어 트레이 링크 지지대 826 : 리어 트레이 링크 지지축
830 :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
832 : 프론트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
840 : 리어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대 841 : 리어 테이블상판 링크 지지축
850 : 연결 링크 860 : 링크 스프링

Claims (11)

  1. 테이블상판 및 상기 테이블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테이블에 구비되는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로서,
    전방 부위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상판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끼움 결합되는 전면 가림판;
    상기 전면 가림판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테이블상판과 상기 전면 가림판 사이의 공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회전 틸팅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 가림판;
    상기 가동 가림판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브라켓에 마련되는 자성체부와, 상기 가동 가림판에 구비되되, 상기 자성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자성체부와 대면하여 구비되며 상기 가동 가림판이 전방으로 회전 틸팅된 경우, 상기 자성체부와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가동 가림판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하며 상기 가동 가림판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석을 포함하는 자기력부를 가지는 복귀유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유도유닛의 자성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지지 브라켓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을 관통하는 바디를 구비하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가 상기 자성체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전원공급용 콘센트가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콘센트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 지지대 또는 전원공급용 콘센트는 상기 가동 가림판이 전방으로 회전 틸팅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자석은,
    차등적인 크기의 자기력을 가지되, 상기 가동 가림판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클수록 큰 자기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11. 삭제
KR1020190059297A 2019-05-21 2019-05-21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KR102026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97A KR102026104B1 (ko) 2019-05-21 2019-05-21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97A KR102026104B1 (ko) 2019-05-21 2019-05-21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104B1 true KR102026104B1 (ko) 2019-09-27

Family

ID=6809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297A KR102026104B1 (ko) 2019-05-21 2019-05-21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1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919Y1 (ko) 2003-05-31 2003-08-21 주식회사 퍼시스 테이블
JP2006087637A (ja) * 2004-09-22 2006-04-06 Kokuyo Co Ltd テーブル
KR200437396Y1 (ko) * 2006-12-27 2007-11-29 주식회사 퍼시스 데스크의 가림판 구조
US20110007466A1 (en) * 2009-07-10 2011-01-13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Support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08894A (ko) 2009-07-21 2011-01-27 주식회사 퍼시스 테이블의 가림판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919Y1 (ko) 2003-05-31 2003-08-21 주식회사 퍼시스 테이블
JP2006087637A (ja) * 2004-09-22 2006-04-06 Kokuyo Co Ltd テーブル
KR200437396Y1 (ko) * 2006-12-27 2007-11-29 주식회사 퍼시스 데스크의 가림판 구조
US20110007466A1 (en) * 2009-07-10 2011-01-13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Support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08894A (ko) 2009-07-21 2011-01-27 주식회사 퍼시스 테이블의 가림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5137B2 (ja) 万能書見台
KR100775626B1 (ko) 강의용 책상
KR102037164B1 (ko) 테이블용 링크 회전식 서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KR102269405B1 (ko) 휴대용 독서대
KR102295408B1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102026104B1 (ko) 테이블용 가림판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KR102061098B1 (ko) 폴딩 구동이 가능한 테이블 장치
US4969698A (en) Portable desk
KR100840334B1 (ko) 강의용 책상
JP3303851B2 (ja) 収納家具
KR20150064301A (ko) 전자 교탁
KR200411301Y1 (ko) 키보드 수납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JP4641905B2 (ja) 移動作業台付き設備
JP2810026B2 (ja) 学習用デスクセット
JP3224886U (ja) 折りたたみデスク
KR200298780Y1 (ko) 좌식 강의대 겸 회의대
CN215303935U (zh) 一种桌面可旋转的学生课桌结构
US20220053899A1 (en) Portable Workstation Component Case
JP2018143317A (ja) 机のサイドパネル
CN220109404U (zh) 一种带有升降桌的柜子
JP2531323Y2 (ja) 学習机等における照明装置
KR102064735B1 (ko) 노트북 지지대
KR200411306Y1 (ko) 키보드 수납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JPS5817462Y2 (ja) 機器内蔵式机
JP2949100B2 (ja) 学習用デスク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